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lematis terniflora DC. |
|---|---|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 속명 | 으아리속(Clematis) |
| 이명 | 구와으아리국화으아리 왕으아리 음등덩굴주름으아리 |
| 잎 | 잎은 대생하며 3~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길이 3~10cm 폭 2~4cm로서 난형 넓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보통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지만 간혹 결각상이다. 엽병은 구부러져서 덩굴과 같은 역할을 한다. |
| 꽃 |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지름 2-3cm로서 백색이며 액생 또는 정생하는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많은 꽃이 피어 뒤덮으며 향기가 있다.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꽃받침인데 꽃받침 잎은 4개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12mm로 겉에 털이 거의 없고 수술대는 꽃밥보다 길다. |
| 열매 | 열매는 7-10cm의 수과로 잔털이 있고 털이 돋아서 우상(羽狀)으로 된 긴 암술대가 달려 있다. |
| 줄기 | 덩굴 줄기는 가늘며 어릴때는 털이 있다가 커서 없어진다. 줄기 길이가 5m 정도 자란다. |
| 뿌리 | 연흰갈색의 가는 뿌리가 사방으로 고르게 많이 내려 있다. |
| 분포 |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중부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특히 울릉도를 비롯한 바닷가에 가까운 산야에 많다. |
| 형태 | 낙엽 활엽 만경목 |
| 유사종 | ▶으아리(Clmatis mandshurica Rupr.): 꽃의 지름이 12-20㎜이다. ▶국화으아리(C. terniflora DC. var. denticulata T. LEE) : 소엽에 톱니가 있으며 여수 및 거문도에서 자란다. ▶큰위령선(C. mandshurica Rupr. var. koreana Nakai) ▶긴잎으아리(C. mandshurica Rupr. lancifolia Nakai) ▶사위질빵(C. apiifoia AP. DC.)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Syst. Nat. (Candolle). 1: 137 (DC., 1818)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TAG •
-
Read MoreNo Image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subsp. jaluens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개싹눈바꽃 그늘돌쩌귀 선투구꽃 세잎돌쩌귀 싹눈바꽃 진돌쩌귀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총상화서 또는 복총상화서가 원줄기 끝과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소화경에 털이 많다. 꽃 전체 모양은 고깔이나 투구모양이다. 꽃받침잎은 꽃잎같이 생겼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뒤쪽의 것은 고깔같고 이마쪽이 뾰족하게 나와 있으며 중앙부의 것은 약간 둥글고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2개이며 긴 대가 있고 가장 윗부분의 꽃받침잎 속에 들어있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우상으로 넓어진다. 자방은 3-4개로 털
열매 : 열매는 골돌(骨突)로서 타원형이고 뾰족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뿌리 : 마늘쪽같은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한다.
분포 : ▶한국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 Koidz.): 뿌리는 둥글고 뾰족하며 어긋 달리는 잎은 삼각형이다. 한국 특산식물로서 환경부에서 특정 야생식물(식-64호) 산림청의 멸종 위기식물(보존순위33)로 지정한 법정 보호식물이다. ▶노랑투구꽃(Aconitum sibiricum Poir.): 연한 황색으로 피는 꽃은 꼿꼿이 선다.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tum Nakai): 자주색 꽃에는 털이 많
특징 : 환경내성은 보통이나 저지대에서는 곤란하다.
-
Read MoreNo Image
털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f. lasiocarpum (Regel)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고깔속(Delphinium) target=_blank>제비고깔속(Delphinium)</a>
이명 : 부전제비고깔 색기제비고깔 털잎제비고깔 )
잎 :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길며 단풍잎처럼 3∼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지만 가운뎃부분의 것은 엽병이 약 5cm이며 잎몸은 길이 약 9cm 너비 약 12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어두운 자줏빛으로 피고 줄기 끝에 원추화서를 이룬다. 포는 잎처럼 생기고 작은 포는 막질로서 작은 꽃자루의 가운뎃부분에 달린다. 작은 꽃자루에는 갈색의 부드러운 털이 나고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위쪽에 있는 꽃받침 조각에는 꿀주머니가 있고 그 속에 꽃잎이 들어 있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 모양의 골돌과로서 길이 약 1.5cm이고 털이 나며 끝이 길게 뾰족하다.
줄기 : 포기 전체에 털이 난다.
분포 : 한국(북부지방 강원)
-
Read MoreNo Image
털개구리미나리
학명 : Ranunculus cantoniensis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a>
이명 : 왜젓가락나물 털젓가락나물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밑부분이 엽초가 되며 3개로 갈라지고 소엽은 2-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복모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1-2회3출엽이며 윗부분의 것은 1회3출엽이거나 단순히 3개로 갈라진다.
꽃 : 꽃은 취산화서로 황색이다. 꽃받침은 5개이고 뒤로 젖혀지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3.5mm정도로서 뒷면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mm이다.
열매 : 취과는 둥글며 화탁은 타원형이고 백색털이 있으며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3.5m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편편하며 암술대가 거의 젖혀지지 않는다.
줄기 : 밑부분에 퍼진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복모가 있고 높이 30-80cm이며 가지가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속이 비어 있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전체의 모양이 왜젓가락나물과 비슷하지만 털이 있고 수과가 개구리미나리와 비슷하다.
-
Read MoreNo Image
키다리바꽃
학명 : Aconitum arcuat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왕바꽃큰덩굴바꽃큰바꽃키바꽃 흰바꽃흰왕바꽃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3-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와 더불어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가지끝에서 엉성하게 겹총상화서로 달리고 자색 소화경에 잎같은 소포가 있다. 꽃받침은 5장으로 꽃잎같으며 뒤쪽 꽃받침잎은 모자같고 앞에 부리같은 돌기가 있으며 옆의 것은 넓은 도란형이고 아래쪽 2개는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2개이며 뒤쪽의 꽃받침잎 속으로 들어가서 밀선으로 되고 끝부분이 말린다. 수술은 많으며 수술대는 하반부가 백색이고 날개처럼 된다.
열매 : 골돌은 3개로서 끝이 가늘며 뾰족하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가 다소 꼬불꼬불하다.
분포 : 평북 및 함경도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큰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고깔속(Delphinium) target=_blank>제비고깔속(Delphinium)</a>
이명 : 산제비고깔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크지만 중앙부의 것은 엽병의 길이가 5cm정도이고 엽신은 길이 9cm 폭 12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짙은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소포는 소화경의 중앙부에 달리며 막질이고 소화경은 화서축의 윗부분과 더불어 갈색 융모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5개가 꽃잎처럼 되며 위쪽의 것은 거가 있고 꽃잎이 그 속에 들어 있다.
열매 : 골돌은 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줄기 : 높이가 1m정도이고 줄기가 곧게 서며 밑부분과 화서에 털이 있으나 대부분 털이 없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굵은 근경은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비고깔(D. frandiflorum var. chinense FISCH.)은 북한지방에 자생하는 식물로 한택식물원에서 재배시험중이다. ▶털제비고깔 (var.lasiocarpum REGEL) : 열매에 털이 있고 전체에 털이 많다. ▶부전제비고깔 (var.lasiophyllum NAK.) : 열매에는 털이 없으나 밑부분과 잎에 털이 많다.
특징 : 고산성의 희귀식물
-
Read MoreNo Image
큰산꿩의다리
학명 : Thalictrum filamentosum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다리속(Thalictrum) target=_blank>꿩의다리속(Thalictrum)</a>
이명 : 산꿩의다리 작은산꿩의다리 잘룩산꿩의다리 큰잎산꿩의다리
잎 : 잎은 밑에서 1개씩 나오며 엽병이 길고 흔히 2-3회 3출엽이며 소탁엽이 없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거나 없고 1-2회 3출엽이다. 소엽은 뒷면이 분백색이고 긴 타원형 또는 사각상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넓은 예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1.5-8cm 폭 1-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흔히 2-3개로 갈라지며 탁엽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윗부분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꽃받침잎은 4-5개로서 타원형이며 일찍 떨어지고 꽃잎이 없다. 수술은 많으며 환상으로 배열되고 수술대는 윗부분이 넓으며 밑부분은 실처럼 가늘고 꽃밥은 길이 1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다.
열매 : 수과는 2-6개이며 길이 3-4mm의 대가 있고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3-5mm로서 양쪽에 1-4맥이 있으며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는 굵고 짧으며 밖으로 굽지 않는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며 털이 없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뿌리 : 뿌리가 흔히 굵어진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큰꿩의다리
학명 : Thalictrum kemense F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꿩의다리속(Thalictrum) target=_blank>꿩의다리속(Thalictrum)</a>
이명 : 긴꼭지좀꿩의다리 김꼭지꿩의다리 성긴좀꿩의다리
잎 : 잎은 호생하고 2-3회 3출엽으로서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은 짧거나 없고 탁엽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에 소탁엽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삼각상 도란형이고 길이 1-3cm 폭 8-20mm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며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뒷면은 분백색이 돈다.
꽃 : 꽃은 7-8월에 지름 5-7mm의 황록색의 꽃이 큰 원추화서로 핀다. 꽃받침잎은 3-4개로서 꽃잎같고 빨리 떨어지며 3맥이 있고 긴 타원형이며 꽃잎이 없다. 수술은 10-17개로 많으며 수술대 끝에 길이 2mm의 꽃밥이 달리고 암술은 2-6개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3mm로서 8개의 능선이 있고 9월에 익는다. 소과경의 길이가 10-35mm이다.
줄기 : 높이 40-12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고 능선이 있다.
분포 :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좀꿩의다리 (Thalictrum minus var. hypoleu-cum(S. et. Z.) MIQ.)
-
Read MoreNo Image
큰꽃으아리
학명 :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이명 : 개비머리어사리
잎 : 잎은 3출 또는 우상복엽이며 대생하고 3-5개의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첨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4~10cm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5-10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열편은 6-8개이고 넓은 난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같이 보이나 꽃잎은 없다. 암술과 수술은 여러 개인데 수술대는 편평하고 암술대는 끝 부근에 복모가 있다. 꽃대에는 포가 없다.
열매 : 수과는 난형으로 9-10월에 익고 갈색털이 있는 긴 암술대가 그대로 달려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길며 잔털이 있고 길이 2~4m 정도 자라며 갈색이고 덩굴성이다.
뿌리 : 국수발 굵기의 연갈색 뿌리가 사방으로 내린다.
분포 : ▶중국과 만주 등지에도 자란다. ▶전국 각처 표고 100~850m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성 활엽 만경목 수형:만경형
특징 :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Clematis 속 가운데 꽃의 관상가치가 가장 크다.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 심어 반그늘을 만들어 주면 오랫동안 아름다운 꽃을 감상할 수 있다. ▶열매가 마치 종자같이 보인다. 깃털모양으로 변한 암술대는 전체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상을 이룬다.
-
Read MoreNo Image
큰금매화
학명 : Trollius macropetalus (Regel) F.Schmid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금매화속(Trollius) target=_blank>금매화속(Trollius)</a>
이명 : 겹금매화
잎 : 근출엽은 긴 엽병이 있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4-12cm로서 털이 없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원줄기에 엽병이 없는 잎이 2-3개 달리고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작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4cm정도로서 황색이고 원줄기 또는 가지끝에 1개씩 달리며 타원형의 꽃받침잎은 5-7개로서 꽃잎같고 옆으로 퍼진다. 지름 3-5cm의 동황색꽃이 줄기와 가지끝에서 핀다. 꽃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수술보다 길고 수술 및 암술은 많다.
열매 : 골돌은 길이 10cm로서 모여 달리고 끝에 뾰족한 암술대가 붙어 있으며 암술대는 길이 2.5-4mm이다.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줄기는 곧게서고 털이 없다.
뿌리 : 암갈색의 가늘고 긴 뿌리가 뭉쳐나며 뿌리에서 2-3개의 엽병이 긴 잎이 나온다.
분포 : ▶북한 중국 러시아 극동부지방에 분포한다. ▶부전고원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애기금매화 (T.japonicus MIQ.)
특징 : 애기금매화와 달리 꽃잎이 수술보다 길다.
-
Read MoreNo Image
촛대승마
학명 : Cimicifuga simplex (DC.) Turc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승마속(Cimicifuga) target=_blank>승마속(Cimicifuga)</a>
이명 : 나물승마대스암대승마산촛대승마섬승마섬촛대승마초대승마 초때승마
잎 : 잎은 호생하며 2-3회 3개씩 갈라지고 소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3-8cm 폭 1.5-5cm로서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위에 털이 성글게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길이 20-30cm에 이르는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흔히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며 많은 백색꽃이 달리고 양성화와 수꽃이 있으며 백색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길이 4mm로서 타원형이며 꽃잎은 작고 끝이 밋밋하거나 얕게 2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많고 길이 10mm로서 백색이다. 자방은 2-7개로서 꽃이 핀 다음 길어지는 짧은 대가 있으며 털이 약간 있다. 암술은 3-6개로
열매 : 골돌은 긴 대가 있으며 길이 1cm정도로서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긴 타원형이며 끝에 꼬부라진 암술대가 남아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흰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풀전체 유독성 식물
-
Read MoreNo Image
참줄바꽃
학명 : Aconitum villosum Rch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가는돌쩌귀 가는돌쩌귀풀 가는돌쩌기 가는잎선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엽병이 있으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측열편은 다시 2개로 깊게 갈라지기 때문에 5개로 갈라진 것같이 보인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뒷면은 털이 없으나 표면은 엽병의 가장자리와 더불어 꼬부라진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에 황갈색의 퍼진 털이 밀생하고 중앙부의 소포는 피침형이며 긴 연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겉에 긴 털이 비교적 많이 있다.
열매 : 골돌은 5개로서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 윗부분은 갈라지고 높이가 1m에 달한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유독식물
-
Read MoreNo Image
참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ornatum Bouch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고깔속(Delphinium) target=_blank>제비고깔속(Delphinium)</a>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고 장상으로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2-3회 갈라져서 선형으로 되고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으며 잎이 작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보통 암자색이나 연한 자주색 연한 분홍색 흰색도 있음. 꽃받침잎은 5개로서 크기가 다르고 뒤쪽의 가장 큰 꽃받침잎의 밑부분의 길이 1.5cm정도의 거(距)로 된다. 꽃잎은 뒤쪽에 붙어 있으며 1개 뿐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합쳐져서 거(距)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편평하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긴 타원형이고 털이 밀생한다.
줄기 : 높이가 90cm에 달하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김해 근처에서 야생상으로 자란다.
형태 : 2년초
특징 : 윗부분에 짧은 털이 분포
-
Read MoreNo Image
참으아리
학명 : Clematis terniflora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이명 : 구와으아리국화으아리 왕으아리 음등덩굴주름으아리
잎 : 잎은 대생하며 3~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길이 3~10cm 폭 2~4cm로서 난형 넓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첨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보통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지만 간혹 결각상이다. 엽병은 구부러져서 덩굴과 같은 역할을 한다.
꽃 :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지름 2-3cm로서 백색이며 액생 또는 정생하는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많은 꽃이 피어 뒤덮으며 향기가 있다.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꽃받침인데 꽃받침 잎은 4개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12mm로 겉에 털이 거의 없고 수술대는 꽃밥보다 길다.
열매 : 열매는 7-10cm의 수과로 잔털이 있고 털이 돋아서 우상(羽狀)으로 된 긴 암술대가 달려 있다.
줄기 : 덩굴 줄기는 가늘며 어릴때는 털이 있다가 커서 없어진다. 줄기 길이가 5m 정도 자란다.
뿌리 : 연흰갈색의 가는 뿌리가 사방으로 고르게 많이 내려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중부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특히 울릉도를 비롯한 바닷가에 가까운 산야에 많다.
형태 : 낙엽 활엽 만경목
유사종 : ▶으아리(Clmatis mandshurica Rupr.): 꽃의 지름이 12-20㎜이다. ▶국화으아리(C. terniflora DC. var. denticulata T. LEE) : 소엽에 톱니가 있으며 여수 및 거문도에서 자란다. ▶큰위령선(C. mandshurica Rupr. var. koreana Nakai) ▶긴잎으아리(C. mandshurica Rupr. lancifolia Nakai) ▶사위질빵(C. apiifoia AP. DC.)
-
Read MoreNo Image
진범
학명 : Aconitum pseudolaev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줄바꽃 줄오독도기 진교
잎 : 근생엽은 자루가 길고 5~7개로 갈라지며 각 열편에는 끝이 뾰족한 결각 또는 톱니가 있다. 경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간단해진다.
꽃 : 꽃은 8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줄기의 끝이나 윗부분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꽃잎모양이고 뒤쪽 것은 투구 같으며 2개의 꽃잎은 길어져서 끝부분이 밀선처럼 되고 뒤쪽 원통형의 꽃받침 속으로 들어간다. 수술은 다수이고 밑부분이 넓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3개이고 거센 털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라고 흔히 자주빛이 돌며 밑부분에 능각이 있고 윗부분에 짧은털이 밀생한다.
뿌리 : 뿌리는 직근이고 흑갈색이다.
분포 : 평남 이남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지리바꽃
학명 : Aconitum chiisanens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지리산바꽃 지이바꽃
잎 : 잎은 호생하고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엽병이 있다.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고 최종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자주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화경에 털이 있고 포는 선형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뒤쪽의 꽃받침잎이 고깔처럼 위에서 내려 덮고 길이 2cm정도로서 이마끝이 뾰족하게 앞으로 나오며 양쪽 2개는 긴 대가 있어 고깔같은 꽃받침잎 속으로 들어가고 수술은 여러개이며 수술대는 밑부분이 퍼진다. 자방은 5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끝에 암술대가 길게 남는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추 자란다.
뿌리 : 뿌리는 마늘쪽처럼 굵고 육질이다. 괴경을 지리초오(智異草烏)라 한다.
분포 : 경남(지리산) 및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놋젓가락나무(A. ciliare) ▶노랑돌쩌귀(A. koreanum) ▶진돌쩌귀(A. seoulense)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중국할미꽃
학명 : Pulsatilla chinensis (Bunge)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할미꽃속(Pulsatilla) target=_blank>할미꽃속(Pulsatilla)</a>
이명 : 넓은잎할미꽃 세잎할미꽃
잎 : 잎은 밑동에서 총생하고 엽병의 길이는 5~7cm 3장의 소엽으로 된 겹잎이며 길이 2~4cm 너비 3~5cm이다. 소엽은 넓은 난형 3갈래 갈라지고 끝부분에 불규칙한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종 모양 길이 2.5~3cm 화피는 6장 긴 난형 남자색 또는 남보라색 겉면에 긴 털이 밀생하고 길이 2~3cm 너비 7~8mm 수술은 다수 꽃밥은 노란색이다. 암술은 다수 씨방에 털이 있다. 총포는 길이 2~3cm 손바닥 모양으로 깊게 6개로 갈라졌으며 갈래는 줄 모양 바깥면에 흰 털이 밀생하고 꽃줄기 끝에 윤생한다.
열매 : 열매는 긴 난형 모여서 두상으로 되고 길이 4mm 정도이다. 암술대는 깃 모양으로 길이 35mm 정도 이고 깃 모양의 털은 약간 퍼지고 털의 길이는 3mm정도 이다.
줄기 : 전체에 긴 비단 같은 털이 밀생한다.
뿌리 : 뿌리는 곧고 굵으며 암갈색이다.
분포 : 한국(평남 맹산) 중국 동북 지방 우수리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줄바꽃
학명 : Aconitum alboviolaceum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이명 : 오독도기 줄바꼬 줄진범 흰오독도기 흰줄바꽃
잎 : 뿌리에 달린 잎은 엽병이 길고 손바닥 모양으로서 3∼5갈래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짧다.
꽃 : 꽃은 7∼9월에 연한 자줏빛 또는 흰빛을 띤 자줏빛으로 피는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과 꽃대에 짙은 노란색 털이 빽빽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기고 5개이며 투구 모양이다. 이 가운데 2개는 꿀샘 같고 끝이 휘어 위쪽 꽃받침 속으로 들어간다. 수술은 여러 개이고 씨방은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과이며 유독식물이다.
줄기 : 줄기는 다른 물체에 감긴다.
분포 : 한국(평북 함남 함북) 만주 우수리강 헤이룽강 등지
형태 : 덩굴성 다년초이다.
특징 : 덩굴식물로서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독이있다.
-
Read MoreNo Image
종덩굴
학명 : 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이명 : 수염종덩굴
잎 : 잎은 대생하고 5~7개의 소엽으로된 우상복엽이며 정엽이 덩굴손으로 변하는 것도 있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3~6cm이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2~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여름에 암자색으로 피고 종형으로 밑으로 처지며 잎짬에 1개씩 달리고 꽃대에 2개의 포엽이 있다. 화피편은 4개로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며 외면에 털이 없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며 암술대에는 갈색의 털이 우상으로 난다.
줄기 : 어린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넌출성 식물
-
Read MoreNo Image
좁은잎사위질빵
학명 : Clematis hexapetala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이명 : 가는잎모란풀가는잎목단풀가는잎사위질빵 간은닢사위질빵 좀사위질빵
잎 : 잎은 대생하며 우상복엽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3출엽이고 줄기 밑부분의 잎은 2-3개의 깊은 결각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이며 첨두 또는 미철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9cm 폭 7-15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잔털이 있거나 없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2.4cm정도로서 액생 또는 정생한다. 꽃받침잎은 6-8개이고 백색이며 도란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2-3cm로서 겉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솜털이 있고 안쪽에 털이 없다. 수술과 암술은 여럿이다.
열매 : 수과는 납작하고 난형이며 길이 4mm정도이고 견모로 덮이며 백색털이 밀생한 길이 2cm정도의 암술대가 달려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털이 없거나 성글게 있다.
뿌리 : 근경에서 길고 가는 갈색 뿌리들이 뭉쳐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고 러시아 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좀종덩굴
학명 : Clematis crassisepala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잎 : 잎은 싹트는 시기에 호생하며 점차 크면서 대생하며 1~2번 갈라진 삼출복엽이다. 엽병(길이 4~5cm)에는 털이 드물게 있다. 가운데 소엽은 둥근난형이거나 둥그스름한 타원형(길이 2~3cm 너비 1.8~3cm)이며 다시 3갈래로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진다. 가운데 소엽병(길이 0.6~2cm)에도 털이 드물게 있다. 측소엽은 이그러진 둥근난형이며 다시 3개로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졌으며 엽병(길이 0.5~1.2cm)에도 털이 드물게 있다. 엽신의 겉면은 진
꽃 : 꽃은 7월경 줄기끝이나 엽액에 보통 1개씩 피는데 양성화며 종모양이고 회색을 띠는 갈색 또는 연한 자색을 띤다. 화경(길이 10~20cm)에는 부드러운 털이 드물게 있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난형 (길이 2~2.5cm)이고 겉면에는 연한 털이 드물게 있고 가장자리와 안쪽면에는 흰털이 빽빽이 있다. 가웅예는 보통 주걱형이고 여러개이며 짧고 연한 털이 ??이 있다. 수술은 여러개이가. 수술대는 선형(길이 0.9mm)이며 가운데가 넓으며 털이 있다. 꽃밥은
열매 : 열매는 수과이며 9월경에 익는다. 열매끝에 남아붙어 있는 암술대는 깃털모양(길이 2~3.5cm)이며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덩굴지는데 둥그스름하고 세로로 모난 줄과 홈이 있다.
분포 : 한반도(북부 묘향산 풍서군)
형태 : 낙엽활엽목본이다.
특징 :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