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참개암나무

조회 수 2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Corylus sieboldiana Blume
과명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개암나무속(Corylus)
이명 가는물개암나무 개암나무 물병개암나무 좀물개암나무 참깨금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도란상 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급한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얕은 결각상의 복거치가 있고 길이 4-10cm 폭 3-7㎝로서 표면의 맥 사이와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측맥은 9-10쌍이다. 엽병은 길이 1-2cm로 털이 있고 선모가 섞여 있으며 어린 잎의 표면에 적색 무늬가 있다.
꽃은 일가화로서 3-4월에 피며 암·수꽃이 같은 그루의 가지 끝에 달린다. 수꽃이삭은 길이 13-14cm로 꼬리모양이고 꽃은 포에 싸이며 수술 4개가 가지 끝에 달리고 포는 도란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견모(絹毛)가 있고 수술은 4개이다. 암꽃화서는 동아 같으며 암술은 자줏빛이 돈다.
열매 열매는 견과로서 열매를 둘러싸고 있는 총포는 관상(管狀)으로 길이 5-7cm 지름 5-6mm이고 열매가 들어 있는 부분부터 급격히 좁아지며 표면은 갈색털이 밀생하고 자모(刺毛)가 밀생하여 손으로 만지면 잘 찔리고 찔린 가시는 잘 빠지지 않는다. 열매는 길이 2cm 폭 1-2cm로 난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높이가 4m에 달하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소지는 잔털이 있고 흔히 선모(腺毛)가 섞여 있다.
분포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자생한다.(제주도에서는 해발 1 200m이하의 숲속에서 자라고 있다.)
형태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병개암나무(C. hallaisanensis Nak.): 총포가 관상으로 길게 발달하지 않으며 단지처럼 보인다. 한라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Mus. Bot. 1 : 310 (Blume, 1850)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1. No Image

    참개암나무

    학명 : Corylus sieboldian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암나무속(Corylus) target=_blank>개암나무속(Corylus)</a>
    이명 : 가는물개암나무 개암나무 물병개암나무 좀물개암나무 참깨금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도란상 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급한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얕은 결각상의 복거치가 있고 길이 4-10cm 폭 3-7㎝로서 표면의 맥 사이와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측맥은 9-10쌍이다. 엽병은 길이 1-2cm로 털이 있고 선모가 섞여 있으며 어린 잎의 표면에 적색 무늬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3-4월에 피며 암·수꽃이 같은 그루의 가지 끝에 달린다. 수꽃이삭은 길이 13-14cm로 꼬리모양이고 꽃은 포에 싸이며 수술 4개가 가지 끝에 달리고 포는 도란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견모(絹毛)가 있고 수술은 4개이다. 암꽃화서는 동아 같으며 암술은 자줏빛이 돈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서 열매를 둘러싸고 있는 총포는 관상(管狀)으로 길이 5-7cm 지름 5-6mm이고 열매가 들어 있는 부분부터 급격히 좁아지며 표면은 갈색털이 밀생하고 자모(刺毛)가 밀생하여 손으로 만지면 잘 찔리고 찔린 가시는 잘 빠지지 않는다. 열매는 길이 2cm 폭 1-2cm로 난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4m에 달하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소지는 잔털이 있고 흔히 선모(腺毛)가 섞여 있다.

    분포 :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자생한다.(제주도에서는 해발 1 200m이하의 숲속에서 자라고 있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병개암나무(C. hallaisanensis Nak.): 총포가 관상으로 길게 발달하지 않으며 단지처럼 보인다. 한라산에서 자란다.

    Read More
  2. No Image

    병물개암나무

    학명 : Corylus sieboldiana var. brevirostris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암나무속(Corylus) target=_blank>개암나무속(Corylus)</a>
    이명 : 좀개암나무 좀물개암나무
    잎 : 잎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4~10cm 나비 3~7cm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결각상 겹톱니가 있고 표면의 맥 사이와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측맥은 9~10쌍이다.
    꽃 : 꽃은 자웅일가로 수꽃이삭은 드리우고 암꽃이삭은 난형이며 3월에 핀다.
    열매 : 과실은 견과로 구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총포의 길이는 1~2cm로 길이가 짧다.
    줄기 : 소지는 엽병과 더불어 털과 선모가 있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특징 : 총포의 길이가 짧다.(1~2cm)
    Read More
  3. No Image

    병개암나무

    학명 : Corylus hallaisan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암나무속(Corylus) target=_blank>개암나무속(Corylus)</a>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3-13mm의 잔털이 돋은 엽병이 있고 일그러진 도란형 타원상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복거치가 있으며 길이 4-9.7cm 폭 2-5.3cm로서 측맥은 8-13쌍이며 측맥 사이에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로 암꽃화서는 두상이며 포는 서로 겹치고 각각 2개씩의 암꽃이 달리며 꽃을 둘러싸고 있던 포는 서로 접하여 열매를 둘러싸서 단지처럼 된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 길이 1.3cm정도이고 난형이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난티잎개암나무(C. heterophylla Fischer): 잎은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 길이 6-12㎝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고 뒷면은 황록색 털이 난다. ▶개암나무(C. heterophylla F. var. thunbergii Bl.): 잎은 타원형 윗부분은 들쭉날쭉하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심장형이다. ▶참개암나무(C. sieboldiana Bl.): 잎은 도란형 난형 타원형 가장자리에 겹톱니 뒷면의 맥
    특징 : 참개암나무와 비슷하지만 포가 관상(管狀)으로 길게 발달하지 않는 것이 다르다.
    Read More
  4. No Image

    물개암나무

    학명 :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Maxim. & Rupr.)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암나무속(Corylus) target=_blank>개암나무속(Corylus)</a>
    이명 : 물갬달나무 물깨금나무
    잎 : 잎은 길이 5-15cm로서 넓은 도란형이며 윗부분에 결각이 있고 끝이 급히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고 7-9쌍의 측맥과 복거치가 있으며 표면과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잔털이 있고 때로는 선모가 섞여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3월에 피며 웅화수(雄花穗)는 2-4개가 총상으로 액생한다.
    열매 : 열매의 총포는 뿔모양이며 길이 4-5cm로서 열매 윗부분에서 뚜렷하게 좁아지지 않고 기부에 갈색털이 밀생하며 끝에 많은 결각이 있다. 견과는 난형이고 지름 15mm 정도로서 2-4개로 몰려 붙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5m에 달하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털과 선모로 덮여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유사종 : ▶난티잎개암나무(C. heterophylla Fischer): 잎은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 길이 6-12㎝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고 뒷면은 황록색 털이 난다. ▶개암나무(C. heterophylla F. var. thunbergii Bl.): 잎은 타원형 윗부분은 들쭉날쭉하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심장형이다. ▶참개암나무(C. sieboldiana Bl.): 잎은 도란형 난형 타원형 가장자리에 겹톱니 뒷면의 맥
    특징 : 전국 각지의 숲속에서 자라지만 개암나무처럼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Read More
  5. No Image

    개암나무

    학명 :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암나무속(Corylus) target=_blank>개암나무속(Corylus)</a>
    이명 : 개얌나무 깨금나무 난퇴물개암나무 난티닢개암나무 난티잎개암나무 물개암나무 쇠개암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절두로서 흔히 난티잎같고 중륵 끝이 뾰족하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6-12㎝ 폭 5-11cm로서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으며 측맥은 6-7쌍이고 표면은 잔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뒷면은 황록색으로서 털이 있고 맥 위에 선모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이며 선모(腺毛)가 있으며 어린 잎의 표면에 적색 무늬가 있다.
    꽃 : 꽃은 자웅동주로서 3월에 피고 수꽃이삭은 원주형이며 가지 끝에 2-3개 또는 5개씩 길게 늘어지고 길이 4-5cm이며 꽃밥은 황색이다. 암꽃이삭은 동아와 비슷하며 포와 암술머리가 보이고 암꽃은 각 포에 2개씩 달리며 총포는 종같고 열매를 둘러싸며 길이 3cm정도로서 털과 선모가 있다.
    열매 : 견과는 구형이고 지름 15-20mm로서 10월에 갈색으로 익으며 털이 없고 숙존총포(宿存總苞)가 있으며 총포는 종모양으로서 열매를 둘러싼다. 종자의 인(仁)을 진자(榛子)라고 한다.
    줄기 : 수피는 윤이나는 회갈색이며 새가지는 갈색으로 선모(腺毛)가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표고 50-1 500m 수평적으로 전국 각지의 산야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개암나무(var. thunbergii Blume): 잎의 끝이 갈라지지 않고 절두가 아니다. 전 지역에서 자란다. 경상도에서는 이를 깨금나무라고도 한다. ▶참개암나무(C. sieboldiana Bl.): 잎은 도란형 난형 타원형 가장자리에 겹톱니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특징 : 학자에 따라서는 개암나무과로 독립시킨 경우도 있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