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var. magnificus (Zabel) Hand.-Mazz. |
|---|---|
| 과명 | 두릅나무과(Araliaceae) |
| 속명 | 음나무속(Kalopanax) |
| 이명 | 큰엄나무 털엄나무 |
|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5-9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장상맥이 있고 길이와 폭이 각각 10-30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30cm(50cm)이다. |
| 꽃 | 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주축이 짧고 길이 8-15cm의 측지 10여개가 사방으로 퍼진 다음 끝에서 갈라지며 몇개의 산형화서가 달린다.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지름 5mm이며 황록색이고 포는 길이 1-2cm로서 빨리 떨어지며 소화경은 길이 7-10mm이고 꽃잎과 수술은 각각 4-5개이다. 자방은 하위이며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
| 열매 | 열매는 거의 둥글며 길이 4mm 지름 6mm로서 10월에 흑색으로 익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반원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4-5mm 폭 3mm이다. |
| 줄기 | 가지에 가시가 많다. |
| 분포 | 전국 각처. |
| 형태 | 낙엽활엽교목. |
| 유사종 | ▶음나무(K. pictus Nakai): 잎은 길이와 넓이가 10~30㎝로서 크며 손바닥모양으로 갈라진다. ▶가는잎음나무(var. maximowiczii Nakai): 잎이 깊게 갈라지고 뒷면에 백색털이 있는 것. |
| 특징 | 동아시아에 1종 우리 나라에는 1종 2변종이 분포한다. 음나무와 비슷하나 열매가 달리는 가지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흰색 털이 난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Symb. Sin. 7 : 699 (Hand.-Mazz., 1933) |
|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
-
Read MoreNo Image
털음나무
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var. magnificus (Zabel) Hand.-M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91%90%EB%A6%85%EB%82%98%EB%AC%B4%EA%B3%BC(Araliaceae) target=_blank>두릅나무과(Ara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음나무속(Kalopanax) target=_blank>음나무속(Kalopanax)</a>
이명 : 큰엄나무 털엄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5-9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장상맥이 있고 길이와 폭이 각각 10-30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30cm(50cm)이다.
꽃 : 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주축이 짧고 길이 8-15cm의 측지 10여개가 사방으로 퍼진 다음 끝에서 갈라지며 몇개의 산형화서가 달린다.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지름 5mm이며 황록색이고 포는 길이 1-2cm로서 빨리 떨어지며 소화경은 길이 7-10mm이고 꽃잎과 수술은 각각 4-5개이다. 자방은 하위이며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거의 둥글며 길이 4mm 지름 6mm로서 10월에 흑색으로 익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반원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4-5mm 폭 3mm이다.
줄기 : 가지에 가시가 많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음나무(K. pictus Nakai): 잎은 길이와 넓이가 10~30㎝로서 크며 손바닥모양으로 갈라진다. ▶가는잎음나무(var. maximowiczii Nakai): 잎이 깊게 갈라지고 뒷면에 백색털이 있는 것.
특징 : 동아시아에 1종 우리 나라에는 1종 2변종이 분포한다. 음나무와 비슷하나 열매가 달리는 가지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흰색 털이 난다.
-
Read MoreNo Image
음나무
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91%90%EB%A6%85%EB%82%98%EB%AC%B4%EA%B3%BC(Araliaceae) target=_blank>두릅나무과(Ara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음나무속(Kalopanax) target=_blank>음나무속(Kalopanax)</a>
이명 : 개두릅나무당엄나무당음나무멍구나무엄나무 엉개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5-9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각 10~30cm이며 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장상 맥이 있고 표면에 진녹색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녹색 맥액에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30(때로는 50)㎝이다.
꽃 : 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주축이 짧고 길이 8-15cm의 측지 10 여개가 사방으로 퍼진 다음 끝에서 갈라지며 몇 개의 산형화서가 달린다. 꽃은 양성화로 7-8월에 피고 지름 5mm이며 황록색이고 포는 길이 1-2cm로서 빨리 떨어지며 소화경은 길이 7-10mm이고 꽃잎과 수술은 각 4-5개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매우 작은 편이며 핵과로 거의 둥글고 길이 4mm 지름 6mm로서 9-11월에 흑색으로 익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반월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4-5mm 폭 3mm이다.
줄기 : 높이가 25m에 달하고 가지에 가시가 많다. 어려서 달렸던 가지는 오래되면서 떨어지며 수피는 회갈색으로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다.
뿌리 : 근피를 해동피라 하여 약재로 이용한다.
분포 : ▶일본과 사할린 오키나와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라북도 강원도 등의 표고 100~1 800m에서 자라며 표고 400~500m 부근이 중심지대가 되며 용평 발왕산 주변에 대규모 자생지가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털음나무(var. magnificus Nakai): 잎 뒷면에 밀모가 많이 나며 경기도 광릉에서 난다. ▶가는잎음나무(var. maximowiczii Nakai): 과지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백색 털이 다소 있다.
특징 : ▶천연기념물 지정되어 있다 제164호 - ⓐ소재지:경상남도 창원군 동면 신방리의 음나무 군락 ⓑ면적:661㎡ ⓒ지정사유:노거수 ⓓ수령:700년 제305호 - ⓐ소재지: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면적:1주 31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700년 제306호 - ⓐ소재지: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면적:1주 31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50년 제363호 - ⓐ소재지:강원도 삼척군 근덕면 ⓑ면적:1주 32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1000년 ⓓ나무
-
Read MoreNo Image
가는잎음나무
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var. maximowiczi (VanHoutte) Hand.-M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91%90%EB%A6%85%EB%82%98%EB%AC%B4%EA%B3%BC(Araliaceae) target=_blank>두릅나무과(Ara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음나무속(Kalopanax) target=_blank>음나무속(Kalopanax)</a>
이명 : 가는잎엄나무 간은닢음나무 간은잎음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5-9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장상맥이 있고 길이와 폭이 각각 10-30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액에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30cm(50cm)이다. 과지(果枝)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백색털이 다소 있다.
꽃 : 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주축이 짧고 길이 8-15cm의 측지 10여개가 사방으로 퍼진 다음 끝에서 갈라지며 몇개의 산형화서가 달린다.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지름 5mm이며 황록색이고 포는 길이 1-2cm로서 빨리 떨어지며 소화경은 길이 7-10mm이고 꽃잎과 수술은 각각 4-5개이다. 자방은 하위이며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거의 둥글며 길이 4mm 지름 6mm로서 10월에 흑색으로 익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반원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4-5mm 폭 3mm이다.
줄기 : 가지에 가시가 많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음나무(K. pictus Nakai): 잎의 길이와 넓이는 10~30㎝로서 크며 손바닥모양으로 갈라진다. ▶털음나무(var. magnificus Nakai): 잎 뒷면에 밀모가 있는 것.
특징 : 음나무와 비슷하나 열매가 달리는 가지의 잎이 깊이 갈라지고 뒷면에 흰색털이 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