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콩짜개란

조회 수 1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Bulbophyllum drymoglossum Maxim. ex Okub.
과명 난초과(Orchidaceae)
속명 콩짜개란속(Bulbophyllum)
이명 덩굴난초 콩짜개난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이며 길이 7-13mm 나비 5-10mm로서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 뽀족해지며 언듯 보기에 콩짜개덩굴같다
꽃은 6~7월에 피고 잎 옆에서 가는 화경(花梗)이 나와 연한 황색 꽃이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옆을 향해 달리고 화경은 길이 7-10mm로서 밑부분에 포엽이 달리며 포는 길이 1.5m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7-8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꽃받침 길이의 1/3정도이다. 순판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밑부분이 암술대 밑의 꼬부라진 부분과 연결되고 암술대 양쪽은 날개 같으며 화분괴(花粉塊)는 2개이다.
열매 삭과는 도란형이다.
줄기 원줄기는 철사처럼 가늘고 2-3마디마다 1개의 잎이 달리며 구경이 없다.
뿌리 잎이 난 곳에서 1개씩 내린다.
분포 제주도 등 남부 섬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상록 다년초
유사종 ▶혹난초(B. inconspicuum Max.): 콩짜개란과 닮았으나 잎이 위경의 위에 붙고 길이 1-3cm 나비 6-8mm 잎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뭉뚝하고 밋밋하다.
특징 세계에 약 700종 우리 나라에는 2종이 분포한다. 우리 나라 남부에 나는 착생상록란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ot. Mag. (Tokyo) 1 : 14 (1887)
참고문헌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No Image

    혹난초

    학명 : Bulbophyllum inconspicu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콩짜개란속(Bulbophyllum) target=_blank>콩짜개란속(Bulbophyllum)</a>
    이명 : 보리난초 혹란
    잎 : 잎은 육질이며 두텁고 길이 1~3.5cm 폭 6~8mm로서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거나 오목하고 중앙맥이 뚜렷하며 7-9맥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위구(僞球) 옆에서 자란는 화경(花梗) 끝에 1-3개씩 달리며 지름 6mm로서 황백색이고 포는 얇은 막질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다. 꽃받침잎은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3~3.5mm로서 중앙열편이 약간 짧으며 꽃잎은 중앙부의 꽃받침과 거의 같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순판은 난형이며 두껍고 예주 기부에서 나온 돌기 끝에 달리며 윗부분이 젖혀진다. 꽃밥은 황색이고 꽃가루덩이는 2개이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7mm정도이다.
    줄기 : 위경에 1-2장의 잎이 붙어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고 위인경(僞鱗莖)이 달려 있으며 위구(僞球)는 난형이고 길이 6-8mm이다.
    분포 : 다도해 등 남쪽섬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콩짜개란(B. drymoglossum Max.): 가느다란 기는 줄기에 잎이 듬성듬성 붙고 위경은 없다. 잎은 난형이며 두껍고 길이 5-12mm 나비 5-10mm 거의 잎자루가 없다.
    특징 : 헛알줄기의 모양이 혹 또는 보리 같기 때문에 혹난초 또는 보리난초라고 한다.
    Read More
  2. No Image

    콩짜개란

    학명 : Bulbophyllum drymoglossum Maxim. ex Oku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콩짜개란속(Bulbophyllum) target=_blank>콩짜개란속(Bulbophyllum)</a>
    이명 : 덩굴난초 콩짜개난
    잎 :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이며 길이 7-13mm 나비 5-10mm로서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 뽀족해지며 언듯 보기에 콩짜개덩굴같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잎 옆에서 가는 화경(花梗)이 나와 연한 황색 꽃이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옆을 향해 달리고 화경은 길이 7-10mm로서 밑부분에 포엽이 달리며 포는 길이 1.5m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7-8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꽃받침 길이의 1/3정도이다. 순판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밑부분이 암술대 밑의 꼬부라진 부분과 연결되고 암술대 양쪽은 날개 같으며 화분괴(花粉塊)는 2개이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다.
    줄기 : 원줄기는 철사처럼 가늘고 2-3마디마다 1개의 잎이 달리며 구경이 없다.
    뿌리 : 잎이 난 곳에서 1개씩 내린다.
    분포 : 제주도 등 남부 섬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다년초
    유사종 : ▶혹난초(B. inconspicuum Max.): 콩짜개란과 닮았으나 잎이 위경의 위에 붙고 길이 1-3cm 나비 6-8mm 잎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뭉뚝하고 밋밋하다.
    특징 : 세계에 약 700종 우리 나라에는 2종이 분포한다. 우리 나라 남부에 나는 착생상록란이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