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큰엉겅퀴

조회 수 1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과명 국화과(Compositae)
속명 엉겅퀴속(Cirsium)
이명 장수엉겅퀴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타원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길이 40-50cm 나비 20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로 되며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에 결각상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15-25c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에 직접 달리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지가 있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4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서 밑을 향하고 총포는 난형이며 길이 2cm 지름 2.5-3.5cm로서 다소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포편은 8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가장 짧으며 중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되고 뒤로 젖혀지며 중륵에 검은빛이 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2-22mm이며 관모는 길이 18-22mm로서 흑갈색이다.
열매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로서 4개의 능선이 있고 백색 관모(冠毛)가 있다.
줄기 높이 1-2m이고 종선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일본 만주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주로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유사종 ▶엉겅퀴 흰가시엉겅퀴 가시엉겅퀴 좁은잎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 등이 있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Prodr. (DC.) 6 : 650 (DC., 1838)
참고문헌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큰엉겅퀴crw_0116.jpg

 


  1. 흰제비꽃

    학명 : Viola patrinii DC. ex G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민흰제비꽃 털대흰제비꽃 털흰씨름꽃 털흰제비꽃 흰씨름꽃 흰오랑캐
    잎 : 잎은 다소 곧추서고 삼각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이 수평에 가까우며 길이 2.5-7cm 폭 1-2c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고 길이 4-10cm의 날개가 있다. 엽맥과 엽병 밑부분에 짧게 퍼진 털이 있다.
    꽃 : 화경은 길이 7-15cm이며 꽃은 흰빛 또는 자줏빛이 돌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4-7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부속체에 톱니가 약간 있다. 꽃잎은 길이 10-13mm이며 측열편에 털이 다소 있고 순판에 자주색 줄이 있으며 거는 타원형이고 길이 3-4mm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8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줄기 : 원줄기가 없다.
    뿌리 : 뿌리가 흑갈색이며 근경은 짧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간혹 흰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는 꽃이 피는 제비꽃
    file
    Read More
  2. 큰엉겅퀴

    학명 :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장수엉겅퀴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타원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길이 40-50cm 나비 20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로 되며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에 결각상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15-25c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에 직접 달리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지가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4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서 밑을 향하고 총포는 난형이며 길이 2cm 지름 2.5-3.5cm로서 다소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포편은 8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가장 짧으며 중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되고 뒤로 젖혀지며 중륵에 검은빛이 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2-22mm이며 관모는 길이 18-22mm로서 흑갈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로서 4개의 능선이 있고 백색 관모(冠毛)가 있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종선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분포 : ▶일본 만주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주로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엉겅퀴 흰가시엉겅퀴 가시엉겅퀴 좁은잎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 등이 있다.

    file
    Read More
  3. 댕댕이덩굴

    학명 : Cocculus trilobus (Thunb.)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방기과(Menispermaceae) target=_blank>방기과(Menisperm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댕이덩굴속(Cocculus) target=_blank>댕댕이덩굴속(Cocculus)</a>
    이명 : 끗비돗초 댕강덩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지만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아심장저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잔털이 많고 3-5출맥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거치가 없지만 얕은 결각이 있는 경우도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원추화서는 액출(腋出)한다.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6개 수꽃의 수술이 6개이고 암꽃에는 6개의 헛수술 3개의 심피와 1개 암술이 있다. 암술대는 원주형으로서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 핵과는 거의 구형이고 지름은 5-8mm이며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지름 4㎜정도의 편평한 원형에 가까우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많은 환상선(環狀線)이 있다.
    줄기 :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줄기가 어릴 때는 녹색이지만 오래되면 회색으로 된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50-700m사이에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 만목

    특징 : ▶댕댕이덩굴은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서 자라며 천연기념물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나는 수종에는 생달나무 육박나무 후박나무 보리밥나무 자금우 모람 송악등의 상록수종과 큰 느티나무와 팽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말채나무 산돌배나무 쉬나무 소사나무 이팝나무 쇠물푸레등이 있다. ▶목부(木部)를 목방기(木防己)라 한다.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