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Smilax sieboldii Miq. f. sieboldii |
|---|---|
| 과명 | 백합과(Liliaceae) |
| 속명 | 청미래덩굴속(Smilax) |
| 이명 | 종가시나무청가시나무 청가시덤불 청경개까시나무청미래청밀개덤불청열매덤불 |
|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타원형 난상 심장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5-14cm 폭 3-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약간 심장저이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밑부분에서 나온 5-7맥이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중앙부에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
| 꽃 |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길이 2-3mm로서 넓은 종같으며 엽액에 산형화서로 달리고 화경(花莖)은 길이 15m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길이 2-3mm이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
|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7-9mm로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
| 줄기 | 길이가 5m에 달하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으며 가지는 녹색으로서 흑색 반점이 있고 털이 없다. |
| 분포 | 전국 산야에 자생한다. |
|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관목. |
| 유사종 | ▶민청가시덩굴(var. inermis Nak.) : 원줄기에 가시가 없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Versl. Med. Akad. Afd. Nat. ser. 2:2:87 (1866) |
TAG •
-
Read MoreNo Image
태안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taeanensis S.S.Kang & M.G.Chu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원추리속(Hemerocallis) target=_blank>원추리속(Hemerocallis)</a>
잎 : 잎은 약간 작아서 길이 32~56cm 폭 0.5~1.4cm이고 부드러우며 표면은 편평하거나 줄이 있고 연한청녹색 녹색이 도는 황색이다.
꽃 : 화서는 대개 끝이 두개로 갈라지며 간혹 한번더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화서 아래에 드물게 1개의 포를 가지며 길이 1~1.8cm 폭 3~4mm이다. 꽃은 보통 2~5개가 피고 길이가 0.3~5.5cm이며 소화경은 길이 0.2~3cm 폭 3mm로 대체로 포보다 길다. 포는 난형이고 녹색이 돌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꽃은 보통 주황색을 띤 노란색이거나 드물게 엷은 황색을 띠는 노란색이다. 크기는 길이 5~8.6cm이고 통부는 길이 1~2.3cm 폭
열매 : 삭과는 대체로 약간 둥글고 드물게 장타원상 난형이며 표면은 보통 부드럽거나 사마귀형 돌기가 있고 끝부분은 미요두로 길이 1~2cm 폭 0.8~1.2cm이다. 종자는 광이있는 흑색이고 난형이며 아래쪽에 능각이 있고 길이 4mm 폭 3mm이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개화기와 결실기에 한쪽으로 치우진다. 크기는 32~68cm이고 기저부의 지름은 약 2mm이다.
뿌리 : 뿌리는 방추상 괴경으로 길이 1.5~2.5cm 폭 0.4~0.8cm이고 옅은 회색을 띠는 갈색이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큰하늘나리
학명 : Lilium concolor var. megalanthum Wang & Ta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특징 : 기본종인 하늘나리(Lilium concolor var. concolor)는 잎의 길이가 3.5-7cm 폭이 3-6mm이고 화피에 점이 없고 길이가 2.2-4cm 폭이 4-7mm인데 비해 본 종은 잎은 길이 5-8.5cm 폭 5-10mm이며 화피에 자색 점이 있고 길이는 5-5.2cm 폭은 0.8-1.4cm이다.
-
Read MoreNo Image
큰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 C.A.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원추리속(Hemerocallis) target=_blank>원추리속(Hemerocallis)</a>
이명 : 겹넘나물 겹원추리 금원추리
잎 : 잎은 길이 30-60cm 폭 1.5-2.5cm로서 대생하여 서로 얼싸안고 밝은 녹색이며 윗부분이 활처럼 굽어서 뒤로 젖혀지고 깊게 골이 진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화경(花莖)은 높이 40-70㎝이며 화서는 매우 짧고 큰 포 안에 2-4개의 꽃이 달리며 등황색이다. 꽃은 길이 8-10㎝ 지름 7㎝정도이고 내화피는 폭 2-2.5㎝로서 좁은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통부는 길이 1-1.5㎝이다. 6개의 수술은 화피보다 짧고 암술대는 수술보다 길다.
열매 : 삭과는 넓은 타원상 원형으로 포배로 터져 흑색종자가 나온다.
뿌리 : 뿌리는 적갈색이며 군데군데 타원형의 굵은 부분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본
특징 : 다른 원추리 종류들에 비해 키가 큰 편이다.
-
Read More
큰연영초
학명 : Trillium tschonoskii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연영초속(Trillium) target=_blank>연영초속(Trillium)</a>
이명 : 연령초 연영초 큰연령초 흰삿갓나물 흰삿갓풀
잎 : 원줄기끝에 엽병이 없는 잎 3개가 윤생한다. 잎은 난상 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7-17cm로서 3-5맥과 그물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꽃 : 5-6월에 윤생한 잎 중앙에서 길이 2-4cm의 화경(花莖)이 1개 나와 끝에 지름 4cm쯤 되는 꽃 한송이가 피며 꽃색은 흰색 또는 분홍색이다. 꽃받침은 3개이며 녹색이고 길이 2-2.5㎝로서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잎은 3개이고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서 꽃받침보다 넓고 길다. 수술은 6개이며 수술대는 3-8mm로서 편평하고 꽃밥은 길이 4-8mm이다.
열매 : 장과는 난상 구형이고 지름 15mm정도로서 녹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1-3개이고 높이가 30cm에 달하며 끝에 3개의 잎이 윤생한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땅속 깊이 들어가고 잔뿌리를 많이 가진다.
분포 : 울릉도 경기도 강원도 및 북부지방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꽃이 담황자색을 띤 것이 있는데 이것은 `연보라연령초`라고 한다.
특징 : 깊은 산속에서 자라는데 본속에는 2종이 자생하며 연영초가 있다.
연영초에 비해 수술주변이 갈색이다.
-
Read MoreNo Image
큰애기나리
학명 :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애기나리속(Disporum) target=_blank>애기나리속(Disporum)</a>
이명 : 중애기나리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급한 점첨두이고 길이 6-12cm 폭 2-5cm로서 3-5맥이 발달하며 가장자리와 뒷면 맥위에 반달형 또는 작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가지끝에 1-3개가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녹색이고 꽃잎은 6개로서 길이 15-18mm이다. 6개의 수술은 꽃잎 밑에 달리며 수술대는 길이 4-6mm이고 꽃밥은 길이 3-4mm이다. 자방은 둥글며 암술대는 길이 4mm로서 자방과 길이가 같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윗부분이 갈라지며 밑부분이 엽초같은 잎으로 둘러싸인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애기나리(D. smilacinum A. Gray)는 높이가 15-40cm로 큰애기나리(30-70cm)보다 작고 꽃이 1-2개 달린다. ▶금강애기나리(D. ovale Ohwi)는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9)
특징 : 애기나리와 비슷하지만 가지가 보다 많이 갈라지고 꽃잎에 녹색이 돌며 꽃밥은 수술대와 길이가 비슷하고 자방은 둥글며 암술대와 길이가 거의 비슷한 것이 다르다.
-
Read More
큰솔나리
학명 : Lilium tenuifolium Fi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이명 : 큰솔잎나리 큰중나리
잎 : 잎은 길이 3-14cm로 좁은 선형이고 호생하며 다닥다닥 달린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3-15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고 지름 3-4c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피침형이며 짙은 홍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고 뒤로 강하게 젖혀지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밖으로 나오고 꽃밥은 홍색 또는 적색이다.
열매 : 삭과는 곧추서며 원주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2-3cm 지름 1.7-2.2cm이고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60cm이고 곧추서며 가늘고 짧은 털이 있거나 없다.
뿌리 : 인경은 길이 3-5cm로 백색이며 긴 타원형이다.
분포 : 평안도에서부터 만주를 거쳐 몽고지역까지 자란다. 백두산지역 해발 1 000m미만의 풀밭에 주로 자생하고 충주 근방에서도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솔나리(Lillium cernum KOM.) : 원줄기끝에서 몇 개의 짧은 가지가 갈라져 그 끝에서 연분홍 꽃이 아래를 향해 핀다. ▶흰솔나리(Lillium cernum var. candidum NAKAI) : 꽃잎은 뒤로 젖혀지고 흰색이다. 1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꽃밥은 갈색이다.
특징 :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17) ▶본 종을 L.pumilum 으로 취급하고 솔나리를 변종으로 취급하는 사람도 있다.
-
Read MoreNo Image
큰두루미꽃
학명 : Maianthemum dilatatum (Wood) A.Nelson & J.F.Macb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두루미꽃속(Maianthemum) target=_blank>두루미꽃속(Maianthemum)</a>
잎 : 잎은 밑부분의 것은 비늘같으며 정상엽은 2개로서 호생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10cm 폭 2.5-8(10)cm이고 가장자리의 세포는 반원형이고 희미한 톱니같이 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10여개 달리고 총상화서는 원줄기와 연속되며 길이 2-3㎝로서 백색꽃이 핀다. 소화경은 길이 3-7mm이고 화피열편은 타원형이며 길이 2mm로서 수평으로 퍼져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화피보다 짧고 암술대는 길이 0.8mm정도로서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둥근 장과는 지름 5-7mm정도로서 적색으로 익고 종자가 3개씩 들어있으며 지름 3mm정도로 둥글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8-25cm정도 되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울릉도 및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두루미꽃(M. bifoloum (L.) F. W. Schmidt) : 전국의 높은 산에 생육하며 큰두루미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체가 작으나 새싹이 나올 때는 더 굵다.
특징 : ▶우리나라의 특산식물로서 두루미꽃과 비슷하지만 전체가 크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잎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속명 Majanthemum은 majos(5월)과 anthemon(꽃)의 합성어로 화기(花期)의 특색에서 유래되었다.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은 같은 종류의 식물이라 할지라도 자생지에 따라 형태에 있어 독특한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종류의 지역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
Read MoreNo Image
칠보치마
학명 : 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칠보치마속(Metanarthecium) target=_blank>칠보치마속(Metanarthecium)</a>
잎 : 잎은 뿌리에서 10여개가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황록색으로서 도피침형이고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끝부분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8-20cm 폭 1-4cm로서 10개 정도의 맥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20-40cm로서 때로는 1-2개의 가지가 있으나 잎은 없다. 수상화서는 길이 3-20cm로서 잔털이 있고 포는 선형이며 소화경은 길이 2-4mm이고 화피열편은 6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6-7mm로서 끝이 둔하며 황백색이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보다 짧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넓으며 화피에 붙어 있다. 자방은 중위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며 암술대가 달려 있고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7mm이다. 화피도 남아서 열매를 둘러싸며 종자는 난형이고 길이 0.7m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곧다.
분포 : 수원 칠보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층층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이명 : 수레둥굴레
잎 : 잎은 3-5개가 윤생하며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큰것은 길이 11㎝ 폭 5mm이지만 보통 길이 5-11㎝ 폭 5-10m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점점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연한 황색으로서 잎겨드랑이에 윤상으로 달리고 짧은 화경에 2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며 소포는 각각 2개씩이다. 화경(花梗)은 길이 2mm이고 소화경은 길이 3mm이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뿌리 : 굵은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번식한다.
분포 : 충북 단양을 남쪽 한계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층층갈고리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sibiricum Dela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이명 : 원황정 죽대둥굴레
잎 : 잎은 단엽 2~7개가 윤생 배열 엽신은 선형 길이 11~17㎝ 폭 1~2.7㎝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 엽병이 없음
꽃 : 꽃은 양성화 6~7월 백색 개화 화경은 2-8개의 꽃이 밑으로 처짐 화경길이는 3~7.5cm 화피는 통형 6열편 수술은 6개 화사는 잔돌기가 존재 암술대는 자방길이의 2배이다.
열매 : 과실은 장과 9~10월 흑색 성숙 구형.
뿌리 : 지하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러시아 중국 몽골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청미래덩굴
학명 : Smilax chin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청미래덩굴속(Smilax) target=_blank>청미래덩굴속(Smilax)</a>
이명 : 망개나무 매발톱가시명감 명감나무 섬명감나무좀명감나무좀청미래 종가시나무청열매덤불팔청미래
잎 : 잎은 호생하고 윤채가 있으며 혁질이고 길이 3-12cm 폭 2-10cm이며 두껍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 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서 5-7맥이 나오며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7-20mm이고 탁엽은 덩굴손이 된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산형화서는 엽액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30mm 소화경은 길이 1cm정도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긴 타원형이고 뒤로 말리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긴 타원형으로서 3실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1cm정도로서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종자는 황갈색이며 5개 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마디에서 굽어 자라며 길이 3m에 이르고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다.
뿌리 : 근경은 땅속에서 길게 옆으로 뻗으며 육질이 딱딱하고 불규칙하게 휘어지며 드문드문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중부 이남의 산야 표고 1 600m이하의 양지에서 자생하고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덩굴성 관목
유사종 : ▶좀청미래(var. microphylla Nak.) : 전체가 소형이며 줄기가 곧고 가지가 많으며 높이 20-50㎝이고 잎은 길이 1-5㎝ 폭 0.7-4.3㎝이며 밑부분에서 5맥이 나온다. ▶청가시덩굴(S. sieboldii Miq.) : 엽병중앙부에 덩굴손 열매는 흑색이다.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청미래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배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청가시덩굴
학명 : Smilax sieboldii Miq. f. sieboldi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청미래덩굴속(Smilax) target=_blank>청미래덩굴속(Smilax)</a>
이명 : 종가시나무청가시나무 청가시덤불 청경개까시나무청미래청밀개덤불청열매덤불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타원형 난상 심장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5-14cm 폭 3-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약간 심장저이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밑부분에서 나온 5-7맥이 다시 그물맥으로 된다.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중앙부에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길이 2-3mm로서 넓은 종같으며 엽액에 산형화서로 달리고 화경(花莖)은 길이 15m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타원형이며 다소 육질이고 길이 2-3mm이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7-9mm로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길이가 5m에 달하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능선과 곧은 가시가 있으며 가지는 녹색으로서 흑색 반점이 있고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관목.
유사종 : ▶민청가시덩굴(var. inermis Nak.) : 원줄기에 가시가 없다.
-
Read MoreNo Image
천문동
학명 :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짜루속(Asparagus) target=_blank>비짜루속(Asparagus)</a>
이명 : 부지깽나물 호라지좃
잎 : 미세한 막질 또는 짧은 가시로서 줄기에 흩어져 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담황색으로 1-3개씩 모여 액생하며 길이 3mm정도이고 소화경은 길이 2-5mm로서 중앙부에 관절이 있으며 꽃잎과 길이가 거의 같다. 꽃잎은 6개이고 옆으로 퍼지며 좁은 선상 타원형이고 6개의 수술은 꽃잎보다 짧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병모양이고 3실이다.
열매 : 과실은 장과로서 백색이며 구형이고 지름 6mm정도로서 그 속에 1개의 검은색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길이 1-2m로서 덩굴성이고 길게 자라며 가늘고 평활하다. 잔가지는 가는 잎모양으로 1-3개씩 총생하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여 가시같고 길이 1-2cm 폭 1-1.2mm로서 활처럼 굽으며 윤채가 있고 줄기에 호생한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많은 방추형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길이 5-15cm이다.
분포 : ▶일본 오키나와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 전남(목포 매가도 금도) 전북(전주) 경북(가야산 울릉도) 경남(통영)에 야생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노간주비짜루(A. rigidulus)
특징 : 옛날에는 유명한 강장제로 알려져 있었던 탓으로 우리나라에는 `호라지(비)좆`이라는 별난 별명도 붙여져 있다. 울릉도에서는 눈 속에서 돋아나는 이 나물을 `부지깽이나물`이라 하여 산채 중의 으뜸으로 꼽는다.
-
Read More
처녀치마
학명 : Heloniopsis koreana Fuse & a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치마속(Heloniopsis) target=_blank>처녀치마속(Heloniopsis)</a>
이명 : 차맛자락풀 치마풀
잎 : 잎은 방석처럼 퍼지며 도피침형이고 길이 6-20cm이며 혁질이고 윤이 나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3-10개가 총상으로 달리며 적자색이지만 핀 후에는 자록색이 돌고 화경(花莖)은 높이가 10-30cm로서 포같은 잎이 달리며 새로운 잎이 방석처럼 밑부분의 옆에서 돋는다. 소화경은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1.5-2㎝이고 화피열편은 6개로 도피침형이며 길이 1-1.5㎝이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화피보다 길다.
열매 : 삭과는 마른 화피로 싸이고 위를 향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포간으로 터진다. 종자는 선형이며 길이 5mm정도로서 양끝이 좁다.
줄기 : 잎과 따로 구분되지 않음.
뿌리 : 근경은 짧고 곧으며 수염뿌리가 많다.
분포 :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흰처녀치마(H. orientalis (Thunb.) C. Tanaka var. flavida) : 북한산 소백산 태백산 등지에 생육하며 화색이 희다. ▶칠보처녀치마 : 수원의 칠보산에 생육하고 개화시기가 6월경이며 한 포기에서 화경이 2개씩 나온다.
특징 : 잎이 넓게 퍼지므로 처녀들의 치마폭을 연상하게 한다. 4월초부터 계속적으로 개화하는 특성이 있다. 초기에 피는 꽃은 아직까지 기온이 높지 않은 상태이므로 주변 환경의 낮은 기온에 적응하기 위하여 꽃대가 낮게 개화하나 점차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꽃대가 점점 높이 자라 약 50cm에 이르는데 이것은 종자가 결실한 후 바람에 의해 가능한한 종자를 멀리에까지 전파시키기 위함이다.
-
Read MoreNo Image
참여로
학명 : Veratrum nigrum var. ussuriense Lose.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로속(Veratrum) target=_blank>여로속(Veratrum)</a>
이명 : 검정여로 큰여로
잎 : 잎은 원줄기의 하반부에 달리고 첫째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40cm 폭 10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져서 엽초로 된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원줄기끝에 검은 자주색 꽃이 원추화서에 밀생하고 화피열편은 6개로서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6개의 수술은 화피길이의 1/2정도이다. 자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짙은 자주색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3개의 홈이 있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근경 윗부분은 원줄기의 밑부분과 더불어 엽초가 썩어서 남은 섬유로 덮여있다. 높이가 1.5m정도 된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밑에서 굵은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제주도 및 중·북부지방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여로(V. maackii var. japonicum T. Shimizu)는 전국적으로 풀밭에 흔히 생육하며 높이 40-60cm 정도로 자란다.
특징 : 박새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높이 1m이상 자라는 대형식물이다. 자생지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희귀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참산부추
학명 : Allium sacculifer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이명 : 산부추 산부치
잎 : 잎은 2-3개가 근생하며 밑부분이 화경(花莖)을 둘러싸고 편평하지만 하반부 뒷면에 중륵이 돌출한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60cm로서 끝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화서는 지름 3-4cm이며 소화경은 길이 10-12mm이다. 화피열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5mm 폭 3mm로서 적자색이다. 포는 2개이고 둥근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고 꽃잎보다 길며 수술대 사이에 뾰족한 소돌기가 있고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뿌리 : 인경(鱗梗)은 난상 타원형이고 지름 1-1.5cm로서 외피겉에 섬유가 남지 않으며 2-3개의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참비비추
학명 : Hosta clausa var. normalis F.Mae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비추속(Hosta) target=_blank>비비추속(Hosta)</a>
이명 : 꽃비비추 주걱비비추
잎 :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8-19.8cm 폭 41-93mm로서 양끝이 쫍고 엽병은 길이 15-26cm로서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길이 40-50cm로서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총상으로 달리고 활짝 벌어지지 않으며 길이 3-4cm이다. 꽃은 밑부분은 통상 종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윗부분은 굵어지지만 꽃잎이 벌어지지 않으므로 다시 가늘어지고 연한 자주색이다. 포는 처음에는 녹색이며 길이 8-17mm로서 일찍 탈락하고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4-7mm로서 적색 또는 적자색이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꽃밥은 진한 보라색이고 자방은 길이 4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분포 : 경기도 광릉 충청북도 속리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산옥잠화 : 산옥잠화에 비해 참비비추의 잎이 좁다.
-
Read More
참나리
학명 : Lilium lancifolium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이명 : 나리 백합 알나리
잎 : 잎은 길이 5-18cm 폭 0.5-1.5cm로서 피침형이며 줄기에 다닥다닥 달리고 호생하며 엽액에 짙은 갈색의 주아(珠芽)가 달린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4-20개가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10㎝로서 짙은 황적색 바탕에 흑자색 반점이 산포하고 뒤로 말린다. 밀구(蜜溝)에 짧은 털이 있으며 6개의 수술과 암술이 꽃 밖으로 길게 나오고 암술대는 길며 꽃밥은 짙은 적갈색이다.
열매 : 엽액에 주아(珠芽)가 달려 인편으로 번식한다.
줄기 : 높이 1-2m이며 흑자색이 돌고 흑자색 점이 있으며 어릴 때는 백색털로 덮인다.
뿌리 : 인경은 지름 5-8㎝로서 둥글고 원줄기밑에서 뿌리가 나온다. 엽액에 한 개씩 달리는 흑갈색의 완두콩만한 주아(珠芽)가 땅위에 떨어지면 여기서 뿌리를 내리고 싹이 튼다.
분포 :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이며 무피인경이다.
유사종 : ▶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는 산야에 자생한다. ▶지리산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 var. carneum nak.)는 꽃잎에 자주색 점무늬가 없다. ▶누른하늘말나리(L. tsingtauense Gilg var. flavum Wils.)는 짙은 황색 꽃이 핀다. ▶섬말나리(L. hansonii Leichtl)는 울릉도에 자생한다. ▶말나리(L. distichum Nakai)는 꽃이 옆을
특징 : 참나리는 꽃빛이 붉고 꽃잎이 뒤로 말렸다하여 `권단`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 산야에 흔히 자라고 있고 옛날부터 알뿌리(鱗梗)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했으므로 어느 가정에나 한 두 포기는 있을 정도로 친숙한 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진황정
학명 : Polygonatum falcatum A.Gra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이명 : 대잎둥굴레
잎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며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8-13cm 폭 10-25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원줄기에 달리며 끝이 점차 좁아지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맥위에 돌기가 약간 있다. 엽병은 극히 짧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3-5개 때로는 1개가 엽액에 다소 산형 또는 산방형으로 달리며 푸른 빛이 도는 백색이고 길이 2cm로서 통형이며 끝이 6갈래이다. 수술은 9개이며 수술대에 털이 없고 꽃밥은 길이 3mm로서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흑록색으로 익고 밑으로 처진다.
줄기 : 원줄기의 단면이 둥글며 높이 50-80cm로서 끝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 근경은 둥글레처럼 짧으며 굵고 마디가 있으며 가로로 뻗는다. 근경을 황정(黃精)이라 한다.
분포 :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둥굴레(Polygonatum officinale Allioni) ▶왕둥글레(Polygonatum robustum Nakai)
-
Read MoreNo Image
지리산하늘말나리
학명 : Lilium tsingtauense f. carneum (Naka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이명 : 지리하늘말나리
잎 : 잎은 큰 윤생엽과 작은 호생엽이 있으며 윤생엽은 6-12개씩 달리고 피침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서 급하게 뾰족해진 끝과 점차적으로 좁아진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려 있으며 호생엽은 큰 것은 길이 9㎝ 폭 2㎝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원줄기끝과 바로 그 측지(側枝)끝에 1-3개가 위를 향해 곧추 달리며 지름 4㎝정도이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피침형이고 길이 4-5㎝로서 황적색 바탕이며 자주색 반점이 없으며 약간 뒤로 굽는다.
열매 : 삭과는 도란상 원주형이고 길이 22㎜ 지름 25㎜정도로서 3개로 갈라진다.
뿌리 : 인경(鱗莖)은 지름 2-3㎝로서 구상 난형이고 인편(鱗片)에 관절이 흔히 없지만 관절이 있는 것도 비교적 많이 나타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하늘말나리 누른하늘말나리 참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