-
Read MoreNo Image
진득찰
학명 :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득찰속(Sigesbeckia) target=_blank>진득찰속(Sigesbeckia)</a>
이명 : 민진득찰진둥찰찐득찰희첨
잎 :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길고 길이 5~13cm 폭 3.5~11cm로서 난상 삼각형이며 예두 절저이거나 엽병으로 흐르는 엽신과 더불어 예저이고 양면에 짧은 복모가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기부에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긴 타원형 또는 선형으로 되며 엽병이 없어진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1-3cm로서 짧은 털이 있다. 총포편은 5개이며 주걱모양으로 퍼지고 내포편은 꽃을 둘러사며 모두 녹색으로서 선모가 밀생한다. 설상화관은 길이 1.5-2.5mm로서 황색이고 끝이 3개로 얕게 갈라지며 통상화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10월에 익으며 도란형이고 4개의 능각이 있으며 길이 2mm로서 다름 물체에 잘 붙으며 관모가 없다.
줄기 : 원줄기에 복모가 있고 원주형이며 곧게 서고 가지가 마주 갈라지며 갈자색이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원줄기와 잎에 복모가 있어 얼핏보기에 털이 없는 것같이 보이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지칭개
학명 : Hemistepa lyrata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지칭개속(Hemistepta) target=_blank>지칭개속(Hemistepta)</a>
이명 : 지칭개나물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좁아지며 길이 7~21cm로서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3각형으로서 때로는 3개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7~8쌍으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된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두상화는 홍자색의 통꽃만이며 줄기나 가지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고 꽃이 필 때는 곧게 선다. 총포는 둥글며 길이 12~14mm 지름 18-22mm로서 8줄로 배열되고 뒷면 윗부분에 맨드라미같은 부속체가 있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3~14c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mm 나비 1mm로서 암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우상이고 떨어지기 쉬우며 2줄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60~80cm이며 속은 비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특징 : 지칭개 속에 지칭개 1종만이 속한다.
-
Read MoreNo Image
지리고들빼기
학명 : Crepidiastrum koidzumianum (Kitam.) Pak & Kawa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들빼기속(Crepidiastrum) target=_blank>고들빼기속(Crepidiastrum)</a>
이명 : 지이산꼬들빽이
잎 : 근생엽은 개화시기에 없어진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6.5㎝ 나비 2.5-3㎝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3-4쌍이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서로 인접하여 밑부분이 좁아지며 털이 없고 굵은 톱니가 있으며 엽축에 날개가 있다.
꽃 : 두화는 줄기끝에 다수가 달리고 꽃이 지면 처지며 화경은 길이 3-12mm이고 포는 1-2개로서 난형이다. 총포는 길이 7.5-8mm 중앙부의 지름 2.5mm이며 외포편은 난형 둔두이고 안쪽에 5개의 총상 포편이 있으며 소화(小花)는 5-6개씩이고 황색이며 통부는 길이 2.3mm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납작한 방추형이고 길이 3.5-4mm로서 능선이 11개이며 끝이 부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관모는 백색이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고 가지가 많으며 털이 없고 회청색(灰靑色)이다.
분포 : 지리산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초
특징 : ▶본래 종으로 발표되었으나 까치고들빼기와 고들빼기의 잡종이라고 생각되며 많은 중간형이 있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지느러미엉겅퀴
학명 : Carduus crisp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arduus) target=_blank>엉겅퀴속(Carduus)</a>
이명 : 엉거시 지느레미엉겅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30-40cm로서 가장자리에 가시가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밑부분이 줄기의 날개와 합쳐지고 길이 5-20cm로서 우상으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며 열편은 둔두로서 가시로 끝나고 뒷면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7-27mm이고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20mm 지름 17-27mm이고 포편은 7-8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점차 짧아지고 중편과 더불어 선상 피침형으로서 뾰족한 끝이 가시로 되어 퍼지거나 뒤로 젖혀진다. 화관은 자주색 또는 백색이며 길이 15-16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 지름 1.5mm이며 관모(冠毛)는 견사(絹絲)모양이고 밑이 합생하며 길이 15mm이다.
줄기 : 높이가 70-10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곧게서며 모서리가 있고 날개가 달리며 날개의 가장자리에 가시로 끝나는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분포 : ▶유럽 시베리아 코카서스 동부아시아 지방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이년초(월년초)
유사종 : ▶흰지느러미엉겅퀴(var. albus Makino)는 꽃이 백색이며 서울 근교에 야생한다.
-
Read MoreNo Image
증산쑥
학명 : Artemisia borealis var. ledebouri Bess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속(Artemisia) target=_blank>쑥속(Artemisia)</a>
이명 : 비단쑥아라이도쑥
잎 : 근생엽은 모여나고 경생엽은 호생한다. 근생엽에는 긴 엽병(길이 5~9cm)이 있고 엽병끝에 원형(길이 2~3cm 너비 2~8cm)의 잎이 붙는다. 잎은 두번 또는 세번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거나 또는 피침형이며 끝부분의 열편이 둥글고 클때도 있으며 엽연에 결각이 있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약간 연한 녹색이고 털이 없다. 경생엽은 거의 없거나 두세개가 있는데 호생하며 피침형(길이 1.5~3cm 너비 0.5~1cm)이고 깃모
꽃 : 꽃은 8~9월경 두상화서를 이루고 피는데 화서는 줄기 중간에서부터 붙어 총상화서 또는 복총상화서 이룬다. 총포는 난형(길이 4~5mm 직경 2~3mm)이다. 총포편은 3줄이 복와상으로 붙는데 바깥줄의 것들은 짧고 난형(길이 3mm)이며 안쪽줄의 것들은 둥근모양(길이 4~5mm)이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총포쪽은 갈색이며 털이 없다. 화서에는 단성화와 양성화가 있다. 화서의 엽연에는 가는 관모양의 암꽃(길이 1mm)이 있고 열매를 맺으며 화관의 끝은 다
열매 : 수과는 난형(길이 2mm)이며 털이 없고 암갈색이며 9~10월에 익는다. 관모는 없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자라거나 때에 따라 밑부분이 약간 눕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거나 흔히 치지 않으며 털은 거의 없다. 줄기 밑부분에서는 흔히 자색을 띤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여기에서 많은 싹이 돋는다.
분포 : 한반도(북부) 러시아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중대가리풀
학명 : Centipeda minima (L.) A.Br. & A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중대가리풀속(Centipeda) target=_blank>중대가리풀속(Centipeda)</a>
이명 : 땅과리 토방풀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주걱형 비슷하고 끝이 둔하며 길이 7-20mm 폭 3-5mm로서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고 앞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선점과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엽액에 두화가 1개씩 달리고 화서는 지름 3-4mm로서 녹색이지만 흔히 갈색이 도는 자주색인 것도 있으며 화경이 있거나 거의 없다. 총포는 긴 타원형으로서 2줄로 배열되며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외편은 내편보다 크다. 화고나은 통형이며 녹색이다. 변두리의 암꽃은 화관이 가늘고 끝이 똑똑치못한 치아가 있으며 가운데 양성화는 화관 끝이 4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이 있으며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으로서 5개 모서리가 있고 변두리에 긴털이 있으며 관모가 없고 길이 1.3mm이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0cm에 달하고 옆으로 10-20cm정도 뻗으면서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는 가늘고 밑으로부터 가지를 친다.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뿌리 : 줄기가 지면으로 기면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중국 등 아시아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주홍서나물
학명 :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주홍서나물속(Crassocephalum) target=_blank>주홍서나물속(Crassocephalum)</a>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며 잎자루가 있다. 아래쪽의 잎은 불규칙하게 우상(羽狀)으로 분열하며 난형(卵形) 또는 장타원형(長楕圓形)으로 양끝이 예두(銳頭)이고 가장자리는 크기가 다른 거치가 있으며 양면이 성기게 털이 있다. 위쪽의 잎은 좁은 장타원형이며 양 끝이 길게 뾰족하며 성기게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두화는 모두 아래를 향하여 매달리며 총상화서(總狀花序)를 이룬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이며 길이 9-10㎜ 기부 근처가 뚜렷하게 부풀었고 외총포편은 선형(線形)이고 길이 1.5-2㎜이다. 내총포편은 선형이며 길이 8-9㎜ 크기가 같고 1열로 배열되며 등쪽에 성긴 거친 털이 있다. 설상화(舌狀花)는 없고 통상화(筒狀花)는 긴 관상(冠狀)으로 통부(筒部)는 백색이며 판연(瓣緣)은 적색으로 5열되며 관모(冠毛)는 백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 30-70㎝ 연약하고 성기게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1950 년대에 일본에도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91 년 全義植 씨에 의하여 남해도 제주도 부산에서 채집되어 보고한 바 있다.
-
Read MoreNo Image
주걱개망초
학명 : Erigeron strigosus Muh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망초속(Erigeron) target=_blank>개망초속(Erigeron)</a>
잎 : 경생엽은 상반부가 폭이 넓은 주걱형으로 전연이고 5-6㎜의 짧은 잎자루가 있다.
꽃 : 두화(頭花)는 지름 1.5㎝이고 설상화(舌狀花)는 120개 내외로 백색이다. 관모(冠毛)는 흔적적(痕跡的)이며 통상화(筒狀花)는 황색이고 긴 관모가 있다.
줄기 : 줄기에 상방으로 굽은 짧은 털이 덮힌다. 줄기잎은 5-6㎜길이의 잎자루가 있고 주걱모양으로 끝이 넓으며 기부는 쐐기꼴을 한다.
뿌리 : 근생엽은 주걱형으로 도피침형이고 대개 전연(全緣)이며 드물게 얕은 거치연이다.
분포 : ▶지리적으로 북미 일보에 분포 ▶경기도 서해안의 대부도 여주 서울의 한강 고수부지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1-2년생초본이다.
유사종 : ▶개망초:줄기에 거친 개출모가 있고 높이 30-120㎝이다. 근생엽은 원형-타원형이고 부동의 조거치연(粗鋸齒緣)이며 잎자루가 없다. 생육지는 비옥하고 습진 토지를 좋아한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 vol.22(1)
-
Read MoreNo Image
좁은잎엉겅퀴
학명 : Cirsium japonicum f. nakaianum (H.Lev. & Vaniot)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가는엉겅퀴 참엉겅퀴
-
Read MoreNo Image
좁은잎가막사리
학명 : Bidens cernu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깨비바늘속(Bidens) target=_blank>도깨비바늘속(Bidens)</a>
이명 : 가는잎가막사리 가는잎가막살 긴잎가막살이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8-17㎝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나 약간 거칠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윗부분의 것은 밑부분이 약간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윗부분의 엽액에서 가지가 나와 그 끝에 꽃이 1개씩 달리고 포는 4개로서 길이 2-3mm이며 총포편은 5-7개로서 피침형이고 길이 2cm정도이다. 설상화는 길이 12mm 나비 5mm로서 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4개의 능선과 까락이 있고 능선에 밑을 향한 가시가 있다.
줄기 : 높이 25-90cm이고 원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기면서 많은 뿌리가 내리기 때문에 근경같이 보이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거나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좀민들레
학명 : Taraxacum hallaisanens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한라민들레 할라산민들레
잎 : 잎은 긴 타원형 또는 산상 도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길이 5-14.5cm 나비 0.9-2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장자리가 무우잎처럼 갈라지며 열편은 4-6쌍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두상화는 모두 황색 설상화이며 화경은 꽃이 필 때는 잎과 길이가 같지만 점차 길어진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9-13mm로서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으며 회포편은 내포편 길이의 1/2 정도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내포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털이 없다. 가장자리의 화관은 길이 13-18mm이며 통부는 길이 4.5-5.5mm이고 털이 없다.
열매 : 수과는 갈색이고 길이 3mm 나비 1mm이며 부리는 길이 6mm이고 밑부분이 울툭불툭하며 줄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굵은 근경이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제주도의 해발이 낮은 지대에서부터 해발 1 700m까지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보통 민들레에 비하여 초장이 짧고 전체적으로 왜성이므로 ""좀""이라는 접두어가 붙었다. 다화성이다."
-
Read MoreNo Image
좀딱취
학명 : Ainsliaea apiculata Sch.Bi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취속(Ainsliaea) target=_blank>단풍취속(Ainsliaea)</a>
이명 : 좀땅취 털괴발딱지 털괴발딱취
잎 : 잎은 엽병이 길고 원줄기 밑에서 밀생하며 난형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1~3cm로서 양면에 긴 털이 있으며 5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 끝이 둔하며 흔히 정열편이 길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백색이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화경이 짧으며 포는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많으며 총포는 길이 10-15mm이고 포편은 5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길이 1mm정도로서 난형이고 내편은 선형이며 소화가 흔히 폐쇄화로 된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5mm정도로서 짧은 털이 밀생하고 편평한 도피침형이며 관모는 길이 7mm정도로서 갈색이고 깃털은 길이가 거의 같다.
줄기 : 높이 8-30cm이고 마디가 있으며 털이 다소 많고 단순하거나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자라고 마디가 있다.
분포 : 백양산을 비롯한 남부지방이나 제주도 등지의 해안근처 산야의 계곡 주변의 음습한 곳에 생육한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특징 : 속명은 이탈이아의 식물학자 Whitelaw Ainslie를 기념하여 붙여졌다.
-
Read MoreNo Image
좀담배풀
학명 : Carpesium cernu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담배풀속(Carpesium) target=_blank>담배풀속(Carpesium)</a>
이명 : 여우담배풀
잎 : 근생엽은 개화시기에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주걱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9-25cm 나비 4-6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흘러 날개로 되고 양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복거치 또는 파상의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약간 작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거나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거나 둔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지름 15-18mm로서 모두 관상화이고 줄기 끝과 원줄기 끝에 밑을 향한 두상화서로 달리며 화경이 길고 포엽은 많으며 길이 2-5cm로서 선상 피침형이다. 총포는 각두형(殼斗形)이고 길이 7-8mm로서 바깥 것은 잎같으며 나비가 넓고 백색 털이 있으며 안쪽 것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다.
열매 : 수과는 선형이고 길이 4.5-5mm 나비 1mm정도이지만 끝부분의 것은 길이 1mm정도이며 점성의 부리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밑부분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초
-
Read MoreNo Image
좀께묵
학명 : Hololeion maximowiczii var. fauriei (H.Lev. & Vaniot)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께묵속(Hololeion) target=_blank>께묵속(Hololeion)</a>
이명 : 께묵 만주께묵 최채나물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40cm 나비 5-3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고 길이 7-14cm 나비 4-10mm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마침내 선형으로 된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3-30mm이다. 총포는 넓은 종형이고 길이 10mm이고 외편은 길이 1.5mm 내편은 길이 2mm이며 설상화관의 나비가 4mm이다. 화관은 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5-6mm 지름 1mm정도로서 흑색점이 있거나 흑색이고 관모는 길이 7mm로서 갈색이 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초
유사종 : ▶께묵 : 기본종
-
Read MoreNo Image
좀개미취
학명 : Aster maackii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괴쑥부쟁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6.5~9cm 나비 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고 잔털이 있으며 다소 뒤로 말린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두화는 지름 4cm이고 화경은 길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포는 2-3개로서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5-10mm이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8-9mm 지름 1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끝부분에 자줏빛이 돌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외편이 가장 짧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 나비 1.5mm로서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열매 : 수과는 납작한 도란형이며 길이 2mm 지름 1mm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연한 갈색이다.
줄기 : 높이 45-85cm이고 자주빛이 도는 줄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져서 산방상이 된다.
분포 : 오대산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남한에서는 분포지가 제한돼 있어서 희귀식물에 속하며 자생지에서의 채취를 막아야 할 것이다.
-
Read MoreNo Image
족제비쑥
학명 : Matricaria matricariodes Port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족제비쑥속(Matricaria) target=_blank>족제비쑥속(Matricaria)</a>
이명 : 개꽃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고 잎자루가 없으며 잎새는 윤곽이 도피침형(倒披針形)또는 피침형으로 2-3회 우상 전열(羽狀 全裂)이 되고 열편(裂片)은 선형(線形)이며 폭 0.3-0.6㎜이고 엽축(葉軸)의 기부가 약간 팽대된다.
꽃 : 꽃은 5-8월에 피며 두화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설상화(舌狀花)가 없고 통상화로만 이루어지며 담황색 또는 황록색으로 지름 6-8㎜이다. 총포편(總苞片)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5-7㎜ 같은 크기이고 2줄로 겹쳐서 배열하며 녹색이고 넓은 백색 막질(膜質)이 가장자리에 있다. 통상화는 끝이 4치(齒)가 있다.
열매 : 수과(瘦果)는 장타원형 가볍게 각(角)이 지며 관모(冠毛)는 관상(冠狀)이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옆으로 누우면서 위로 자라고 높이 5-40㎝이다.
분포 : 시베리아 동북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하며 국내에는 최근 서울과 전주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서는 朴萬奎 씨에 의하여 1949년 `족제비쑥`으로 명명되었고 최근 서울과 전주에서 채집되었다.
-
Read MoreNo Image
조뱅이
학명 : Breea segeta (Willd.) Kitam. f. sege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뱅이속(Breea) target=_blank>조뱅이속(Breea)</a>
이명 : 자라귀 조바리 조병이 지칭개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7-10cm로서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둥글고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에 가시가 달린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작은 자모(刺毛)가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꽃 : 꽃은 자웅이주이며 5-8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종형이며 지름 25mm로서 수꽃의 것은 길이 18mm 암꽃의 것은 길이 23mm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다. 포편은 8줄로 배열되며 외편이 가장 짧고 중편은 피침형으로서 가시처럼 뾰족하며 끝부분이 흑색이다. 화관은 자주색으로서 수꽃의 것은 길이 17-20mm 암꽃의 것은 길이 26mm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길이 3mm정도이며 털이 없고 8-9월에 익는다. 관모는 길이 28mm이다.
줄기 : 높이 25-50cm이며 줄기에 줄이 있고 자줏빛을 띠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적게 갈라지고 거미줄털이 있거나 없다.
뿌리 : 근경은 길고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조뱅이 (for.lactiflora Kitam.): 백색 꽃이 핀다.
-
Read MoreNo Image
조밥나물
학명 : Hieracium umbellat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밥나물속(Hieracium) target=_blank>조밥나물속(Hieracium)</a>
이명 : 버들나물 조팝나물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꽃이 필 때 밑부분의 잎이 말라버리고 중앙부의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약간 두껍고 거칠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리며 길이 4-12cm 폭 0.5-1.2c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약간 있고 뒷면 맥줄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지름 2.5-3.1cm로서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2-5mm로서 짧은 털이 다소 있다. 총포는 길이 9-11mm 넓이 15mm이고 총포편은 3-4줄로 배열되며 녹색 또는 붉은 빛이 도는 녹색이고 외편은 점차 짧아지며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다. 내편은 장타원상피침형으로서 길이 8-10mm이다. 꽃은 모두 설상화로서 황색이며 길이 11-17.5mm이고 화관은 끝이 5쪽이며 통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도피침형이고 흑색이며 길이 2.5-3mm정도로서 10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갈색으로 길이 7mm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100cm이며 줄기는 곧추서고 단일하며 잔털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약간 갈라진다.
분포 : ▶북반구의 온대에 널리 있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제충국
학명 : Tanacetum cinerariifolium (Trev.) Sch.Bi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쑥국화속(Tanacetum) target=_blank>쑥국화속(Tanacetum)</a>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중렬 또는 천열하고 최종열편은 선형으로 끝이 둔하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많다.
꽃 : 꽃은 5~6월 경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두화의 지름은 3cm 정도이다. 총포편은 장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막질로 부드러운 털이 있다. 중심의 관상화는 황색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5개의 맥이 있고 끝에 관모는 관상으로 되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분백색이고 기부에 전년도의 잎이 흔적적으로 남아 비늘조각을 이루고 있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제주진득찰
학명 : Sigesbeckia oriental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득찰속(Sigesbeckia) target=_blank>진득찰속(Sigesbeckia)</a>
이명 : 동방진득찰진득찰 찐득찰
잎 :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길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예두 절저이고 엽병으로흐르며 길이 5-14㎝ 나비는 3-12㎝로서 양면에 복모가 밀생하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기부에 3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타원상 둔두로 된다.
꽃 : 두화는 많으며 지름 16-21mm로서 긴 화경이 있고 화경에 대가 있는 선모(腺毛)가 섞여 있는 것도 있으며 총포는 5개로서 대가 있는 선(腺)이 있다. 설상화관은 길이 2.2-2.5mm로서 황색이고 3개의 톱니가 있다.
열매 : 수과는 길이3mm 지름 1mm정도로서 4개의 능선과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20-55cm이고 가지가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 지역에 자란다.
형태 : 1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