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흰갈퀴현호색

조회 수 29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Corydalis grandicalyx f. albifloris Y.N.Lee
과명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현호색속(Corydalis)
엽병의 길이는 1-12㎝ 엽신은 길이 2-8㎝ 폭 2-10㎝의 2회3출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잎가는 밋밋하다.
꽃은 주로 4월에 피며 5-13개가 총상화서를 형성한다. 포는 길이 7-12㎜ 폭 3-9㎜인 타원형이며 선단에 잔 거치가 있다. 소화경의 길이는 개화시에 6-14㎜이고 열매성숙시에는 10-20㎜이다. 꽃은 흰색으로서 길이 20-24㎜이며 거의 길이는 9-13㎜이다. 꽃받침은 특히 크게 발달하는데 길이 3-5㎜ 폭 3-5㎜의 도란형으로서 선단이 갈퀴형으로 갈라져 화통을 감싼다. 자방은 방추형이며 배주가 2열로 배열한다. 주두(柱頭)는 다각형으로
열매 열매는 길이 4-13㎜ 폭 2-4㎜인 납작한 방추형이며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한다. 종자는 구형으로서 길이 2.2-2.4㎜ 폭 2.2-2.3㎜이며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줄기 줄기는 경상성(傾上性)이고 지름이 0.6-2㎜이며 횡단면은 원형이다. 경생엽(莖生葉)은 2장이다
뿌리 지하경은 길이 2-13㎝이며 괴경은 지름이 1-1.8㎝로서 내부는 백색이다. 인편엽은 1개로서 길이 1-1.8㎝이며 기부에서 여러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7-21㎝의 지상부을 형성한다
분포 강원도 고지 낙엽 활엽수림
형태 다년초
유사종 ▶갈퀴현호색(C. grandicalyx B.Oh et Y.Kim): 꽃은 청색 또는 보라색으로 핀다.
특징 갈퀴현호색에 비해 흰꽃이 핀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흰갈퀴현호색_2210.jpg

 

흰갈퀴현호색_2229.jpg

 


  1. 흰뫼제비꽃

    학명 : Viola selkirkii f. albiflora (Nakai) F.Maek. ex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흰메제비꽃
    잎 : 잎은 2-3장이 밑부분에 밀생하며 난상 심장형이고 녹색이며 밑부분이 깊은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와 폭이 각 2-3cm이지만 과시(果時)에는 5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3-10c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화경은 길이 5-8cm로서 잎과 길이가 다소 비슷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난상 삼각형으로서 끝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길이 12-15mm이며 측판에 털이 없고 거(距)는 짧은 원통형이며 길이 6-8mm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세모지다
    줄기 : 줄기는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가늘며 꽃이 진 후 땅속에 포복지가 생긴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고산식물이다.
    file
    Read More
  2. 흰큰방울새란

    학명 : Pogonia japonica f. albiflor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울새란속(Pogonia) target=_blank>방울새란속(Pogonia)</a>

    잎 : 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0㎝ 나비 7-132mm로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붙고 날개처럼 흐른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가 달리고 흰색이며 포는 잎같고 길이 2~4cm, 나비 3~6mm로서 보통 씨방보다 길다. 꽃받침조각은 윗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거꿀피침모양이며 길이 1.5~2.5mm, 나비 3~5mm로서 끝이 둔하고 옆의 것은 다소 나비가 좁으며 윗부분의 것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다. 입술모양꽃부리는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정열편은 거꿀달걀모양이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육질의 돌기가 있다. 씨방은 길이 1.5cm 정도이다.
    열매 : 높이 15-30cm이고 잎이 원줄기 중앙에 1개 달린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잎이 원줄기 중앙에 1개 달린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큰방울새란(P. japonica Reichb. fil.): 홍자색 꽃이 핀다.
    특징 : 흰 꽃이 피는 큰방울새란이다.
    file
    Read More
  3. 흰좀설앵초

    학명 : Primula sachalinensis f. albid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앵초속(Primula) target=_blank>앵초속(Primula)</a>

    잎 : 잎은 모두 근생엽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mm 나비 7-10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 날개처럼 되며 엽병이 없고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리며 밋밋하거나 희미한 톱니가 있고 뒷면은 황색 가루로 덮여 있으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10-17cm로서 끝에 2-15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선형이며 밑부분이 넓어지고 동시에 뒤쪽이 부풀며 짧은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고 소화경은 길이 4-10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7-8mm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둔하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뿌리 :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분포 : 낭림산에서부터 백두산지역(표고 2 300m 근처)까지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좀설앵초에 비해 꽃이 흰색이다.
    file
    Read More
  4. 흰얼레지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f. album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얼레지속(Erythronium) target=_blank>얼레지속(Erythronium)</a>

    잎 : 잎은 좁은 난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6~12cm 나비 2.5~5cm이며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바탕에 자색 무늬가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편은 6개이고 피침형으로 길이 4~5cm이며 강하게 뒤로 말리고 기부에 W자의 짙은 자색 무늬가 있으며 그 밑에 밀선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삼릉형이다.
    줄기 : 줄기는 중부에 드물게 3개의 잎이 달리며 긴 엽병이 있으나 지하로 묻혀 지상에는 엽신만이 나타난다. 땅 속 깊이 들어 있는 통상 장 타원형의 인경은 길이 5~6cm 나비 약 1cm이며 기부에 전년도의 인경의 밑부분이 붙어 있고 외피는 황갈색을 띤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제주 제외) 일본 만주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5. 흰애기풀

    학명 : Polygala japonica f. leuc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원지과(Polygalaceae) target=_blank>원지과(Polyga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원지속(Polygala) target=_blank>원지속(Polygala)</a>
    이명 : 흰영신초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3cm 나비 4~15m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둔하며 엽병이 극히 짧고 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짬에 짧은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관은 나비형 비슷하며 꽃받침조각은 5개로 꽃잎처럼 생긴 양쪽 2개가 날개처럼 된다. 꽃잎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한쪽만 터지고 수술은 8개로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편평하고 양측에 날개가 있으며 두 조각으로 갈라지고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단단하며 기부에서 분지하여 비스듬히 올라간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인도차이나 필리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6. 흰애기낚시제비꽃

    학명 : Viola grypoceras var. exilis f. albiflor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애기낚시제비꽃흰낚시제비꽃 흰좀낚시제비꽃
    잎 : 근생엽은 심장형 또는 편심형이며 길이 1-2cm로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3-7cm로서 털이 없으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빗살처럼 깊게 갈라지며 경생엽은 이와 비슷하지만 엽병이 짧다.
    꽃 : 화경은 높이 6-10cm로서 뿌리에서 돋거나 원줄기에서 액생하고 위쪽에 포가 있으며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향기가 없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5-7mm이며 부속체는 밋밋한 반원형이고 꽃잎은 길이 12-15mm로서 털이 없으며 거는 길이 6-8mm이다.

    줄기 : 낚시제비꽃에 비해 전체가 작고 원줄기는 다소 눕는다.
    뿌리 : 근경은 마디가 밀접하다.
    분포 : 전국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낚시제비꽃 (V. grypoceras A.GRAY) : 기본종 ▶애기낚시제비꽃 (var.esilis NAK.) : 원줄기가 다소 눕는다. ▶흰낚시제비꽃 (for.albiflora MAK.) : 기본종 중에서 백색꽃이 피는 것.

    file
    Read More
  7. 흰붓꽃

    학명 : Iris sanguinea f. albiflor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꽃속(Iris) target=_blank>붓꽃속(Iris)</a>

    잎 : 잎은 중맥이 확실하지 않고 창 모양 줄기에 2줄로 붙는다.
    꽃 : 꽃은?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외화피의 안쪽은 노란색 내화피는 서며 암술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꽃잎 모양이며 노란 수술이 그 뒤에 숨겨져 있다.
    열매 : 과실은 7월에 익는다.

    뿌리 : 근경은 길고 수염뿌리가 많이 밀생한다.
    분포 : 전라 남북도의 산록에 나며 관상초로 심는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특징 : 꽃봉오리가 붓의 끝모양과 같고 흰색이라 <흰붓꽃> 솔개의 꼬리 같다 하여 <백연미>라고도 한다.
    file
    Read More
  8. 흰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um f. albiflorum (Makino)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복주머니란속(Cypripedium) target=_blank>복주머니란속(Cypripedium)</a>

    잎 : 잎은3~5장이며 타원상의 둥근 모양 끝은 뾰족하고 길이는 10~20cm 폭 4~6cm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한송이가 줄기끝에 붙고 흰색이다




    형태 : 다년초로 3~4개의 엽초에 싸인다.


    file
    Read More
  9. 흰벌깨덩굴

    학명 : Meehania urticifolia f. leucantha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벌깨덩굴속(Meehania) target=_blank>벌깨덩굴속(Meehan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삼각상 심장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 2-5cm 폭 2-3.5cm이지만 덩굴의 잎은 지름 1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백색으로 5월에 피고 화경 윗부분의 엽액에 큰 순형화가 한쪽을 향해 4개 정도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1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4-5cm이며 통부가 길고 갑자기 부풀며 아래쪽 꽃잎의 중앙열편은 특별히 크고 측열편과 더불어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긴 백색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좁은 도란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털이 드문드문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화경(花莖)으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벌깨덩굴 : 자주색꽃을 피움
    붉은벌깨덩굴 : 붉은 꽃을 피움


    file
    Read More
  10. 흰등심붓꽃

    학명 : Sisyrinchium angustifolium f. album J.K.Sim & Y.S.K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심붓꽃속(Sisyrinchium) target=_blank>등심붓꽃속(Sisyrinchium)</a>


    꽃 : 외화피는 흰색을 띠고 외화피편에는 5개의 자색 줄무늬가 없고 내화피도 백색으로 내화피편에도 3개의 자색 줄무늬가 없다.



    분포 : 제주도 제주시 아라동에서 채집되었다.

    유사종 : ▶등심붓꽃(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2(1)
    file
    Read More
  11. 흰갑산제비꽃

    학명 : Viola kapsanensis f. albiflora (Naka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흰뫼제비꽃
    잎 : 잎은 근경에서 총생하며 바깥쪽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 안쪽의 잎은 끝이 둔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고 엽병은 털과 날개가 없다.
    꽃 : 화경은 잎과 길이가 비슷하며 중앙부에 2개의 포가 있고 털이 없으며 곧추서지만 끝이 밑으로 굽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3-5mm이다. 꽃받침잎은 털이 없고 피침형이며 부속체는 길이 2-3mm로서 끝에 톱니가 있고 꽃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상 원형이며 흰색이고 측열편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부리처럼 길다.

    줄기 : 꽃이 필 때는 높이가 4-10cm이다.
    뿌리 : 다소 길게 자란 근경 선단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함경남도 지방에 분포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갑산제비꽃
    특징 : 함경남도에서 자라는 흰 꽃이 피는 갑산제비꽃
    file
    Read More
  12. 흰갈퀴현호색

    학명 : Corydalis grandicalyx f. albifloris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잎 : 엽병의 길이는 1-12㎝ 엽신은 길이 2-8㎝ 폭 2-10㎝의 2회3출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잎가는 밋밋하다.
    꽃 : 꽃은 주로 4월에 피며 5-13개가 총상화서를 형성한다. 포는 길이 7-12㎜ 폭 3-9㎜인 타원형이며 선단에 잔 거치가 있다. 소화경의 길이는 개화시에 6-14㎜이고 열매성숙시에는 10-20㎜이다. 꽃은 흰색으로서 길이 20-24㎜이며 거의 길이는 9-13㎜이다. 꽃받침은 특히 크게 발달하는데 길이 3-5㎜ 폭 3-5㎜의 도란형으로서 선단이 갈퀴형으로 갈라져 화통을 감싼다. 자방은 방추형이며 배주가 2열로 배열한다. 주두(柱頭)는 다각형으로
    열매 : 열매는 길이 4-13㎜ 폭 2-4㎜인 납작한 방추형이며 종자가 거의 2열로 배열한다. 종자는 구형으로서 길이 2.2-2.4㎜ 폭 2.2-2.3㎜이며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경상성(傾上性)이고 지름이 0.6-2㎜이며 횡단면은 원형이다. 경생엽(莖生葉)은 2장이다
    뿌리 : 지하경은 길이 2-13㎝이며 괴경은 지름이 1-1.8㎝로서 내부는 백색이다. 인편엽은 1개로서 길이 1-1.8㎝이며 기부에서 여러개의 줄기가 나와 높이 7-21㎝의 지상부을 형성한다
    분포 : 강원도 고지 낙엽 활엽수림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갈퀴현호색(C. grandicalyx B.Oh et Y.Kim): 꽃은 청색 또는 보라색으로 핀다.
    특징 : 갈퀴현호색에 비해 흰꽃이 핀다.
    file
    Read More
  13. 호작약

    학명 : Paeonia lactiflora f. pilosell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작약과(Paeoniaceae) target=_blank>작약과(Paeo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작약속(Paeonia) target=_blank>작약속(Paeonia)</a>
    이명 : 백작약 청진작약
    잎 : 잎은 호생하고 1~2회 우상으로 3출하며 소엽은 종종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좁은 도란형으로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엽병은 붉은빛이 돈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 또는 적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 5개 꽃잎은 10개이나 종종 겹꽃 수술은 다수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이고 내봉선으로 터진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며 자르면 붉은빛이 돈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잎뒤 맥 위에 털이 있다.
    file
    Read More
  14. 푸른천마

    학명 : Gastrodia elata f. viridis (Makino)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마속(Gastrodia) target=_blank>천마속(Gastrodia)</a>

    잎 : 인편엽은 막질이고 잔맥이 있으며 길이 1~2cm이고 드문드문 달리며 하부의 것은 짧은 초상엽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20~50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0~30cm이고 포는 피침형 또는 선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7~12mm이다. 외화피 3개는 합쳐져서 부풀기 때문에 찌그러진 단지 모양이고 상부가 3열하며 안쪽에 2개의 내화피가 있다. 순판은 난상 피침형으로 화통부 안쪽에 달린다. 암술은 2개의 날개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으로 길이 12~15mm이고 끝에 화피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장 타원형으로 길이 10cm 지름 3.5cm에 달하며 환상의 불분명한 선이 많고 괴경은 매년 다시 생긴다.

    형태 : Armillaria와 공생하는 다년초이다.

    특징 : 전체가 녹색이다.
    file
    Read More
  15. 털백선

    학명 : Dictamnus dasycarpus f. velutinus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선속(Dictamnus) target=_blank>백선속(Dictamnus)</a>
    이명 : 털검화 )
    잎 :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으로서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투명한 유점(油點)이 있으며 털이 많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2.5cm이고 꽃잎은 5개이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0.5-2cm로서 털과 더불어 선모(腺毛)가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와 더불어 처지지만 끝이 위로 향한다.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삭과는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가 90cm에 달한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청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백선
    특징 : 백선과 닮았으나 잎에 털이 많음
    file
    Read More
  16. 천남성

    학명 :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천남성과(Araceae) target=_blank>천남성과(A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남성속(Arisaema) target=_blank>천남성속(Arisaema)</a>
    이명 : 가새천남성 청사두초톱이아물천남성
    잎 : 잎은 1개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화서로 달린다. 불염포는 통부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화서의 부속체는 곤봉모양이다.
    열매 :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린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 반점이 있다.
    뿌리 :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구경이 2~3개 달리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구경 위의 인편은 얇은 막질이다.
    분포 : 전도에 나며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17. 줄민둥뫼제비꽃

    학명 :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f. variegata F.Mae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잎 : 잎은 삼각상 난형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다. 뒷면은 대개 자줏빛이 돌고 흰 털이 나며 길이 3~6cm이다.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연한 분홍색으로 꽃줄기의 길이 5~8cm 자주색 반점이 있다. 부수체는 난형 때로는 톱니가 있으며 거는 원주형이고 길이 6~7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다.

    뿌리 : 원줄기는 없다.
    분포 : 우리나라 일본 중국


    특징 : 민둥뫼제비꽃과 닮았으나 짙은녹색의 잎표면에 잎맥을 따라 흰 줄무늬가 있다.
    file
    Read More
  18. 산철쭉

    학명 :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H.Lev.) M.Sugim. ex T.Yama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달래속(Rhododendron) target=_blank>진달래속(Rhododendron)</a>
    이명 : 개꽃나무 물철쭉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8cm 폭 1-3c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특히 맥 위에 갈색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5mm로서 갈색털이 많다. 어린 순의 인편에는 끈끈한 점액이 있다. 엽병과 잎가에는 양면에 모두 갈색의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대에 털이 있고 가지끝에 2~3송이가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색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4-8m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화관은 연한 홍자색이고 지름 5-6cm로서 깔때기모양이며 4개로 갈라지고 상부의 꽃잎 내측에는 진홍색의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복모가 있다. 수술밥은 자색 암술은 길게 쑥 나와 있다. 화경 및 꽃받침에 끈적끈적한 액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8-10mm로 겉에는 긴 털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수피는 회황갈색이 나며 소지는 흰색의 털로 덮여 있다가 다음해에는 없어지고 화경과 더불어 점성이 있다.
    뿌리 : 천근성으로 세근이 많다.
    분포 : ▶일본에도 분포한다.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1 600m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다간형에 수관은 낙화산형이다.
    유사종 : ▶겹산철쭉(R. yedoense Maxim. et Regel 혹은 R. matsumurai Kom.): 꽃은 만첩인데 열매를 맺지 않는다. 경기도 이북에 자란다. ▶흰산철쭉(for. albiflora Chang): 순백색의 꽃이 핀다. 전남 불갑산에 자란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file
    Read More
  19. 산수국

    학명 : 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국속(Hydrangea) target=_blank>수국속(Hydrangea)</a>
    이명 : 털산수육 털수국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예첨두이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5-15cm 폭 2-10cm로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측맥과 뒷면 맥위에 털이 나 있다.
    꽃 : 7-8월에 당해에 자란 가지끝에 큰 산방화서가 달리며 털이 있고 그 둘레에 있는 무성화는 지름 2-3cm이며 꽃받침잎은 꽃잎같고 3-5개이며 백홍벽색이거나 벽색이다. 양성의 꽃은 꽃받침잎이 작고 꽃잎과 함께 각각 5개이다.(수국은 전부 무성화)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3-4mm이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 :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소형의 도란형 삭과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번성하고 소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 잔뿌리와 보통 뿌리가 있다.
    분포 :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표고 200-1 400m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반구형
    유사종 : ▶탐라산수국(for. fertilis NAK.): 둘레에 있는 꽃이 중성화가 아닌 양성화를 갖는다. ▶꽃산수국(for. buergeri NAK.): 무성화의 꽃받침에 거치가 있다. ▶떡잎산수국(for. coreana (NAK)T. Lee) : 잎이 특히 두껍다.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 중생식물로 여름에 백자색으로 피는 꽃은 야성적이면서도 청초한 느낌을 준다.
    file
    Read More
  20. 분홍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f. lilacin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선나무속(Abeliophyllum) target=_blank>미선나무속(Abeliophyllum)</a>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피며 총상화서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분홍색이고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回旋狀)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북 군자산록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A.distichum Nakai): 꽃은 백색 또는 분홍색. ▶상아미선(for. eburneum T. Lee): 꽃이 상아색 으로 핀다.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 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 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