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Weigela subsessilis var. mollis Uyeki |
|---|---|
|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
| 속명 | 병꽃나무속(Weigela) |
|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거의 없고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2-3cm 나비 1-5cm로서 양면에 길고 약한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화지(花枝)의 잎은 타원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2-3cm로서 양면에 융모가 있으며 엽병에 퍼진 털이 있다. |
| 꽃 | 꽃은 5월에 피고 황록색이 돌지만 적색으로 변하며 1-2개씩 액생하고 화경에 퍼진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선형으로서 밑부분까지 갈라진다. |
| 열매 | 열매는 잔털이 있고 길이 10-15mm로서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있다. |
| 줄기 | 높이 2-3m이고 어린 가지에 퍼진 털이 있다. |
| 분포 | 위봉산(威鳳山)에서 자란다. |
| 형태 | 낙엽활엽관목 |
| 유사종 | ▶병꽃나무(W. subsessilis L.H. Bailey): 줄기는 회갈색이지만 얼룩무늬가 있으며 잎은 길이 1-7㎝ 나비 1-5㎝이고 가는 톱니가 있다. ▶노랑병꽃(for. xantina): 노란 꽃이 피는 것. |
| 특징 | 꽃의 색감이 야성적이고 모양이 병처럼 생겨 특이하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Woody PL. and. Their. Distr. 100 (1940) |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
각시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chrysantha Turc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산괴불나무 산아귀꽃나무 절초나무
잎 : 잎은 도란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5-12cm 너비 3-6cm로서 톱니가 없고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와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3-7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액생하고 화경은 길이 1.5-2.5cm로서 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는 자방보다 길거나 같고 소포와 더불어 선점이 있다.
꽃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고 화관은 연한 황색 또는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하며 길이 1.5-2cm로 털이 있고 통부는 짧으며 기부가 옆으로 퍼지고 상순이 중앙까지 갈라진다.
수술과 암술대에 털이 있으며 자방은 긴난형으로서 선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난상 원형이고 8-9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종자는 길이 3-3.5mm이다.
줄기 : 높이 3-4m이며 소지는 회갈색이고 줄이 있으며 골 속은 비어 있다. 동아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분포 : ▶중국과 러시아 극동부와 시베리아 일본에도 분포한다.
▶광릉의 표고 100m 이하의 산록을 비롯해 중부 이북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괴불나무(L. maackii Maxim.): 화경이 엽병보다 짧은 것.
▶산괴불(var. crassipes Nakai): 화경의 길이가 1.5-3.0㎝이고 굵은 것.
▶털산괴불(for. villosa Hort.):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는 융모가 있는 것.
▶넓은잎산괴불(var. latifolia Korsh.):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고 원저인 것.
▶절초나무(var. longipes Maxim.): 잎에 긴 털이 있고 화경의 길이가 2-3㎝인 것.
특징 : 한 줄기로 올라가 가지를 내어 퍼지며 꽃은 약 10일 동안 향기가 지속되고 열매는 광채를 내면서 겨울철까지 달려 있다.
-
Read MoreNo Image
푸른가막살
학명 : Viburnum japonicum (Thunb.) Spren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분꽃나무속(Viburnum) target=_blank>산분꽃나무속(Viburnum)</a>
-
Read MoreNo Image
흰털병꽃나무
학명 : Weigela subsessilis var. mollis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거의 없고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2-3cm 나비 1-5cm로서 양면에 길고 약한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화지(花枝)의 잎은 타원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2-3cm로서 양면에 융모가 있으며 엽병에 퍼진 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황록색이 돌지만 적색으로 변하며 1-2개씩 액생하고 화경에 퍼진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선형으로서 밑부분까지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잔털이 있고 길이 10-15mm로서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2-3m이고 어린 가지에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위봉산(威鳳山)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병꽃나무(W. subsessilis L.H. Bailey): 줄기는 회갈색이지만 얼룩무늬가 있으며 잎은 길이 1-7㎝ 나비 1-5㎝이고 가는 톱니가 있다. ▶노랑병꽃(for. xantina): 노란 꽃이 피는 것.
특징 : 꽃의 색감이 야성적이고 모양이 병처럼 생겨 특이하다.
-
Read MoreNo Image
흰병꽃나무
학명 : Weigela florida f. candida (Voss)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이명 : 흰병꽃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4-10cm 나비 2-4cm로서 표면 중륵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중륵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중열되며 길이 6-13mm로서 털이 거의 없다. 화관은 길이 3-4cm로서 중앙 이하가 갑자기 좁아지고 잔털이 있으며 열편은 둔두로 약간 뒤로 젖혀지고 자방에 잔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2-20mm로서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없다.
줄기 : 어린 가지에 2줄의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좀병꽃(for. brevicalycina Uyeki): 꽃받침 열편의 길이가 5.0-6.5㎜인 것. ▶색병꽃(for. alba Rehder) : 처음에는 꽃이 백색이고 통부가 적색이던 것이 전체가 적색으로 되는 것. ▶삼색병꽃(for. subtricolor Nakai): 화관이 백록색이고 통부 겉에 붉은빛이 돌며 안쪽 순판을 따라 누른빛이 도는 것. ▶병꽃나무(W. subsessilis L. H. Bailey) ▶골병꽃(W. hortensis
특징 : 5월에 병모양이나 깔대기모양으로 피는 야성적인 꽃을 감상할 수 있다.
-
Read MoreNo Image
암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nigrum var. barbinervis (Ko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검은아귀꽃나무좀괴불
-
Read MoreNo Image
흰등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maximowiczii var. latifolia (Ohwi)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남괴불나무 )남선괴불 남선괴불나무 넓적잎괴불나무 큰남선괴불 흰등괴불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3~8cm 나비 2~3.5cm이며 양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6월에 홍색으로 피고 새 가지의 잎짬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1~2cm로서 대개 잎 뒷면을 따라 붙어 있다. 자방은 중앙 이상까지 합쳐진다.
열매 : 과실은 장과로 난상 원형이고 8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 : 가지의 골속은 백색으로 꽉 차 있으며 작은 가지는 2~4개의 모가 지고 동아는 가늘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특징 : 잎 뒷면이 백색이고 중륵 양쪽에만 백색 밀모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흰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tatarinowii var. leptantha (Rehder)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괴불나무왕괴불나무은털괴불나무흰아귀꽃나무흰왕괴불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2-6cm로서 타원형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점첨두 첨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표면은 중륵에 잔털이 있고 뒷면은 중륵(中肋)에 짧은 백색털이 밀생하였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4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0-13mm로서 털이 없거나 선모가 있고 포는 길이 1mm정도이며 소포는 서로 떨어지거나 합쳐지고 길이 1-1.5mm로서 가장자리에 선상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으며 화관은 길이 8-10mm로서 홍자색이고 양순형이며 자방은 중앙 이하가 서로 합쳐지고 암술대는 기부에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8-9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가지는 골 속이 백색으로 차 있으며 어린가지에는 2줄의 털과 선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동아는 피침형이다.
분포 : 제주도 및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괴불나무 중 잎이 제일 가는 것 중의 하나이며 잎의 뒷면이 백색으로 특이하고 5월에 홍자색으로 가냘프게 피는 꽃은 귀엽고 사랑스럽다.
-
Read MoreNo Image
흰골병꽃나무
학명 : Weigela hortensis f. nivea Bonar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이명 : 흰골병꽃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예첨두 예저이고 길이 7-10cm 나비 2.5-5cm로서 뒷면 맥 위에 백색 융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4-8mm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소지의 엽액과 끝에 2-3개씩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3-7mm로서 퍼진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3-3.5cm로서 겉에 털이 거의 없고 깔때기처럼 점차 넓어지며 암술대가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원주형이고 남아있는 암술대로 인하여 끝이 뾰족해지며 날개가 있다.
줄기 : 가지는 어릴 때 흔히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 관악산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관목
유사종 : ▶골병꽃 : 기본종
-
Read MoreNo Image
홍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붉은아귀꽃나무
잎 :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3-8cm 폭 2.0-3.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 주맥을 중심으로 백색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새가지의 엽액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1-2cm로서 대개 잎 뒷면을 따라 붙어 있고 포는 길이 1-3mm이며 소포는 0.5cm정도로서 합생한다. 화관은 길이 5-10mm로 짙은 자홍색이고 통부가 열편보다 짧으며 기부는 부풀어 있고 자방은 중앙 이상까지 합쳐지며 암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중앙 이상까지 서로 합쳐져있고 난상 원형이며 8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가지의 골 속은 차 있으며 소지는 2-4모가 진다.
분포 : 전국의 표고 450-2 300m 사이의 심산 산복과 골짜기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흰등괴불(L. okamotoana Ohwi): 잎 뒷면이 백색이고 중륵 양쪽에만 백색 밀모가 있는 것. ▶산홍괴불(var. barbinervis Nakai): 잎 뒷면 맥 위에 백색털이 있는 것. ▶좁은잎홍괴불(var. stenophylla Nakai): 잎이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는 것.
특징 : ▶밑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와 수형을 이룬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통영병꽃나무
학명 : Weigela to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잎 : 잎은 대생하며 넓은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점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24~62mm 폭 11~30mm로서 표면은 털이 있어 거칠며 뒷면은 주로 맥 위에 딱딱한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mm로서 거의 없는 것 같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액생하며 소화경이 거의 없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길이 3.5~4.5mm이며 화관은 적색이고 길이 37~49mm로서 약간 양순형이며 상순은 3개로 갈라지고 길이 6~7mm이며 하순은 2개로 갈라지고 길이 10~12mm이다. 자방은 길이 8~10mm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는서로 붙어 있는 부분에 거센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1개로서 수술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5mm로서 2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에 남아 있는 원줄기 끝에 길이 5~6mm의 암술대가 있다.
줄기 : 높이 1-3m이고 수피는 암회색이며 2년지는 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1년지는 대생하는 잎 사이에 녹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종선이 있다.
분포 : 경남 충무시 미륵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이다.
-
Read MoreNo Image
털지렁쿠나무
학명 : 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f. velutin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딱총나무속(Sambucus) target=_blank>딱총나무속(Sambucus)</a>
잎 : 잎은 대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 1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넓은 피침형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4-6cm로서 표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융모가 있고 안쪽으로 굽은 가장자리의 톱니가 뾰족하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 6-7cm로서 화축 화경 및 소화경에 털이 있으며 꽃은 5월에 피고 꽃받침통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화관은 연한 황색 또는 연한 녹색으로서 지름 5-7mm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자방은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는 자줏빛이 돈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지름 5-6mm로서 7월에 홍색으로 익는다.
줄기 : 코르크가 발달하며 골속은 황갈색이고 일년지(一年枝)는 털이 없으며 이년지(二年枝)는 자갈색으로서 세로로 긴 피목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관목
유사종 : ▶지렁쿠나무 (var. miquelii (NAK.) HARA) ▶털딱총나무 (for. lasiocarpa T.LEE) : 자방이나 열매에 털이 있다.
특징 : 털딱총나무와 비슷하나 잎 뒷면에 융모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털인동
학명 : Lonicera japonica var. repens (Siebold)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버잎인동덩굴 섬인동 잔털인동덩굴
잎 :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끝이 둔한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3-8cm 나비 1-3cm로서 톱니가 없고 갈색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5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1-2개씩 엽액에 달리며 포는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2cm로서 대생하며 소포는 길이 1mm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은 털이 있으며 화관은 길이 3-4cm이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며 겉에 털이 있고 통부 안쪽에 밀모가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그 중 1개가 깊게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7-8mm로서 9-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소지는 적갈색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갈색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반상록활엽의 덩굴성 관목
유사종 : ▶잔털인동(for. chinensis Hara) : 잎의 가장자리외에는 거의 털이 없으며 상순(上脣)은 반 이상 갈라지고 겉에 엷은 홍색이 도는 것. ▶붉은인동(for. rubra): 붉은 꽃이 피는 것.
특징 : 1차식생이며 울폐된 숲에서는 나무에 기어올라 자라며 늦게 난 잎은 때로 상록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
Read MoreNo Image
털산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chrysantha f. villosa Hor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털산괴불
잎 : 잎은 도란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5-12cm 나비 3-6cm로서 톱니가 없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 융모가 있고 엽병은 길이 3-7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액생하고 화경은 길이 1.5-2.5cm로서 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는 자방보다 길거나 같고 소포와 더불어 선점이 있다. 꽃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져서 털이 있고 통부는 짧으며 기부가 옆으로 퍼지고 상순이 중앙까지 갈라진다. 수술과 암술대에 털이 있으며 자방은 긴 난형으로서 선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으로서 8-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길이 3-3.5mm이다.
줄기 : 노피 3-4m이고 속이 비여 있으며 동아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분포 : 중부 이북 지역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괴불나무(L. maackii Maxim.): 화경이 엽병보다 짧은 것. ▶산괴불(var. crassipes Nakai): 화경의 길이가 1.5-3.0㎝이고 굵은 것. ▶털산괴불(for. villosa Hort.):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는 융모가 있는 것. ▶넓은잎산괴불(var. latifolia Korsh.):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고 원저인 것. ▶절초나무(var. longipes Maxim.): 잎에 긴 털이
특징 : 한 줄기로 올라가 가지를 내어 퍼지며 꽃은 약 10일 동안 향기가 지속되고 열매는 광채를 내면서 겨울철까지 달려 있다.
-
Read MoreNo Image
털백당나무
학명 : Viburnum opulus f. puberulum (Kom.) Sug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분꽃나무속(Viburnum) target=_blank>산분꽃나무속(Viburnum)</a>
분포 : 한반도(거의 전도)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다후리아
형태 : 가지 잎자루 화서의 가지에 보통 털이 있고 잎은 뒷면에 개출모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털딱총나무
학명 : 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f. lasiocarp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딱총나무속(Sambucus) target=_blank>딱총나무속(Sambucus)</a>
잎 : 잎은 대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넓은 피침형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4-6cm로서 표면 맥위와 뒷면 전체에 털이 있으며 안쪽으로 굽은 가장자리의 톱니가 뾰족하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 6-7cm로서 화축 화경 및 소화경에 털이 있으며 꽃은 5월에 피고 꽃받침통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화관은 연한 황색 또는 연한 녹색으로서 지름 5-7mm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자방은 털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자줏빛이 돈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털이 있고 지름 5-6mm로서 7월에 홍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5-6m이고 코르크가 발달하며 골속은 황갈색이고 일년지(一年枝)는 털이 없으며 이년지(二年枝)는 자갈색으로서 세로로 긴 피목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관목
유사종 : ▶지렁쿠나무 (var. miquelii (NAK.) HARA) ▶털지렁쿠나무 (for. velutina T.LEE) : 털딱총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뒷면에 융모가 있다.
특징 : 지렁쿠나무와 닮았으나 자방이나 열매에 털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털댕강나무
학명 : Abelia core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강나무속(Abelia) target=_blank>댕강나무속(Abelia)</a>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피침형 넓은 피침형이고 첨두 예저로 길이 3-7cm이며 가장자리에는 상반부에 몇 개의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약간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2-7mm로서 대생한 2개의 엽병이 줄기를 완전히 감싸고 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가지 끝에 달리고 한 화경에 2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3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4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열편은 도피침형 둔두이며 길이 5-9mm이다. 화관은 종 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원줄기에 6줄의 홈이 있고 소지는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
분포 : 경북·황해도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댕강나무(A. mosanensis T. Chung): 잎은 긴 난형이며 길이 3-7㎝로 매화잎과 비슷하고 가장자리가 매끈하다.
특징 : 댕강나무속은 석회암 지대의 대표적인 식생이다.
-
Read MoreNo Image
털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subhispid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볼레괴불나무 불네괴불 불네괴불나무 털아귀꽃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미철두 또는 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원저이고 길이 4~6cm로서 톱니가 없으며 표면은 약간 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은 털이 있으나 가장자리와 맥 위에만 남으며 엽병은 길이 3~6mm로 긴 털이 있다.
꽃 : 5월에 개화하고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0~15mm로서 선모가 있고 꽃이 1개씩 달리며 포는 1개로서 넓은 피침형이고 털이 있다. 꽃받침도 털이 있으며 화관은 황색으로서 길이 15~20mm이고 통부는 화관 기부보다 길며 기부가 넓고 겉에 털이 있으며 수술대·암술대 및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는 다갈색이며 속이 충실하고 어린 가지에 거센 털이 산생하며 정아는 없고 측아가 뾰족하다.
분포 : 전남·경기도 및 함경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이다.
-
Read MoreNo Image
청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subsessilis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푸른괴불나무 푸른아귀꽃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3-5.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2-5m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새가지에서 액생하며 길이 4-5mm의 화경에 2개씩 달리고 포는 길이 5-10mm로서 소포보다 짧으며 난형이고 선점이 있으며 소포는 서로 합쳐져 접시 모양이 된다. 화관은 백색 또는 연한 황색이고 길이 1.2cm로서 상순이 3개로 갈라지며 통부보다 길고 통부는 밑부분이 굵다. 수술은 4개이며 화피열편과 길이가 같고 암술대는 약간 길며 자방은 2개가 윗부분까지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윗부분까지 합쳐진 구형으로 지름 6-8mm이고 8-9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는 골 속이 차 있으며 백색이고 소지는 자갈색이 돌며 털이 없다. 동아는 피침형이며 새가지 기부에 아린이 남아 있다.
분포 : 전국의 표고 300-2 300m 사이의 깊은 산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맹아력이 강하여 가지의 밀도가 높고 진초록색인 잎의 색감이 곱고 아름다우며 가을에 주옥처럼 익는 열매가 매혹적이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지리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cerasoide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0cm 폭 2-5cm로서 표면에 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에 굳센 털과 선상의 돌기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은 없고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2-15mm로서 선상의 돌기가 있고 털은 없다. 포는 길이 2-3mm로서 선이 있거나 없으며 소포는 난형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선모가 있으며 화관은 연한 황색이고 길이 10mm로서 양순이 거의 비슷하며 겉에 털이 있고 통부는 길이 6-7mm로서 기부가 굵다. 수술은 화관과 길이가 같으며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있고 자방은 중앙 이하가 합쳐지며 선상의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수술대와 길이가 같으며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7mm로서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갈색이다.
줄기 : 가지는 회색이고 골속이 차 있으며 어린 가지에 선점이 있으나 없어지고 동아는 난형이다. 어린 가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중부 이남지방 지리산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관목
유사종 : ▶왕괴불나무 : 기본종
-
Read MoreNo Image
지렁쿠나무
학명 : 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Nakai)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딱총나무속(Sambucus) target=_blank>딱총나무속(Sambucus)</a>
이명 : 개똥나무 딱총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2~3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급한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14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거치가 있으며 안으로 굽지 않는다.
꽃 : 화서는 짧은 원추화서로서 입상의 돌기가 있고 털이 없으며 꽃은 5월에 피고 암수한그루이며 화관은 황록색을 띠고 털이 없으며 꽃밥은 황색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핵과는 4mm가량 7월에 암홍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의 골속이 암갈색이며 소지는 녹색으로 털이 없고 동아는 둔두이다.
뿌리 : 천근성이다.
분포 : ▶일본과 중국 우수리 만주에 분포한다. ▶표고 100~1 600m 경북(가야산 팔공산) 전남 전북(덕유산) 충남 강원(치악산) 경기(관악산)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청딱총(S. williamsii Hance): 화서에 입상돌기가 없는 것. ▶넓은잎딱총나무(S. latipinna Nakai): 화서는 반원형이며 전체에 털이 없는 것. ▶말오줌대(S. sieboldiana var. pendula T. Lee) ▶덧나무(S. sieboldiana BL.) ▶지렁쿠나무(S. sieboldiana var. miquellii Hara) 털딱총나무(S. sieboldiana for. lasiocarpa T. Lee)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딱총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관화 또는 관실 식물로 수형은 낙화산 모양처럼 자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