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Grewia parviflora f. angusta (Nakai) W.T.Lee |
|---|---|
| 과명 | 피나무과(Tiliaceae) |
| 속명 | 장구밤나무속(Grewia) |
| 이명 | 좀장구밥나무 |
|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아심장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며 길이 4-12cm로서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거나 얕게 3개로 갈라지고 엽병은 길이 3-15mm로서 성모가 있다. |
|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연한 황색이며 취산화서 또는 산형화서에 5-8개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3-10mm이다. 꽃받침잎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7-8mm로서 겉에 성모가 있고 꽃잎은 길이 3mm이다. |
| 열매 | 열매는 둥글거나 장구통 같으며 황색 또는 화적색으로서 털이 없고 10월에 익으며 종자가 1개 들어 있는 것은 지름 6mm이고 2-4개 들어 있는 것은 지름 8-12mm이다. |
| 줄기 | 소지에 융모가 밀생한다. |
| 분포 | 제주도에 분포. |
| 형태 | 낙엽활엽관목. |
| 유사종 | ▶장구밥나무(var. parviflora Hand.-Maz.): 잎은 길이 4-12㎝의 난형 또는 광타원형인 것.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p. 700 (1996) |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좀장구밤나무
학명 : Grewia parviflora f. angusta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피나무과(Tiliaceae) target=_blank>피나무과(T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구밤나무속(Grewia) target=_blank>장구밤나무속(Grewia)</a>
이명 : 좀장구밥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아심장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며 길이 4-12cm로서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거나 얕게 3개로 갈라지고 엽병은 길이 3-15mm로서 성모가 있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연한 황색이며 취산화서 또는 산형화서에 5-8개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3-10mm이다. 꽃받침잎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7-8mm로서 겉에 성모가 있고 꽃잎은 길이 3mm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거나 장구통 같으며 황색 또는 화적색으로서 털이 없고 10월에 익으며 종자가 1개 들어 있는 것은 지름 6mm이고 2-4개 들어 있는 것은 지름 8-12mm이다.
줄기 : 소지에 융모가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장구밥나무(var. parviflora Hand.-Maz.): 잎은 길이 4-12㎝의 난형 또는 광타원형인 것.
-
Read MoreNo Image
장구밤나무
학명 : Grewia parviflora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피나무과(Tiliaceae) target=_blank>피나무과(T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구밤나무속(Grewia) target=_blank>장구밤나무속(Grewia)</a>
이명 : 잘먹기나무장구밥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능형 비슷한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아심장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며 길이 4-12cm로서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거나 얕게 3개로 갈라지고 엽병은 길이 3-15mm로서 성모가 있다.
꽃 : 꽃은 양성화로 7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연한 황색이며 취산화서 또는 산형화서에 5-8개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3-10mm이다. 꽃받침잎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7-8mm로서 겉에 성모가 있고 꽃잎은 길이 3mm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거나 장구통 같으며 황색 또는 황적색으로서 털이 없고 10월에 익으며 종자가 1개 들어 있는 것은 지름 6mm이고 2-4개 들어 있는 것은 지름 8-12mm로서 식용으로 한다.
줄기 : 줄기는 밑에서 여러 개가 올라오고 수피는 황갈색으로 소지에 융모가 밀생한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해변 산록에서 자라며 제주도에서는 표고 700m 이상의 산기슭 양지쪽에서 자생하며 중국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좀장구밥나무(for.angusta T.Lee): 잎이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 열매의 모양이 장구 같아서 장구밥나무란 이름이 붙여졌다. 잎은 쑥색 같은 황록색으로 우아하며 황색의 열매 또한 아름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