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백일홍

    학명 : Zinnia violacea C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일홍속(Zinnia) target=_blank>백일홍속(Zinnia)</a>
    이명 : 백일초
    잎 :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엽병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털이 나서 거칠다. 끝이 뾰족하며 밑은 심장 모양이다.
    꽃 : 꽃은 6∼10월에 피고 두화는 긴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은 지름 5∼15cm이고 빛깔은 녹색과 하늘색을 제외한 여러 가지이다. 총포조각은 둥글고 끝이 둔하며 윗가장자리가 검은색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9월에 익는다. 씨를 심어 번식한다.


    분포 : 멕시코



    Read More
  2. No Image

    백운취

    학명 : Saussurea insularis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잎 : 줄기 아래의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9~10cm 나비 6~9cm로서 끝은 짧은 미상이 되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나 양끝이 화살처럼 약간 뾰족하게 퍼지기도 한다. 가장자리에는 끝이 뾰족한 톱니가 불규칙하다. 위 면에는 짧고 거친 털이 약간 있고 아래 면은 백회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으나 자라면서 드문드문 떨어져나가 가을에는 거의 없어진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며 아래 면에 백회색 거미줄 털이 많다.
    꽃 : 5~6월경 줄기가 갈라져서 끝에 두화가 생겨 성긴 산방화서를 이룬다. 총포는 길이 9~11mm 나비 6~8mm의 원통형으로 백회색 거미줄 털이 엉켜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기도 한다. 포편은 밀착해서 7열을 이루는데 외편은 길이 2mm의 끝이 뾰족한 정삼각형에 가깝고 중편 내편으로 갈수록 길어져서 내편은 선형이 된다. 9월~10월초에 걸쳐서 길이 9~11mm 전후의 옅은 홍자색 꽃이 핀다.
    열매 : 열매는 길이 5~6mm의 수과로 두 줄의 우모상 관모가 있다.



    형태 : 근엽이 있으나 꽃필 즈음 말라 없어진다.


    Read More
  3. No Image

    백설취

    학명 : Saussurea rectinerv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취나물속(Saussurea) target=_blank>취나물속(Saussurea)</a>
    이명 : 눈분취 백설분취
    잎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으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10~20cm 폭 3~11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굽은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10쌍 정도의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얕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작고 엽병이 없으며 선형으로서 원줄기로 흐르지 않는다.
    꽃 : 두화는 적고 지름 18mm 정도로서 총상으로 달리며 길이 2cm 정도의 화경이 있다. 총포는 길이 15mm 지름 2cm로서 윗부분에 자줏빛이 돌고 포편은 6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넓은 난형이고 중편은 긴 타원형이며 외편과 더불어 둔두이고 끝이 다소 갈라지며 내편은 선형 예두이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1mm 정도이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0mm 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14-3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고 짧은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백설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4. No Image

    백두산떡쑥

    학명 : Antennaria dioica (L.) Gaert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북떡쑥속(Antennaria) target=_blank>다북떡쑥속(Antennaria)</a>
    이명 : 괴쑥 두메떡쑥백두떡쑥 화태떡쑥
    잎 :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의 잎은 끝부분에서 총생하며 주걱형이고 길이 15~25㎜ 나비 5-6mm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도 남아 있으며 꽃무늬처럼 퍼지고 주걱형이며 길이 18-35mm 나비 5-8m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다소 백색 면모가 있으나 뒷면은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선형이고 길이 1-1.5cm 나비 3mm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6-25cm로서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백색 면모로 덮여 있다.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두상화이며 백색이고 원줄기 끝에 몇 개가 밀생하며 총포는 수꽃의 것은 길이 7㎜정도이고 암꽃의 것은 길이 10~14㎜로서 종형이며 열편은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상반부가 백색이다.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열매 : 수과이다.

    뿌리 : 근경은 가늘고 옆으로 벋는다.
    분포 : 백두산의 건조한 풀밭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초본


    Read More
  5. No Image

    방가지똥

    학명 : Sonchus olerace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가지똥속(Sonchus) target=_blank>방가지똥속(Sonchus)</a>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밑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15-25cm 나비 5-8cm로서 우상으로 거의 완전히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중앙부의 잎은 이저로서 원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5-9월에 피고 지름 2cm이며 화서는 거의 산형 비슷하고 화경은 길이 1.5-5.5cm로서 선모가 있다. 총포는 길이 11mm 나비 12-18mm로서 꽃이 핀 다음 밑부분이 커지며 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능선을 따라 선모가 있으며 외편은 길이 3.5-4.5mm 중편은 길이 6mm 내편은 길이 9mm이다. 화관은 황색 또는 백색이고 길이 11-12mm 지름 1mm정도이며 통부는 길이 6mm로서 백색 털이 있다. 꽃은 모두 설상화이다.
    열매 : 수과는 갈색의 도란형이며 길이 3mm로서 양면에 각각 3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백색으로 길이 6mm이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100cm이며 줄기는 원주형으로서 속이 비고 세로로 능선이 있는 회록색 또는 녹자색인데 어려서는 분질로 덮이며 털이 없거나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 또는 이년초.

    특징 : 전체에 유백색 유즙이 있다.
    Read More
  6. No Image

    박쥐나물

    학명 : Parasenecio auriculata var. matsumur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박쥐나물속(Parasenecio) target=_blank>박쥐나물속(Parasenecio)</a>
    이명 : 산귀박쥐나물
    잎 : 잎은 호생하고 근엽은 화시에 마르며 중부의 잎은 3각상 창모양 또는 3각상 신장형으로 길이 25~35cm 나비 30~40cm이고 끝은 짧게 뾰족하며 밑은 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잎은 길이 9~13cm로 보통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많은 두화가 원추화서로 달린다. 총포는 길이 10~12mm 나비 5mm이고 포편은 5~8개이고 끝이 둔하다. 소화는 6~9개이고 화관은 길이 8~9mm이다.
    열매 : 수과는 선형으로 길이 5~6mm이고 종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7mm로 백색 또는 오백색이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캄차카에 분포한다.



    Read More
  7. No Image

    바위솜나물

    학명 : Tephroseris phaeantha (Nakai) C.Jeffrey & Y.L.Che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솜방망이속(Tephroseris) target=_blank>솜방망이속(Tephroseris)</a>
    이명 : 두메솜나물백두산솜나물
    잎 : 근생엽은 적고 방사상으로 퍼지며 경생엽보다 작고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양면은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날개가 있다. 경생엽은 4-6개이고 엽병이 없으며 긴 타원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3.5-9cm 넓이 1-3cm이며 중앙부의 것은 길이 3-7cm이고 윗부분의 것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선상의 털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황색이고 두화는 1-3개이며 지름 3.5-4cm로서 포엽이 없고 화경은 꽃이 필 때의 길이가 1.5-3cm로서 선상의 털이 있다. 포엽은 반구형이며 길이 7mm 나비 15mm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길이가 비슷하고 윗부분은 적자색이며 가장자리에 선모(腺毛)가 있고 자줏빛이 돌며 뒷면 밑부분에 갈색 털이 있다. 설상화관은 1줄로 배열되고 길이 16-18mm 나비 2-2.5mm이며 통부는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원추형이며 능선이 많고 털이 다소 있는 것도 있으며 관모는 백색이다.
    줄기 : 높이 15-30cm이며 능선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8. 바늘엉겅퀴

    학명 : Cirsium rhinoceros (H.Lev. & Vaniot)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탐라엉겅퀴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며 밑부분이 좁고 규칙적인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인접해 있으며 옆으로 또는 뒤로 젖혀지고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딱딱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두화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3~3.5cm로서 잎같은 포에 싸여 있고 총포는 길이 2.2-3cm 나비 3.4-4.5cm이다. 포편은 7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침형으로서 퍼지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중편은 내편보다 길고 넓으며 중앙부의 나비가 2-3mm로서 맥이 많다. 통상화만 있으며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8~19mm이며 모두가 양성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mm 나비 1.5mm로서 윗부분이 황색이며 다른 부분은 자주색이고 관모는 길이 13-16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며 곧게 서고 윗부분이 2-3개로 갈라지며 잎과 가지가 많이 달리고 줄과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덩어리 모양이다. 뿌리는 방추형이며 길이 30-40cm이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바늘엉겅퀴 for.albiflorum Sakata et Nak.: 백색 꽃이 핀다.
    특징 : ▶한국 특산식물이다.
    file
    Read More
  9. No Image

    바늘도꼬마리

    학명 : Xanthium spinos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꼬마리속(Xanthium) target=_blank>도꼬마리속(Xanthium)</a>






    분포 : 전남
    형태 : 일년생


    Read More
  10. No Image

    밀집꽃

    학명 : Bracteantha bracteata (Vent.) Anderb. & Haeg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밀집꽃속(Bracteantha) target=_blank>밀집꽃속(Bracteantha)</a>

    잎 : 잎은 호생한다.
    꽃 :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핀다. 꽃의 색은 흰색 노란색 오렌지색 진홍색 주황색 분홍색 등 다양하다.
    열매 : 종자로 월동 16~30ºC에서 잘 자란다.



    형태 : 1년초의 관화 식물이다.

    특징 : 노지 화단에 심어 관상한다. 원예종에는 드와프 스팽글 밀짚꽃등이 있다.
    Read More
  11. No Image

    민흰잎엉겅퀴

    학명 : Cirsium vlassovianum var. alb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꽃 : 꽃은 백색이다.



    분포 : 북한(함경북도 송악산)


    특징 : 기본종인 흰잎엉겅퀴에 비해 잎 뒤에 털이 없고 넓으며 줄기를 싸고 있다.
    Read More
  12. No Image

    민쑥부쟁이

    학명 : Aster associatus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넓은잎외잎쑥민쑥부장이
    잎 :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이다. 길이 3~5cm 나비 3~5mm이다. 밑부분이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다소 뒤로 말리며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9월에 벽자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서를 이룬다. 두상화의 지름은 3cm이다 .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가 6∼8mm이고 포편은 4열로 배열하며 장타원형이다. 외편은 다소 짧으며 끝이 둥글다. 포엽은 포편과 비슷하나 다소 짧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편평한 도란형이다. 관모의 길이는 1mm정도이고 갈색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짧은 털이 있고 가지를 친다.

    분포 : 한국(경기 전남 함남 함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3. No Image

    민솜방망이

    학명 : Tephroseris flammea var. glabrifolius Cufo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솜방망이속(Tephroseris) target=_blank>솜방망이속(Tephroseris)</a>
    이명 : 민산솜방망이 민솜방맹이 홍륜화
    잎 : 경생엽은 어긋나며 거꾸로 선 넓은 피침형꼴이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있다. 근생엽은 꽃이 피면 말라버리는데 엽병이 길고 장 타원형이며 털이 길게 나 있다.
    꽃 : 꽃은 노란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mm의 수과로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거나 위쪽에만 약간 있다.





    Read More
  14. No Image

    민박쥐나물

    학명 : Parasenecio hastat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박쥐나물속(Parasenecio) target=_blank>박쥐나물속(Parasenecio)</a>
    이명 : 박쥐나물 큰박쥐나물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3각형 또는 창모양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25~35cm 폭 30~40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양쪽 열편은 다시 갈라지기도 하고 엽병은 길이 9~13cm로서 보통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총포는 길이 10-12mm 나비 5mm이고 포편은 5-8개이며 소화는 6-9개이고 화관은 길이 8-9mm이다.
    열매 : 수과는 선형이며 길이 5~8mm 지름 1.5mm로서 종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7mm 정도로서 백색 또는 칙칙한 백색이다.
    줄기 : 높이 1-2m이고 곧게 자라며 대궁의 속이 비어 있고 녹색이다. 윗부분에서 가지가 퍼지며 가지에 짧은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단단하며 짧고 넓게 뻗지 않는다.
    분포 : ▶일본 중국 북부(만주) 사할린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기본종은 포편이 8개이고 소화가 13-19개이며 엽병 기부가 넓지 않고 잎 뒷면에 털이 보다 많다.
    특징 : 흔히 `박쥐나물`이라고 하며 종류가 여럿 있으나 통틀어서 박쥐나물로 통칭되는 맛있는 고급 산나물이다. 박쥐나물의 세모꼴 모양의 큰잎은 흡사 박쥐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형상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Read More
  15. No Image

    민망초

    학명 : Erigeron acr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망초속(Erigeron) target=_blank>개망초속(Erigeron)</a>
    이명 : 개망초만주망초민들망초민망풀민잔꽃풀버들망초산민망초
    잎 : 근생엽은 개화시 거의 없어지며 주걱형이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3.5-6.5cm 나비 6-12m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다소 있거나 없다. 중앙부의 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6㎝ 나비 4-16㎜로서 가장자리가 흔히 밋밋하고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다.
    꽃 : 두화는 백색이고 줄기 끝에 총상 또는 산방상으로 달리며 지름 17mm이고 꽃이 필 때의 화경은 길이 1.5-5cm이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6-9mm 지름 14-20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mm로서 가장자리에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4-6mm로서 오백색(汚白色)이거나 붉은빛이 돈다.
    줄기 : 높이 15-9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털이 다소 있고 가지가 산방상으로 퍼진다.

    분포 :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월년초
    유사종 : ▶산민망초 var.kamtschaticus Herder :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Read More
  16. No Image

    민등골나물

    학명 : Eupatorium chinense var. angustatum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골나물속(Eupatorium) target=_blank>등골나물속(Eupatorium)</a>
    이명 : 향등골나물





    분포 : 한반도 일본


    특징 : 기본종에 비해 잎은 3전열하고 열편은 결각 또는 우열하며 잎뒤에 선점이 없다.
    Read More
  17. No Image

    민들레

    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안질방이
    잎 :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15cm 나비 1.2-5cm로서 무우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6-8상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둥글게 배열되며 대개 땅에 누워서 자란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잎보다 다소 짧은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바로 꽃 밑에만 밀모가 남는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12mm이지만 15mm로 자라며 지름 25-27mm이고 외포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간혹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곧추서며 뿔같은 소돌기가 있다. 화관은 황색으로서 가장자리의 것은 길이 15mm 나비 2-2.5mm이고 통부는 길이 5mm내외이며 털이 없다.
    열매 : 5-6월이 되면 꽃이 시든 자리에서 씨앗의 날개가 돋아나 하얗고 둥근 모양으로 부푼다. 수과는 갈색이 돌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 나비 1.2-1.5mm로서 윗부분에 뾰족한 돌기가 있고 표면에 6줄의 홈이 있으며 부리는 길이 6-8mm이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연한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가 없이 잎이 총생하여 옆으로 퍼진다.
    뿌리 : 육질로서 길며 포공영근(浦公英根)이라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좀민들레 산 민들레 흰민들레 서양민들레 등이 있다. ▶서양민들레는 식용민들레도 귀화식물화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크고 꽃이 가을까지 계속 피는 것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특징 : 생약의 포공영은 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 민들레에는 `이눌린` `팔미틴` `세로친`등 특수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Read More
  18. No Image

    민국화수리취

    학명 : Synurus palmatopinnatifidus var. indivisus (Makino)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리취속(Synurus) target=_blank>수리취속(Synurus)</a>
    이명 : 개취 국화수리취 분취 수리취
    잎 : 경생엽은 호생 난형 난상 긴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밑은 원형 심장형 길이 10~20cm 표면에 꼬불꼬불한 털 뒷면에 흰 솜털이밀생 엽연에는 결각 모양의 톱니 잎자루의 길이 10~25cm 위로 갈수록 작아짐
    꽃 : 두상화는 자주색 흰색 지름 5cm 줄기나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림. 총포는 둥근 모양 길이 3cm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갈자색 검은빛을 띤 녹색 총포편은 여러 줄로 배열 끝이 날카롭고 가시 모양 좁은 선형.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관모는 갈색이고 길이 18mm이다.
    줄기 : 줄기는 길고 굵으며 흰 솜털이 밀생한다.

    분포 : 한반도(남부) 일본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9. No Image

    미역취

    학명 :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var. asiatic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역취속(Solidago) target=_blank>미역취속(Solidago)</a>
    이명 : 돼지나물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경생엽은 길이 7-9cm 나비 1-1.5cm로서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되고 엽병이 없어진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12-14mm이고 흔히 3-5개의 산방상 수상화서로 되며 소화경은 길이 3-6mm로서 털이 있고 포는 길이 1mm정도이다. 총포는 통상 종형으로서 길이 5-5.5mm 나비 5mm이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1mm정도이며 중편은 둔두이고 내편은 선형 둔두이다. 설상화는 길이 6.5-8mm 나비 1.5-2mm로서 황색이며 양성화는 보다 짧다.
    열매 : 수과는 원통형이고 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관모는 길이 3.5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35-85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뿌리 : 가는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뻗어가며 자란다.
    분포 : 전국의 산야 수림 밑에 자생하며 해양한 낙엽수 밑에 많다.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 사할린 등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울릉미역취(S. virga-aurea var. gigantea Miq.)는 울릉도에 자생하는데 개체가 크고 식물이 강건하여 재배도 쉬워서 울릉도에서는 대량 재배를 하여 관광상품화하여 울릉도 주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한다.
    특징 : 울릉도의 산비탈에는 보통의 미역취에 비해 대형인 울릉미역취가 분포하는데 최근에 산채로 재배하고 있다. 한라산의 정상부근에는 재배하면 포기가 둥글고 낮게 자라는 왜성의 미역취가 생육하고 있다.
    Read More
  20. No Image

    미국쑥부쟁이

    학명 : Aster pilosus Will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잎 : 잎은 경질(硬質)이고 기부의 잎은 주걱형으로 끝이 둔두(鈍頭)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쪽으로 좁아지고 무모 잎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줄기의 잎은 좁은 선형-선상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없고 길이 3-10㎝ 폭 3-8㎜이다. 작은 가지의 잎은 선형 또는 송곳형으로 다수 부착한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두화는 다수이며 지름 10-17㎜ 총포는 종형(鐘形)이고 총포편은 혁질(革質)이고 높이 6㎜ 피침형 끝이 예두이고 녹색 3열(列)로 겹쳐지고 외편은 끝이 반곡(反曲)되고 중편과 내편은 길고 직립한다. 설상화(舌狀花)는 15-25개 길이 6-9㎜ 백색 또는 엷은 장미색 관모(冠毛)가 있다. 통상화(筒狀花)는 황색 관모가 있다.
    열매 : 수과(瘦果)는 짧은 털이 있고 관모는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조모(粗毛) 원추형(圓錐形)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 가지는 총상(總狀)을 이루며 작은 가지들은 한쪽을 향하여 배열한다.

    분포 : 포천을 중심으로 산정호수 그리고 춘천지구에까지 널리 분포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는 1980년대에 귀화되었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