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Scrophularia buergeriana Miq. |
|---|---|
|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
| 속명 | 현삼속(Scrophularia) |
|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난형이고 예두이며 절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2.5-5c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날개가 약간 있거나 없다. |
|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취산화서는 짧은 화경과 더불어 길이 1-2cm로서 선모가 많고 화서는 줄기 끝에서 모여 전체가 수상 원추화서로 되며 포가 작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난원형이다. 화관은 길이 6-7mm로서 통부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하순이 밑으로 젖혀지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
| 열매 | 삭과로서 난형이고 2각편으로 벌어진다. |
| 줄기 | 높이 80-150cm이며 사각형이고 가지는 곧게 자라며 털이 없다. |
| 뿌리 | 건조된 뿌리를 현삼(玄蔘)이라 한다. |
| 분포 | 산지에 분포하고 중남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만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초. |
| 유사종 | ▶토현삼(S. ningpoensis)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Read MoreNo Image
현삼
학명 : Scrophularia buergerian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난형이고 예두이며 절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2.5-5c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날개가 약간 있거나 없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취산화서는 짧은 화경과 더불어 길이 1-2cm로서 선모가 많고 화서는 줄기 끝에서 모여 전체가 수상 원추화서로 되며 포가 작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난원형이다. 화관은 길이 6-7mm로서 통부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하순이 밑으로 젖혀지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로서 난형이고 2각편으로 벌어진다.
줄기 : 높이 80-150cm이며 사각형이고 가지는 곧게 자라며 털이 없다.
뿌리 : 건조된 뿌리를 현삼(玄蔘)이라 한다.
분포 : 산지에 분포하고 중남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만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토현삼(S. ningpoensis)
-
Read MoreNo Image
토현삼
학명 :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가장자리에 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흑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고 원추화서는 취산화서가 모여 이루어지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짧고 작으며 끝이 뭉뚝하거나 또는 날카롭다.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형 예도로서 각편으로 벌어지고 종자는 세소하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모가 지며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분포 : 전남(완도)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남 충북(속리산) 강원(금강산) 경기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일월토현삼 var.velutina SAKADA : 원줄기 잎 엽병 및 화서에 털이 밀생하며 경북 일월산과 평북 대흥산에서 자란다.
특징 : ▶현삼에 비해 화서는 성기고 잎이 긴 난형이며 꽃자루는 길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큰개현삼
학명 :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큰돌현삼 큰현삼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긴 난형으로서 예첨두이고 절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6~10cm 폭 3~5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흑자색이며 취산화서는 모여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되고 소화경은 길이 7-15mm이다. 꽃받침은 짧으며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8-10mm로서 통부가 짧으며 가장자리가 5개로 갈라져서 순형으로 되고 하순이 밑으로 젖혀진다.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수술 4개 중 2개는 길며 화축과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서 지름 5~8mm이고 2개로 갈라지면서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다. 줄기는 자주색이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뿌리는 다육질의 괴근이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좀현삼
학명 : Scrophularia kakudensis var. microphyll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작은잎현삼
잎 : 잎은 대생하고 소형으로 길이 2~4cm 나비 1~2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수평이며 가장자리에 많은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암홍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는 모여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되며 소화경은 길이 7~15mm이고 화축과 더불어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짧으며 5열하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길이 약 8mm이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과실은 난형이다.
줄기 : 줄기는 네모지고 자줏빛이 돌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몇 개의 뿌리가 비대하여 방추형으로 된다.
-
Read MoreNo Image
제주현삼
학명 :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Yama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꽃 : 꽃은 7~8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가는 원추화서로 달리며 포는 소형으로 선상 피침형이다. 꽃받침은 5열하고 열편은 난형이며 화관은 길이 6~7mm이고 통부는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네모지고 털이 없다.
뿌리 : 뿌리의 1부는 방추형으로 비대하다.
-
Read MoreNo Image
일월토현삼
학명 : Scrophularia koraiensis var. melutina Sakata ex Uyeki & Sak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애기개현삼 우단현삼 털개현삼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가장자리에 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과 엽병에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흑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는 원추화서는 취산화서가 모여 이루어지며 화서에 털이 밀생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형 예두로서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원줄기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경북 일원산과 평북 대흥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섬현삼
학명 :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경생엽은 길이 4~7.5cm이지만 가장 큰 잎은 길이 12~18.5cm 폭 9~11cm로서 둔두이며 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크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화서는 길이 15~32cm로서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2.5~3mm 지름 5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서로 포개지고 열편은 둔두이며 길이 1.5mm 폭 3mm이고 화관은 길이 1cm 정도로서 녹색이 도는 자주색이며 통부는 길이와 지름이 각각 5~6mm이고 정열편은 길며 3개로 갈라진다. 암술대는 길이 2mm이지만 자라서 3mm 정도로 되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길이 8~9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에 날개가 있다.
분포 : 울릉도 해안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설령개현삼
학명 : Scrophularia borealikore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개현삼 개현삼아재비 구레이현삼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경생엽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에두 절저이고 길이 7~12cm 폭 4~10cm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엽병은 길이 7~15mm로서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흑자색이며 취산화서는 모여서 하나의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소화경에 선상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길이 2mm 지름 5mm로서 털이 없으며 화관은 길이 8-9mm이고 통부는 길이 5mm 지름 4mm이며 암술대는 길이 3~3.5mm이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상 구형이고 길이 5~8mm 지름 4~6mm이며 종자는 흑색이고 길이 1mm 정도로서 7개의 종선이 있으며 옆으로도 선이 있다.
줄기 : 높이 50-90cm이고 원줄기에 날개가 있으며 털이 없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몽울토현삼
학명 :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몽울개현삼 미륵개현삼
잎 : 잎은 대생하고 장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10~15cm 나비 4~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엽병은 짧다. 잎에 짧은 3각형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암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가 모여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고 화서는 짧고 거의 두상으로 모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털이 없다.
분포 : 서울(남산) 강원(금강산) 함남(원산 장진) 평북(낭림산 묘향산)에 나며 일본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개현삼
학명 : Scrophularia grayana Maxim. ex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잎 : 근엽은 꽃이 필때 쓰러지고 경엽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7~12cm 나비 4~10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약간 심형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은 길이 7~15mm로서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암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는 모여서 하나의 큰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선상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은 5열하고 화관은 짧은 통상 순형이며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상 구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모가 지며 날개가 있고 전주에 털이 없다.
분포 : 강원(해금강 대관령) 함남(서호진) 함북(황설령 주을 어대진 독진 청진 경성)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