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Meliosma oldhamii Maxim. |
|---|---|
| 과명 | 나도밤나무과(Sabiaceae) |
| 속명 | 나도밤나무속(Meliosma) |
| 이명 | 합대나무 |
|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혁질이고 9-15장이며 엽병이 짧고 난상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2-3.5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많고 끝이 거의 까락같은 낮은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엽축에 털이 있다. |
| 꽃 | 꽃은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각 분지에 꽃이 총상으로 달리고 꽃은 6월에 피며 백색이고 화경이 짧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3배 정도 길며 둥글고 자방에 밀모가 있다. 꽃받침은 4개 대형 꽃잎은 3개이다. |
|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7mm이며 9-10월에 붉게 성숙한다. |
|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가지는 굵으며 소지는 황갈색으로 털이 있다. |
| 분포 | 중부 이남에 자생.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
|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
| 유사종 | ▶나도밤나무(M. myriantha Sieb. et Zucc.): 잎은 어긋나며 길이 10-25㎝ 나비 4-8㎝의 도란상타원형으로 얇고 가장자리 끝이 예리하며 작은 톱니가 있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 tersbourg 12 : 64 (1867)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합다리나무
학명 : Meliosma oldham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8%EB%8F%84%EB%B0%A4%EB%82%98%EB%AC%B4%EA%B3%BC(Sabiaceae) target=_blank>나도밤나무과(Sa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밤나무속(Meliosma) target=_blank>나도밤나무속(Meliosma)</a>
이명 : 합대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혁질이고 9-15장이며 엽병이 짧고 난상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2-3.5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많고 끝이 거의 까락같은 낮은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엽축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각 분지에 꽃이 총상으로 달리고 꽃은 6월에 피며 백색이고 화경이 짧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3배 정도 길며 둥글고 자방에 밀모가 있다. 꽃받침은 4개 대형 꽃잎은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7mm이며 9-10월에 붉게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가지는 굵으며 소지는 황갈색으로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에 자생.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나도밤나무(M. myriantha Sieb. et Zucc.): 잎은 어긋나며 길이 10-25㎝ 나비 4-8㎝의 도란상타원형으로 얇고 가장자리 끝이 예리하며 작은 톱니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나도밤나무
학명 : Meliosma myrianth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8%EB%8F%84%EB%B0%A4%EB%82%98%EB%AC%B4%EA%B3%BC(Sabiaceae) target=_blank>나도밤나무과(Sa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도밤나무속(Meliosma) target=_blank>나도밤나무속(Meliosma)</a>
이명 : 나도합나리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얇으며 길이 10~25cm 나비 4-8cm로서 타원형 타원상 도란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예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의 털은 특히 다갈색이고 가장자리에 예리하고 작은 톱니가 있으며 측맥이 뚜렷하다.
꽃 : 새가지 끝에 원추화서는 길이와 나비가 각 15-25cm이고 6월에 백색 꽃이 피고 5수이다. 꽃잎은 3개는 원형 나머지 2~3개는 선형이며 수술도 3개은 비늘같고 2-3개은 완전하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핵과는 둥글고 지름 7mm정도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곧게 올라가며 수피는 갈색으로 피목이 많이 산재한다. 어린가지에 갈색의 선모가 있다.
분포 : 전라도 충청북도 황해도 앞바다 등의 표고 15~700m 사이에 자라며 전주 모악산에 좋은 나무가 자생하며 지리산 피하골계곡에는 잎에 노란 무뉘가 들어간 종이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은 타원형.
유사종 : ▶합다리나무(M. oldhamii Maxim.): 우상복엽(羽狀複葉)인 것.
특징 : 너도밤나무 나도밤나무 같은 나무의 전설을 갖고 있는 흥미있는 나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