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털상동나무

조회 수 1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Sageretia theezans f. tomentosa (C.K.Schneid.) Hara
과명 갈매나무과(Rhamnaceae)
속명 상동나무속(Sageretia)
잎은 호생하고 일부가 월동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1-3cm 나비 1-1.5c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하고 엽병은 길이 2-7mm로 털이 있다. 잎이 가을철 황색으로 변한다.
꽃은 양성으로 10-11월에 피고 2개 또는 여러 개가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길이 2-5cm 의 수상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서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지름 3.5mm로 황색이고 5수성이며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꽃잎이 꽃받침보다 훨씬 짧고 자방은 3실이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지름 3-5mm이고 다음해 4-5월에 흑자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소지에 8줄의 능선과 갈색 잔털이 있으며 끝이 흔히 가시로 변한다.
분포 남쪽 섬의 표고 200m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반상록성 활엽관목
유사종 ▶상동나무(S. theezans Brongn.): 잎은 길이 1-3㎝ 나비 1.0-1.5㎝의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잔톱니가 있으며 가죽질이다. 잎 뒷면에는 털이 없고 엽병에만 약간 있다.
특징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황색의 꼬리모양으로 길게 늘어진 화서가 특이하며 개화 및 결실의 시기가 일반 수종과 반대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En. Sp. Jap. 3, 130 (1954)
참고문헌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1. No Image

    헛개나무

    학명 : Hovenia dulcis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헛개나무속(Hovenia) target=_blank>헛개나무속(Hovenia)</a>
    이명 : 고려호리깨나무 민헛개나무 볼게나무 호리깨나무 홋개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이그러진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고 길이 8-15cm 나비 6-12cm로서 표면은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탁엽이 없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취산화서는 가지 끝 부근에서 액생 또는 정생하고 털이 없으며 지름 4-6cm로서 소화경이 짧고 열매가 달리면 굵어지며 꽃은 양성으로서 5수이고 지름 7mm정도이며 7월에 녹색으로 핀다. 꽃받침잎은 난형이고 꽃잎은 비틀리며 밑부분이 뾰족하고 화반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갈색이 돌며 지름 8mm로서 3실에 각 1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편평하며 외과피는 윤기가 있고 다갈색이며 과경은 불규칙하게 살이 쪄서 달기 때문에 먹을 수 있고 술을 부패시키는 작용이 있다. 열매가 특이하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고 동아는 2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수피는 보통 검은 갈색이다.

    분포 : 중부이남의 표고 50~800m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황해도 등에 분포하며 주왕산 오대산 태백산 월악산 등에 자란다. ▶일본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

    특징 : 생장이 빠르고 맹아력이 강하다.
    Read More
  2. No Image

    털상동나무

    학명 : Sageretia theezans f. tomentosa (C.K.Schneid.)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상동나무속(Sageretia) target=_blank>상동나무속(Sageretia)</a>

    잎 : 잎은 호생하고 일부가 월동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1-3cm 나비 1-1.5c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하고 엽병은 길이 2-7mm로 털이 있다. 잎이 가을철 황색으로 변한다.
    꽃 : 꽃은 양성으로 10-11월에 피고 2개 또는 여러 개가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길이 2-5cm 의 수상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서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지름 3.5mm로 황색이고 5수성이며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꽃잎이 꽃받침보다 훨씬 짧고 자방은 3실이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지름 3-5mm이고 다음해 4-5월에 흑자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소지에 8줄의 능선과 갈색 잔털이 있으며 끝이 흔히 가시로 변한다.

    분포 : 남쪽 섬의 표고 200m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반상록성 활엽관목
    유사종 : ▶상동나무(S. theezans Brongn.): 잎은 길이 1-3㎝ 나비 1.0-1.5㎝의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잔톱니가 있으며 가죽질이다. 잎 뒷면에는 털이 없고 엽병에만 약간 있다.
    특징 :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황색의 꼬리모양으로 길게 늘어진 화서가 특이하며 개화 및 결실의 시기가 일반 수종과 반대이다.
    Read More
  3. No Image

    털갈매나무

    학명 : Rhamnus koraiensis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잎 :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며 원형 또는 난형이고 급한 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4-7cm 나비 4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약간 안으로 꼬부라진 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황록색이고 짧은 가지의 끝 부근 또는 긴 가지 기부의 엽액에 1-3개가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7mm로서 털이 있다. 수꽃의 암술은 퇴화되어 작고 암꽃은 자방은 2-3실로서 둥글며 암술대가 2-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원형 또는 난상 구형이고 1-3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흑색으로 익고 소과경은 길이 3-10mm이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는 황갈색이며 잔털이 있고 끝이 흔히 가시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참갈매나무(var. nipponica Makino): 잎이 3-16cm 나비 2.5cm이고 양면이 거의 같은 색이며 뒷면의 중륵이 뚜렷하고 엽병의 길이가 10-25mm이며 열매의 지름이 7mm이고 종자에 깊은 홈이 있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Read More
  4. No Image

    청사조

    학명 : Berchemia racemosa Siebold & Zucc. var. racemos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먹넌출속(Berchemia) target=_blank>먹넌출속(Berchemia)</a>

    잎 : 잎은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 2개씩 나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13cm 나비 4.5-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7-8쌍의 측맥이 있다. 맥 위에 갈색 털이 있고 끝이 다소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윤채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7-8월에 많은 녹백색 꽃이 피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며 좁은 삼각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작고 수술은 5개로서 꽃잎보다 길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 핵과는 타원형이고 녹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을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만경식물로 옆으로 비스듬히 엉키고 가지는 먹칠을 한 듯이 검은 자록색이 돌며 털이 없다.

    분포 : 군산 水源地에서 자란다.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만경목
    유사종 : ▶먹넌출(var. magna Makino): 청사조에 비해 잎이 크며(길이 8-13㎝ 너비 4.5-7㎝) 충남 서산군 안면도에서 자란다.
    특징 :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고 학술적 연구가치가 있다. 맹아력이 강하고 수세도 강건하게 생장한다.
    Read More
  5. No Image

    참갈매나무

    학명 : Rhamnus ussuriensis J.Vas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잎 : 엽서는 대생 또는 아대생이나 단지에서는 속생이다. 잎은 타원상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6cm 나비 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엽맥에 털이 있고 양면이 거의 같은 색이며 뒷면의 중륵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0-25mm이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가지 밑 부근의 엽액에 1-2개씩 달리며 4수이고 수술에 흔적화된 암술이 있으며 암꽃에 꽃밥이 없는 수술이 있다. 꽃받침잎은 난형 또는 삼각상 피침형이고 꽃잎은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고 9-10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열매의 지름은 7mm이고 종자에 깊은 홈이 있다.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고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다. 수피는 암회갈색으로서 환상으로 벗겨진다.

    분포 : 전국의 산야에 자라며 중국과 몽골 러시아극동부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갈매나무(R. koraiensis Schneid.) ▶갈매나무(R. davurica Pall.): 잎은 길이 5-10cm 나비 5 3cm의 긴타원형으로 잎 끝은 뾰족하며 엽저는 예저이다.

    Read More
  6. No Image

    짝자래나무

    학명 : Rhamnus yoshinoi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이명 : 갈매나무 만주갈매나무 만주짝자래 만주짝자래나무 민연밥갈매 연밥갈매나무 자래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타원상 도란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한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8cm 폭 1~4cm로서 어릴 때는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황록색이고 5-6월에 피며 4수성이며 엽액에 1~3송이씩 달리고 수꽃의 암술과 암꽃의 수술이 거의 퇴화된다. 꽃받침과 꽃잎은 4개씩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9월에 검게 익으며 넓은 도란상 원형이며 소과경은 길이 7-20mm이고 종자는 기부에 구멍이 있다.
    줄기 : 소지는 녹색 또는 홍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화갈색이고 가지 끝이 대개 가시로 변한다.

    분포 : 충청 남도와 경기도를 제외한 전국 각처
    형태 : 낙엽 관목
    유사종 : ▶털갈매나무 ▶만주짝자래나무 (var.mandshurica T.LEE) : 어린 가지에 털이 있고 잎 표면에 복모가 밀생하며 뒷면 맥 위와 엽병에 털이 있으며 강원도 이북 및 지리산에서 자란다.
    특징 : 털갈매나무에 비해 잎이 좁고 뒷면에 털이 없음
    Read More
  7. No Image

    좀갈매나무

    학명 : Rhamnus taquetii (H.Lev.) H.L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이명 : 섬갈매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짧은 가지에서는 무더기로 난다.도란형이고 단첨두(短尖頭)이며 길이 1~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7-10mm로서 털이 거의 없거나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고 4수이며 1-2개씩 엽액에 달리고 수꽃의 꽃받침잎은 피침형 또는 삼각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피침형이고 꽃받침 길이긔 1/2정도이지만 수술보다는 길며 자방이 극히 작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도란상 구형이고 소과경은 길이 4-7mm이며 종자는 밑부분에 세로로 긴 구멍이 있다.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소지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벚나무와 비슷하고 가지 끝이 흔히 가시로 변한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의 산 중턱 이상(표고 1 000m이상)에서 드물게 난다.
    형태 : 낙엽 관목
    유사종 : ▶털갈매나무(R. koraiensis Schneider): 잎의 길이가 4-7㎝로서 양면에 털이 있다.

    Read More
  8. No Image

    연밥갈매나무

    학명 : Rhamnus shozyo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이명 : 연밥갈매
    잎 : 잎은 대생 또는 아대생하며 선상 피침형 선상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길이 3.5-11cm 나비 6-25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6-18mm로서 털이 없으며 탁엽은 일찍 떨어지고 길이 3m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 짧은 가지의 끝이나 긴 가지 밑의 잎겨드랑이에 1~2송이씩 달림.
    열매 : 소과경은 길이 7mm이며 열매는 핵과로 도란형이고 길이 10mm 나비 7mm로서 흑색으로 익으며 털이 없고 2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복면 중앙부에 구멍이 있다.
    줄기 : 소지는 갈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늙은 가지는 회색이고 끝이 대개 가시로 변한다.

    분포 : 평안 북도 창성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
    유사종 : 참갈매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좁고 열매가 긴 것이 다르다.

    Read More
  9. No Image

    신갈매나무

    학명 : Rhamnus diamantiac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3~4.5cm 나비 2~2.5cm이며 밑은 쐐기모양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엽병은 평활하며 엽병은 길이 4~13mm이다.
    꽃 : 꽃은 연한 황색으로 5월에 피며 단지(短枝) 끝에 모여난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도란형이며 지름 4~5mm이고 9월에 흑색으로 성숙하며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기부에 둥근 구멍이 있다.
    줄기 : 가지를 많이 치며 수피는 광택이 있고 암갈색이며 가지 끝은 가시로 변한다.

    분포 : 한반도(강원-금강산 함경남도) 만주 아무르 우수리
    형태 : 낙엽활엽관목이다.

    특징 : 돌갈매나무에 비해 잎은 대생하고 길이 3-4.5cm이며 평활하고 털이 없으며 임지에 난다.
    Read More
  10. No Image

    상동나무

    학명 : Sageretia theezans (L.) Brong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상동나무속(Sageretia) target=_blank>상동나무속(Sageretia)</a>

    잎 : 잎은 호생하고 일부가 월동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1-3cm 너비 1-1.5c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7mm로 털이 있다. 잎이 가을철 황색으로 변한다.
    꽃 : 꽃은 양성으로 10-11월에 피고 2- 여러 개가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길이 2-5cm 의 수상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서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지름 3.5mm로 황색이고 5수성이며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꽃잎이 꽃받침보다 훨씬 짧고 자방은 3실이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지름 3-5mm이고 다음해 4-5월에 흑자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소지에 8줄의 능선과 갈색 잔털이 있으며 끝이 흔히 가시로 변한다.

    분포 : 남쪽 섬의 표고 200m 이하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대만 중국 인도 필리핀 버마 등에도 분포한다.
    형태 : 반상록성 활엽관목
    유사종 : ▶털상동나무(for. tomentosa Hara) :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한다.
    특징 : 개화 및 결실의 시기가 일반 수종과 반대이며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황색의 꼬리모양으로 길게 늘어진 화서가 특이하다.
    Read More
  11. No Image

    산황나무

    학명 : Rhamnus cren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예저 또는 약간 아심장저이고 길이 5-11cm이다. 잎 표면은 연한 녹색이며 중륵에 털이 있고 뒷면은 갈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져 맥 위의 것만 남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털이 있다.
    꽃 : 취산화서는 액생하고 5-10개의 양성화가 달리며 꽃은 6-7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5수성이고 암술은 1개이지만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3실이다. 화서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열매 : 열매는 장과 모양의 핵과로 원형 또는 도란상 구형이고 지름 6-8mm로서 2-3개의 홈이 있으며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붉은빛이 돌지만 8-9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도란형 또는 도란상 구형이며 겉에 홈이 없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소지는 갈색이며 짧은 털이 있으나 이년지는 털이 없고 다소 자갈색으로 된다.

    분포 : 제주도와 목포 수달산 등 남쪽 해안의 표고 70-1 100m의 산야에서 자라지만 해안을 따라 인천까지 자란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Read More
  12. No Image

    보은대추나무

    학명 : Zizyphus jujuba var. hoonensis (T.H.Chung)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추나무속(Zizyphus) target=_blank>대추나무속(Zizyphus)</a>
    이명 : 보은대추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윤채가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2-6cm 나비 1-2.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고 잎 뒷면에 털이 약간 있다. 엽병은 길이 1-5mm이다. 묏대추와 달리 탁엽이 변한 가시는 흔적 뿐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6월에 피며 지름 5-6mm이고 5수이며 연한 녹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며 짧은 화경이 있다.
    열매 : 핵과는 타원형이고 길이 2.5-3.5cm로서 9-10월에 적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익는다. 묏대추에 비해 과육이 많고 외관상 대추와 다름 없으나 종자에는 인(仁)이 없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이며 소지는 한군데에서 여러개가 나오고 겨울을 나면서 고사하여 일부가 떨어진다. 가지 끝에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100~500m 수평적으로 경북 충북 경기도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대추나무(Z. jujuba var. inermis Rehder) ▶묏대추나무(Z. jujuba)
    특징 : 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에 속하는 교목성 과수로서 중국계 대추와 인도계 대추 등 생태형이 전혀 다른 2종이 재배되고 있다. 잎이 늦게 나오기 때문에 양반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추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풍흉의 변이가 심하며 개화기의 기상조건 즉 강우 저온 일조부족 등에 풍흉이 좌우된다. 그러나 다행히 근래에 식재되는 대추나무는 이런 불리한 기상조건에서도 결실이 잘 되는 우량 품종들이 확대 보급되고 있으므로 비교적 안정된 대추 생산이 가능할
    Read More
  13. No Image

    묏대추나무

    학명 : Zizyphus jujuba Mill. var. jujub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추나무속(Zizyphus) target=_blank>대추나무속(Zizyphus)</a>
    이명 : 메대추묏대추 산대추산대추나무 살매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卵形)이며 윤채가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2~6cm 나비 1-2.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한다. 엽병은 길이 1-5mm이고 탁엽은 흔히 길이 3cm의 가시로 변한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6월에 피며 지름 5-6mm이고 5수이며 연한 녹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2-3개씩 달리며 잔꽃이고 화경이 짧다.
    열매 : 핵과는 구형(球形)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로서 9-10월에 암갈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먹을 수 있으나 대추나무에 비하여 과육이 적다.
    줄기 : 가지 끝과 잎 뒷면에 털이 약간 있고 소지는 한군데에서 여러 개가 나오며 일부가 떨어진다. 수피는 회색으로 평활하며 대추나무처럼 표피가 벗겨지지 않는다.

    분포 : 표고 100~500m 수평적으로 전남 전북 강원 충남 경기 황해 평남 함남 함북에서 재배한다. ▶남유럽 중국 만주 몽고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대추나무(var.inermis Rehder) : 키가 크고 탁엽이 변한 가시는 흔적 뿐이며 열매는 길이 2.5-3.5cm로서 타원형이고 과육이 많다. ▶보은대추(var.hoonensis T.Lee)(Zizyphus vulgaris var. hoonensis kawamota) : 외관상 대추와 다름 없으나 종자에 인이 없다. ▶갯대추(Paliurus ramosissimus Poir.): 제주도에서 자라는 낙엽교관으로 꽃은 8-9월에 피며 열매는 반

    Read More
  14. No Image

    먹넌출

    학명 :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먹넌출속(Berchemia) target=_blank>먹넌출속(Berchemia)</a>
    이명 : 왕곰버들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13cm 나비 4.5-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맥 위에 갈색 털이 있고 끝이 다소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윤채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여름철(5-8월)에 많은 녹백색 꽃이 피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며 좁은 삼각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작고 수술은 5개로서 꽃잎보다 길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 핵과는 타원형이고 녹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을(6-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만경식물로 옆으로 비스듬히 엉키고 가지는 먹칠을 한 듯이 검은 자록색이 돌며 털이 없다.

    분포 : 충남 안면도의 솔밭 근처에서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기본종은 청사조라고 하며 군산 수원지에서 자란다.
    특징 :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고 학술적 연구가치가 있다. 먹넌출이란 먹칠은 한 듯한 덩굴이라는 뜻인 듯하다. 맹아력이 강하고 수세도 강건하게 생장한다.
    Read More
  15. No Image

    망개나무

    학명 :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먹넌출속(Berchemia) target=_blank>먹넌출속(Berchemia)</a>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7~12cm 나비 3-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분백색으로서 털이 없거나 맥액 근처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6-10mm로서 털이 없다.
    꽃 : 화서는 털이 없고 가지 가지 끝 부근의 엽액에 달리는 취산화서이거나 또는 가지 끝에 달리는 총상화서로서 화경이 짧으며 꽃은 양성으로서 6월피고 황록색이며 지름 3-3.5mm이고 5수이며 소화경은 길이 2-4mm이다. 꽃잎은 타원형인데 악편보다 짧다. 수술은 5개이고 화사는 짧다. 포와 소포는 작고 빨리 떨어지며 암술대는 1개이고 기부에서 떨어지며 암술머리는 미요두이거나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좁고 긴타원형이고 길이 7~8mm로서 가을(8~9월)에 먼저 노란빛이 돌고 그 뒤 붉게 되며 나중에는 암적색으로 되어 성숙한다.
    줄기 : 가지는 적갈색이고 작은 피목이 산재하며 원줄기는 곧게 자라지만 가지는 늘어지고 수피는 세로로 잘게 갈라진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내연산과 속리산의 화양계곡 주왕산 월악산 등 충청북도 및 경상북도의 표고 400m 이하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원개형.

    특징 : ▶천연기념물 ①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의 망개나무는 천연기념물 207호로 1968년 6월 21일 지정되어있다. ⓐ지정사유:희귀수종 ⓑ나무높이:12m ⓒ가슴높이줄기둘레:0.78m ②제266호 - ⓐ소재지: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면적:1 116 046㎡ ⓒ지정사유:희귀수종 자생지 ③제337호 - ⓐ소재지:충청북도 제천군 한수면 ⓑ면적:1.256㎡ ⓒ지정사유:노거수 ⓓ수령:150년 ⓔ나무높이:15m ▶세계적으로 희귀한 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
    Read More
  16. No Image

    돌갈매나무

    학명 : Rhamnus parvifolia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이명 : 산갈매나무
    잎 : 잎은 대생 또는 아대생하며 타원상 도란형 도는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 톱니가 있고 길이 1.5~3.5cm 폭1.5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흔히 털이 있고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털이 없거나 맥액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16mm로서 털이 없으며 탁엽이 오랫동안 달려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1~2송이의 꽃이 짧은 가지의 끝 부분이나 긴 가지 기부의엽액에 달리고 화경은 짧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5~10mm로서 털이 없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 기부에 구멍이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에는 털이 거의 없고 가시가 있다.

    분포 : 강원도 이북 평안 북도 함경 남북도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R.ciamantica 는 본 종의 개체변이에 불과하다.

    Read More
  17. No Image

    대추나무

    학명 :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추나무속(Zizyphus) target=_blank>대추나무속(Zizyphus)</a>
    이명 : 녀초 대추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윤채가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2-6cm 넓이 1-2.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묏대추와 달리 탁엽이 변한 가시는 흔적뿐이다.
    꽃 : 꽃은 연한 녹색의 양성화로 5-6월에 피며 지름 5-6mm이고 5수이며 연한 녹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2-3개씩 달리며 짧은 화경이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5-3.5㎝인 타원형의 핵과로서 9-10월에 적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익는다. 묏대추에 비해 과육이 많다.
    줄기 : 수피는 회갈색이며 가지 끝에 털이 약간 있다. 소지는 한군데에서 여러개가 나오고 겨울을 나면서 고사하여 일부가 떨어진다.

    분포 : ▶중국과 일본 남유럽 등지에도 분포한다. ▶추운 고산지대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500m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보은대추(var. hoonensis T. Lee) : 종자에 인(仁)이 없는 것.
    특징 : 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에 속하는 교목성 과수로서 중국계 대추와 인도계 대추 등 생태형이 전혀 다른 2종이 재배되고 있다. 잎이 늦게 나오기 때문에 양반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추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풍흉의 변이가 심하며 개화기의 기상조건 즉 강우 저온 일조부족 등에 풍흉이 좌우된다. 그러나 다행히 근래에 식재되는 대추나무는 이런 불리한 기상조건에서도 결실이 잘 되는 우량 품종들이 확대 보급되고 있으므로 비교적 안정된 대추 생산이 가능할
    Read More
  18. No Image

    까마귀베개

    학명 : Rhamnella frangulioides (Maxim.) Weber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까마귀베개속(Rhamnella) target=_blank>까마귀베개속(Rhamnella)</a>
    이명 : 가마귀마개 가마귀베개 망개나무 푸대추나무 헛갈매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6-12cm 너비 2.5-4c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맥 위에 잔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3-8mm이며 탁엽은 작다.
    꽃 : 꽃은 양성으로 2-15개씩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며 잔털이 있고 화경이 짧으며 화관은 지름 3.5mm이고 황록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2-4mm이다. 삼각상 난형이고 뚜렷하지 않은 3맥이 있는 꽃받침과 작고 넓은 도란형인 꽃잎은 각각 5수성이며 5-7월에 개화한다. 자방은 2실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원통상 타원형이고 길이 8-10mm 지름 3-4.5mm로 처음에는 황색이지만 흑색으로 7-10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원통형이며 백색이고 길이 10mm로서 잔줄이 있다.
    줄기 : 수피는 암갈색으로 회백색의 반점이 있고 어린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남쪽의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며 제주도에서는 표고 1 100m까지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또는 소교목

    특징 : 잎의 질감이 곱고 진하며 황색 홍색 흑색의 열매가 조화를 이루어 매우 아름답다.
    Read More
  19. No Image

    갯대추나무

    학명 : 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갯대추나무속(Paliurus) target=_blank>갯대추나무속(Paliurus)</a>
    이명 : 개대추나무갯대추
    잎 : 잎은 호생하며 지질이고 난상 원형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3.5-6cm 나비 2.5-4.5cm로서 기부에 3개의 큰 맥이 있으며 표면에 털이 있지만 곧 없어지고 뒷면은 어릴 때 특히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3-8cm로서 털이 다소 있고 어린나무에 탁엽이 변하 가시가 있으나 늙으면 없어진다.
    꽃 : 취산화서는 소지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며 화경이 짧고 갈백색 털이 밀생하며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5mm로서 연한 녹색이며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은 각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반구형이며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날개로 되고 지름 12-20mm로서 재두이며 백갈색 복모로 덮여 있는 건과乾果이고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3m에 달하고 지엽이 밀생하며 가지에 갈백색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지고 회백갈색으로 된다.

    분포 : 주로 제주도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관목


    Read More
  20. No Image

    갈매나무

    학명 : Rhamnus davurica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8%EB%A7%A4%EB%82%98%EB%AC%B4%EA%B3%BC(Rhamnaceae) target=_blank>갈매나무과(Rham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매나무속(Rhamnus) target=_blank>갈매나무속(Rhamnus)</a>
    이명 : 참갈매나무
    잎 : 잎은 대생 또는 아대생하며 타원상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5-10cm 너비 5.3cm이다. 가장자리에 둔한 잔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없거나 엽맥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엽병은 길이 6-25mm이며 탁엽은 가늘고 빨리 떨어진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가지 아랫부근의 엽액에 1-2개 또는 10여개 이상이 모여 달리며 4수성이다. 수술에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암꽃에 꽃밥이 없는 수술이 있다. 꽃받침잎은 난형 또는 삼각상 피침형이고 꽃잎은 긴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상 핵과로 둥글고 지름 5-7mm이며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하며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종자는 뒷면에 홈이 진다.
    줄기 : 수피는 암회색으로 무늬가 옆으로 나며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갈매나무(R. koraiensis Schneid.) ▶참갈매나무(var. nipponica Makino): 갈매나무에 비해 잎이 세장하다.길이 3-16cm 나비 2-5cm이고 양면이 거의 같은 색이며 뒷면의 중륵이 뚜렷하고 엽병의 길이가 10-25mm이며 열매의 지름이 7mm이고 종자에 깊은 홈이 있다.
    특징 : 밑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만들며 맹아력도 왕성하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