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흰털민들레

조회 수 2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Taraxacum platypecidum Diels
과명 국화과(Compositae)
속명 민들레속(Taraxacum)
이명 북녘민들레 북방민들레 사칼린민들레
잎은 근생엽뿐이며 근생엽은 모여난다. 엽신은 도피침형(10~30cm 너비 3~6cm)이고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둔한 거치가 있는데 흔히 바깥쪽에 근생엽에는 둔한 거치가 있고 안쪽줄의 근생엽들은 우상으로 깊이 갈라졌으며 열편들은 흔히 아래로 향하였다. 잎 밑부분은 설형으로 좁아졌고 끝부분은 약간 원형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털이 성글게 있다.
꽃은 5월~6월경 두상화서를 이루고 피는데 화서는 줄기끝에 한개씩 붙는다. 총포는 넓은 종형(길이 17~20mm)이다. 총포편은 3줄로 붙는데 바깥줄의 것들은 난형 (길이 5~6mm 너비 3~4mm)이고 끝부분이 뾰족하며 분녹색이고 뒷면 끝부분이 자색이며 부리모양의 돌기가 있고 가장자리에 흰 막질의 넓은띠가 있다. 제일 안쪽줄의 총포편은 피침형(길이 17~20mm 너비 1.5~2mm)이고 엽연에 흰막질의 띠가 있으며 끝부분은 자색이고 조금 무딘모양이
열매 수과는 연한 갈색이며 밑부분이 좁은 타원형(길이 3.5~4mm)이며 세로로 능각이 있고 능각의 윗부분에는 끝이 뾰족한 돌기가 많으며 6월~7월에 익는다. 열매 끝부분에는 침형으로 길어진 부리(길이 10~12mm)가 있으며 부리끝에 관모가 붙는다. 관모는 백색이고 부드러우며 길이 8~9mm이다.
줄기 줄기 속은 비었고 흰 면모가 성글게 있으며 한포기에서 2~3개 나온다.
뿌리 뿌리는 굵고 곧추뻗는다.
분포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eddes Repert. Sp. Nov. Beih. 12: 515 (1922)
참고문헌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1. No Image

    흰털민들레

    학명 : Taraxacum platypecidum Diel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북녘민들레 북방민들레 사칼린민들레
    잎 : 잎은 근생엽뿐이며 근생엽은 모여난다. 엽신은 도피침형(10~30cm 너비 3~6cm)이고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둔한 거치가 있는데 흔히 바깥쪽에 근생엽에는 둔한 거치가 있고 안쪽줄의 근생엽들은 우상으로 깊이 갈라졌으며 열편들은 흔히 아래로 향하였다. 잎 밑부분은 설형으로 좁아졌고 끝부분은 약간 원형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털이 성글게 있다.
    꽃 : 꽃은 5월~6월경 두상화서를 이루고 피는데 화서는 줄기끝에 한개씩 붙는다. 총포는 넓은 종형(길이 17~20mm)이다. 총포편은 3줄로 붙는데 바깥줄의 것들은 난형 (길이 5~6mm 너비 3~4mm)이고 끝부분이 뾰족하며 분녹색이고 뒷면 끝부분이 자색이며 부리모양의 돌기가 있고 가장자리에 흰 막질의 넓은띠가 있다. 제일 안쪽줄의 총포편은 피침형(길이 17~20mm 너비 1.5~2mm)이고 엽연에 흰막질의 띠가 있으며 끝부분은 자색이고 조금 무딘모양이
    열매 : 수과는 연한 갈색이며 밑부분이 좁은 타원형(길이 3.5~4mm)이며 세로로 능각이 있고 능각의 윗부분에는 끝이 뾰족한 돌기가 많으며 6월~7월에 익는다. 열매 끝부분에는 침형으로 길어진 부리(길이 10~12mm)가 있으며 부리끝에 관모가 붙는다. 관모는 백색이고 부드러우며 길이 8~9mm이다.
    줄기 : 줄기 속은 비었고 흰 면모가 성글게 있으며 한포기에서 2~3개 나온다.
    뿌리 : 뿌리는 굵고 곧추뻗는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2. No Image

    흰민들레

    학명 : Taraxacum corean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잎 :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도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7~25cm 폭 1.4~6cm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가 무우잎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5-6쌍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6월에 피며 처음에는 잎보다 짧은 화경이 1개 또는 여러 개가 곧추자라서 그 끝에 꽃이 1개씩 달리고 꽃 밑에 밀모가 있으며 꽃이 핀 다음 화경이 잎보다 훨씬 길어진다. 총포는 연한 녹색이고 꽃이 필 때는 길이 15-18mm이지만 17-21mm로 자라며 외포편은 윗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끝에 돌기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내포편은 끝에 흑자색이 돌며 뿔같은 돌기가 있거나 없다. 화관은 백색이고 가장자리의 것은 길이 15-17.5mm
    열매 : 수과는 길이 3.5mm 직경 1.5mm로서 앞 부분에 많은 홈과 혹이 있으며 윗부분에 석순같은 돌기가 있고 밑부분이 좁으며 부리는 길이 8-9mm이고 관모는 길이 7-8mm로서 갈색이 도는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수직으로 뻗고 육질로 굵으며 검은 갈색이 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 ▶좀민들레(T. hallaisanensis Nakai) ▶산민들레(T. ohwianum Kitamura)
    특징 : 한국의 특산식물
    Read More
  3. No Image

    영도민들레

    학명 : Taraxacum formosanum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큰민들레









    Read More
  4. No Image

    흰노랑민들레

    학명 : Taraxacum coreanum var. flavescens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잎 : 잎은 밑동에서 총생하고 피침형 끝은 뭉뚝하고 밑은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고 양 면에 털이 있으며 갈래는 5~6쌍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민들레보다 개체수가 훨씬 적다. 연노란색이 피며 민들레와 흰 민들레가 합쳐진 것처럼 보인다. 두상화서는 꽃줄기 위에 1개씩 붙고 총포는 엷은 녹색 꽃이 필 때보다 꽃이 핀 후에는 더욱 자라고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5월에 익는다.


    분포 : 우리나라 남부지방 중부지방 북부지방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Read More
  5. No Image

    털민들레

    학명 :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잎 :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15cm 나비 1.2~5cm로서 무우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6~8상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둥글게 배열되며 대개 땅에 누워서 자란다.
    꽃 : 꽃은 4~6월에 백색으로 피고 지름 3~3.5cm의 두화 1개가 화경 끝에 달리며 두화 바로 밑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화경은 꽃이 핀 뒤에 잎보다 훨씬 길어 진다. 총포는 종형으로 연한 녹색이고 외편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끝에 짧은 부리가 있고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진다.
    열매 : 수과는 홈과 돌기가 있고 부리는 4mm이며 관모는 갈색이 도는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없고 화경은 높이 7~30cm이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본종은 흰민들레에 비하여 화관이 백색이고 총포가 길며 털이 적다.
    Read More
  6. No Image

    좀민들레

    학명 : Taraxacum hallaisanens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한라민들레 할라산민들레
    잎 : 잎은 긴 타원형 또는 산상 도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길이 5-14.5cm 나비 0.9-2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장자리가 무우잎처럼 갈라지며 열편은 4-6쌍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두상화는 모두 황색 설상화이며 화경은 꽃이 필 때는 잎과 길이가 같지만 점차 길어진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9-13mm로서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으며 회포편은 내포편 길이의 1/2 정도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내포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털이 없다. 가장자리의 화관은 길이 13-18mm이며 통부는 길이 4.5-5.5mm이고 털이 없다.
    열매 : 수과는 갈색이고 길이 3mm 나비 1mm이며 부리는 길이 6mm이고 밑부분이 울툭불툭하며 줄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굵은 근경이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제주도의 해발이 낮은 지대에서부터 해발 1 700m까지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보통 민들레에 비하여 초장이 짧고 전체적으로 왜성이므로 ""좀""이라는 접두어가 붙었다. 다화성이다."
    Read More
  7. No Image

    서양민들레

    학명 : Taraxacum officinale Web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양민들레 포공영
    잎 : 잎이 지면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밑을 향해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밋밋하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3-9월에 피며 모두 열매를 맺고 지름 2-5cm로서 황색이며 잎이 없는 화경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총포편은 선형이고 녹색 또는 검은빛이 돌며 털이 없고 외포편은 뒤로 젖혀지며 내포편은 곧추선다. 화상(花床)은 나출된다.
    열매 : 수과는 갈색이며 편평한 방추형이고 짧은 돌기가 세로로 나열되며 길이 2-4mm로서 윗부분이 부리처럼 길어지고 관모는 백색이며 수과 끝에 산형으로 길게 퍼진다.

    뿌리 : 뿌리가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지리적으로 북미와 아시아 등지에 분포 ▶전국의 도시와 도시 근교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식물체에 쓴맛이 있는 백색 유액이 있고 유럽에서는 잎을 샐러드로 사용하며 뉴질랜드에서는 뿌리를 커피 대용으로 사용한다.
    Read More
  8. No Image

    산민들레

    학명 : Taraxacum ohwianum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노랑민들레
    잎 : 뿌리에서 잎이 나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도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르기도 하며 길이 9-20cm 나비 2-5cm이지만 간혹 길이 36cm 나비 7cm에 달하는 것이 있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밑을 향해 4-5쌍으로서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화경은 꽃이 핀 다음 훨씬 길어지며 꽃 밑에 밀모가 있다. 총포는 길이 13-15mm에서 15-20mm로 자라고 외포편은 곧으며 길이 5-8mm로서 내포편보다 짧고 끝부분에 자줏빛이 돌며 털이 약간 있고 끝에 돌기가 없다. 가장자리의 화관은 황색이며 길이 13-19mm 나비 1.8-2mm이고 통부는 길이 3.5-5mm이다.
    열매 : 수과는 갈색이 돌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 지름 1mm정도로서 줄이 많고 윗부분에 뾰족한 돌기가 있으며 부리는 길이 8-11.5mm이고 관모는 길이 7-8mm로서 회갈색이다.
    줄기 : 원줄기가 없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9. No Image

    붉은씨서양민들레

    학명 : Taraxacum laevigatum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잎 : 잎은 근생엽(根生葉)뿐이며 털이 없고 길이 8-15㎝ 깊게 하향톱니가 있는 우상 분열(羽狀 分裂)을 하거나 좁은 삼각상 피침형의 열편으로 우상 분열을 한다.
    꽃 : 꽃은 4-6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지름 2.5-3㎝ 황색이고 70-90개의 설상화로 이루어지며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6-15㎝이다. 총포편(總苞片)은 2줄로 배열하며 청록색이다. 외총포편은 피침형이며 평개(平開)되거나 끝이 아래쪽을 향하여 굽는다. 내총포편은 선형(線形)이며 외총포편보다 길다. 모두 끝이 뾰족하다.
    열매 : 수과(瘦果)는 방추형이며 적색 또는 적갈색 위에 작은 가시가 있고 사상(絲狀)의 부리 모양의 돌기가 있다. 관모는 오백색(汚白色)이다.


    분포 : 서울 전역에 분포되어 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서양민들레(T. officinale Weber.): 잎은 근생엽뿐이며 윤곽이 장타원형 또는 주걱형이다. 꽃은 3-9월에 피며 두화는 150-200개의 설상활 구성되어 있다.
    특징 : ▶북아메리카 일본에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78년에 全義植씨에 의하여 서울의 선정릉에서 채집하고 `붉은씨서양민들레`로 국명을 신칭하여 보고되었다. ▶`서양민들레`와 비슷하다.
    Read More
  10. No Image

    민들레

    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이명 : 안질방이
    잎 :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15cm 나비 1.2-5cm로서 무우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6-8상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둥글게 배열되며 대개 땅에 누워서 자란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잎보다 다소 짧은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바로 꽃 밑에만 밀모가 남는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12mm이지만 15mm로 자라며 지름 25-27mm이고 외포편은 선상 피침형 또는 간혹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곧추서며 뿔같은 소돌기가 있다. 화관은 황색으로서 가장자리의 것은 길이 15mm 나비 2-2.5mm이고 통부는 길이 5mm내외이며 털이 없다.
    열매 : 5-6월이 되면 꽃이 시든 자리에서 씨앗의 날개가 돋아나 하얗고 둥근 모양으로 부푼다. 수과는 갈색이 돌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 나비 1.2-1.5mm로서 윗부분에 뾰족한 돌기가 있고 표면에 6줄의 홈이 있으며 부리는 길이 6-8mm이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연한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가 없이 잎이 총생하여 옆으로 퍼진다.
    뿌리 : 육질로서 길며 포공영근(浦公英根)이라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좀민들레 산 민들레 흰민들레 서양민들레 등이 있다. ▶서양민들레는 식용민들레도 귀화식물화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크고 꽃이 가을까지 계속 피는 것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특징 : 생약의 포공영은 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 민들레에는 `이눌린` `팔미틴` `세로친`등 특수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