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d MoreNo Image
등포잎가래
학명 : Potamogeton octandrus var. mizuhikimo (Makino)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B%9E%98%EA%B3%BC(Potamogetonaceae) target=_blank>가래과(Potamoget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래속(Potamogeton) target=_blank>가래속(Potamogeton)</a>
이명 : 란나잎가래
잎 : 수중엽(水中葉)은 실같이 가늘고 길이 3-4.5㎝ 지름 0.3-1㎜이지만 물위의 잎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7-2.5㎝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다. 엽병은 길이 7-20㎜로서 실같이 가늘고 탁엽(托葉)은 길이 8-10㎜이며 가장자리가 겹쳐진다.
꽃 : 꽃은 6-9월에 피고 화경은 길이 1-2㎝로서 윗부분이 약간 굵으며 화수는 길이 1-1.5㎝이고 양성의 꽃이 배게 달린다.
열매 : 수과(瘦課)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2㎜정도이고 부리가 짧으며 뒷면에 3개의 능선이 있고 중앙부의 것은 날카로우며 중앙 능선에 톱니가 없다.
뿌리 : 지하경(地下莖)이 거의 없고 수중경(水中莖)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지름 0.3㎜정도이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수초이다.
유사종 : ▶가는가래(P. cristatus Regel et Maack): 물 속에 있는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물 속에 잠기는 잎은 길이 4-6㎝ 폭 0.7㎜ 끝이 뾰족하고 물 위에 뜨는 잎은 긴 타원형이다. ▶가래(P. distinctus A. Benn.): 물에 잠기는 잎은 잎자루가 3-4㎝이고 얇다. 물 위에 뜨는 잎은 잎자루가 6-10㎝ 긴 타원형 표면은 녹색 매끄럽고 뒷면은 엷은 황색이다. ▶선가래(P. fryeri A. Benn
-
Read MoreNo Image
등칡
학명 :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target=_blank>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방울덩굴속(Aristolochia) target=_blank>쥐방울덩굴속(Aristolochia)</a>
이명 : 긴쥐방울 등칙 칡향 큰쥐방울
잎 : 잎은 둥글며 첨두 심장저이고 길이 10-26cm로 톱니가 없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7c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피고 엽액에 황색꽃이 1개씩 달리며 화병은 길이 2-3cm이고 꽃은 길이 10cm로서 U자형으로 꼬부라지며 화통부의 넓은 부분은 지름 18mm정도이고 밖은 연녹색 안쪽 중앙부는 연갈색이며 밑부분에 자흑색 윗부분에 자갈색 반점이 있고 꽃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의 외형이 감나무의 꽃받침과 비슷하고 중앙부가 뾰족하다. 자방은 길이 5mm정도로서 둥글며 짧은 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6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11cm 지름 3cm정도이며 9-10월에 성숙된다. 열매의 꼭지는 2cm 정도이고 털이 없다.
줄기 : 길이가 10m에 달하고 새가지는 녹색이지만 이년지는 회갈색이다. 줄기는 잘게 갈라지면서 회갈색으로 콜크화된다. 과경은 길이 2㎝이며 털이 없고 아래로 드리워진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 많이 자라지만 남쪽으로는 경북 청송의 주왕산 경남 거제도까지 분포한다. 소백산 이북의 표고 350-900m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성 만경목 수형:포복형.
특징 : "잎 모양이 칡과 비슷하게 생긴 목본성 식물이므로 ""등칡""이라고 하나 ""등나무""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성질이 강건하므로 재배작물로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
-
Read MoreNo Image
등에풀
학명 : Dopatrium junceum (Roxb.) Ham. ex Ben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에풀속(Dopatrium) target=_blank>등에풀속(Dopatrium)</a>
이명 : 방울조풀
잎 :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 또느 선상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1.5-2.5cm 폭 3~5mm이지만 위로 가면서 점점 작아져서 긴 타원형으로 되고 길이 1-3mm로서 곧게 선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경생엽에서 1개씩 액생하며 소화경은 길이 1-2mm이지만 꽃이 진 다음 1cm정도까지 자란다. 하부의 꽃은 폐쇄화이다. 꽃받침은 길이 1.5mm정도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고 끝이 둔하다. 화관은 길이 5~6mm이며 양순형이고 상순은 2개 하순은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고 2개의 헛수술이 화관통부에 달려 있다. 자방은 1실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2.5~3mm로서 둥글며 긴 꽃받침에 싸여 있다. 종자는 난형이며 그물같은 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다육질이며 부드럽고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곧게 서며 털이 없고 연약하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열매가 등에의 눈처럼 생겨서 등에풀이라고 한다.
-
Read More
등심붓꽃
학명 :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심붓꽃속(Sisyrinchium) target=_blank>등심붓꽃속(Sisyrinchium)</a>
이명 : 골붓꽃
잎 : 잎은 밑부분에 많이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4~10cm 폭 2~3mm이며 경생엽 밑부분은 엽초로서 원줄기를 감싸고 양쪽 가장자리가 원줄기로 흐르며 윗부분은 뾰족하고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1.5cm정도이며 원줄기 끝에 달린 2-3cm길이의 포 사이에서 2-5개의 꽃이 나와 산형화서를 이룬다. 소화경은 길이 3~4cm정도로서 밑에는 소포가 있다. 화피는 밑부분이 짧은 통같으며 겉에 백색 선모가 있고 열편은 5개로서 수평으로 퍼지며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자주색 또는 백자색 바탕에 줄이 있고 밑부분이 황색이다.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선모가 있다. 꽃은 하루만에 시드는 1일화이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편평하며 길이 3~4mm로서 털이 없고 자갈색으로 익으며 광택이 있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원줄기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좁은 날개가 있다.
분포 : ▶지리적으로 일본과 대만에 분포 ▶제주도에서 귀화하여 야생 상태를 이룬다. 관상 식물로 뜰에 심어 기르기도 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등수국
학명 :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국속(Hydrangea) target=_blank>수국속(Hydrangea)</a>
이명 : 넌출수국 덩굴수국 섬수국
잎 :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길이 4-10cm 폭 3-10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뒷면 맥위에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8c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가지끝에 달리는 지름 14-25cm의 산방상 취산화서를 이루며 가장자리의 중성화에 꽃잎같은 3-4개의 꽃받침잎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지름 3㎝정도이다. 안쪽의 양성화는 꽃받침잎과 꽃잎이 각각 5개 수술은 15-20개 암술대는 2-3개이며 자방은 2-3실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구형이나 뒷부분이 편평하게 잘린 모양이고 절두이며 9-10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길이가 20m에 달하고 수간이나 바위겉에 붙어서 자라며 가지에서 기근이 내리고 수피가 갈색이며 세로로 얇게 벗겨지고 소지에 잔털이 있거나 없다.
분포 : ▶일본에도 분포한다. ▶울릉도 및 남쪽 섬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 만경목
유사종 : 잎이 심장저인 것을 구별하기도 하지만 어렵다.
특징 : 가지에서 기근이 나와 나무나 바위 위에 달라붙어 뿌리를 내린다.
-
Read MoreNo Image
등대풀
학명 : Euphorbia helioscopi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극속(Euphorbia) target=_blank>대극속(Euphorbia)</a>
이명 : 등대대극등대초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주걱상 도란형 또는 도란형이고 원두 또는 요두이며 길이 1~3cm 폭 6-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는 끝부분 밑에서 5개의 잎이 윤생한다. 윤생엽은 보다 크고 총포엽은 넓은 도란형이며 약간 작다.
꽃 : 화서에 많은 배상화서가 달리고 소총포는 황록색이며 합쳐져서 단지처럼 되고 지름 2mm로서 윗부분만이 4개의 포편으로 되며 4개의 선체가 있고 총포 안에 1개의 암꽃과 몇 개의 수꽃이 있으며 모두 긴 소화경이 있고 암술대는 3개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3m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도란형이고 갈색이며 길이 1.8mm로서 겉에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가 30cm에 달하고 가을철에 나와 다음해에 무성해지며 자르면 유액이 나오고 흔히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에 긴털이 약간 있다. 전초에 사포닌이 들어 있다.
분포 : 경기도 이남
형태 : 2년초.
유사종 :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록색이다.
특징 : 유독 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등대시호
학명 :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시호속(Bupleurum) target=_blank>시호속(Bupleurum)</a>
이명 : 등때시호
잎 : 근생엽은 선형이며 폭 1-3mm로 7맥이 있고 경생엽은 좁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지만 윗부분의 것은 좁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맥이 많으며 호생한다. 포엽은 난형이고 3개이며 길이 1-2cm 폭 5-8m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꽃 : 소산경(小傘梗)은 7-8개이고 소포엽은 5개이며 넓은 난형이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6-9mm로서 자주색 반점이 있고 화경이 거의 없다. 개화기는 7-8월로 줄기나 가지끝에 자녹색 또는 적자색의 산형화서가 달린다. 암술대의 기부가 처음에는 자주색이지만 점차 적자색으로 되고 암술대는 자주색이며 뒤로 말리고 자방은 긴 타원형이며 자주색이다.
열매 : 분과는 타원형으로 자주색으로 익는다.
줄기 : 화서와 더불어 높이가 40cm에 달하는 것이 있으나 보통 8-12cm이고 털이 없다.
뿌리 : 식물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하부의 뿌리가 굵고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중·북부지방 점봉산의 정상 부근 설악산의 중청봉 및 향로봉 백두산.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시호(B. falcatum L.) ▶참시호(B. scorzoneraefolium Wild.)
특징 : ▶고산성 식물로 꽃의 모양이 독특하다.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91)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등대꽃
학명 : Enkioanthus campanulatus Nichols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대꽃속(Enkioanthus) target=_blank>등대꽃속(Enkioanthus)</a>
잎 : 잎은 가지 끝에서 뭉쳐나고 돌려난 것처럼 보이며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다. 잎 길이는 3∼7cm 너비 1.5∼3.5cm로 양끝이 좁고 잔 거치가 있다. 잎뒤로는 갈색선모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총상화서를 이루며 가지 끝에서 밑으로 처지며 5∼1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바소꼴이다. 화관은 종형이고 길이 10∼15mm이며 연변이 5개로 얕게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꽃밥에 2개의 돌기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의 장타원형이 대가 굽어 위를 향한다.
줄기 : 가지가 돌려나며 비스듬히 퍼진다.
형태 : 낙엽관목
-
Read MoreNo Image
등골나물아재비
학명 : Ageratum conyzoide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골나물아재비속(Ageratum) target=_blank>등골나물아재비속(Ageratum)</a>
잎 : 잎은 마주나기(對生) 잎차례이며 윗부분에서 어긋나기(互生) 잎차례가 되기도 한다. 잎새는 난형(卵形)-장타원형(長楕圓形) 길이 2-6㎝ 폭 1-4㎝ 끝이 둔두(鈍頭)이며 기부는 원저(圓底) 또는 심장저(心臟底)이고 잎 가장자리는 끝이 둥근 거치(鋸齒)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3㎝로 털이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다수이며 백색 또는 담자색으로 산방화서를 만든다. 총포(總苞)는 종형(鐘形)으로 총포편은 2열(列)로 배열하며 선형(線形) 또는 피침형(披針形)으로 끝이 예첨두(銳尖頭)이고 동형(同形)이며 3맥이 있고 거의 털이 없다. 설상화(舌狀花)는 없고 통상화(筒狀花)는 끝이 5열(裂)되고 암술머리는 깊게 2열되어 화관(花冠) 밖으로 초출(超出)된다.
열매 : 수과(瘦果)는 5각(角)이 지며 길이 2㎜ 흑색이고 관모(冠毛)는 5개 까락 모양이다.
줄기 : 식물 전체에 털이 있다. 줄기는 곧추 서며 높이 30-60㎝ 가지를 친다.
분포 : ▶세계의 열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 1993년 10월에 채집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일본과 대만에도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金東成 씨에 의하여 제주도에서 1993년 10월에 채집되었다. 꽃이 `등골나물` 비슷하여 `등골나물아재비`로 명명하였다.
-
Read MoreNo Image
등골나물
학명 : Eupatorium japonic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골나물속(Eupatorium) target=_blank>등골나물속(Eupatorium)</a>
이명 : 벌등골나물 새등골나물
잎 :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엽맥은 6-7쌍으로서 위로 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원통형이고 선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분지하지 않는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고 다시 지하경에서 뿌리가 성글게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골등골나물(E. lindleyanum DC.) ▶향등골나물(E. chinensis L. for. tripatitum Hara) : 잎이 3개로 갈라지고 정열편은 크며 긴 타원형이지만 측열편이 작고 피침형이다. ▶벌등골나물(E. fortunei Turez.)
-
Read MoreNo Image
등갈퀴나물
학명 : Vicia crac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이명 : 등갈키나물 등말굴레등말굴레풀
잎 : 잎은 호생하며 8-12쌍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우수우상복엽으로서 길이 8-15cm 넓이 2-6cm이고 끝에 여러갈래의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15-30mm 넓이 2-6mm로서 양끝이 좁고 측맥과 주맥과의 각도는 30˚정도이며 측맥은 가늘고 명확하지 않으며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가는 털이 있으며 회록색을 띤다.
탁엽은 2개로 갈라지고 피침형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7-40개의 남자색 접형화(蝶形花)로 이루어진 총산화서가 액생하며 화서는 화경과 더불어 길이 6-15cm이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달린다.
꽃은 길이 10-12mm이고 꽃받침은 통형이며 끝에 꽃받침통보다 짧은 열편이 있다.
열매 : 협과는 장타원형으로서 길이 2-3cm 넓이 6-7mm로서 다소 부풀고 털이 없으며 흔히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길이 80-150cm정도 자라고 원줄기에 능선과 더불어 잔털이 있다.
뿌리 : 뿌리가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덩굴성 초본
-
Read MoreNo Image
들벌노랑이
학명 : Lotus uliginosus Schku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벌노랑이속(Lotus) target=_blank>벌노랑이속(Lotus)</a>
잎 : 잎은 3출엽이며 소엽은 길이 0.8-2㎝ 폭 0.3-1㎝로 연모(軟毛)가 있다. 탁엽은 소엽과 같은 모양 같은 크기여서 마치 잎이 우상복엽인 것처럼 보인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3-4㎝ 길이의 꽃자루 끝에 5-15개의 접형화(蝶形花)가 산형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은 길이 6㎜ 정도이고 통부와 열편은 길이가 거의 같고 열편은 꽃봉오리일 때부터 반곡되며 털이 있다. 꽃잎은 황색이며 기변(旗弁)이 길이 1.1-1.2㎝ 익변(翼弁)은 길이 1-1.1㎝ 용골변(龍骨弁)의 길이 1㎝이다.
줄기 : 줄기는 30-60㎝로 포복지에서 나와 위쪽에서 가지를 치고 중공(中空)이다.
뿌리 : 뿌리는 40㎝내외의(긴 것은 수 m)긴 포복지를 내며 군데 군데 지상으로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이룬다.
분포 :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발견하였다. ▶일본에서도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5(2) ▶국내에서는 1994년 8월 2일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서양벌노랑이(L. corniculatus)와 혼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Osada(1976)에 의하면 일본에는 1974년 도근현(島根縣)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Komarov(1985)에 의하면 유럽에서는 목초로서 이용 가치가 큰 종(種)으로 보고 있다. ▶이 식물의 중요한 특징은 뿌리에 포복지가 사방으로 길게 뻗고 줄기는 중공(
-
Read MoreNo Image
들버들
학명 : Salix subopposit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드나무과(Salicaceae) target=_blank>버드나무과(Sal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드나무속(Salix) target=_blank>버드나무속(Salix)</a>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5-20mm 폭 2-6mm로서 예두 예저이며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거의 없고 뒷면은 털이 있으며 회록색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1mm정도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유이화서로 잎보다 먼저 핀다. 수꽃화서는 5-10mm 포는 긴 도란형으로 털이 있고 꿀샘은 1개이고 자방은 원통상 긴 난형으로 짧은 털이 나며 자루가 있다. 암술머리는 4갈래로 암술대는 매우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난형이며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10-40cm이며 옆으로 소지와 동아에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소관목
유사종 : ▶매자잎버들(S. berberifolia Pallas): 잎은 원형 타원형 뒷면은 녹색 길이 4-15㎜ 폭 4-12㎜이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폭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버들(S. stipulari
-
Read MoreNo Image
들바람꽃
학명 : Anemone amurensis (Korsh.)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람꽃속(Anemone) target=_blank>바람꽃속(Anemone)</a>
잎 : 근생엽은 1-2개이고 2회 3출 우상복엽이다.
꽃 : 화경(花莖)은 밑부분이 막질의 인편으로 싸여 있고 끝에서 잎같은 3개의 포엽이 윤생한다.
총포엽은 엽병이 있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진다.
열편은 피침형이며 극히 짧은 대가 있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화경(花梗)은 총포병(總苞柄)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길고 백색 견모가 밀생함. 꽃받침열편은 5개가 수평으로 퍼지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4mm, 폭 2mm로서 백색이며 겉에 털이 밀생하고 안쪽에 털이 없다. 꽃은 4월 중순에 피며 총포 내에서 화경이 나와 끝에 1송이씩 달리고 지름 2cm이며 꽃잎은 없고 암술과 수술은 많으며 길이 2mm로서 털이 없고 암술에 견모가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다.
줄기 : 높이가 15cm에 달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끝에서 잎과 화경(花莖)이 나온다.
분포 : 우리나라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회리바람꽃과 비슷하지만 꽃받침이 젖혀지지 않으며 화경이 보다 짧고 많은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들묵새
학명 : Festuca myuro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김의털속(Festuca) target=_blank>김의털속(Festuca)</a>
이명 : 구주김의털꼬리새
잎 : 잎은 길이 5~15cm이며 안으로 말려서 지름이 0.5~1mm로 되고 분록색이며 엽설은 막질이고 절두로서 길이 1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10~20cm 나비 1~2cm로서 가지가 1개씩 달리며 밑부분의 가지는 원줄기와 거의 평행하고 윗부분의 가지는 짧다. 잔이삭은 매우 짧은 대가 있으며 길이 6~8mm로서 3~5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1~2mm 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선상 피침형이고 3맥이 있으며 안으로 접히고 길이 5~6mm이다.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5-6mm로서 능선이 있으며 능선에
줄기 : 높이 30-50cm이며 밑부분이 굽고 총생한다.
분포 : ▶지리적으로 북아메리카와 아시아 등 온대와 아열대 지방에 분포 ▶제주도 및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
Read MoreNo Image
들메나무
학명 : Fraxinus mandshurica Rup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푸레나무속(Fraxinus) target=_blank>물푸레나무속(Fraxinus)</a>
이명 : 떡물푸레
잎 : 잎은 대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으로서 소엽은 3-17(보통 9~11)개인데 소엽병이 없으며 긴 타원상 난형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것도 있고 예저이며 길이 7-22cm로서 표면은 암록색이고 털이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기부 근처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맹아의 잎은 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고 엽축에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자웅이가화로 5월에 전년지의 엽액에서 복총상화서로 피고 꽃이 많이 달리며 화피가 없고 수꽃은 2개로 갈라진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2개의 수술과 1개의 자방이 있고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5~4.0cm의 시과로서 긴타원상 피침형이고 미요두 간혹 둔두로 9~10월에 익는데 종자결실의 풍흉이 심하다.
줄기 : 줄기는 곧고 수피는 밋밋하지만 세로로 약간 골이 졌으며 소지는 녹갈색이고 흰반점이 있으며 털이 없고 한쪽으로 편평해지며 동아는 암갈색이다.
분포 : 충청남북도를 제외한 전국의 심산과 표고 50~1 500m 지대에 분포한다.대둔산 무등산 지리산 내장산 덕유산 설악산 금강산과 일본의 기부현 북해도 중국의 만주 시베리아 사할린 등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물들메나무(F.X chiisanensis Nakai): 물푸레나무와의 잡종으로 소엽은 7개이고 도란상 장타원형으로 꽃받침은 떨어지지 않으며 꽃이 묵은 가지에 달린다. 지리산 반야봉에서 자란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하여 그루터기에서 힘찬 맹아가 올라오며 천연하종발아도 잘된다.
-
Read MoreNo Image
들떡쑥
학명 :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Willd.) Beauver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솜다리속(Leontopodium) target=_blank>솜다리속(Leontopodium)</a>
이명 : 들괴쑥들솜다리 산푸솜나물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줄기 중앙부의 잎은 선형 이고 엽병이 없으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설저로서 다소 줄기를 감싸며 길이 2.5-4.5cm 폭 4.5m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면모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 면모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는 뒤로 말리거나 파상이다. 근생엽은 2-4개로서 경생엽보다 작으며 표면에 축모(縮毛)가 밀생한다.
꽃 : 꽃은 7-8월에 황갈색으로 피며 이가화 또는 잡성화이고 두화는 1-4개가 모여 달리며 때로는 짧은 화경이 있고 자성두화(雌性頭花)에 때로 수꽃이 섞여 있으며 꽃이 핀 다음 길어져서 길이와 지름이 각 1cm정도로 된다. 총포는 둥글고 길이 5mm 지름 6-8mm이며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막질이며 가장자리는 흑색이고 뒷면에 축모가 있으며 화관은 길이 5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mm정도이고 관모는 백색이며 기부는 다소 누렇고 길이 4-6mm이다. 웅성두화(雄性頭花)는 꽃이 진 다음 자라지 않는다.
줄기 : 높이 15-45cm이고 여러대가 뭉쳐나며 간혹 가지가 갈라지며 회백색 털로 덮여 있고 잎이 밀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들다닥냉이
학명 : Lepidium campestre R.B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닥냉이속(Lepidium) target=_blank>다닥냉이속(Lepidium)</a>
잎 : 근생엽은 총생(叢生)하며 엽병(葉柄)이 있고 엽신(葉身)은 주걱꼴이며 톱니가 거의 없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고 길이가 2-4㎝로 전형(箭刑)이며 기부가 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의 끝에 총상화서(總狀花序)를 이룬다. 열매 성숙시의 화서는 길이가 20㎝에 이르기도 한다. 꽃은 황백색이며 지름이 2.5㎜로 작고 꽃받침은 길이가 1.5㎜이며 주걱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등쪽이 부풀어오르며 반대쪽은 오목하게 되고 길이가 5-6㎜로 끝쪽이 얕은 요두(凹頭)이며 표면에 다수의 인편상 철점(鱗片狀 凸点)이 밀포(密布)된다. 종자는 흑갈색으로 길이는 2.5㎜이며 표면이 거칠고 광택은 없다. 종자는 흑갈색으로 길이는 2.5㎜이며 표면이 거칠고 광택은 없다.
줄기 : 식물체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줄기의 높이는 15-60㎝이고 위쪽에서 가지를 친다.
분포 : ▶북아메리카 일본 호주 등지에 귀화되었다. ▶인천의 용유도에서 채집 확인하였다.
형태 : 1-2년생 초본
유사종 : ▶콩다닥냉이(L. virginicum): 경생엽은 엽병이 있고 엽신의 기부가 줄기를 둘러싸지 않는다. 열매는 길이 2.5-4㎜로 작고 등과 배쪽이 동일한 구조이며 표면에 돌기물이 없다.
특징 : ▶국내에서는 인천의 용유도에서 1998년 6월 4일 채집 확인하였다. 국명은 종소명의 뜻을 살려서 `들다닥냉이`로 신칭하였다.
-
Read MoreNo Image
들깨풀
학명 : Mosla punctulata (J.F.Gmelin)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깨풀속(Mosla) target=_blank>쥐깨풀속(Mosla)</a>
이명 : 개향유 들깨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2-4cm 나비 1-2.5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腺點)이 밀생하며 맥 위에 짧은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엷은 자주색으로 8~9월에 피며 총상화서로서 가지 끝에 정생하고 화경이 있는 작은 꽃이 다수이며 포는 길이 2.5-3mm로서 피침형이고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받침은 순형이고 꽃이 필 때는 길이 2-3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 쯤되면 길이가 4mm에 달하며 위쪽은 3개 아래쪽은 2개로 갈라지고 열편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순형(脣形)이고 길이 3-4mm로서 2개로 갈라지며 중앙열편이 가장 크고 2강수술이 있다.
열매 : 분과는 4개가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도란형이고 지름 1mm이내로서 그물같은 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20-60cm이고 둔한 사각형이며 흔히 자줏빛이 돌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쥐깨풀(M. dianthera) 산들깨(M. japonica)
-
Read MoreNo Image
들깨
학명 :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들깨속(Perilla) target=_blank>들깨속(Perilla)</a>
잎 : 잎은 대생하며 난상 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도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2cm 나비 5-8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녹색이지만 때로는 뒷면에 자줏빛이 돌고 엽병이 길다. 잎을 임엽(荏葉)이라 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위쪽의 것이 3개로 갈라지며 아래쪽 것은 보다 길고 2개로 갈라지며 긴 털이 있고 화관은 길이 4-5mm로서 하순이 약간 길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分果)는 꽃받침안에 들어 있고 둥글며 지름 2mm정도로서 겉에 그물무늬가 있다. 종자를 짜서 얻은 기름을 임유(荏油:들기름)라 한다.
줄기 : 높이 60-90cm이고 사각이 지며 곧게 자라고 긴 털이 있다. 전체적으로 강한 냄새가 나며 줄기는 방형(方形)으로 가지가 달린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차즈기 청소엽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