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arex rugulosa var. graciliculmis (Ohwi) Kitag. |
|---|---|
| 과명 | 사초과(Cyperaceae) |
| 속명 | 사초속(Carex) |
| 이명 | 가는줄기구름사초 |
| 잎 | 잎은 편평하고 나비는 5~8mm이며 횡맥이 현저하고 기부의 엽초는 엽신이 없으며 적갈색으로 약간 그물같이 갈라진다. |
|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위쪽 3~5개의 소수는 선상 원주형으로 길이 2~4cm이며 접근하여 나고 곧추서며 짙은 갈색이고 수꽃이 달리며 아래쪽 2~4개의 소수는 원주형으로 길이 3~5cm이고 짧은 대가 있으며 암꽃이 달린다. 포는 엽상으로 기부에 연한 갈색 막편이 있어 줄기를 싸며 하부의 것은 종종 엽초가 있다. 암꽃의 인편은 난형으로 짧은 까락이 있고 등쪽에 3맥이 있다. |
| 열매 | 과포는 장 타원상 원추형으로 길이 6~7mm이고 맥이 없으며 부리 끝이 2열한다. 수과는 난형이고 암술대는 끝이 3열한다. |
| 줄기 | 줄기는 세모지고 단단하다. |
| 뿌리 | 근경이 길게 뻗는다. |
| 분포 | 함남(원산)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초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8 : 31 (1931) |
-
Read MoreNo Image
주엽나무
학명 : Gleditsia japonic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주엽나무속(Gleditsia) target=_blank>주엽나무속(Gleditsia)</a>
이명 : 주염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1~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8쌍이고 찌그러진 장 타원형으로 길이 3~5.5cm 나비 3cm이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중륵의 좌우의 나비가 다르다.
꽃 : 꽃은 일가화로 6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수상화서로 달린다. 소화경은 거의 없고 포는 선형이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이고 수술은 9~10개이며 암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길이 23cm 나비 3cm로 비틀리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수피는 흑갈색 또는 암회색으로 매끈매끈하며 사마귀모양의 피목이 많고 가지가 퇴화한 가시가 있으며 어린가지와 엽축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함북을 제외한 전도에 나며 만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
Read MoreNo Image
주목
학명 :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주목과(Taxaceae) target=_blank>주목과(Tax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주목속(Taxus) target=_blank>주목속(Taxus)</a>
이명 : 경복 노가리나무 적목 화솔나무
잎 : 잎은 나선상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뻗은 가지에서는 우상으로 보이며 선형이고 길이 1.5-2.5cm 폭 0.3cm정도로서 끝이 뾰족한 미철두(微凸頭)이며 넓은 예저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2줄의 연한 황색줄이 있으며 중륵이 양쪽으로 도드라지고 잎이 2-3년만에 떨어진다.
꽃 : 꽃은 1가화로서 4월에 피며 수꽃은 6개의 인편으로 싸여 있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으며 암꽃은 10개의 인편으로 싸여 있다.
열매 : 열매는 8-9월에 익으며 컵같은 적색 종의안에 난형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암수나무가 따로 있는데 암나무는 가을에 동그랗고 빨간 열매가 열리므로 더 아름답다.
줄기 : 높이 17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퍼지고 큰 가지와 줄기가 적갈색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나 2년후 갈색으로 변한다.
뿌리 : 잔뿌리가 많다.
분포 : ▶일본과 중국 소련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울릉도 소백산 전남(지리산) 전북(덕유산) 경기 강원(설악산) 황해도 등의 전국의 표고 700-2 500m의 고산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수형:원추형
유사종 : ▶회솔나무(var. latifolia Nakai) : 엽폭이 3-4.5mm이며 중부 이북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설악눈주목 (T. caespitosa Nak.) : 원줄기가 옆으로 기며 가지에서 뿌리가 발달하여 눈잣처럼 된다. ▶구주주목(T. baccate) : 유럽 북미 북아프리카 등이 원산이며 서구의 정원에 여러가지 모양으로 깎아 다듬어가며 기른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소백산의 주목 군락은 천연기념물 제244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면적:45 000ha ⓒ지정사유:학술림 ⓓ수령:200~500년 ▶변재는 폭이 좁으며 황백색이고 심재는 자홍색 또는 맑은 홍색으로 심 변재의 구분이 분명하고 연륜이 뚜렷하다. 목리는 통직하고 재질이 우량하며 특수용재로 쓰이고 가공성이 양호하고 접착성은 보통이며 심재의 내후 보존성은 보통이며 건조와 도장 연삭이 양호하고
-
Read MoreNo Image
주름조개풀
학명 :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var. undulatifoliu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주름조개풀속(Oplismenus) target=_blank>주름조개풀속(Oplismenus)</a>
이명 : 명들내 털주름풀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3~7cm 폭 1~1.5cm로서 질이 부드럽고 가장자리는 파상으로 주름지며 양면에 긴 털이 있다. 엽설은 매우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6-12cm로서 6-15mm길이의 가지가 8~10개로 갈라지며 소수(小穗)가 밀착하고 소수는 길이 3mm정도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짧은 털이 있다. 포영은 까락이 있고 둘째 것은 보다 길며 3맥이 있다. 첫째 소화의 호영은 길이 3mm정도로서 짧은 까락이 있고 둘째 소화의 호영은 까락이 없으며 열매를 맺는다. 까락에 점액이 생겨서 영과가 들어있는 소수는 옷에 붙는다.
열매 : 익으면 점액을 분비하여 물체에 붙어 산포한다.
줄기 : 높이 10-30cm이며 가늘고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뿌리가 내려 퍼진다. 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곧게 선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민주름조개풀 (var.haponicus Koidz.): 털이 적고 화서의 중축에 긴 털이 없다. ▶참주름조개풀 (for.elongatus Y.Lee) : 가지의 길이가 2-3cm이다.
-
Read MoreNo Image
주름제비란
학명 : Gymnadenia camtschatica (Cham.) Miyabe & Kud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손바닥난초속(Gymnadenia) target=_blank>손바닥난초속(Gymnadenia)</a>
이명 : 노랑난초
잎 : 잎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5㎝ 나비 3-8㎝로서 가장자리에 주름이 많이 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화서는 길이 5-15㎝로서 꽃이 많이 달리며 포는 녹색이고 피침형으로서 꽃보다 길다.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5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꽃잎은 사란형(斜卵形)이며 꽃받침보다 짧다. 순판은 길이 6mm정도로서 3개로 얕게 갈라지고 측열판은 중앙열편보다 길며 거(距)는 굽고 길이 3-5mm로서 끝이 둔하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4-5개의 잎이 호생한다.
뿌리 : 뿌리의 일부분이 굵어진다.
분포 : 울릉도 태백산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주름잎
학명 : Mazus pumilus (Burm.f.) Steeni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주름잎속(Mazus) target=_blank>주름잎속(Mazus)</a>
이명 : 고초풀 담배깡랭이 담배풀 선담배풀주름잎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도란형 또는 긴 타원상 주걱형이고 원두이며 밑부분이 흘러 엽병과 더불어 길이 2~6cm 폭 8~15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다. 엽병은 위로 가면서 짧아지고 잎에 주름살이 지는 특색이 있어 주름잎이란 이름이 생겼다.
꽃 : 꽃은 5~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원줄기 끝에 입술모양의 꽃이 몇 개씩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은 꽃받침보다 길며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모양이고 길이 5~10mm이며 중간 정도까지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연한 자주색이며 가장자리가 백색이고 길이 1cm정도로서 밑부분이 통형으로 되며 2개로 깊게 갈라진다. 윗부분의 꽃잎은 둔두이고 2개로 얕게 갈라지며 밑부분의 꽃잎은 윗부분의 꽃잎보다 2배 정도 길고 3개로 갈라지며 중앙 열편에 있는 2개의
열매 : 삭과는 둥글고 지름 3-4mm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5-20cm이고 밑에서 몇 개의 원줄기가 자란다.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누운주름잎
특징 : 곧게 서고 기부에서 가지가 뻗지 않으므로 누운주름잎과 구별된다.
-
Read MoreNo Image
주름사초
학명 : Carex rugulosa var. graciliculmis (Ohwi)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가는줄기구름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나비는 5~8mm이며 횡맥이 현저하고 기부의 엽초는 엽신이 없으며 적갈색으로 약간 그물같이 갈라진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위쪽 3~5개의 소수는 선상 원주형으로 길이 2~4cm이며 접근하여 나고 곧추서며 짙은 갈색이고 수꽃이 달리며 아래쪽 2~4개의 소수는 원주형으로 길이 3~5cm이고 짧은 대가 있으며 암꽃이 달린다. 포는 엽상으로 기부에 연한 갈색 막편이 있어 줄기를 싸며 하부의 것은 종종 엽초가 있다. 암꽃의 인편은 난형으로 짧은 까락이 있고 등쪽에 3맥이 있다.
열매 : 과포는 장 타원상 원추형으로 길이 6~7mm이고 맥이 없으며 부리 끝이 2열한다. 수과는 난형이고 암술대는 끝이 3열한다.
줄기 : 줄기는 세모지고 단단하다.
뿌리 : 근경이 길게 뻗는다.
분포 : 함남(원산)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주름금강아지풀
학명 : Setaria glauca var. dura (Chung) Chu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강아지풀속(Setaria) target=_blank>강아지풀속(Setaria)</a>
특징 : 금강아지풀고 닮았으나 밑의 낱꽃 외영이 볼록하고 종이질이며 우글쭈글하고 약간 주름진다.
-
Read MoreNo Image
주름구슬냉이
학명 : Rapistrum rugosum 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무속(Rapistrum) target=_blank>무속(Rapistrum)</a>
잎 : 근생엽(根生葉)은 엽병(葉柄)이 있으며 엽신(葉身)은 길이가 20㎝내외로 우상 분열(羽狀分裂)하며 정상 열편(頂上裂片)은 크고 난형으로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성긴 톱니가 있고 근생엽과 함께 거친 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가지마다 총상화서가 생기는데 위쪽은 꽃이 밀집되며 아래쪽은 화축(花軸)이 신장되어 열매가 성기게 배열된다. 꽃은 지름이 8㎜정도이고 꽃받침은 길이가 2.5-3㎜이며 꽃잎은 4개로 황색이고 길이가 5-7㎜이다.
열매 : 열매는 화축에 밀착되면서 직립하고 열매 자루는 길이가 2.5-3㎜이며 열매는 상하 두 마디로 구분되는데 아래쪽은 원통형으로 0-3개의 종자가 들어있고 길이가 2.5-3.5㎜이며 위쪽은 구형으로 세로로 8개의 주름이 있고 2.5-3㎜로 끝에 봉상(棒狀)의 길이 3-3.5㎜인 잔존화주(殘存花柱)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가 30-100㎝로 털이 없거나 드문드문 거친 털이 있고 아래쪽에서 가지를 친다.
분포 : ▶서아시아 북미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수인산업도로의 안산시 부곡동 지역과 사사리의 도로변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서는 수인산업도로의 안산시 부곡동 지역과 사사리의 도로변에서 1998년 6월 6일 채집 확인하였다. ▶국명은 열매의 모양을 나타내어 `주름구슬냉이`로 신칭하였다.
-
Read MoreNo Image
주름고사리
학명 : Diplazium wichurae (Mett.) Diel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C%EB%A6%AC%EA%B3%A0%EC%82%AC%EB%A6%AC%EA%B3%BC(Aspleniaceae) target=_blank>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들참빗속(Diplazium) target=_blank>버들참빗속(Diplazium)</a>
이명 : 톱날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0-30㎝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있고 인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흑갈색으로 길이 4-6mm 폭 1-1.5mm이다. 엽신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짧은 꼬리처럼 발달하고 길이 20-35㎝ 폭 10-20㎝로서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는다. 우편은 피침형이며 낫처럼 위로 굽어들고 길이 6-10㎝ 폭 1-2㎝로서 끝이 가는며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 앞에 귀같은 돌기가 있으며 뒤쪽은 예저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와 더불어 굵은 톱니가 있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 양쪽에 1줄로 달리고 포막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때로는 2개가 맞닿는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분포 : 제주도와 거문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주걱장대
학명 : Arabis ligul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대나물속(Arabis) target=_blank>장대나물속(Arabis)</a>
이명 : 긴닢장대 긴잎장대 긴잎장때 혀잎장대
잎 : 근생엽은 꽃이 핀 후 없어진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설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42mm 폭 10m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성모가 있고 뒷면에 털이 없다.
꽃 : 열매가 달린 화서는 길이 15-35cm로서 털이 없거나 간혹 잔털이 있으며 꽃은 5-6월에 피고 소화경은 길이 7-15mm로서 털이 없으며 다소 수평으로 퍼진다. 꽃은 흰색으로 총상화서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장각으로 털이 없고 다소 안으로 굽으며 길이 5~9cm 폭 2-2.3mm이고 암술대는 극히 짧으며 종자는 편평하고 다소 오목한 점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35-75cm이며 긴 단모와 짧은 성모가 있다.
분포 : 함경북도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특징 : 느러진장대와 비슷하지만 잎이 주걱모양이기 때문에 주걱장대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주걱일엽
학명 : Loxogramme grammitoides (Baker)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고사리과(Lindsaeaceae) target=_blank>비고사리과(Lindsa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주걱일엽속(Loxogramme) target=_blank>주걱일엽속(Loxogramme)</a>
이명 : 두건일엽 애기숟갈고사리
잎 : 잎은 길이 4-12㎝이고 주걱형 또는 선상 주걱형이며 둔두 또는 약간 예두로서 끝부분의 약간 밑이 가장 넓고 나비 5-15mm이며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털이 없으며 두껍고 엽병이 뚜렷하지 않다. 중륵은 뒷면에서 약간 보일 정도이지만 기타는 엽육 속에 들어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잎이 넓은 부분에 2-12개가 2줄로 달리며 긴 타원형 또는 선상 타원형이고 중륵 가까이에 비스듬히 달린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지름 0.5-1mm로서 인편이 밀생하고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인편은 흑갈색으로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1.5mm이다
분포 : 한라산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주걱비비추
학명 : Hosta claus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비추속(Hosta) target=_blank>비비추속(Hosta)</a>
이명 : 참비비추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난상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1.5~13.5cm 나비 5~8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모양이며 엽병으로 약간 흐르고 가장자리는 다소 물결모양이며 엽맥은 양쪽에 6~7쌍이다.
꽃 : 꽃은 7∼8월에 연한 자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나온 화경 끝에 수상화서로 달리며 포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7~10mm이며 소화경은 화경과 직각을 이루고 길이는 포와 비슷하다. 화관은 길이 5cm 나비 2~2.5cm이고 끝이 갈라지며 수술은 화관과 길이가 비슷하다. 화경은 곧추서고 높이 25~75cm이며 흑자색이 돌고 중앙부에 1~2개의 포엽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다.
분포 : 충북(속리산) 경기(광릉) 강원(금강산)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주걱댕강나무
학명 : 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강나무속(Abelia) target=_blank>댕강나무속(Abel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4각상 난형이고 끝이 예두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1~2.5cm 폭 5~10m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5월에 개화하고 황백색이며 취산화서에 3~5개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이 없으며 포와 소포가 있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화관은 길이 2~3cm로서 깔때기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둥글고 아래쪽 열편 안쪽에 황색 무늬가 있다. 수술은 4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윤채가 있으나 회갈색으로 된다.
형태 : 낙엽 관목.
-
Read MoreNo Image
주걱노루발
학명 : Pyrola minor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8%EB%A3%A8%EB%B0%9C%EA%B3%BC(Pyrolaceae) target=_blank>노루발과(Pyr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루발속(Pyrola) target=_blank>노루발속(Pyrola)</a>
이명 : 주걱노루발풀
잎 : 잎은 밑동에서 여러장이 나오며 타원형이고 가죽질이며 엽병은 길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흰색이며 총상화서를 이룬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납작하고 둥근모양이다.
줄기 : 높이는 20cm 내외이다.
뿌리 : 근경을 가지고 있고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노루발풀: 높이 26cm 내외 잎은 밑동에서 밀생 꽃은 황백색으로 총상화서이고 꽃자루가 짧다.
특징 : 세계에 약 25종 우리 나라에는 7종이 분포한다. 초본 식물로 가는 땅속줄기가 있고 근생엽은 땅에 로제트형으로 퍼진다.
-
Read MoreNo Image
주걱개망초
학명 : Erigeron strigosus Muh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망초속(Erigeron) target=_blank>개망초속(Erigeron)</a>
잎 : 경생엽은 상반부가 폭이 넓은 주걱형으로 전연이고 5-6㎜의 짧은 잎자루가 있다.
꽃 : 두화(頭花)는 지름 1.5㎝이고 설상화(舌狀花)는 120개 내외로 백색이다. 관모(冠毛)는 흔적적(痕跡的)이며 통상화(筒狀花)는 황색이고 긴 관모가 있다.
줄기 : 줄기에 상방으로 굽은 짧은 털이 덮힌다. 줄기잎은 5-6㎜길이의 잎자루가 있고 주걱모양으로 끝이 넓으며 기부는 쐐기꼴을 한다.
뿌리 : 근생엽은 주걱형으로 도피침형이고 대개 전연(全緣)이며 드물게 얕은 거치연이다.
분포 : ▶지리적으로 북미 일보에 분포 ▶경기도 서해안의 대부도 여주 서울의 한강 고수부지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1-2년생초본이다.
유사종 : ▶개망초:줄기에 거친 개출모가 있고 높이 30-120㎝이다. 근생엽은 원형-타원형이고 부동의 조거치연(粗鋸齒緣)이며 잎자루가 없다. 생육지는 비옥하고 습진 토지를 좋아한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 vol.22(1)
-
Read More
종지나물
학명 : Viola papilionacea Purs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제비꽃과(Violaceae) target=_blank>제비꽃과(Vio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제비꽃속(Viola) target=_blank>제비꽃속(Viola)</a>
이명 : 미국제비꽃
잎 : 밑동에서 잎이 다보록하게 솟아나고 잎자루는 잎몸보다 길며 잎은 종지 모양이고 심장형이며 끝은 약간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자색 흰색 황록색이 섞여 있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녹색 또는 검은 자주색이고 씨는 검은 갈색이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제비꽃(V. patrinii DC.): 간혹 흰색 바탕에 자주색 줄이 있는 꽃이 피는 제비꽃이다. ▶긴잎제비꽃(V. ovato-oblonga Makino): 꽃은 연한 자주색 부수체는 밋밋하며 끝이 둥근 모양이다.
특징 : ▶8·15 후 미국에서 건너온 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종비나무
학명 : Picea korai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문비나무속(Picea) target=_blank>가문비나무속(Picea)</a>
이명 : 가문비나무 비눌가문비
잎 : 잎은 거의 선형이며 4능형으로 길이 1.2~2㎝이며 과지의 것은 길이 10-12mm 폭 1.2-2mm로서 약간 낫모양으로 굽는다. 잎의 횡단면이 가문비나무는 편평한데 비하여 종비나무는 거의 사각형이다.
꽃 : 자웅동주이며 5월에 개화하고 수꽃송이는 엽액에 단생하며 거꾸로 달리고 암꽃송이는 가지 꼭대기에 단생한다.
열매 : 구과는 10월에 익으며 길이 6~8cm 폭 25-35mm되는 타원상 원통형으로 다갈색 또는 연한 갈색이며 끝이 아래로 처진다. 실편은 다소 두꺼운 넓은 도란형이며 120-130개씩이고 길이 15-18mm 폭 15mm로서 다갈색이며 끝이 둥글고 톱니는 거의 없으며 노출 부분은 윤채가 난다. 종자는 난형이고 회흑색으로서 길이 4~4.5mm 폭 2~2.5mm이며 날개의 길이 10mm내외이다.
줄기 : 높이 25m 지름 75cm이다. 가지는 짧고 수평으로 퍼지거나 약간 밑으로 처지며 적갈색 또는 황갈색으로서 윤채가 있고 털이 없다. 수피는 어려서는 회색이나 늙으면 적갈색으로 되고 넓직한 비늘모양의 조각으로 갈라지거나 떨어진다. 가지에는 잎이 달렸던 엽침이 나무못 모양의 돌기로 남아있다. 동아는 털이 없고 수지가 약간 낀다.
분포 : 압록강 유역의 표고 800-1 800m에 자생하며 한대수종으로 만주까지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교목
유사종 : ▶털종비나무(var.tonaiensis (Nakai) T.Lee): 가지에 털이 있으며 함북에서 자란다. ▶풍산가문비나무(Picea pungsanensis Uyeki): 과피의 잎길이가 20-30㎜이며 실편의 표면에 주름이 졌고 끝이 좁아져서 거치상 비슷한 모양을 한다. 함경남도에서 자란다.
특징 : 한국 특산이다.
-
Read MoreNo Image
종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acuminatifolium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이다. 선단은 예두나 점첨두이고 기부는 둔저나 원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이면 맥 위와 엽연이 무모이다. 길이 11.6mm 정도의 뚜렷한 엽병이 있다.
꽃 : 포는 막질이며 포의 맥과 가장자리는 무모이고 낙엽성이다. 소화경의 기부에 포가 달리며 피침형이고 꽃이 개화하면 시들기 시작한다. 화경은 1~2개의 소화경이 나온다. 화피는 통형으로 노란색이고 길이가 17.8~24.2mm이다. 화피열편은 개화시 완전히 반곡되어 화피의 바깥쪽에 붙으며 원형이다. 수술대는 납작한 형태이며 S자형으로 약간 구부러지고 길이 2.4~5.0mm이며 화피통의 상부에 부착된다. 표면은 전체적으로 돌기가 밀생하고 중 하부에 다세포성의 털
열매 : 장과는 구형으로 3개의 자방실에 다수의 종자를 가지며 익으면 흑색이다.
줄기 : 지하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가는 원주형이다. 줄기는 능각이 없고 높이 12.5~31.5cm이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종덩굴
학명 : 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이명 : 수염종덩굴
잎 : 잎은 대생하고 5~7개의 소엽으로된 우상복엽이며 정엽이 덩굴손으로 변하는 것도 있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3~6cm이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2~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여름에 암자색으로 피고 종형으로 밑으로 처지며 잎짬에 1개씩 달리고 꽃대에 2개의 포엽이 있다. 화피편은 4개로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며 외면에 털이 없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며 암술대에는 갈색의 털이 우상으로 난다.
줄기 : 어린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넌출성 식물
-
Read MoreNo Image
종다리꽃
학명 : Cortusa matthioli var. pekinensis (V.A.Richt.)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종다리꽃속(Cortusa) target=_blank>종다리꽃속(Cortusa)</a>
이명 : 나도깨꽃
잎 : 근생엽은 엽병의 길이가 8-15cm로서 퍼진 털이 있으며 엽신은 신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9~13개로 갈라지고 열편에 큰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짧은 복모가 있고 경생엽이 없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자홍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15~30cm로서 끝에 5~12송이가 산형화서로 달리며 털이 있고 총포편은 도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며 털이없고 화관은 지름 1.5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 수평으로 퍼지며 열편 끝이 둔하다. 수술은 5개로서 화관 밑부분에 있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연한 막질로서 붙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구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길이 7mm 정도의 암술대는 남아 있음.
줄기 : 전체에 털이 있다.
분포 : 함경 북도 관모봉(표고 1 300m근처)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큰앵초
특징 : 큰앵초와 비슷하지만 전체에 털이 있고 총포에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른점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