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자금우

조회 수 57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과명 자금우과(Myrsinaceae)
속명 자금우속(Ardisia)
잎은 엽병이 있고 대생하거나 윤생 또는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잎가에는 잔 거치가 있으며 진록색으로 광택이 있다. 잎의 길이는 6~13cm 폭은 2~5cm이고 잎의 뒷면의 주맥은 붉은 자주색이 돈다.
꽃은 양성화로 6월에 피고 전년생 가지의 엽액 또는 포액에서 화경이 나와 산형화서에 백색의 작은 꽃이 아래로 늘어지고 화서에 선모가 있으며 화경은 길이 10mm이하이고 2-3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로서 연모가 있으며 화관은 수레바퀴모양이고 백색이며 5개로 갈라진 열편은 첨두로서 흑색 점이 있다.
열매 열매는 편구형으로 장과이며 직경이 10mm정도로 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다음해 꽃이 필 때도 달려있다.
줄기 높이 15-20cm이며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며 어린 가지의 끝 부근에 선모가 있고 다른 부분에는 털이 없다.
뿌리 지하경 끝이 지상으로 올라와서 지상경으로 되고 뿌리가 지하경에 몇 개씩 있다.
분포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울릉도 제주도 및 남해안의 따뜻한 산림의 가장자리에 야생한다.
형태 상록활엽소관목
유사종 ▶산호수(A. pusilla DC.) : 제주에 분포하며 수고 5-8m 잎길이 3-4cm 열매 5-6mm정도 된다.
특징 잎은 상록성으로 군생하고 열매는 9월부터 붉은 진주처럼 익어 밝고 아름답게 빛나며 이듬해 5월까지 나무에 붙어있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ijdr. fl. Ned. Ind. 690 (1825)
참고문헌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DSC04685.jpg

 

 

사진 : 제주도 

 


  1. No Image

    자금우

    학명 :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금우과(Myrsinaceae) target=_blank>자금우과(Myrs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금우속(Ardisia) target=_blank>자금우속(Ardisia)</a>

    잎 : 잎은 엽병이 있고 대생하거나 윤생 또는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잎가에는 잔 거치가 있으며 진록색으로 광택이 있다. 잎의 길이는 6~13cm 폭은 2~5cm이고 잎의 뒷면의 주맥은 붉은 자주색이 돈다.
    꽃 : 꽃은 양성화로 6월에 피고 전년생 가지의 엽액 또는 포액에서 화경이 나와 산형화서에 백색의 작은 꽃이 아래로 늘어지고 화서에 선모가 있으며 화경은 길이 10mm이하이고 2-3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로서 연모가 있으며 화관은 수레바퀴모양이고 백색이며 5개로 갈라진 열편은 첨두로서 흑색 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으로 장과이며 직경이 10mm정도로 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다음해 꽃이 필 때도 달려있다.
    줄기 : 높이 15-20cm이며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며 어린 가지의 끝 부근에 선모가 있고 다른 부분에는 털이 없다.
    뿌리 : 지하경 끝이 지상으로 올라와서 지상경으로 되고 뿌리가 지하경에 몇 개씩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울릉도 제주도 및 남해안의 따뜻한 산림의 가장자리에 야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소관목
    유사종 : ▶산호수(A. pusilla DC.) : 제주에 분포하며 수고 5-8m 잎길이 3-4cm 열매 5-6mm정도 된다.
    특징 : 잎은 상록성으로 군생하고 열매는 9월부터 붉은 진주처럼 익어 밝고 아름답게 빛나며 이듬해 5월까지 나무에 붙어있다.
    file
    Read More
  2. No Image

    산호수

    학명 : Ardisia pusilla A.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금우과(Myrsinaceae) target=_blank>자금우과(Myrs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금우속(Ardisia) target=_blank>자금우속(Ardisia)</a>
    이명 : 털자금우
    잎 : 잎은 윤생하고 길이 3~4cm 폭 1.5~3.0cm의 타원형이며 첨두(尖頭) 예저(銳底)이고 양면에 붉은 갈색의 긴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드문드문 나 있다. 엽병은 길이 5-10㎜로 밀모(密毛)가 있다.
    꽃 : 산형화서는 엽액 또는 포엽에서 나와 2-4개의 꽃이 달리며 길이 2-3㎝로서 긴 털과 입자상(粒子狀)의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백색으로 피고 소화경은 길이 7-12㎜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예첨두이며 화관은 지름 6-7㎜로서 백색이다. 5개의 열편은 난형 첨두이며 흑색점이 있다.
    열매 : 지름 5~6mm의 장과로서 둥글고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5-8cm이고 지하경 끝이 지상경으로 되며 전체에 적갈색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의 표고 300m 이하 저지대의 상록수림하에서 드물게 자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소관목 수형: 포복형.
    유사종 : ▶자금우(Ardisia japonica Bl.)
    특징 : 상록성인 잎의 모양이 독특하며 포복성을 지녀 옆으로 길게 뻗어 나간다. 자금우에 비하여 잎과 줄기에 털이 많고 연약하다.
    Read More
  3. No Image

    백량금

    학명 : Ardisia crenata Sim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금우과(Myrsinaceae) target=_blank>자금우과(Myrs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금우속(Ardisia) target=_blank>자금우속(Ardisia)</a>
    이명 : 그늘백량금선꽃나무왕백량금 큰백량금 탱자아재비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7~12cm 폭 2~4cm로서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끝이 둔하며 좁은 예저이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파상의 톱니 사이의 선모는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엽병은 길이 5-10mm이다.
    꽃 : 꽃은 양성화이고 백색이며 지름 8㎜로서 6월에 피는데 화서는 가지 또는 줄기 끝에 산형 또는 복산형으로 달리고 끝이 수레바퀴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첨두로서 흑색점이 있다. 꽃받침잎은 난형 첨두이고 수술대는 거의 없다.
    열매 : 핵과는 지름 1㎝로서 둥글고 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이듬해 6월까지 달려 있고 조건이 좋으면 달린 채로 싹이 튼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대개 원줄기가 하나이지만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뿌리 : 지하의 굵은 뿌리는 3~5개가 모여 덩이뿌리 상태를 이룬다.
    분포 : ▶일본 중국 및 인도에도 분포한다. ▶제주도의 표고 700m 이하 거문도 홍도등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왕백량금(var. taquetii T.Lee): 원줄기가 높이 2m 내외이고 잎의 길이가 12㎝로서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 빨갛게 익은 매혹적인 열매는 8-9개월간 나무에 매달려 있어 관상가치가 있고 주름진 푸른잎은 사철 아름답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