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Gazania rigens (L.) Gaertn. |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태양국속(Gazania) |
| 잎 | 잎은 바소꼴로 흰 털이 난다. |
| 꽃 | 7~9월에 지름 7~8cm의 등황색 꽃이 핀다. 꽃잎 중앙에 갈색과 흰색의 테가 선명하게 생긴다. |
| 줄기 | 줄기는 옆으로 넘어지기 쉬우며 20~30cm로 자란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Fruct. 2: 451 () Fruct. Sem. Pl. 2 : 451 (Gaertn., 1791) |
-
Read MoreNo Image
털가침박달
학명 : Exochorda serratifolia var. olig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침박달속(Exochorda) target=_blank>가침박달속(Exochorda)</a>
이명 : 털까침박달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5~9cm로서 난상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상반부에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양면에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5월 중순에 피며 지름 4cm이고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1-2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난형이고 꽃이 지면 떨어지며 꽃잎도 5개로서 백색이고 도란형이며 끝이 오목하다. 수술은 25개 암술대는 5개이고 자방은 5개의 심피가 합생하며 종자가 1-2개씩 들어 있고 날개가 있다.
열매 : 열매는 9월에 익으며 삭과는 난형으로 모가 지고 익으면 뒷면이 터지면서 날개가 달린 종자가 튀어 나온다.
줄기 : 높이 1-5m이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소지는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이며 털이 없고 백색 피목이 산재한다.
분포 : 황해도 및 함경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가침박달(E. serratifolia Moore): 잎은 어긋나고 길이 5-9㎝의 타원형으로 상반부에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양면에 털이 없다. 털가침박달과 달리 화서에 꽃이 3-6개씩 달린다.
-
Read MoreNo Image
털가문비나무
학명 : Picea pungsanensis var. intercedens (Naka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문비나무속(Picea) target=_blank>가문비나무속(Picea)</a>
이명 : 별종비 오리가문비 털풍산종비
잎 : 잎은 네모가 지며 길이 12-25㎜이지만 보통 20㎜로서 구부러지고 엽흔(葉痕)은 도란형(倒卵形)이다.
꽃 : 포(苞)는 피침형(披針形)이고 점첨두(漸尖頭)이다.
열매 : 구과(毬果)는 난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55-70㎜ 지름 25-30㎜이며 실편(實片)은 도란형이고 끝이 좁은 둔두(鈍頭)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연한 녹황갈색(綠黃褐色)이고 뒷면에 세로로 주름이 지며 윤채(潤彩)가 없다. 종자(種子)는 난형으로서 암갈색이고 길이 4-4.5㎜ 폭 1.5-2㎜이며 날개는 타원형으로서 연한 황갈색이고 길이 8-9㎜ 폭 4㎜정도이다.
줄기 : 연한 황갈색 또는 연한 황록색이며 동아(冬芽)에 털이 없고 수지(樹指)가 약간 있다. 가지에 털이 있다.
분포 : 함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고산성 상록 침엽 교목이다.
유사종 : ▶풍산가문비 (Picea pungsanensis UYEKI) ▶종비나무 (Picea koraiensis Nakai)
특징 : 종비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길며 실편이 얇고 주름살이 지며 끝이 톱니모양 비슷하게 되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터리풀속(Filipendula) target=_blank>터리풀속(Filipendula)</a>
이명 : 민터리풀
잎 : 근생엽은 1회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은 길이 16cm 폭25cm로서 단풍잎처럼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측소엽은 6-9쌍이며 길이와 폭이 각 1-20mm로서 작은 것과 큰 것이 교대로 달린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측소엽은 1-7쌍이며 탁엽은 피침상 큰 타원형이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 끝의 취산상 산방화서에 밀생하여 달리고 털이 없다. 꽃받침열편은 4-5개이며 나중에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4-5개로서 둥글며 밑부분이 짧게 뾰족해지고 길이 3mm 정도이다. 수술이 꽃잎보다 훨씬 길며 많고 심피는 5개로서 앞뒤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난상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는 1m이고 곧게서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뿌리 : 목질화된 굵은 근경에서 짧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단풍터리풀(F. multijuga Max.) : 주로 북부지방에 자생한다.
특징 : ▶속명 Filipendula는 라틴어 filum(絲(사))과 folium의 합성어로 잎이 실처럼 가늘다는 뜻이며 종명의 glaberrima는 털이 없음을 나타낸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탱자나무
학명 : Poncirus trifoliata Ra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탱자나무속(Poncirus) target=_blank>탱자나무속(Poncirus)</a>
잎 : 잎은 호생하고 삼출엽이며 엽병에 날개가 약간 있다. 소엽은 혁질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로서 둔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둔한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정도이고 잎 표면에 투명점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3.5-5cm로서 정생 또는 액생하고 1개 또는 2개씩 달리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5개가 이생하고 꽃잎은 길이 1.5cm정도이며 개출한다. 수술은 20개이고 털은 없으며 자방은 8-10실로 나뉘고 밀모가 있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며 지름 3cm로서 향기가 좋으나 먹을 수 없고 9-10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1.3cm쯤 된다. 어린 가지는 약간 편평하고 녹색이다.
줄기 : 가지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3-5㎝정도의 굳센 가시가 호생한다. 가시와 가지가 녹색이므로 다른 식물과 쉽게 구별된다.
분포 : 경기 이남 표고 700m 이하의 따뜻한 지역에서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천연기념물 제78(경기도 강화군 강화읍)호 79(경기도 강화군 화도면)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1주(株) 13㎡ ⓑ소유자:개인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년 ⓔ나무높이:4m ⓕ뿌리목둘레:1m. 이 나무는 강화도 역사박물관에 이웃해서 토성의 비탈면 아래쪽에 보호를 위해 철책에 둘러싸여있고 석축이 되어 있어서 나무에 해로운 흙이 유실은 염려없다. 굵은 줄기의 아래쪽 내부는 목질부가 부후해 있고 줄기에는 독특한 골이 세로로 나 있다. 건
-
Read MoreNo Image
택사
학명 : Alisma canaliculatum A.Br. & Bouch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택사과(Alismataceae) target=_blank>택사과(Alisma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택사속(Alisma) target=_blank>택사속(Alisma)</a>
이명 : 물택사 쇠대나물 쇠태나물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감싸는 엽병이 있고 엽병은 길이 15-20cm이며 엽신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이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10~30cm 폭 1~4cm이며 털이 없고 5-7개의 평행한 맥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잎 중앙에서 나오며 길이 40-130cm로서 많은 꽃이 윤상으로 달리고 꽃은 7월에 피며 백색이고 마디에 포가 있다. 꽃에는 소화경이 있으며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3개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연한 녹색이지만 화분은 황색이며 암술이 많고 암술대가 자방보다 짧다.
열매 : 수과는 환상(環狀)으로 달리는데 납작하고 뒷면에는 1개의 깊은 골이 있다.
뿌리 :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제주도 및 중부와 북부지역에 자생한다.
형태 : 습생 다년초로 수재(水栽) 관엽식물이다.
유사종 : ▶질갱이택사(A. plantago-aquatica L. var. orientale Samuels.) : 잎이 넓고 둥글다.
-
Read MoreNo Image
태양국
학명 : Gazania rigens (L.) Gaert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태양국속(Gazania) target=_blank>태양국속(Gazania)</a>
잎 : 잎은 바소꼴로 흰 털이 난다.
꽃 : 7~9월에 지름 7~8cm의 등황색 꽃이 핀다. 꽃잎 중앙에 갈색과 흰색의 테가 선명하게 생긴다.
줄기 : 줄기는 옆으로 넘어지기 쉬우며 20~30cm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태안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taeanensis S.S.Kang & M.G.Chu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원추리속(Hemerocallis) target=_blank>원추리속(Hemerocallis)</a>
잎 : 잎은 약간 작아서 길이 32~56cm 폭 0.5~1.4cm이고 부드러우며 표면은 편평하거나 줄이 있고 연한청녹색 녹색이 도는 황색이다.
꽃 : 화서는 대개 끝이 두개로 갈라지며 간혹 한번더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화서 아래에 드물게 1개의 포를 가지며 길이 1~1.8cm 폭 3~4mm이다. 꽃은 보통 2~5개가 피고 길이가 0.3~5.5cm이며 소화경은 길이 0.2~3cm 폭 3mm로 대체로 포보다 길다. 포는 난형이고 녹색이 돌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꽃은 보통 주황색을 띤 노란색이거나 드물게 엷은 황색을 띠는 노란색이다. 크기는 길이 5~8.6cm이고 통부는 길이 1~2.3cm 폭
열매 : 삭과는 대체로 약간 둥글고 드물게 장타원상 난형이며 표면은 보통 부드럽거나 사마귀형 돌기가 있고 끝부분은 미요두로 길이 1~2cm 폭 0.8~1.2cm이다. 종자는 광이있는 흑색이고 난형이며 아래쪽에 능각이 있고 길이 4mm 폭 3mm이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개화기와 결실기에 한쪽으로 치우진다. 크기는 32~68cm이고 기저부의 지름은 약 2mm이다.
뿌리 : 뿌리는 방추상 괴경으로 길이 1.5~2.5cm 폭 0.4~0.8cm이고 옅은 회색을 띠는 갈색이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태산목
학명 : Magnolia grandiflor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목련과(Magnoliaceae) target=_blank>목련과(Magn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목련속(Magnolia) target=_blank>목련속(Magnolia)</a>
이명 : 양목란양옥란 큰목련꽃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12-23㎝ 폭 5-10㎝로서 긴 타원형 또는 긴 도란형이고 둔두 예저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두텁고 뒷면은 다갈색의 밀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1-2c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양성화로서 5-6월에 가지 끝에서 피며 유백색이고 지름 12-15cm의 대륜화이며 짙은 향기를 풍긴다. 꽃받침잎은 3개이며 꽃잎보다 짧고 꽃잎은 6개이나 드물게 9-12개로서 넓은 도란형이며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자주색이다.
열매 : 열매는 붉은색의 골돌로서 길이 7-9㎝이고 광타원형이며 녹백색이고 짧은 털로 덮여 있으며 익으면 터져서 주머니에 있던 적색 종자가 2개씩 나온다.
줄기 : 수피는 암갈색이나 어린 가지 동아는 적갈색으로 털이 나 있다.
분포 : 남부지방에 식재해왔다(부산 마산 등지).
형태 : 상록 활엽 교목.
특징 : 목련에 비하여 꽃이나 잎이 크기 때문에 태산목이라고 한다.
-
Read More
태백제비꽃
학명 : Viola albida Pali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사향씨름꽃 태백씨름꽃 태백오랑캐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엽병이 길다. 잎은 삼각상 난형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4.5-12cm 폭 2.5-10.5c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다소 안쪽으로 꼬부라진 톱니가 있고 엽병에 좁은 날개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이고 향기가 있으며 잎 사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꽃이 1개씩 달리고 중앙부에서 선상의 포가 2개씩 대생한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도 5개이고 측판에 털이 있으며 고깔부는 원주형이고 다소 길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며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없으며 꽃이 핀 다음 자라서 전체의 높이가 25cm에 달한다.
뿌리 : 뿌리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뿌리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태백이질풀
학명 : Geranium taebaekensis S.J.Park & Y.S.K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손이풀과(Geraniaceae) target=_blank>쥐손이풀과(Gera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손이풀속(Geranium) target=_blank>쥐손이풀속(Geranium)</a>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4.7~5.4cm 폭 10.1~10.9cm이며 5(6)갈래로 갈라진다. 엽병은 길이 55~100mm이다. 탁엽은 길이 9.9~11.4mm 폭 5.3~5.4m에 달하며 갈색이고 부드러운 털이 많으며 합쳐진다.
꽃 : 꽃은 2개가 달리며 화경은 대체로 30.2~31.2mm 소화경은 대체로 22.7~24.2mm이다. 소포엽은 길이 5.94~5.97mm로 선상 피침형이다. 소화경은 결실기에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은 길이 12.0~13.2mm 폭 3.3~3.4mm이고 소돌기는 길이 2.4~2.5mm이다. 꽃잎은 길이 18.2~19.3mm 폭 8.9~9.0mm로 끝부분이 W형이다(2갈래로 갈라진 형태). 꽃색은 밝은 분홍색이고 기저부 맨끝은 약간 희다. 암술대는 길이
열매 : 열매 부리는 길이 22.0~25.0mm이고 종자는 길이 3~3.01mm 폭 1.58~1.61mm이며 갈색이고 미세한 망상맥이 있다.
줄기 : 줄기 아래쪽에 긴 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짧은 근경을 가진다.
분포 : 한반도(강원도 태백산)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태백기린초
학명 : Sedum latiovalifolium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나물속(Sedum) target=_blank>돌나물속(Sedum)</a>
잎 :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고 줄기 끝에 나는 잎은 넓은 난형이며 로제트 모양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길이 3-5cm 폭 3-4cm이다. 경생엽은 길이 5-7cm 폭 3-3.5cm이고 포는 긴 난형으로 길이 1-2cm 폭 0.5-1.2cm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5-7송이가 취산화서를 이루고 꽃받침은 5장이며 꽃잎도 5장으로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다. 수술과 암술은 각 10개이며 밀선이 암술대 밑에 5개 들러 붙는다.
열매 : 열매는 골돌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비스듬히 서며 높이는 20cm가량이다.
분포 : 강원도 금대봉 태백산 두타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가는기린초(S. aizoon): 잎은 호생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 난상 피침형이다. ▶넓은잎기린초(S. ellacombianum): 잎은 호생 다육질 타원형이다. ▶꿩의비름(S. erythrostichum): 전체가 분백색 잎은 털이 없으며 잎자루는 짧다. ▶기린초(S. kamtschaticum): 잎은 도란형 넓은 피침형 양 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없다.
-
Read MoreNo Image
탑꽃
학명 : Clinopodium gracile var. multicaule (Maxim.)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층층이꽃속(Clinopodium) target=_blank>층층이꽃속(Clinopodium)</a>
이명 : 산탑꿎 산탑풀 섬탑풀
잎 : 밑부분의 잎과 중앙부의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윗부분의 잎은 좁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학 밑부분이 둥글며 길이 2~5cm 폭 1~2cm로서 털이 산생하지만 뒷면은 선점이 뚜렷하지 않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6~10mm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백색이고 화서는 짧으며 흔히 원줄기 끝과 상부의 엽액에 여러개가 층층으로 둘러난다. 꽃받침은 길이 6mm 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며 맥 위에 보통 짧은 털과 퍼진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8-9mm로서 통부가 짧고 상순이 얕게 2개로 갈라지며 하순은 깊게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중 2개는 암술대와 길이가 비슷하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분과는 거의 둥글며 길이 1mm 정도이다.
줄기 : 높이 10-30cm이며 원줄기가 네모지고 총생하여 비스듬히 서서 가지가 갈라지며 밑을 향한 털이 있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탐라현호색
학명 : Corydalis hallaisanensis H.L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잎 : 잎은 2∼3개가 어긋나고 엽병이 길며 잎은 3개씩 1∼2회 갈라진다. 인편은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끝열편은 피침형 또는 좁은 도란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 : 꽃자루에 털이 밀생하며 포와 화경에 선모를 가지고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5∼10개가 정상 총상화서(總狀花序)에 달린다. 포는 쐐기형이며 길이 1∼1.8㎝로서 손바닥 같이 갈라졌다. 꽃받침은 2개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은 한 쪽이 잎술처럼 벌어지고 한 쪽은 통같은 며느리발톱으로 되어 밑으로 굽었다.
뿌리 : 땅 속에 지름 1.5∼2㎝ 정도의 괴경(塊莖)이 있다. 괴경은 속이 황색이고 다소 윗부분에 포같은 비늘모양의 조각이 1개 달렸다.
분포 : 제주
-
Read MoreNo Image
탐라풀
학명 : Hedyotis lindieyana var. hirsuta (L.f.)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염치자풀속(Hedyotis) target=_blank>수염치자풀속(Hedyotis)</a>
이명 : 갈퀴방울개갈퀴개꼭두선이쥐방울꽃쥐방울풀탐나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길이 2~4cm 나비 1-2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15mm이며 털이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엽액에 몇 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거의 없거나 짧으며 꽃받침열편은 난형이고 길이 2mm로서 끝이 둔하며 열매가 익을 때 밖으로 젖혀진다. 화관은 백색이고 4개로 갈라지며 길이 3~4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꽃받침통 속에 들어 있으며 편구형이고 지름 4mm정도로서 퍼진 잔털이 있으며 종자는 많고 작으며 잔 요점(凹點)이 있다.
줄기 : 높이 20-40cm이고 줄기 밑이 옆으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서며 다세포로 된 백색 털이 다소 있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의 탐라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민탐라풀 (var.glabra Hara) : 털이 없거나 적고 잎의 길이가 4cm정도이며 꽃받침통에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탐라산수국
학명 : Hydrangea serrata f. fertil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국속(Hydrangea) target=_blank>수국속(Hydrangea)</a>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긴 점첨두이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5-15cm 폭 2-10cm로서 예리한 톱니가 있고 표면의 측맥과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당해에 자란 가지끝에 큰 산방화서가 달리며 털이 있다. 지름 2-3cm의 중성화와 함께 다수의 양성화가 큰 산방화서를 이룬다. 중성화는 꽃받침조각이 꽃잎 모양이고 3~5개이며 청색 또는 자주색이다. 양성화는 꽃받침조각이 작고 꽃잎과 함께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길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가을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번성하고 소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 잔뿌리와 보통 뿌리가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표고 200-1 400m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꽃산수국(for. buergeri): 무성화의 꽃받침에 거치가 있다. ▶떡잎산수국(for. coreana T. Lee) : 잎이 특히 두껍다.
특징 : 중생식물로 여름에 백자색으로 피는 꽃은 야성적이면서도 청초한 느낌을 준다.
-
Read MoreNo Image
탐라사다리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angustifrons (Miq.) Ch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4%89%EC%A4%84%EA%B3%A0%EC%82%AC%EB%A6%AC%EA%B3%BC(Davalliaceae) target=_blank>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target=_blank>처녀고사리속(Thelypteris)</a>
잎 : 엽병은 길이 15~24cm 비늘조각은 검은 갈색 선형이고 피침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선모가 있다. 잎몸은 선상 피침형 너비 5~7cm 2회 깃꼴로 갈라진다. 우편은 긴 삼각형 너비 0.8~1cm 기부에 짧은 자루가 있으며 아래 우편은 위 우편보다 약간씩 짧아진다. 잎의 표면 잎맥 잎 가장자리 중륵에는 털이 많다. 잎맥은 유리맥 단조하고 가장자리까지 이른다. 포자낭은 환대에 다세포성 선모가 있다. 포막은 털과 선모가 있다.
뿌리 : 땅속줄기는 짧고 가늘게 기며 비늘조각이 드문드문 붙는다.
분포 : 한국(남부)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
형태 : 상록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탐라반쪽고사리
학명 : Pteris excelsa var. fauriei (H.Christ) W.C.Shie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봉의꼬리속(Pteris) target=_blank>봉의꼬리속(Pteris)</a>
이명 : 개깃반쪽고사리 나래고사리나래반쪽고사리
잎 : 잎은 길이가 2m에 달하며 엽병은 엽신과 비슷한 길이로서 표면에 홈이 있다. 엽신은 긴 타원상 난형이고 나비 1m이며 3회우상복엽이고 우편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를 향하기 때문에 잎이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된다. 나비 15cm이고 점점 좁아져서 꼬리처럼 길이지며 하나의 우편처럼 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첫째 우편의 첫째 소우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뒤로 말린 열편 가장자리 안에 달린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초본
유사종 : ▶큰반쪽고사리 P.inaequalis var. aequata (MIQ.) TAGAWA
-
Read MoreNo Image
타래사초
학명 : Carex maack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납작하고 연하며 밝은 녹색이고 나비 2-5㎜이며 가는 털이 퍼져 난다. 밑부분의 엽초는 엽신이 없으며 주름살이 지지 않고 갈색으로서 섬유처럼 갈라진다.
꽃 : 소수(小搜)는 6-14개이며 난상 원형이고 길이 5-8mm로서 밑부분에 소꽃이 달리며 모여서 길이 3-5cm 지름 1cm의 수상화서를 형성하고 보통 포가 없다.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이며 길이 2mm로서 연한 갈색이고 뒷면 녹색부에 1-3맥이 있다. 암술대는 곧으며 밑부분이 약간 굴어지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 : 과포(果苞)는 편난형이며 밖으로 약간 젖혀지고 길이 3.5mm로서 양쪽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윗가장자리가 잔톱니처럼 되고 뒷면 중앙에 맥이 많으며 표면에 뚜렷하지 않은 짧은 대가 있고 윗부분이 좁아져 2개로 갈라지며 끝부분이 백색 막질이다. 수과는 약간 팽팽하게 들어 있고 긴 아원상 난형이며 길이 1.7mm로서 옆은 렌즈형이다.
줄기 : 높이 40-60cm이고 꽃이 피지 않는 대는 꽃이 진 다음 자라다가 옆으로 넘어져 뿌리가 내린다.
뿌리 : 짧은 근경에서 총생한다.
분포 :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타래붓꽃
학명 : 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꽃속(Iris) target=_blank>붓꽃속(Iris)</a>
잎 : 잎은 가는 검상(劍狀)의 선형이고 비틀리며 끝이 날카롭고 길이 40㎝ 나비 5mm 내외이며 녹색이고 밑부분에 자줏빛이 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잎보다 짧은 화경(花莖)에 연한 자주색 꽃이 달리고 향기가 있으며 화피열편은 좁고 길며 외화피는 3개이고 상반부가 밖으로 퍼지며 안쪽의 3개는 곧추서고 주걱모양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각각 2개로 얕게 갈라진다. 자방은 하위이고 가늘며 길다.
열매 : 삭과는 가늘고 길며 길이 6cm정도로서 중앙부가 지름 1cm 정도이고 끝이 부리모양으로 뾰족하다. 종자를 마린자(馬藺子) 또는 여실이라 한다.
줄기 : 큰 포기로 되고 모여나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가늘고 질긴 갈색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경남 경북 전북(덕유산) 충북 경기(광릉) 황해 평남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붓꽃과 비슷하지만 잎이 비틀려서 꼬이기 때문에 타래붓꽃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타래난초
학명 : Spiranthes sinensis (Pers.) Ame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타래난초속(Spiranthes) target=_blank>타래난초속(Spiranthes)</a>
이명 : 타래란
잎 : 큰 근생엽은 길이 5-20cm 나비 3-10mm로서 주맥이 들어가고 밑부분이 짧은 초로 되며 경생엽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8월에 피고 분홍색이며 나선상으로 꼬인 수상화서에 작은 꽃이 다수 옆을 향해 달린다. 화서는 길이 5-10cm 지름 7-12mm이며 짧은 선모가 있다. 포는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8mm 폭 2-2.5mm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4-6mm로서 점점 좁아지고 꽃잎은 꽃받침보다 다소 짧으며 위꽃받침잎과 더불어 투구처럼 된다. 윗꽃받침은 선상피침형으로 길이 5-7mm이며 끝이 둔하고 옆꽃받침잎도 길이는 같으나 폭이 좁으며 꽃잎은 길이 5-7mm로서 끝이 둔하다. 순판은 색이 연하고 도란형으로서 길이 5-8mm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끝부분이 다소 뒤집어지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자방은 대가 없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 곧추서며 잔털이 있고 길이 5-7mm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10-40c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1~3개의 피침형 인편엽이 있다.
뿌리 : 뿌리가 다소 굵으며 4-5개의 방추형 다육질로 여러줄의 거칠고 큰 백색의 수염뿌리가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등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타래난초 (for.albiflora ): 백색 꽃이 핀다.
특징 : 속명은 희랍어의 `speira(나선상으로 꼬인)`와 `anthos(꽃)`의 합성어로 작은 꽃들이 나선형으로 화경을 감아올라가며 피는 모양을 뜻한다. 자연상태에서도 화형을 비롯하여 화색 등의 변이종이 널리 출현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