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irsium arvense Scop. |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엉겅퀴속(Cirsium) |
|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다. 가장자리는 거치상으로 아주 불규칙하게 갈라져 있으며 선단부에 가시가 나 있다. 하위엽은 엽병이 없다. |
| 꽃 | 꽃은 자웅이주이며 두상화서의 직경은 2~2.5㎝ 이다. 총포의 길이는 1~2㎝이며 포엽은 많고 겹쳐져 있으며 가시가 없다. 수꽃의 두상화는 타원형이고 암꽃의 두상화는 난형이다. 화탁에 강모가 있다. |
| 열매 | 종자의 크기는 2.5~4㎜ 정도이며 담갈색~암갈색으로 평활하고 윤택을 띤 장타원형이다. 관모는 2㎜ 정도로서 수과에서 쉽게 분리 된다. |
| 줄기 | 줄기는 직립이고 생육이 경과함에 따라 털 발생이 많아진다. |
| 뿌리 | 뿌리는 흰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수평으로 5m이상 수직으로 2~5m 정도 자라며 섬유상의 측근이 많다. |
| 분포 | 경기(화성 안산)에 분포하고 있다. |
| 형태 | 다년생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Fl. carniol. ed. 2, 2: 126 (1772) |
| 참고문헌 | 1) 한국자원식물명 총람 (강병화, 1997) |
-
Read MoreNo Image
콩다닥냉이
학명 : Lepidium virginic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다닥냉이속(Lepidium) target=_blank>다닥냉이속(Lepidium)</a>
이명 : 좀다닥냉이 콩말냉이
잎 : 근생엽은 총생하여 수평으로 퍼지고 엽병이 길며 길이 3-5cm로서 1회우상복엽이고 열편 전연(前緣)에 톱니가 있으며 정열편은 넓은 난형이고 측열편보다 크며 꽃이 필 무렵에 없어진다. 경생엽은 도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이고 녹색이며 타원형이다. 꽃잎도 4개이며 길이 2.5-3mm로서 꽃받침보다 길지만 불완전한 것도 있고 수술은 2개이거나 간혹 4개이다.
열매 : 각과는 거의 둥글며 길이 3mm정도로서 윗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고 요두이다. 종자는 2개이고 적갈색이며 가장자리에 있는 막질의 날개가 젖으면 점액이 나온다.
줄기 : 털이 없고 높이 30-50cm이며 상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특징 : 전체에 털이 없음
-
Read MoreNo Image
콩
학명 : Glycine max (L.) Mer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콩속(Glycine) target=_blank>콩속(Glycine)</a>
이명 : 대두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3출복엽이며 소엽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소탁엽은 선형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자줏빛이 도는 홍색 또는 백색이고 접형이며 엽액에서 자라는 총상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鍾形)이며 5조각으로 갈라지고 열편 중에서 밑의 것이 가장 길며 기판은 넓고 끝이 파지며 익판은 기판보다 짧고 용골판이 가장 짧다. 수술은 10개로서 각각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협과는 짧은 대가 있고 편평한 선상 타원형이며 거친 털이 나 있고 1-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를 대두(大豆)라 하며 황백색 흑색 연한 갈색 녹색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주요 작물의 하나이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갈색 털이 있다.
분포 : 중국 만주 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돌콩(G. soja)
-
Read MoreNo Image
코스모스
학명 : Cosmos bipinnatus C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코스모스속(Cosmos) target=_blank>코스모스속(Cosmos)</a>
잎 : 잎은 대생하고 2회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엽축과 나비가 비슷하다.
꽃 : 꽃은 6-10월에 피며 가지와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두화는 지름 6cmㄷ정도이며 설상화는 8(6-8)개로서 연한 홍색 백색 연분홍색 등 품종에 따라서 다르고 끝이 톱니처럼 얕게 갈라지며 통상화는 황색이고 열매를 맺는다. 총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각각 8개의 포편으로 되고 외편은 밖으로 퍼지며 끝이 뾰족하다.
열매 : 수과는 털이 없고 끝이 부리같이 길다.
줄기 : 높이 1-2m이고 털이 없으며 곧게 서고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코스모스는 속명의 Cosmos를 그대로 사용한것이며 이것은 희랍어의 Kosmos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이 식물로 장식한다는 뜻이다.
-
Read MoreNo Image
코마로브포아풀
학명 : Poa komarovii Rosh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줄기의 잎몸은 선상 피침형 폭 1.2-3㎜이고 엽설은 길이 2-3m이다.
꽃 : 원추화서은 성기게 퍼지고 길이 5-7㎝로 넓고 작은이삭은 길이 3-8㎜ 폭 6㎜이고 낱꽃은 수 송이이다.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3맥 용골 모양이 있고 끝이 날카롭다. 외영은 길이 3-3.5㎜ 5맥으로 매끈하고 맥과 맥 사이에 연모가 있으며 밑에 구불구불한 털이 있고 내영은 외영보다 짧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의 길이 2㎜이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하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작다.
분포 : 관모봉 고산의 풀밭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컴프리
학명 : Symphytum officinale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지치과(Boraginaceae) target=_blank>지치과(Borag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컴프리속(Symphytum) target=_blank>컴프리속(Symphytum)</a>
이명 : 콤푸레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으며 잎이 달린 곳에서 밑으로 흘러 날개처럼 된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자주색 연한 홍색 및 백색이며 화축은 1-2회 갈라지고 화서의 끝부분은 태엽처럼 감겨서 아래로 드리운다. 꽃받침은 짙은 녹색이며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넓은 통형으로서 윗부분이 종처럼 다소 벌어지며 얕게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로서 통부에 붙어 있고 암술은 1개이며 통부 밖으로 뻗어난다.
열매 : 열매는 4개의 분과로 되며 분과는 난형이다.
줄기 : 높이 60-90c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짧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날개가 다소 있다. 전체에 거친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지중해 연안이 분포중심지이다.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컴프리란 영명 comfrey 에서 온 이름이고 약용으로 하였으나 사료작물로 심기도 하며 분포중심지는 지중해 연안으로서 17종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칼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lunar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3~10cm 폭 1~3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열편은 가장자리가 두꺼우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총상화서에 잎이 달리며 꽃받침은 난형이고 털이 있으며 열매가 익을 때까지 길어지고 끝이 5개로 갈라지는 열편은 3각상 피침형이다. 화관은 연한 황색이고 길이 34~48mm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상순은 앞으로 굽고 하순보다 길며 반달모양이고 암술대와 수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삭과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13mm 폭 8~10mm로서 끝이 짧게 뾰족해진다.
줄기 : 높이 15-57cm이고 가지가 없으며 퍼진 백색 털이 있다.
분포 : 관모봉(冠帽峯) 및 설령(雪嶺)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카밀레
학명 : Matricaria chamomill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족제비쑥속(Matricaria) target=_blank>족제비쑥속(Matricaria)</a>
잎 : 잎은 호생하며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엽병은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열편은 선형이며 긴 털이 다소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6~9월에 피며 지름 13-20mm로서 산방상으로 엉성하게 배열되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포편(苞片)은 4줄로 배열된다. 외편은 긴 타원형이며 겉에 백색 연모軟毛가 있고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설상화는 백색이고 암꽃으로서 1줄로 달리며 꽃이 핀 다음 밑으로 젖혀지고 관상화는 양성으로서 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이며 다소 굽고 끝이 편평하며 몇 줄의 능선이 있고 관모가 없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과거에 재배하던 것이 퍼져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또는 월년초이다.
특징 : 꽃을 건조한 것을 카밀레 화(花)라 하며 능금같은 향기가 있다. 과거에 약용식물(강장제)로 재배하였으며 카밀레란 네델란드명 kamille에서 온 것이다.
-
Read MoreNo Image
카네이션
학명 : Dianthus caryophyll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패랭이꽃속 (Dianthus) target=_blank>패랭이꽃속 (Dianthus)</a>
이명 : 카네숀 카네이숀
잎 : 잎은 대생하고 선형이며 밑부분에서는 합생하여 원줄기를 감싸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지만 온실에서는 언제나 필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원줄기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1개 또는 2-3개씩 달리고 향기가 있다. 꽃받침은 넓은 원통형이며 끝이 짧게 5개로 갈라지고 소포는 사각형이며 꽃받침 길이의 1/4정도이다. 꽃잎은 퍼진 부분이 도란형이고 끝부분이 얕게 갈라지며 윗부분에 털이 없고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40-50cm이고 전체가 분백색이며 곧게 자란다.
분포 : 각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패랭이꽃(D. chinensis L. for. albiflorus T. Lee for. nov.): 흰 꽃이 피는 패랭이꽃이다. ▶섬패랭이꽃(D. littorosus Makino ex Nakai): 꽃은 목 부분까지 고루 분홍색이며 꽃잎이 술패랭이꽃에 비해 덜 갈라진다. ▶구름패랭이꽃(D. superbus L. var. speciosus Reichb.): 술패랭이꽃에 비하여 작은 풀이다. 줄기는 서고 잎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 끝이 날카
특징 : 원예품종이 많고 대개 만첩꽃을 심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카나리새풀
학명 : Phalaris canari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풀속(Phalaris) target=_blank>갈풀속(Phalaris)</a>
잎 : 잎새는 길이 10-30㎝ 폭 0.5-1㎝이다. 잎집은 등이 둥글고 잎집 구부에 있는 엽설은 높이 3-6㎜이고 끝의 잎집은 팽대(膨大)된다.
꽃 : 6-9월에 꽃이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3-5㎝ 폭 1-2㎝로 장타원형 또는 원추형이며 백록색을 띠우며 소수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소수는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5-9㎜로 납작하며 3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포엽은 영존성이며 2개가 모두 모양과 크기가 같고 길이 5-6㎜ 진한 초록색의 폭넓은 3맥이 뚜렷하며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서 용골이 되며 용골 부위에 톱니가 없는 반달모양의 지느러미가 있다. 3개의 소화 중 제1 제2 소
줄기 : 줄기는 높이 20-60㎝로 곧게 서며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고 털이 없다.
분포 : 유럽 서아시아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경기도 원당의 고양시 종합운동장 건설 예정 공한지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갈풀(Phalaris arumdinacea): 높이 70-180㎝로 식물 전체가 크며 원추화서의 길이 5-25㎝로 처음은 화지가 직립하여 수상화서처럼 보이나 후에 옆으로 펼쳐저 원추화서가 된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3(4)
-
Read MoreNo Image
카나다엉겅퀴
학명 : Cirsium arvense Sco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다. 가장자리는 거치상으로 아주 불규칙하게 갈라져 있으며 선단부에 가시가 나 있다. 하위엽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자웅이주이며 두상화서의 직경은 2~2.5㎝ 이다. 총포의 길이는 1~2㎝이며 포엽은 많고 겹쳐져 있으며 가시가 없다. 수꽃의 두상화는 타원형이고 암꽃의 두상화는 난형이다. 화탁에 강모가 있다.
열매 : 종자의 크기는 2.5~4㎜ 정도이며 담갈색~암갈색으로 평활하고 윤택을 띤 장타원형이다. 관모는 2㎜ 정도로서 수과에서 쉽게 분리 된다.
줄기 : 줄기는 직립이고 생육이 경과함에 따라 털 발생이 많아진다.
뿌리 : 뿌리는 흰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수평으로 5m이상 수직으로 2~5m 정도 자라며 섬유상의 측근이 많다.
분포 : 경기(화성 안산)에 분포하고 있다.
형태 : 다년생
-
Read MoreNo Image
칡
학명 : Pueraria lobata (Willd.)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칡속(Pueraria) target=_blank>칡속(Pueraria)</a>
이명 : 츩칙칙덤불
잎 : 잎은 호생하며 삼출복엽으로 되어 있으며 소엽은 능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와 넓이가 각각 10-15㎝로서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게 3갈래로 갈라지며 선단이 뾰족하고 뒷면은 흰색을 띤다. 엽병은 길이 10-20cm로서 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중앙 부근에 붙어 있으며 길이 15-20mm로서 떨어진다.
꽃 : 액생하는 총상화서는 곧추서며 길이 10-25㎝로서 짧은 화경이 있는 많은 꽃이 핀다. 꽃은 8월에 피며 길이 1.8-2.5㎝로서 홍자색이다. 포는 선형이고 긴 털이 있으며 길이 8-10mm 나비 1/4-1/3mm로서 곧 떨어지고 소포는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꽃받침은 중열되며 밑의 열편이 통부보다 1.5-2배 길다. 기판은 홍색이며 중앙이 황색으로 피고 익판은 적자색이다. 접혀화이다.
열매 : 협과는 넓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길이 4-9cm 나비 8-10mm로서 길고 굳은 갈색의 퍼진 털이 있으며 열매는 9-10월에 익고 종자는 갈색인데 작다.
줄기 : 길게 자라지만 끝부분이 겨울 동안에 말라 죽으며 줄기는 흑갈색으로 갈색 또는 백색의 퍼진 털과 구부러진 털이 있다. 아랫부분은 목질화해서 가지가 잘 갈라진다. 오래된 것은 줄기의 직경이 10㎝나 되는 것도 있으며 지면이나 다른 나무를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뿌리 : 2~3m 지름 20~3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땅 속에서 옆으로 뻗고 섬유질로서 회백색을 띠며 녹말을 저장한다.
분포 : ▶일본 대만과 중국 동남아시아 등 여러 나라에 분포한다. ▶전국 산야의 표고 100-1 200m의 양지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만목
특징 : 뿌리를 갈근(葛根)이라 하고 특히 1차 천이식생으로 황폐척악지에 침입하여 번성한다.
-
Read MoreNo Image
칠엽수
학명 : Aesculus turbinat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칠엽수과(Hippocastanaceae) target=_blank>칠엽수과(Hippocast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칠엽수속(Aesculus) target=_blank>칠엽수속(Aesculus)</a>
이명 : 왜칠엽나무칠엽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길며 손바닥을 편듯한 장상복엽이고 소엽은 5~7개이며 긴 도란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작으나 중앙부의 것은 가장 크고 길이 20-35㎝이고 그 옆의 소엽은 점점 작아진다. 중앙의 잎은 점첨두 예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적갈색의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다. 가을에 노랗게 단풍이 든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5-25cm 지름 6-10cm로서 짧은 퍼진 털이 있으며 꽃은 잡성으로서 5-6월에 분홍색을 띤 백색으로 피고 밀생한다. 수꽃에 7개의 수술과 1개의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양성화는 7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꽃받침은 종형으로서 불규칙하게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도원추형이고 황갈색이며 지름 5cm정도로서 과피가 두껍고 3개로 갈라지며 10-11월에 익고 적갈색 종자 1개가 들어 있고 밤 모양과 비슷하다.
줄기 : 통직하고 여러개가 나와 둥근수형을 만들기도 하며 수피는 회갈색으로 1년생 가지는 적갈색이 나며 겨울눈은 갈색으로 점액성이 있어 끈적 거린다.
분포 : ▶일본의 혼슈 쿄오토 아시우의 전 지역에 거목의 자연림을 이루고 있다. ▶중부이남 지역에서 자란다(경기도 이남지역에서 관상용으로 재식).
형태 : 낙엽활엽교목.
특징 : 생장이 다소 빠르며 산공재로 나무갗은 곱고 치밀하며 목리는 불규칙한 파상목리로 물결무늬 반점무늬 등 고운 무늬를 가지는 수가 있고 절삭가공과 도장이 용이하나 비틀림이 일어나기 쉽고 표면 마무리는 양호하며 접착성은 보통이다. 목재의 변재는 엷은 황색 줄무늬가 있는 백색 심재는 담갈암녹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심·변재의 구분이 뚜렷하고 연륜은 분명치 않다.
-
Read MoreNo Image
칠보치마
학명 : 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칠보치마속(Metanarthecium) target=_blank>칠보치마속(Metanarthecium)</a>
잎 : 잎은 뿌리에서 10여개가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황록색으로서 도피침형이고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끝부분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8-20cm 폭 1-4cm로서 10개 정도의 맥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20-40cm로서 때로는 1-2개의 가지가 있으나 잎은 없다. 수상화서는 길이 3-20cm로서 잔털이 있고 포는 선형이며 소화경은 길이 2-4mm이고 화피열편은 6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6-7mm로서 끝이 둔하며 황백색이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보다 짧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넓으며 화피에 붙어 있다. 자방은 중위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며 암술대가 달려 있고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7mm이다. 화피도 남아서 열매를 둘러싸며 종자는 난형이고 길이 0.7m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곧다.
분포 : 수원 칠보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칠보개물통이
학명 : Parietaria micrantha var. coreana (Nakai)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물통이속(Parietaria) target=_blank>개물통이속(Parietaria)</a>
이명 : 덩굴좀물통이 덩굴화점초응달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길이 8-25mm 나비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20mm이고 탁엽이 없다.
꽃 : 꽃은 잡성으로 8월에 핀다. 취산화서로 녹색이며 잎겨드랑이에 소수가 성기게 달린다. 포는 선형이고 수꽃은 화피가 3-4장 수술 3-4개이다. 암꽃의 화피는 통모양으로 4장이고 암술머리는 붓털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넓은 난형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흑색의 윤채가 있으며 포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짧고 굽은 털이 밀생한다. 전체에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함북 칠보산 및 평남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개물통이 (Parietaria micrantha Ledeb.) : 일년초(一年草)로서 높이 15-30c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짧고 굽은 털이 밀생한다.
-
Read MoreNo Image
칠면초
학명 : Suaeda japonica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문재속(Suaeda) target=_blank>나문재속(Suaeda)</a>
이명 : 해홍나물
잎 : 잎은 호생하고 육질이며 도피침형이거나 방망이 같고 길이 5-35mm 폭 2-4mm로서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홍자색으로 변하여 바닷가를 예쁘게 단장한다.
꽃 : 꽃은 잡성으로서 8-9월에 피며 엽액에 수꽃과 더불어 2-10개의 화경(花莖)이 없는 꽃이 모여 달리고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자주색으로 변한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둥근 난형이고 수술은 5개로서 꽃받침보다 짧으며 암술은 1개이고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포과는 원반형이며 육질의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지름 1.5-2mm로서 렌즈같은 종자가 1개씩 들어있으며 배(胚)는 나선형이다.
줄기 : 높이 15-50cm이고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털이 없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해안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해홍나물(S. maritima L.):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선다. 잎은 다육질의 좁은 선형 길이 1-3㎝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는 없다. ▶나문재(S. asparagoides Makino): 전체에 털이 없고 가지를 많이 낸다. 잎은 녹색 좁은 선형 길이 1-3㎝이다.
-
Read MoreNo Image
치자나무
학명 : Gardenia jasminoides Elli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치자나무속(Gardenia) target=_blank>치자나무속(Gardenia)</a>
이명 : 겹치자나무 좀치자 치자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3~1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에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 : 유백색의 꽃이 피며 독특한 향기를 풍기는 매력있는 화목이다. 원예종에는 겹꽃이 있어 더욱 화려하지만 결실하지 않는다. 꽃은 6-7월에 피며 꽃받침은 능각이 있고 끝이 6-7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가늘고 길다. 화관은 백색이며 열편은 6-7개로서 긴 도란형이고 둔두이며 수술은 6-7개이고 후부(喉部)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3.5㎝로서 장타원형이며 세로로 6-7개의 능각이 있다. 열매가 달리는 것은 홑겹치자이며 9월에 황홍색으로 익으며 황금색 염료를 갖는다.
줄기 : 소지는 어릴 때 먼지 같은 털이 있다.
분포 :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남부지방에서 재배한다.
형태 : 상록활엽 관목.
유사종 : ▶꽃치자(var. radicans Makino) : 높이 60cm로 잎은 도피침형 길이4-8cm 치자보다 잎과 꽃이 작고 홑꽃 또는 겹꽃이다
특징 : 1 500년 전경에 중국에서 도입하여 남부에서는 정원수로 심으나 중부 이북에서는 밖에서 월동이 어려우므로 주로 분화초로 가꾼다. 많은 줄기와 가지를 내어 큰 포기를 만들고 생장은 다소 빠른 편이다.
-
Read MoreNo Image
층층장구채
학명 : Silene macrostyl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끈끈이장구채속(Silene) target=_blank>끈끈이장구채속(Silene)</a>
이명 : 층층대나물
잎 : 잎은 대생하고 피침형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엽액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며 위로 올라갈수록 화경이 짧아져서 층층으로 갈린 것같이 보인다. 꽃받침은 짧은 원통형이고 길이 6m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며 꽃잎은 5장이고 도피침형으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고 길다.
열매 : 삭과는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6개로 갈라지고 겉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높이가 1m에 달하며 짧은 털이 다소 있다.
뿌리 : 목질화된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끈끈이대나물(S. armeria L.):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다. 잎은 난형 넓은 피침형 길이 3-4.5㎝ 잎자루는 없다. ▶울릉대나물(S. foliosa Maxim.): 줄기는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3-5㎝ 보통 털이 없다. ▶오랑캐장구채(S. repens Person):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잔털이 퍼져 있다. 잎은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3-5㎜이다.
-
Read MoreNo Image
층층잔대
학명 : Adenophora verticillata Fi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잎 : 근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나 화시에 없어지며 경엽은 3~5개씩 윤생 또는 호생하고 장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4~8cm 나비 5~40mm이며 양끝이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짧거나 없다.
꽃 : 꽃은 7~9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지는 윤생하기도 한다. 꽃받침의 열편은 길이 1~2.5mm로 안으로 굽으며 화관은 종형으로 끝이 강하게 또는 약간 오므라지고 수술은 5개 암술 1개이며 암술대는 화관 밖으로 약간 나온다. 자방하위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전주에 털이 있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전도에 나며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몽고 다후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층층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이명 : 수레둥굴레
잎 : 잎은 3-5개가 윤생하며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큰것은 길이 11㎝ 폭 5mm이지만 보통 길이 5-11㎝ 폭 5-10m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점점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연한 황색으로서 잎겨드랑이에 윤상으로 달리고 짧은 화경에 2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며 소포는 각각 2개씩이다. 화경(花梗)은 길이 2mm이고 소화경은 길이 3mm이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뿌리 : 굵은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번식한다.
분포 : 충북 단양을 남쪽 한계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층층나무
학명 : Cornus controversa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층층나무과(Cornaceae) target=_blank>층층나무과(Cor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층층나무속(Cornus) target=_blank>층층나무속(Cornus)</a>
이명 : 꺼그렁나무 말채나무 물깨금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이다. 길이 5~12cm 너비 3~8cm로 표면은 녹색이며 어릴때 복모가 약간 있고 뒷면은 백색으로서 잔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측맥은 5-10쌍이며 엽병은 길이 3~5cm로 붉은 빛이 돌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 : 화서는 지름 5-12㎝로서 햇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털이 있거나 없고 화경은 길이 1-3cm이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핀다. 꽃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통과 더불어 겉에는 털이 밀생하고 수술대는 길이 5mm이고 꽃밥은 정자형(丁字形)으로 달린다. 꽃잎과 수술이 각각 4개씩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지름 0.6~0.7cm로써 9-10월에 벽흑색(碧黑色)으로 익는데 새들이 즐겨 먹는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는 얕게 세로로 홈이 져서 터지며 가지는 계단상으로 윤생하며 층을 형성하여 수평으로 퍼지고 붉은빛이 돈다. 어린줄기와 가지는 붉은 빛의 윤채가 나고 피목이 산재 한다. 낙엽후 소지는 겨울동안 붉은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뿌리 : 심근성이다.
분포 :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함경북도 칠보산과 동해안 분수령 산맥의 최고봉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와 500~1 400m 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특징 :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 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층층나무외에 전나무 소나무 엄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층이진 우산모양의 수형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목탑 같고 수관이 넓게 퍼지고 폭목으로 자라기 때문에 집단식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