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d MoreNo Image
생열귀나무
학명 : Rosa davurica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이명 : 가마귀밥나무 뱀찔네 범의찔레 붉은인가목 산붉은인가목 생열귀장미 좀붉은인가목 해당화
잎 :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예두 원저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길이 1~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회록색이고 작은 선점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축 및 탁엽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새가지 끝에 1개 또는 몇개가 달리며 화경에 선모가 있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고 길이 2cm이며 겉에 선점이 있고 털이 없거나 안쪽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5개로 넓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오므라지고 홍자색이다. 수술은 많은데 이들은 모두 단지모양의 꽃받침통 변두리에 붙는다. 암술은 여럿으로 꽃받침통속 바닥에 붙어 있다.
열매 : 열매는 크기 1.0-1.3㎝로 구형이고 선형의 꽃받침이 달려 있으며 6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탁엽 밑에 가시가 있다.
분포 : ▶일본 사할린 만주 시베리아 아무르 등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의 표고 200~1 200m의 산록이나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흰생열귀(for. alba Nakai): 꽃이 흰색이며 북한에 나는데 드물다. ▶긴생열귀(var.ellipsoidea Nakai): 타원형의 열매가 달리며 북부지역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민생열귀(R.silenidiflora): 잎의 뒷면에 선점이 거의 없다. ▶왕가시나무 개해당화 흑산가시나무 용가시나무 털용가시나무 축자가시나무 찔레나무 털가시나무 해당화 등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생달나무
학명 : Cinnamomum japonicum Siebold ex Nee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9%EB%82%98%EB%AC%B4%EA%B3%BC(Lauraceae) target=_blank>녹나무과(Lau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녹나무속(Cinnamomum) target=_blank>녹나무속(Cinnamomum)</a>
이명 : 신신무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며 혁질이고 자르면 향기가 있다. 길이 6-15㎝(육계나무는 길이 10-15㎝) 넓이 2-5㎝로서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해지다가 둥글게 끝나며 밑부분은 예저 또는 다소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에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밑부분으로부터 3-15mm 올라가서 맥이 3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길이 8-20㎜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며 산형상 취산화서로 액생하고 긴 화경 끝에 달린다. 화피열편은 3개식 2줄로 배열되며 수술은 3개씩 4줄로 배열되고 안쪽 1줄에는 꽃밥이 없으며 암술은 1개이다. 꽃받침잎의 가장자리에 단모가 있다. (육계나무는 꽃잎뒷면에 단모가 밀생)
열매 : 핵과는 지름 1.2cm이고 타원형이며 자흑색으로 11-12월에 익는다.과경은 길이 3-5㎝이고 과육은 빨간색이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수피는 흑색이며 소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고 피목이 있다. 고목의 수피는 벗겨지는데 그 냄새가 계피와 같다. 한약상들이 고목의 수피를 벗겨가기 때문에 생달나무는 수난을 당하고 있다.
뿌리 : 측근이 발달되어 있다.
분포 : ▶중국 대만 일본에도 분포한다. ▶제주도에서는 표고 1 100m까지 자생하고 따뜻한 남쪽 도서 지방에서는 해안과 산기슭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 교목. 수형:원추형 또는 난형.
유사종 : ▶녹나무(C. camphora): 제주에서 볼 수 있으며 어린잎은 붉은색이고 장뇌(樟腦)를 만든다.
특징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수종이다. 제344호 - ⓐ소재지: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면적:727㎡ ⓒ지정사유:노거수(이 숲이 보존된 것은 성황림으로 마을사람들이 신성시했기 때문이며 소규모이지만 많은 식물들이 밀생하고 있다. 마을 뒤에 서낭당과 숲이 일부 남아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이 나무들도 그 일부가 따로 남아 보존된 것으로 추측된다.) ▶광택이 있는 상록성의 잎과 녹갈색 수피 원추형의 수형 향기 등이 사람의 관심을 끈다. 성장이 빠르고 수세가
-
Read More
생강나무
학명 : Lindera obtusilob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9%EB%82%98%EB%AC%B4%EA%B3%BC(Lauraceae) target=_blank>녹나무과(Lau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생강나무속(Lindera) target=_blank>생강나무속(Lindera)</a>
이명 : 개동백나무 동백나무 아구사리 아귀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5-15cm 나비 4-13cm로서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둔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다. 윗부분이 3-5개로 갈라지지만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1-2cm로 털이 있다. 잎뒷면 맥에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이며 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이고 3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황색이며 화경이 없는 산형화서에 많이 달린다. 소화경은 짧으며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깊게 6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9개 암술은 1개인데 수꽃은 암술이 퇴화하여 있고 암꽃은 수술이 퇴화하여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고 지름 7-8㎜이며 소과경은 길이 1cm이고 녹색에서 황색 또는 홍색으로 변하며 흑색으로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수피는 흑회색이고 소지는 황록색이다.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다. 길이 1㎝의 과경이 있다.
뿌리 : 굵은 뿌리가 몇 개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1 600m까지 자생하며 특히 경기도의 사능 부근에는 식물상의 약 80%가 생강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고로쇠 생강나무 (for. quinquelobum UYEKE) : 끝부분의 잎이 5개이고 중앙부가 3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이 난상 원형이다. ▶털생강나무 (for. villosum NAK.): 잎 뒷면에 긴 견모가 있다. ▶둥근잎생강나무 (for. ovata T. LEE) : 잎이 전혀 잘라지지 않는다.
특징 : 이른봄에 노란꽃이 개화하므로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목본류이며 잎과 가지는 방향성의 독특한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상처가 나면 생강냄새가 나므로 생강나무라 한다.
-
Read MoreNo Image
생강
학명 : Zingiber officinale Rosco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생강과(Zingiberaceae) target=_blank>생강과(Zingib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생강속(Zingiber) target=_blank>생강속(Zingiber)</a>
이명 : 새양
잎 : 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긴 엽초로 된다. 어긋나기로 달리며 창꼴로서 강냉이나 대나무의 잎같은 모양이다.
꽃 : 우리 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원산지(따뜻한 지방)에서는 8~9월경에 엽초로 싸인 길이 20㎝정도의 화경(花莖)이 자라서 그 끝에 화수가 달리며 황록색의 꽃이 핀다. 꽃은 포엽사이에서 나오고 꽃받침은 짧은 통같으며 화관의 현부가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뾰족하다. 헛수술이 변한 순판은 도란상 원형이고 밑부분 양쪽에 작은 열편이 있으며 자주색 바탕에 연한 황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1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암술대는 실같이 가늘며 연
줄기 : 각 마디에서 엽초로 형성된 가짜줄기가 곧추자라 높이 30-50㎝에 달하며 윗부분에 잎이 2줄로 배열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육질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맵고 향기가 있다.
분포 : ▶중국 대만 인도 미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북 완주군 봉동면 등 남부지방 각처에서 재배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이다.
특징 : 생강이란 한자명 생강(生薑)에서 온 이름이다.
-
Read MoreNo Image
색비름
학명 : Amaranthus tricolor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름과(Amaranthaceae) target=_blank>비름과(Ama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름속(Amaranthus) target=_blank>비름속(Amaranthus)</a>
이명 : 비름 삼색비림 색맨드라미
잎 : 잎은 호생하고 상부의 잎은 사각상 난형 피침형 및 선형이며 길이 7-20cm 나비 2-7cm로서 양끝이 좁고 홍색 또는 황색의 윤채가 있어 아름다우며 엽병은 길이 3-10cm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연한 녹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둥글게 모여 나고 포는 좁은 난형이며 막질이고 끝이 까락 모양이며 화피보다 약간 짧다. 화피는 3개이고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까락같이 뾰족하다.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개과로서 난상 타원형이며 화피보다 짧고 끝에 2-3개의 돌기가 있으며 수평으로 갈라져서 윗부분이 떨어지고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80-150c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거칠며 굵은 원기둥 모양으로 털이 없다.
분포 :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눈비름(A. deflexus L.): 줄기는 밑동에서 갈라지고 잎은 난형 좁은 난상 삼각형 길이 1-4㎝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비름(A. mangostanus L.): 잎은 넓은 난형 길이 4-12㎝ 잎자루가 길다. ▶털비름(A. retroflexus L): 전체에 짧은 털이 퍼져 나고 줄기는 거칠고 굵으며 가을철에 붉어지기도 한다. 잎은 길이 5-10㎝ 뒷면 맥에 연한 털이 있다. ▶청비름(A. virid
-
Read MoreNo Image
색병꽃나무
학명 : Weigela florida f. alba (Carriere)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이명 : 색병꽃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혀잉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4-10cm 나비 2-4cm로서 표면 중륵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중륵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중열되며 길이 6-13mm로서 털이 거의 없다. 화관은 길이 3-4cm로서 중앙 이하가 갑자기 좁아지고 잔털이 있다. 열편은 둔두이며 약간 뒤로 젖혀지고 자방에 잔털이 있다. 처음에는 꽃이 백색이고 통부가 적색이던 것이 전체가 적색으로 된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2-20mm로서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없다.
줄기 : 어린 가지에 2줄의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흰병꽃(for. candida Rehder) :화관이 처음부터 끝까지 백색인 것. ▶좀병꽃(for. brevicalycina Uyeki): 꽃받침 열편의 길이가 5.0-6.5㎜인 것. ▶삼색병꽃(for. subtricolor Nakai): 화관이 백록색이고 통부 겉에 붉은빛이 돌며 안쪽 순판을 따라 누른빛이 도는 것. ▶병꽃나무(W. subsessilis L. H. Bailey) ▶골병꽃(W. hortensis K. Koch) ▶흰골병꽃(W
특징 : 5월에 병모양으로 깔대기모양으로 피는 야성적인 꽃을 감상할 수 있다.
-
Read MoreNo Image
새포아풀
학명 : Poa annu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개꾸렘이풀 새꿰미풀
잎 : 잎은 길이 2-8cm 폭 2~4mm로서 양끝이 갑자기 둔해지며 털이 없고 매끄럽다. 엽설은 길이 3~6mm이며 반원형이다.
꽃 : 꽃은 5~9월에 걸쳐 피고 길이 3-8cm의 원추화서는 난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가지가 2개씩 달려서 수평으로 퍼지고 잔이삭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3-5mm로서 5개 내외의 잔꽃이 들어 있다. 잔꽃은 연한 녹색이나 일부는 홍자색을 띠기도 한다. 첫째 포영은 길이 1.5mm 정도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2.5㎜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정도로서 중륵이 뚜렷하며 가장자리는 막질로서 털이 없으나 다른 곳에는 백색 털이 있고 내영은
줄기 : 높이 10-25cm이며 기부에서 갈라져 뭉쳐 나고 밑부분이 마디에서 굽는다.
분포 : ▶범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특징 : ▶가을에 싹이 나와 파란 잎이 총생하며 다음해 5월에 꽃이 핀다.
-
Read MoreNo Image
새팥
학명 :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Ohash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gn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gna)</a>
이명 : 돌팥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3출엽이고 탁엽은 방패모양이며 밀모가 있다. 정소엽은 난형으로 길이 3~7cm 너비 2~5cm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때로 얕게 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8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며 잎짬에서 긴 화경이 나와 끝에 2~3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끝에 5개의 톱니가 있고 화관은 나비형이며 용골판은 2개가 합쳐져서 나선상으로 꼬이고 암술은 윗부분의 한쪽에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4~5cm의 원주형이며 흑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물체에 감겨 올라간다. 전체에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중국 히말라야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으로 덩굴성이다.
-
Read MoreNo Image
새콩
학명 :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Benth.) H.Ohash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콩속(Amphicarpaea) target=_blank>새콩속(Amphicarpaea)</a>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소엽은 3개이고 난형이며 정소엽은 길이 3~6cm 나비 2.5-4cm로서 가장 크고 끝이 둔두 또는 예두이며 퍼진 털이 있다. 탁엽은 길이 3-4mm로서 6개 정도의 맥이 있고 떨어지지 않으며 좁은 난형이다.
꽃 :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발달하고 잎보다 짧으며 퍼진 털이 있고 6개 정도의 꽃이 달리며 꽃은 8-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길이 15~20mm이다. 꽃받침은 퍼진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통부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편평한 타원형이고 길이 2.5~3cm 나비 7-8mm로서 종선을 따라 털이 있으며 약간 굽는다. 폐쇄화(閉鎖花)가 땅속에서 열매를 맺는다.
줄기 : 길이 1-2m정도 자라며 전체에 밑으로 향한 퍼진 털이 있다.
형태 : 덩굴성 1년초
-
Read MoreNo Image
새이삭여뀌
학명 : Persicaria neofiliforme (Nakai) Oh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붉은이삭여뀌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7-15cm 폭 4-9cm로서 끝이 뽀족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5-30mm의 짧은 엽병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이삭여뀌에 비해 털이 적고 맥이 들어가지 않으며 표면에는 흔히 흑색 반점이 있다. 낙엽은 원통형이며 길이 5-10mm로서 가장자리에 수염같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적색이며 짧은 화경이 있어 약간 휘고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윗부분에서 나오며 길이 20-40cm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2-3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5개이다. 자방은 난상 원형이고 암술대는 보다 길며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양끝이 좁은 난형으로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50-80cm이고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긴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특징 : 이삭여뀌에 비해 잎에 털이 적고 맥이 들어가지 않으며 표면에는 흔히 흑색 반점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새우말
학명 : Phyllospadix iwatensis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1%B0%EB%A8%B8%EB%A6%AC%EB%A7%90%EA%B3%BC(Zosteraceae) target=_blank>거머리말과(Zost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우말속(Phyllospadix) target=_blank>새우말속(Phyllospadix)</a>
잎 : 잎은 끝이 둥글고 선형이며 길이 20-100cm 폭 2-4.5mm이고 3맥이 있으며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이 평활하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엽초로 되고 끝이 귓같이 자란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3월에 피며 화서는 지하경에서 나오고 포 안에 들어 있으며 길이 10cm정도이고 화경은 길이 3cm정도이다. 포는 끝에 엽편이 달리며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裸花가 2줄로 달린다. 암꽃은 소화경이 없는 1개의 자방으로 되며 수꽃은 화경이 없고 꽃밥은 1실이다.
열매 : 열매는 화살밑과 같은 심장형으로서 길이와 나비가 각 4mm정도이며 양끝이 좁다.
줄기 : 줄기는 짧으며 길이 8cm로 납작하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 사이가 짧으며 털로 덮여 있고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전국 각처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해초
특징 : 화서를 옆에서 보았을 때 그 모양이 새우와 비슷하기 때문에 새우말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새우난초
학명 : Calanthe discolor Lin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우난초속(Calanthe) target=_blank>새우난초속(Calanthe)</a>
이명 : 새우란
잎 : 잎은 이년생으로서 첫해에는 2~3개가 다발로 자라지만 다음해에는 옆으로 늘어지고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15-25㎝ 나비 4-6㎝이며 잎밑이 날카롭고 끝은 뭉툭하거나 날카로우며 세로로 주름져 겹쳐져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30-50cm로서 잎 사이에서 나오고 자방과 더불어 짧은 털이 있으며 1-2개의 비늘같은 잎이 달리고 10여개의 꽃이 길이 15cm정도에 걸쳐서 총상으로 달린다. 포는 피침형이며 길이 5-10mm로서 마른 막질이고 꽃받침잎은 자줏빛이 도는 갈색으로서 길이 15-20mm이며 꽃잎은 백색 연한 자주색 또는 적자색이다. 순판은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끝이 오므라지며 안쪽에 3개의 능선이 있고 거(距)는 길이
열매 : 열매는 삭과이고 밑으로 처진다.
뿌리 : 근경은 포복성이며 마디가 많고 염주형이며 수염뿌리가 다수 있다.
분포 : 제주도의 한라산 일대 안면도에서 해안을 중심으로 남해안과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금새우난초: 잎은 타원형 긴 잎자루가 있고 길이 20-30cm 나비는 10cm가량이다. ▶여름새우난초: 대부분이 해발 500m 이상되는 지역에서 자생한다.
특징 :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많고 전세계에 약 200종 우리 나라에는 약 3종이 분포한다. 근경은 기고 염주모양 수염뿌리가 많다.
-
Read MoreNo Image
새우나무
학명 : Ostrya japonica Sarg. var. japonic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우나무속(Ostrya) target=_blank>새우나무속(Ostrya)</a>
이명 : 좀새우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5-13cm 폭 3-5cm로서 긴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복거치가 있고 측맥은 8-17쌍이며 처음에는 양면에 곧추선 잔털(연모)이 있어 비로드처럼 보이며 나중에는 없어지나 뒷면 맥상에만 끝까지 남는다. 엽병은 길이 2-8mm로서 털과 선모(腺毛)가 드문드문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고 웅화수는 대가 없이 전년지 끝에 달리며 길이 3cm정도이고 수꽃은 포린 속에 들어 있으며 수술은 다수이다. 자화수는 신년지 끝에서 위를 향해 피고 암꽃은 각 포린에 2개씩 들어 있으며 암술머리도 각각 2개이다.
열매 : 과수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cm로서 약간 밑으로 처지며 포는 길이 1-1.8cm로서 톱니가 없고 타원상 난형이며 기부 가까이에 잔털이 있고 기부가 주머니처럼 되어 소견과를 둘러싼다. 열매는 긴 난형의 소견과이며 길이 5-6mm로서 윗부분에 털이 없고 암술대가 남으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70cm이며 수피는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얕게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는 적갈색이며 어린 가지에 밀모 또는 선모가 있다.
분포 : ▶중국 일본에도 자란다. ▶제주도 완도 및 남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좀새우나무 (var.homochaeta HONDA) : 선모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
특징 : ▶우리 나라에서는 제주도를 비롯 난대지역에서 자라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북해도까지 자라고 있은 것으로 보아 난대성 수종임을 알 수 있다. ▶서어나무와 다른 점은 웅화서가 전년에 생겨서 월동하며 열매의 총포가 주머니처럼 생겼다.
-
Read MoreNo Image
새우가래
학명 : Potamogeton maackianus A.Ben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B%9E%98%EA%B3%BC(Potamogetonaceae) target=_blank>가래과(Potamoget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래속(Potamogeton) target=_blank>가래속(Potamogeton)</a>
잎 : 물 위에 뜨는 잎은 없다. 수중엽은 호생하고 선형으로서 길이 2-6㎝ 나비 2-3㎜이며 가장자리에 희미한 잔톱니가 있고 끝이 둔하게 뾰족해지며 3-5맥이 있고 밑부분이 탁엽과 붙어서 길이 3-4mm의 엽초를 형성한다. 겨울에도 잎이 남아 있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며 화경은 2-4cm로서 굵지 않고 화수는 길이 7-8mm이며 꽃이 성글게 달린다. 수술은 4개이고 암술은 2개이며 약격(葯隔)이 자라서 꽃잎처럼 된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난형이고 단단한 과피에 싸여 있으며 길이 3mm정도이고 뒷면에 능선이 있으며 능선 밑부분에 1-2개의 돌기가 있다.
줄기 : 녹갈색으로서 줄기가 가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가지가 떨어져서 다시 자라기도 한다.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고 마디에서 수중경이 갈라진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
유사종 : ▶가는가래(P. cristatus Regel et Maack): 물 속에 있는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물 속에 잠기는 잎은 길이 4-6㎝ 폭 0.7㎜ 끝이 뾰족하고 물 위에 뜨는 잎은 긴 타원형이다. ▶가래(P. distinctus A. Benn.): 물에 잠기는 잎은 잎자루가 3-4㎝이고 얇다. 물 위에 뜨는 잎은 잎자루가 6-10㎝ 긴 타원형 표면은 녹색 매끄럽고 뒷면은 엷은 황색이다. ▶선가래(P. fryeri A. Benn
-
Read More
새완두
학명 : Vicia hirsuta (L.) Gra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비나물속(Vicia) target=_blank>나비나물속(Vicia)</a>
이명 : 털새완두
잎 : 잎은 호생하며 1회우상복엽으로서 6-8쌍의 소엽과 더불어 끝에 갈라진 덩굴손이 있고 소엽은 피침형이며 길이 10~17mm 나비 2-3mm로서 원두 또는 절두이고 탁엽은 대개 4개로 갈라지며 녹색이다.
꽃 : 엽액에서 길이 2-3cm의 총상화서가 나와 그 끝에 3-4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3~4m로서 백자색이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익판과 용골판이 기판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8mm 나비 3mm로서 잔털이 있으며 2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종자는 편평한 원형이고 흑색이다.
줄기 : 잔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길이 50cm정도 벋는다.
분포 : 남부지방의 산록 이하.
형태 : 덩굴성 2년초
-
Read MoreNo Image
새양버들
학명 : Chosenia arbutifolia (Pall.) A.K.Skvortso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드나무과(Salicaceae) target=_blank>버드나무과(Sal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양버들속(Chosenia) target=_blank>새양버들속(Chosenia)</a>
이명 : 노랑버들 채양버들
잎 : 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도피침형이고 길이 6-8cm 폭 16-23mm로서 첨두 예저이며 잔톱니가 있거나 거의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은 백분으로 덮여 있다. 엽병은 길이 1-7(보통5-7)mm로서 백분이 끼어 있다.
꽃 : 웅화수는 길이 1-2cm로서 화축에 털이 없으며 포는 넓은 난형으로서 거친 털이 있고 수술은 5개이며 밀선이 없다. 자화수는 길이 2cm로서 화축에 털이 없고 포는 넓은 타원형이며 첨두이다. 자방은 짧은 대가 있고 털이 없으며 원통상 긴 난형이고 암술대는 짧으며 2개로 갈라지고 암술머리도 각 2개로 다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4mm이고 2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1.2mm이다.
줄기 : 높이 20-30m 지름 1m이고 수피는 회록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분포 :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
Read MoreNo Image
새수염가래꽃
학명 : Lobelia chinensis var. tetrapetal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숫잔대속(Lobelia) target=_blank>숫잔대속(Lobelia)</a>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길이 1~2cm 너비 2~4mm이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소형으로 흰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1~2송이씩 나온다. 꽃자루의 길이는 1.5~3cm이고 화관은 입술 모양이며 길이 1cm정도이다. 5갈래이고 갈래는 피침형이고 좌우 상칭한다. 씨방 하위 꽃받침 조각은 5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5~7mm이고 꽃받침이 남아 있다.
줄기 : 줄기는 보통 땅에 깔리며 마디에서 뿌리가 갈라져 나온다.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한국(전북 옥구)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수염가래꽃과 닮았으나 꽃잎이 4갈래이다.
-
Read MoreNo Image
새삼
학명 : Cuscuta japonica Chois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메꽃과(Convolvulaceae) target=_blank>메꽃과(Convolv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삼속(Cuscuta) target=_blank>새삼속(Cuscuta)</a>
잎 : 잎은 비늘같으며 길이 2mm정도로서 삼각형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소화경이 짧거나 없고 수상화서에 모여 달린 꽃이 다시 모여서 덩어리처럼 된다. 포는 비늘모양이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원두이며 길이 1mm 정도로서 곧추서고 화관은 총형이며 길이 3.5-4mm로서 위에서부터 1/3정도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타원형이다. 5개의 수술이 있고 암술대는 길이 1.5mm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화사는 없으며 화통에 착생해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며 9~10월에 성숙하고 익으면 벌어지면서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지름 2.5-3mm이다. 종자를 토사자라 한다.
줄기 : 원줄기는 철사같고 황적색이 돌며 털이 없고 비후하다. 철사형의 덩굴이 처음에는 지상에 나고 곧 기주식물 주로 목본에 흡판으로 붙는다.
뿌리 : 종자가 발아하여 다른 나무에 올라 붙게 되면 뿌리가 없어지고 기생식물의 양분을 흡수한다.
분포 : 진도 전남(지리산) 전북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금강산) 경기(광릉 천마산) 황해 평북 함북에 야생한다. 일본 오키나와 중국 만주 아무르에 분포한다.
형태 : 기생 덩굴성 1년초.
특징 : 땅 속의 뿌리가 없어지고 전체에 엽록소가 없다.
-
Read MoreNo Image
새비나무
학명 : Callicarpa mollis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편초과(Verbenaceae) target=_blank>마편초과(Verbe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작살나무속(Callicarpa) target=_blank>작살나무속(Callicarpa)</a>
이명 : 털작살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12cm 폭 2.5-5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잔 선점이 있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성모가 밀생하고 엽병은 길이 5-10mm로서 성모가 밀생한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양성화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린다. 화서에는 성모가 밀생하고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성모 또는 우상의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길이 4-5mm로 연한 자주색이고 통부는 꽃받침과 길이가 같으며 수술은 화관과 길이가 같다.
열매 : 열매는 지름 5mm 정도의 핵과로 둥글며 10월에 자주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소지에 성모가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에서는 표고 1 100m까지 자라고 그 밖의 남해안 섬 지방에서는 산록의 수림하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좀새비나무(var. ramosissima Nakai): 잎의 길이가 1-3㎝로서 가지에 분지가 많은 것. ▶개새비나무(C. shirasawana Makino): 작살나무와의 잡종.
특징 :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하며 맹아력이 강하다. 작살나무보다 전체에 별 모양의 털이 밀포한다.
-
Read MoreNo Image
새방울사초
학명 : Carex vesicari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둥굴레사초 큰방울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단단하며 폭 3-6㎜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으며 혈자색 또는 자갈색이고 그물처럼 갈라진다.
꽃 : 화경(花莖) 끝부분에 있는 2-3개의 소수는 수꽃이며 길이 3-5cm로서 서로 인접하고 자소수는 1-2개이며 길이 3-7cm 폭 6-10mm로서 원주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대가 있어 서거나 밑으로 처진다. 포는 잎같으며 밑부분에 엽초가 없고 자화영은 끝이 뾰족한 피침상 난형이며 길이 5-7mm로서 혈적색 또는 황갈색이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다. 암술대는 구부러지고 밑부분이 넓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고 비스듬히 달리며 세모진 난상 원추형이고 길이 6-8mm로서 황갈색 또는 흑갈색 부분이 있으며 털이 없고 맥이 있다. 부리는 끝이 딱딱하며 2개로 갈라진 양쪽에 잔돌기가 있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있고 길이 2.5mm정도로 세모진 도란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100cm이며 세모지고 거칠거칠하다.
뿌리 :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