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Linaria vulgaris Hill |
|---|---|
|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
| 속명 | 해란초속(Linaria) |
| 이명 | 가는잎꽁지꽃 |
| 잎 | 잎은 호생하나 위쪽의 것은 3엽윤생하고 선상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길이 2~5.5cm 나비 2~5mm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주맥만이 뚜렷하고 엽병은 거의 없다. |
| 꽃 | 꽃은 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약 5m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서로 포개지고 황록색이다. 화관은 양순형으로 목부에 돌기가 있으며 밑부분의 거는 길이 약 8mm로서 끝이 점차 좁아진다. 수술은 2강웅예이다. |
|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구형이다. |
|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전주에 약간 분백색을 띠며 평활하다. |
| 분포 | 평북(선천 의주) 함북(경성)에 나며 만주 중국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초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rit. herb. 109 (1756)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
Read MoreNo Image
종가시나무
학명 : Quercus glauc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가시나무 석소리 종가시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점첨두로서 끝이 둥글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7~12cm 나비2.5-3.5cm로서 상반부에 안으로 꼬부라진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윤채가 있고 털이 없으며 다갈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며 복모가 있으나 거의 없어진다. 엽병은 길이 1-2.5cm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는 일가화이며 웅화서는 새가지에서 밑으로 처지고 화축에 백색 털이 있으며 자화서는 새가지 중앙부의 엽액에서 곧추서고 2-3개의 꽃이 달린다. 수꽃은 3개의 화피열편과 15개 정도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3개의 암술대가 있고 꽃은 다수이다.
열매 : 각두은 반구형이고 지름 6-9mm로서 5-6개의 동심원층(同心圓層)이 있으며 견과는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10-11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자라 둥근 수형을 이룬다. 수피는 녹색이 도는 회색이며 터지지 않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어린가지는 흑갈색이며 연한 황색털이 있다. 2년지에는 털이 없고 피목이 많다.
분포 : ▶중국 일본 대만 히말라야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및 외나노도(外羅老島)에 분포한다. 제주도에서는 표고 600m이하의 산기슭과 계곡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흰민종가시(var. nudata BL.) : 잎 뒷면이 청백색이다.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종가시나무외에 잣밤나무류 돈나무 광나무 누리장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청미래덩굴 두릅나무 담쟁이덩굴 보리밥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등이 있다. ▶난대림의 대표적인 수종으로 길고 반들반들한 상록성의 잎이 조밀하게 나 있어 아름다운 수형을 이루며 가을에 도토리 같은 열매가 열려 야생미를 느끼게 한다.
-
Read MoreNo Image
좁은해홍나물
학명 : Suaeda heteroptera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문재속(Suaeda) target=_blank>나문재속(Suaeda)</a>
이명 : 가는나문재 가는나문재나물 해홍나물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은 없다. 엽신은 좁은 선형(길이 1~3cm 너비 0.7~1.2mm)이며 단면은 둥글거나 좀 편평하며 끝은 뾰족하며 조금 둔한것도 있다. 잎은 육질이며 백분으로 덮혀있다.
꽃 : 꽃은 8~9월경 엽액에 피며 양성화이다. 화경은 없다. 작은 포엽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매우 작으며 막질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난형이고 육질이다. 열매 때의 꽃받침잎은 직경은 1.5~2.5mm이다. 수술은 5개이며 꽃받침잎과 마주붙는다. 수술대는 실모양이며 백색이다. 꽃밥은 난형 혹은 타원형이며 연한 황색이다. 종자낭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짧다. 암술머리는 2개이며 보통 검은 갈색이다.
열매 : 열매는 포과이며 꽃받침잎속에 싸여 있으며 9~10월경에 익는다. 열매껍질은 얇은 막질이며 열매가 다 익으면 열매껍질이 터지면서 종자는 떨어진다. 종자는 둥근난형 양면이 도드라진 렌즈모양(길이 1.2cm~1.5mm 너비 1~1.3mm)이며 겉면에는 털이 있거나 망상무늬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자라며 보통 가지를 많이 치나 드물게는 외대로 자라는것도 있다.식물체에는 털이 없다.
분포 : 한반도 일본 중국 러시아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흑삼릉
학명 : Sparganium hyperboreum Lastadius ex Beur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흑삼릉과(Sparganiaceae) target=_blank>흑삼릉과(Sparga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흑삼릉속(Sparganium) target=_blank>흑삼릉속(Sparganium)</a>
이명 : 물가래 잎흑삼능 장지흑삼릉 좁은잎흑삼능
잎 : 잎은 길게 자라서 물 위에 뜨며 나비 2-4㎜이고 뒷면에 능선이 없다.
꽃 : 7-8월에 잎 사이에서 화경(花莖)이 나오지만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일가화로서 두상으로 모여 달리며 웅화수는 대개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자화수는 2-4개로서 익으면 지름이 7-10mm에 달하며 처음에는 1-2개가 포액보다 약간 위에 달리고 짧은 대가 있으며 대는 길이 12mm정도이다. 암술대는 길이 3㎜ 암술머리는 선형 길이 1㎜이다. 화피 밑에 길이 1mm정도의 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길이 4-5㎜로서 짧은 대가 있고 방추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3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다.
분포 : 북부 지방.
형태 : 수생 다년초.
특징 : 흑삼릉과 비슷하지만 잎이 보다 좁고 뒷면에 능선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해란초
학명 : Linaria vulgaris Hi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해란초속(Linaria) target=_blank>해란초속(Linaria)</a>
이명 : 가는잎꽁지꽃
잎 : 잎은 호생하나 위쪽의 것은 3엽윤생하고 선상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길이 2~5.5cm 나비 2~5mm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주맥만이 뚜렷하고 엽병은 거의 없다.
꽃 : 꽃은 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약 5m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서로 포개지고 황록색이다. 화관은 양순형으로 목부에 돌기가 있으며 밑부분의 거는 길이 약 8mm로서 끝이 점차 좁아진다.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구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전주에 약간 분백색을 띠며 평활하다.
분포 : 평북(선천 의주) 함북(경성)에 나며 만주 중국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천선과
학명 : Ficus erecta var. sieboldii (Miq.) K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뽕나무과(Moraceae) target=_blank>뽕나무과(Mo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무화과나무속(Ficus) target=_blank>무화과나무속(Ficus)</a>
이명 : 가는잎젓꼭지나무가는잎천선과 젓꼭지나무 젖꼭지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3.5-2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나 맹아에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표면에 털이 악간 있는 것도 있고 엽맥이 뚜렷하게 돌출하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5-6월에 새가지의 엽액에서 1개의 화경이 자라고 끝에 3개의 포가 있으며 그 위에 둥근 화낭이 있다. 주머니 같은 화낭은 지름 15mm내외로서 그안에 많은 꽃이 들어 있다. 수꽃은 5-6개의 화피열편과 3개 정도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5개의 화피열편과 대가 있는 1개의 자방에 짧은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은화과로 9-10월에 흑자색으로 성숙한다. 화낭이 자라서 열매로 되며 익으면 식용한다.
줄기 : 높이 2-4m이며 수피는 평활하고 가지는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분포 : 남쪽 해안지대와 섬에서 백양산까지 자생한다.
형태 : 낙엽관목
-
Read MoreNo Image
좁은잎참빗살나무
학명 : Euonymus hamiltonianus var. maackii (Rupr.)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8%EB%B0%95%EB%8D%A9%EA%B5%B4%EA%B3%BC(Celastraceae) target=_blank>노박덩굴과(Celast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화살나무속(Euonymus) target=_blank>화살나무속(Euonymus)</a>
이명 : 두꺼운회나무조선빗나무조선회나무좁은잎참빗살참회나무회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 예저이며 길이 8cm 나비 6cm로 양쪽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2.5㎝로 길다.
꽃 : 취산화서는 액생하거나 또는 끝 가까운 부분에서 발달하고 많은 꽃이 달리며 꽃은 6월에 피며 녹황색이다. 화경은 길이 3cm정도이며 꽃받침과 꽃잎 및 수술은 각각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9-10월에 적갈색으로 익고 4개의 날개가 있다.날개는 길이 1.2㎝ 나비 4mm정도이며 소과경은 길이 7-10mm이다.
줄기 : 하나의 줄기가 곧게 올라가며 그 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 밑으로 늘어지고 수피는 녹갈색이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100m 사이의 산록과 계곡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회나무: 높이 4m 꽃은 연녹색 또는 자색을 띤 연녹색 잎겨드랑이에 다수가 취산화서로 달리고 꽃자루는 길다.
특징 : 우리나라 특산이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육지꽃버들
학명 : Salix viminalis var. linearifolia Wimmer & Grabows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드나무과(Salicaceae) target=_blank>버드나무과(Sal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드나무속(Salix) target=_blank>버드나무속(Salix)</a>
잎 : 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중앙 이하가 가장 넓으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10-16cm 폭 4-8mm로서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함.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융모가 밀생하며 은백색이다. 엽병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있고 탁엽이 작다.
열매 : 삭과는 길이 4-8㎜로 6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5-6m로서 소지에 융모가 밀생하며 동아에 털이 있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이다.
유사종 : ▶육지꽃버들 : 기본종 ▶좀육지꽃버들 (var. abbreviata Doell) : 잎이 길이 3-9cm 폭 4-9mm이고 화서의 길이가 6-12mm이며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엉겅퀴
학명 : Cirsium japonicum f. nakaianum (H.Lev. & Vaniot)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엉겅퀴속(Cirsium) target=_blank>엉겅퀴속(Cirsium)</a>
이명 : 가는엉겅퀴 참엉겅퀴
-
Read MoreNo Image
좁은잎산사
학명 : Crataegus pinnatifida f. psilosa (C.K.Schneid.)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사나무속(Crataegus) target=_blank>산사나무속(Crataegus)</a>
이명 : 좀아가위나무좁은잎산사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삼각상 난형 또는 능상 난형이다.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는 5~10㎝이다. 5~9개의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밑부분의 열편은 중륵까지 갈라지고 매우 좁다. 양면의 중륵과 측맥에는 털이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2~6cm이며 탁엽은 크고 거치가 있다.
꽃 : 흰색
열매 : 꽃은 잎이 핀 다음 4~5월에 흰색으로 피고 산방화서를 이룬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각 5개씩이고 수술은 20개이다.
줄기 : 열매는 이과로 둥글며 흰 반점이 있으며 9~10월에 빨갛게 익는다. 보통 3~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뿌리 : 줄기는 회색을 띤다. 어린줄기는 길이 1~2cm 의 가시가 있으며 없는 경우도 있다.
분포 : 전국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이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사위질빵
학명 : Clematis hexapetala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이명 : 가는잎모란풀가는잎목단풀가는잎사위질빵 간은닢사위질빵 좀사위질빵
잎 : 잎은 대생하며 우상복엽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3출엽이고 줄기 밑부분의 잎은 2-3개의 깊은 결각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이며 첨두 또는 미철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9cm 폭 7-15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잔털이 있거나 없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2.4cm정도로서 액생 또는 정생한다. 꽃받침잎은 6-8개이고 백색이며 도란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2-3cm로서 겉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솜털이 있고 안쪽에 털이 없다. 수술과 암술은 여럿이다.
열매 : 수과는 납작하고 난형이며 길이 4mm정도이고 견모로 덮이며 백색털이 밀생한 길이 2cm정도의 암술대가 달려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털이 없거나 성글게 있다.
뿌리 : 근경에서 길고 가는 갈색 뿌리들이 뭉쳐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고 러시아 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좁은잎보리장
학명 : Elaeagnus glabra f. oxyphylla (Servett.)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target=_blank>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보리수나무속(Elaeagnus) target=_blank>보리수나무속(Elaeagnus)</a>
이명 : 가는잎보리장 가는잎보리장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좁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4-8cm 폭 2.5-3.5cm로서 표면에 갈색 인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에 갈색 인모가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5-7mm로서 갈색인모가 있다.
꽃 : 꽃은 10-12월에 피고 몇 개씩 액생하며 화병은 적갈색 인모가 있고 길이 4-7mm로서 꽃이 진 다음 길어지지 않는다. 꽃받침통은 가늘며 밑부분이 점차 자방과 연결되고 길이 5mm이며 열편은 길이 3mm이고 암술대는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18mm로서 적갈색 인모로 덮여 있고 4-5월에 익는다.
줄기 : 소지에 갈색 인모가 있다.
분포 : 제주도.
형태 : 상록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보리장나무(E. glabra Thunb.): 잎은 두껍고 긴타원형이며 끝은 꼬리처럼 조금 길고 엽저는 예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특징 : 뿌리혹박테리아를 가지고 있어 척박한 곳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다.
-
Read More
좁은잎배풍등
학명 : Solanum japonens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C%A7%80%EA%B3%BC(Solanaceae) target=_blank>가지과(Sol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지속(Solanum) target=_blank>가지속(Solanum)</a>
이명 : 곰의꼬아리 곰의꽈리 산꽈리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4~8cm 폭 1~3.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는 거의 밋밋하지만 밑부분에 1~2쌍의 둔한 열편이 있고 윗부분의 가장자리와 맥 위에 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지만 중앙부는 녹색이고 마디 사이의 중앙에서 가지가 나와 차상叉狀으로 갈라져서 꽃이 드문드문 달리며 화경은 길이 1-3cm이고 소화경은 열매가 익을 때는 윗부분이 다소 굵어진다. 꽃받침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6-7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꽃밥 윗부분의 구멍에서 꽃가루가 방출된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지름 6~9mm이고 붉게 익으며 유독하다.
줄기 : 덩굴성이며 털이 거의 없고 많은 가지가 갈라져서 길게 벋는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와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의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거의 털이 없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밀나물
학명 : 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f. stenophylla (Hara) T.Ko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청미래덩굴속(Smilax) target=_blank>청미래덩굴속(Smilax)</a>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밀나물보다 잎이 좁다. 5-7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나 뒷면 맥위에 잔돌기가 있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 5-30㎜로서 밑부분에 탁엽(托葉)이 변한 덩굴손이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산형화서는 엽액에서 나오고 화경은 엽병보다 훨씬 길며 길이 7-12㎜의 소화경이 15-30개 정도 달린다. 수꽃의 화피는 뒤로 젖혀지고 피침형이며 길이 4㎜정도로서 황녹색이고 수술은 화피 길이의 2/3-4/5이다. 꽃밥은 길이 1.5㎜정도이며 암꽃에 꽃밥이 없는 수술은 없고 열매는 둥글며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능선이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밀나물
-
Read MoreNo Image
좁은잎미나리냉이
학명 : Cardamine schulziana Baehn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냉이속(Cardamine) target=_blank>냉이속(Cardamine)</a>
이명 : 덩이냉이
잎 : 잎에는 근생엽과 경생엽이 있다. 근생엽은 3~5개의 소엽으로 된 겹잎(길이 4.5~12.0cm)이며 긴 엽병이 있다. 경생엽은 3~5개 혹은 5~11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길이 2~8cm)이며 엽병은 있거나 없다. 보통 끝부분의 소엽은 밑부분의 소엽에 비하여 좀 크거나 같다. 대개 열편은 선형의 피침형(길이 9~45mm 너비 1~6mm)이며 가장자리는 매끈하며 드물게 결각이 있다.
꽃 : 꽃은 6월~7월경 줄기끝에 총상화서를 이루고 10여개의 꽃이 모여 피는데 양성화이다. 꽃받침잎은 둥근모양(길이 35mm)이다. 꽃잎은 긴도란형의 쐐기모양(길이 6.5~9.0mm)이며 분홍색 연한 자색 드물게는 백색이며 끝은 둥글고 엽연은 결각이 있다. 화경의 길이는 8~10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각과(길이 22~25mm 너비 1.5mm)이며 8월~9월경에 익으면 저절로 터진다. 종자(길이 1.2mm 너비 1mm)은 작고 연한 누런갈색 붉은색을 띤다.
줄기 : 줄기는 외대로 곧추 자라며 윗부분에서 1~3개의 잎이 마주 붙는다. 식물체에는 털이 없다.
뿌리 : 땅속의 근경(길이 5mm)는 몹시 짧다. 어린 시기에는 선형의 땅속근경(길이 5-40mm)이 있는데 끝부분이 비대하여 살진둥근모양 혹은 신장형(직경 5mm)의 구경으로 된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미꾸리낚시
학명 : Persicaria praetermissa (Hook.f.)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이명 : 가는미꾸라지낚시 긴미꾸리낚시
잎 : 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4-8cm 폭 5-15m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고 양쪽 기부의 열편은 밖으로 뾰족하게 뻗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가시같은 털이 있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10-15mm로서 한쪽이 흔히 터진다.
꽃 : 꽃은 길이 3mm정도로서 연한 적색이며 화서는 길이 1-3cm로서 화경이 있고 3-5개의 꽃이 달리며 화경은 대가 있는 선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양끝이 좁은 원형이고 세모가 지며 길이 2mm로서 연한 갈색이고 윤채가 없다.
줄기 : 길이 30-80cm이며 밑부분의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갈라지며 능각과 갈고리 같은 가시가 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개여뀌(P. longiseta):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원통형 적자색이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
Read MoreNo Image
좁은잎매자
학명 : Berberis koreana var. angust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매자나무과(Berberidaceae) target=_blank>매자나무과(Berb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매자나무속(Berberis) target=_blank>매자나무속(Berberis)</a>
이명 : 가는잎매자 가는잎매자나무 좀매자나무
잎 : 잎은 혁질이며 길이 3~7cm 정도로 도피침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양면에 털은 없고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마디 위에 총생한다. 뒷면은 주름이 많고 회록색이다.
꽃 : 꽃은 담황색의 양성화로 5월에 피고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2-4cm이며 소화경은 길이 4-6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구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지름 6㎜정도로서 광택이 있으며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새로 자란 가지에는 마디 마다 1-3개의 날카로운 가시가 나 있고 2년지는 적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고 가시는 길이 5-10mm이다.
분포 : 경기도 이북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타원형.
유사종 : ▶연밥매자나무(B. koreana var. ellipsoidea) : 열매가 긴 타원형인것 . ▶매자나무(B. koreana var. PALIBIN)
특징 : 매자나무에 비해 잎이 도피침형이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말
학명 : Potamogeton alpinus Bal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B%9E%98%EA%B3%BC(Potamogetonaceae) target=_blank>가래과(Potamoget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래속(Potamogeton) target=_blank>가래속(Potamogeton)</a>
잎 : 횡단줄기 횡단면은 원형으로 직경 0.1cm 정도이며 중심주의 유관속은 3속형이고 내피층은 잘 발달하지 않으며 피층내 유관속은 수개 있다. 하피층은 1세포층으로 되어 있고 섬유는 발달하지 않는다. 엽신은 좁은 장 타원형이며 길이 5~12cm 너비 1.2~2.5cm 때로 선단에 망상 돌기가 현저하며 2cm를 넘으며 탁엽은 길이 2~4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화경의 길이 4~9cm이다. 화수의 길이 2~5cm 꽃은 4심피이다.
열매 : 과실은 길이 0.25~0.3cm 너비 0.15~0.2cm이다.
형태 : 다년생 침수식물
-
Read MoreNo Image
좁은잎돌꽃
학명 : Rhodiola angust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F%8C%EB%82%98%EB%AC%BC%EA%B3%BC(Crassulaceae) target=_blank>돌나물과(Crass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돌꽃속(Rhodiola) target=_blank>돌꽃속(Rhodiola)</a>
이명 : 가는돌꽃 가지돌꽃 각시바위돈꽃 )각시바위돌꽃 )
잎 : 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이가화이며 황색이고 원줄기 끝의 취산화서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4개이고 선형이며 길이 2-2.5mm이고 자주색 반점이 있다. 꽃잎은 4개가 서로 마주 닿아 있고 피침형(披針形)이며 길이 4.5mm이다. 수술은 8개이며 꽃잎과 길이가 거의 같고 꽃밥은 신장형(腎臟形)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4개이다.
줄기 : 뿌리 선단에서 줄기가 총생(叢生)하고 높이가 5cm에 달한다.
뿌리 : 뿌리는 굵고 선단이 인편으로 덮여 있다.
분포 : 평안도 및 함경도의 고산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바위솔(O. japonicus):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면 지상부는 마른다. 근생엽은 로제트 모양 피침형이다. ▶둥근바위솔(O. malacophyllus): 근경은 짧고 비대 잎은 주걱모양 끝이 둔하거나 둥근 모양이다. ▶좀바위솔(O. minutus): 잎은 비늘 모양 긴 타원형 끝이 송곳 끝 같고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특징 : 백두산(표고 2 000m)지역의 돌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나 평안도 및 함경도의 고산지대에서도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좁은잎덩굴용담
학명 : Pterygocalyx volubili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용담과(Gentianaceae) target=_blank>용담과(Genti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좁은잎덩굴용담속(Pterygocalyx) target=_blank>좁은잎덩굴용담속(Pterygocalyx)</a>
이명 : 가는잎덩굴룡담가는잎덩굴용담 덩굴용담
잎 : 잎은 대생 넓은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3맥이 있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길이 2~4cm 폭 5~10m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같이 된다.
꽃 : 꽃은 엽액과 원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리며 짧은 화경이 있고 꽃받침통은 길이 1.5-2cm로서 5개의 날개가 있으며 때로는 한쪽이 깊게 파열되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선형이고 길이 3-5mm로서 뒷면이 날개모양이며 좌우가 편평하다. 화관은 길이 3-3.5cm로서 4개로 중앙 부근까지 갈라지고 열편은 곧추서며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부속체가 없고 자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길이 2-3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0mm정도로서 이보다 짧은 대가 있으며 화관으로 싸여 있고 종자는 가장자리에 얇은 막질의 날개가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가늘며 섬세하다.
분포 : 우리 나라 북부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덩굴용담
특징 : 덩굴용담에 비해 잎이 넓은 피침형
-
Read MoreNo Image
좁은잎계요등
학명 : Paederia scandens var. angustifolia (Naka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계요등속(Paederia) target=_blank>계요등속(Paederia)</a>
이명 : 가는잎계뇨등 좁은잎계뇨등
잎 : 잎이 좁고 긴 피침형이며 길이 3-16cm 폭 5-10mm로서 절저이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는 정생하거나 액생하고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첨두이다. 화관은 길이 1-1.5cm 지름 4-6mm로서 백색이고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지고 겉에 털이 있으며 수술은 5개로서 2개가 길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지름 5-6mm로서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고 털이 없다.
줄기 : 덩굴성이고 윗부분이 겨울 동안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다소 있다.
분포 : 바다를 따라 대청도 및 울릉도에까지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계요등(P. scandens Merr.): 잎은 길이 5-12㎝ 나비 1-7㎝로 밑은 심장형이며 끝은 뾰족하다. 잎 뒷면은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거치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1-6㎝이다. ▶털계요등(var. velutina Nakai): 잎이 넓고 뒷면에 융모가 밀생한 것.
특징 : 속명은 라틴어의 `paidor(악취)`에서 유래하며 식물체에서 독특한 냄새가 난다는 의미이다. 맹아력이 강하여 마디마다 새싹이 돋아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