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키다리난초

조회 수 2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Liparis japonica (Miq.) Maxim.
과명 난초과(Orchidaceae)
속명 나리난초속(Liparis)
이명 나리란 카다리란 큰옥잠난초
잎은 전년도의 위인경(僞鱗莖) 옆에서 2개가 나와 밑부분이 3-4개의 초상엽으로 싸이며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6-12cm 나비 2.5-6cm이고 연한 녹색이며 밑부분이 엽초처럼 되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다소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거나 자줏빛이 돌고 화경(花莖)은 높이 10-40cm로서 능선과 좁은 날개가 있으며 녹색이고 줄기끝에 길이 10cm되는 총상화서가 달린다. 포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1.5mm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9mm정도로서 끝이 둔하며 꽃잎은 실같고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다. 순판은 도란형이며 길이 7-8mm 나비 4.5-5.5mm로서 편평하고 끝만 뾰족하며 약간 젖혀지고 예주는 위쪽 양편에 끝이 둔한 작은 날개가 있다. 씨방은 하위이며 가늘고 길며 자루가 있다.
열매 삭과는 도피침형으로서 길이 12mm이며 꼭지는 10mm정도로 8월에 익는다.
줄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길이 6-12mm로서 지상에 나와 있고 마른 엽병으로 덮여 있다.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특징 세계에 약 300종 특히 열대에 많고 우리 나라에 약 6종이 분포한다. 땅 위 또는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31 : 102 (1887)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0c338175c9d2ab23dddc1d7d01cf7c98.jpg

 

d97b0655b8e28d9a8ff857ab19cd3088.jpg

 


  1. 하늘타리

    학명 :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박과(Cucurbitaceae) target=_blank>박과(Cucurb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타리속(Trichosanthes) target=_blank>하늘타리속(Trichosanthes)</a>
    이명 : 자주꽃하눌수박 쥐참외 하눌수박 하늘수박
    잎 : 잎은 호생하며 단풍잎처럼 5-7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에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7-8월에 피며 화경은 수꽃이 15cm 암꽃이 3cm 정도로 각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잘게 갈라지고 황색이며 수술은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7cm정도로서 오렌지색으로 익으며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연한 다갈색이다.
    줄기 : 잎과 대생하는 덩굴손이 다른 물체에 잘 붙어 뻗어가고 고구마같은 큰 괴경이 있다.
    뿌리 : 지하에 고구마같은 큰 괴근이 있다.
    분포 : 중국 몽고 대만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삼정리)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남한산성) 황해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덩굴 식물
    유사종 : ▶노랑하늘타리(var. japonica Kit.): 잎과 줄기에 흰털이 있고 열매는 넓은 난상 원형 노란색으로 익는다.
    특징 : 중부지방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하는 경우 결실이 잘 안되는 특성이 있다.
    file
    Read More
  2. 털제비꽃

    학명 : Viola phalacrocarp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민둥제비꽃 이시도야오랑캐 이시도야제비꽃 털씨름꽃 털오랑캐
    잎 : 잎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1-3cm 폭 0.8-2.5cm로서 얕은 심장저이며 과시(果時)에는 길이가 8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3-10cm이지만 과시에는 길이 20cm이고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 : 화경은 높이 5-10cm이며 꽃은 홍자색이고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7mm로서 끝이 둔하고 부속체는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사각형으로서 톱니와 털이 있다. 꽃잎은 길이 10-13mm이고 측열편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거(距)는 길이 6-8mm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잔털이 밀생하며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없음
    뿌리 : 근경이 짧고 다소 총생하며 짧은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민둥제비꽃 (for.glaberrima F.MAEKAWA) : 전체에 털이 전혀 없으며 지리산에서 자란다.

    file
    Read More
  3. 털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var. pilosu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괭이눈속(Chrysosplenium) target=_blank>괭이눈속(Chrysosplenium)</a>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잎은 화경에서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난상 원형 또는 거의 둥글지만 화경 밑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길이 3-10cm의 화경(花莖) 끝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4개로서 거의 둥글고 위를 향하며 밝은 황색이지만 꽃이 진 다음에는 녹색으로 되고 길이 2-3mm이다. 수술은 4개로서 꽃받침과 대생하며 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깊게 2개로 갈라지며 열편의 크기가 각각 다르다.
    줄기 : 전체에 털이 많고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다.

    분포 : 한라산 지리산 및 함경북도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file
    Read More
  4. 키다리난초

    학명 : Liparis japonica (Miq.)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리난초속(Liparis) target=_blank>나리난초속(Liparis)</a>
    이명 : 나리란 카다리란 큰옥잠난초
    잎 : 잎은 전년도의 위인경(僞鱗莖) 옆에서 2개가 나와 밑부분이 3-4개의 초상엽으로 싸이며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6-12cm 나비 2.5-6cm이고 연한 녹색이며 밑부분이 엽초처럼 되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다소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거나 자줏빛이 돌고 화경(花莖)은 높이 10-40cm로서 능선과 좁은 날개가 있으며 녹색이고 줄기끝에 길이 10cm되는 총상화서가 달린다. 포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1.5mm이다. 꽃받침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9mm정도로서 끝이 둔하며 꽃잎은 실같고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다. 순판은 도란형이며 길이 7-8mm 나비 4.5-5.5mm로서 편평하고 끝만 뾰족하며 약간 젖혀지고 예주는 위쪽 양편에 끝이 둔한 작은 날개가 있다. 씨방은 하위이며 가늘고 길며 자루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도피침형으로서 길이 12mm이며 꼭지는 10mm정도로 8월에 익는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길이 6-12mm로서 지상에 나와 있고 마른 엽병으로 덮여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세계에 약 300종 특히 열대에 많고 우리 나라에 약 6종이 분포한다. 땅 위 또는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5. 큰피막이

    학명 : Hydrocotyle ramiflor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막이속(Hydrocotyle) target=_blank>피막이속(Hydrocotyle)</a>
    이명 : 산피막이풀 선피막이큰산피막이풀
    잎 : 엽병 윗부분과 잎 표면에만 털이 약간 있다. 탁엽은 막질이고 때로는 갈색이 돌며 길이 2-2.5mm로서 갈색반점이 있고 엽병은 길이 4-8cm이지만 가지끝의 것은 매우 짧다. 잎은 둥글며 지름 1-3cm로서 가장자리가 얕게 7개 정도로 갈라지고 낮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5mm로서 백색이고 가지의 엽액에서 잎보다 긴 화경이 나오며 그 끝에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이 짧다. 꽃잎과 수술은 각 5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신장형이며 길이 1mm이고 분과는 좌우로 편평하며 뒷면에 3개의 줄이 있다.
    줄기 : 높이 10-15cm이고 원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비스듬히 서고 가지가 갈라지지만 다시 갈라지지는 않는다.

    분포 : 경기도 이남
    형태 : 다년초

    특징 : 잎이 아래쪽과 겹치고 꽃줄기가 잎자루보다 길게 나오는것이 특징
    file
    Read More
  6. 철쭉

    학명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진달래속(Rhododendron) target=_blank>진달래속(Rhododendron)</a>
    이명 : 개꽃나무 참철쭉철쭉꽃 철쭉나무 함박꽃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끝에서는 4-5개씩 총생한다. 잎 모양은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원두 또는 미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10cm 폭 3-6cm 정도 된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잎과 더불어 5월에 피고 향기가 있으며 3-7개씩 가지끝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길이 5m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화관은 연한 홍색이며 윗부분의 꽃잎은 적갈색 반점이 있고 깔때기모양이며 지름 5-8cm이다. 수술은 10개로서 길이가 같지 않고 긴 것은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며 수술대에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길며 기부에 돌기가 있고 자방에 선모가 있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상 난원형이며 길이 1.5cm로 선모가 있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5m이고 어린 가지에 선모가 있으나 없어지며 회갈색으로 된다. 줄기는 직립·생장하지만 굵은 가지를 많이 내고 수피는 연황갈색으로 털이 없다.
    뿌리 : 긴 뿌리가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2 000m사이의 산야에 자생한다. 지리산에서는 해발 1 800m이상까지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흰철쭉(for. albiflorum T. Lee): 흰색꽃이 핀다.
    특징 : ▶꽃은 독성이 있어 진달래와 달리 식용할 수 없다. ▶강원도 정선군 북면 반륜산의 철쭉나무와 분취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348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96 450㎡ ⓑ지정사유:노거수 학술연구자원 ⓒ수령:200년 ⓓ나무높이:5m ▶5월에 피는 담홍색 꽃은 불완전한 색깔을 가지고 있어 보면 볼수록 매력적이고 감미로운 정감을 느낀다. 내음성이 강하여 숲 밑에 하목으로 식재하면 복층적인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file
    Read More
  7. 애기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dependen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무꽃속(Scutellaria) target=_blank>골무꽃속(Scutellar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좁은 난형 삼각형 또는 밑부분이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1-2cm 폭 6-10mm로서 표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밑부분은 둥글거나 다소 심장저이고 양쪽에 1-2개의 낮은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이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흰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짧고 위를 향한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꽃이 필 때의 길이가 1.5mm이고 과시에는 길이 2.5-3mm로서 위쪽 열편 뒤에 둥근 부속편이 있다. 화관은 백색이며 하순은 안쪽에 자주색 점이 있고 길이 1.5mm로서 상순보다 2배 정도 길다. 수술은 2강웅예 암술대는 2갈래이다.
    열매 : 4분과는 꽃받침안에 들어 있고 잔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백색 포복경이 땅속으로 뻗고 원줄기에 예리한 능선이 있으며 능선 위로 굽은 잔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선다.


    형태 : 다년초


    file
    Read More
  8. 산작약

    학명 : Paeonia obovat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작약과(Paeoniaceae) target=_blank>작약과(Paeo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작약속(Paeonia) target=_blank>작약속(Paeonia)</a>
    이명 : 민산작약 산함박꽃 적작약
    잎 : 잎은 3-4개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2회 3출하며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백작약과 달리 털이 있다. 앞면의 엽맥은 약간 파여 들어 있으며 뒷면은 엽맥이 돋아나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적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3개이며 난형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 꽃잎은 적색이며 5-7개로서 도란형이고 길이 2-3cm이다. 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길이 5-7mm이다. 자방은 3-4개이며 암술은 3-4개이고 암술대는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린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2-3cm로서 벌어지면 안쪽이 붉어지고 가장자리에 자라지 못한 적색종자와 익은 흑색종자가 달린다.
    줄기 : 길이 40-50cm로서 곧게 서고 전체에 흰색가루가 덮여 있다.
    뿌리 : 뿌리는 육질이고 굵다.
    분포 : 제주 전남 전북(덕유산) 경북(대구 금오산) 강원 경기(광릉)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호작약(P. lactiflora Pall. var. hirta Regel) ▶참작약(P. lactiflora Pall var. trichocarpa Bunge) ▶작약(P. lactiflora var. hortensis Mak.)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file
    Read More
  9. 반달콩제비꽃

    학명 : Viola verecunda var. semilunari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잎 : 잎은 초승달모양으로 길이 1.5~2.5cm 나비 2~3.5cm이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밑은 심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잎의 2~4배 길다. 경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탁엽은 피침형으로 밋밋하거나 얕은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의 잎짬에서 긴 화경이 나와 1개씩 달리며 위쪽에 포가 있다. 꽃은 좌우상칭이고 5수성이며 부속체는 끝이 둥글고 밋밋하며 측판에 털이 있고 순판에 자색 줄이 있으며 거는 길이 2~3mm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장란형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비스듬히 누워 올라간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10. 만주붓꽃

    학명 : Iris mandshuric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꽃속(Iris) target=_blank>붓꽃속(Iris)</a>

    잎 : 잎은 칼 모양으로 폭 1-1.5㎝이다.
    꽃 : 엽초 모양의 포엽 안에서 2송이의 노란꽃이 솟아 나와 피며 꽃의 지름은 5-6㎝이다. 외화피는 숟가락 모양이며 길이 4㎝이고 안쪽 중앙부에 4㎜가량의 황색 선모 돌기가 밀포하고 측맥은 검은 자색이다. 내화피는 서고 노란색이며 진한 자색의 가는 맥이 있고 수술은 3개 꽃밥은 9㎜이다. 암술대는 3갈래이고 암술머리는 꽃잎 모양이며 2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고 세모지고 방추형이다. 길이는 5㎝정도 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키는 20㎝가량이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file
    Read More
  11. 땅비싸리

    학명 :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땅비싸리속 (Indigofera) target=_blank>땅비싸리속 (Indigofera)</a>
    이명 : 논싸리 땅비수리 완도당비사리젓밤나무큰땅비싸리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1개이고 굵으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미철두이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1-4cm로서 양면에 복면(腹面)으로 붙어 있는 복모가 있다.거치가 없다.
    꽃 : 엽액에 총상화서가 달리며 길이 12㎝로서 잎과 거의 길이가 같고 꽃은 5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6월말까지 계속하여 피며 길이 2㎝정도로서 장미색이다. 꽃받침은 길이 3mm정도이며 피침상의 열편에 털이 약간 있고 기판의 겉에도 털이 있다.
    열매 : 협과는 길이 3.5-5.5㎝인 원주형이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뿌리에서 많은 맹아가 나와 군생하는 것처럼 보이고 가지에 세로로 된 선상돌기가 있다. 소지에 줄이 약간 있으며 처음에는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뿌리 : 뿌리에서 맹아가 나와 군생하는 것처럼 보인다.
    분포 : 전국의 표고 50~700m에 자란다. ▶중국과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성 소관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큰땅비싸리(var. coreana Craib.): 화서가 잎보다 두 배 정도 길고 꽃받침의 길이가 4mm 정도이며 열편이 좁다. ▶민땅비싸리(I. koreana Ohwi):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다.
    특징 : 전국적으로 흔하게 볼 수는 있으나 수개체가 군락을 이루지 않고 드문드문 모여서 자라고 있다. 1차 천이의 선구식물로서 생육이 활발하다. 맹아력이 뛰어나므로 단시간 내에 대군락을 형성한다.
    file
    Read More
  12. 달래

    학명 : Allium monanth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이명 : 들달래 쇠달래 애기달래
    잎 : 잎은 1-2개이며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0-20cm 폭 3-8mm로서 단면이 초생달모양이며 9-13맥이 있고 윗면에 얕은 홈이 져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1-2개가 달리며 짧은 화경(花梗)이 있고 길이 4-5mm로서 백색이거나 붉은 빛이 돈다. 포는 얇은 막질이며 난형이고 길이 6-7mm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꽃잎은 6개로서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둥글다. 꽃이 지면 파처럼 까만 씨가 결실한다.
    줄기 : 높이 5-12cm이다.
    뿌리 : 인경(鱗梗)은 넓은 난형이며 백색이고 길이 6-10mm이며 외피가 두껍고 파상으로 꾸불꾸불해지는 횡세포로 되며 2-6개의 새끼(자구)를 형성한다.
    분포 : ▶일본 중국 몽골 등 동북아시아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구근식물이다.
    유사종 : ▶산달래(Allium grayi Regel) : 산지의 초임이나 들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 깊은 산의 볕이 드는 숲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잎은 손바닥처럼 넓고 2-3장씩 달린다.
    특징 : 달래는 독특한 맛과 특유의 향취를 지닌 향신채로 달래초나물에서 물씬한 봄내음을 즐기게 해주던 산나물이었으나 근래에는 재배되어 겨울내내 즐길 수 있어 계절감각을 느낄 수 없게 된 것이 못내 아쉽지만 예나 지금이나 식욕을 돋구어 주는데는 변함이 없다.
    file
    Read More
  13. 너도바람꽃

    학명 : Eranthis stellat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너도바람꽃속(Eranthis) target=_blank>너도바람꽃속(Eranthis)</a>
    이명 : 절분초
    잎 : 근생엽은 길이 5-10cm의 긴 엽병이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며 측열편은 다시 2개씩 깊게 갈라지고 각 열편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선형이고 총포엽은 대가 없으며 윤상으로 달리고 불규칙한 선형으로 갈라진다. 줄기끝의 꽃 기부에 총포가 있다.
    꽃 : 꽃은 3-4월에 피며 지름 2cm정도로서 백색이고 화경(花梗)은 길이 1cm정도로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6개로서 크며 꽃잎같고 난형이다. 꽃잎은 꽃받침 안쪽에 여러개가 있으며 막대기모양으로 작고 뚜렷하지 않으며 끝이 2개로 갈라져 황색의 꿀샘을 이루고 수술은 여러개이다. 암술(심피)은 2-3개이고 꽃밥은 연한 자주색이다.
    열매 : 골돌은 2-3개로서 짧은 과병이 있고 반월형이며 뾰족한 끝부분까지의 길이가 1cm정도이고 종자는 갈색이며 둥글고 겉이 밋밋하다.
    줄기 : 높이가 15cm에 달한다.
    뿌리 : 둥근 괴경이 있으며 그 선단에서 잎과 화경(花莖)이 자란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file
    Read More
  14. 나도제비란

    학명 : Orchis cyclochila (Franch. & Sav.)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난초속(Orchis) target=_blank>난초속(Orchis)</a>
    이명 : 방울난초 차일봉무엽란 큰홀잎난초
    잎 : 잎은 1개이며 뿌리에서 나고 자루가 있다. 잎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4~7cm 폭 2.5~5cm이다.
    꽃 : 꽃은 5~9월에 피고 보통 2개씩 달리며 연한 홍색이고 보통 줄기 끝에 2개씩 달리며 포는 좁고 긴 난형으로 길이 1~2.5cm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8~10m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3맥이 있고 끝이 약간 둔하며 윗부분의 것은 곧추서며 옆의 것은 퍼지고 꽃잎은 피침형으로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순판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약 1cm로서 중앙 윗부분의 양쪽이 들어가고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으나 톱니가 있다. 거(距)는 선형으로 길이 7~10mm이며 끝이 가늘고 뒤로 젖혀진다. 꽃술대는 타원형이며 편평하다. 꽃가루덩이는 흰색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7-17cm이며 털이 없고 밑부분에 1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뿌리가 다소 굵다.
    분포 : ▶일본 북부 사할린 등지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지리산 설악산 이북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나도제비란(for. leucantha Hort.): 꽃이 흰색이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file
    Read More
  15. 꽃장포

    학명 : Tofieldia nud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석장포속(Tofieldia) target=_blank>석장포속(Tofieldia)</a>
    이명 : 꽃바위장포 꽃장포풀 꽃창포 돌창포
    잎 : 잎은 좌우로 편평하고 굽은 선형이며 3-7맥이 있고 길이 5-20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안쪽의 잎을 마주안기 때문에 2줄로 배열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4-30cm로서 털이 없고 선상의 잎이 2개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길이 3.5-4mm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3-6cm이며 소화경은 길이 5-12mm이다.
    포는 피침형이고 소포는 바로 꽃 밑에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길이 2-2.5mm로서 선상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고 수술대에 털이 없으며 꽃밥은 갈색 또는 자주색이다.
    자방은 상위이고 암술대는 3개이며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4.5mm로서 난형이고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 꼬리가 없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드물게 실 같은 지하경을 내며 뿌리는 튼튼하다.
    분포 : 강원(사창리, 팔봉산), 평북(강계, 영원)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꽃창포라고 불리어 왔으나 같은 이름이 붓꽃중에도 있기 때문에 혼돈을 피하기 위해 돌창포라고 하였다.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