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이삭포아풀

조회 수 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oa bulbosa var. vivipara Koeler
과명 벼과(Gramineae)
속명 포아풀속(Poa)
잎은 어긋나며 길이 10cm 나비 1~2mm. 잎 2~3개. 긴 엽초와 짧은 잎. 엽설 길이 2~4mm 흰색 막질이다.
꽃은 4~6월 원추화서를 이룬다. 화서의 길이는 4~8cm 소수의 길이는 2.7~4mm이며 난형이고 소화는 3~4개이다. 소화는 거의 자주색의 무성아로 전환. 호영 용골부와 가장자리 맥위 연모이다.
열매 열매는 영과이다.
줄기 구근처럼 부푼 기부로부터 곧게 자란다. 기부는 자주색이며 빳빳하다.
분포 유럽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Descr. gram. 189 (1802)

  1. No Image

    포아풀

    학명 : Poa sphondylodes Tr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꿰미풀 선꾸렘이풀 쇠꾸렘이풀 숲꾸렘이풀 키다리포아풀
    잎 : 잎은 약간 오그라들며 길이 5~15cm 폭 1.5-3mm이고 엽초 기부는 어느 정도 붉은빛을 띠기도 한다. 엽설은 피침형 예두로서 길이 3-8mm이고 막질이다.
    꽃 : 화경(花莖)은 잎과 더불어 짙은 녹색이고 밋밋하지만 화서 밑이 거칠다.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곧추서고 피침형으로서 길이 5~15cm이며 가지가 3-6개씩 달리고 비스듬히 퍼진다. 소수(小穗)는 연한 녹색이며 난형이고 길이 3-5mm로서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피침형 예두이며 첫째 것은 길이 1.5-2mm로서 1맥이 있고 둘째 것은 길이 2-3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측면에 털이 없고 능선과 측

    줄기 : 총생하여 큰 포기로 되고 높이 50-70cm이며 밑부분이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2. No Image

    큰새포아풀

    학명 : Poa trivial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수캐꾸렘이풀 수캐포아풀 큰참새꿰미풀
    잎 : 잎은 길이 10-20㎝ 나비 3-5㎜로서 녹색이며 표면이 꺼칠꺼칠하고 엽설은 길이 3-6㎜로서 삼각형이고 녹색이며 막질이다.
    꽃 : 원추화서는 난형이고 성기게 퍼지며 길이 10-20㎝로서 가지가 반윤생하고 작은이삭은 녹색이며 길이 2.5-3.5㎜로서 2-3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피침형이고 예두이며 길이 2.5mm이고 첫째 것은 1-3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2.5-3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난형이며 5맥이 있고 능각 밑부분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으며 면모가 길다. 내영은 길이 2.7㎜로서 능각에 털이 있고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2-1.7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누으며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가냘프다.
    분포 : 북부 지방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3. No Image

    큰꾸러미풀

    학명 : Poa nipponica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질긴포아풀 큰꾸렘이풀 큰꿰미풀
    잎 : 잎은 편평하며 새포아풀과 비슷하게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10-20cm 폭 3-7mm이고 엽설은 백색 막질로서 길이 약 2mm이며 절두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 길이 8-15cm정도의 화서가 달린다. 화서는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가지가 2-3개씩 달리고 거칠며 가지마다 잔이삭이 조밀하게 달린다. 잔이삭은 밝은 녹색이지만 흔히 자줏빛이 돌며 길이 4-5mm로서 넓은 난형이고 4~6개의 잔꽃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포영은 피침형이며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7mm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새포아풀의 것과 비슷하고 5맥이 있으며 내영은 길이

    줄기 : 높이 40-50cm이고 곧게 서며 밑부분은 갈라져 어느정도 땅을 긴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저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새포아풀(P. annua L.)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특징 : ▶새포아풀과 실포아풀의 중간형이다. 두 종간의 자연 잡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Read More
  4. No Image

    코마로브포아풀

    학명 : Poa komarovii Rosh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줄기의 잎몸은 선상 피침형 폭 1.2-3㎜이고 엽설은 길이 2-3m이다.
    꽃 : 원추화서은 성기게 퍼지고 길이 5-7㎝로 넓고 작은이삭은 길이 3-8㎜ 폭 6㎜이고 낱꽃은 수 송이이다.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3맥 용골 모양이 있고 끝이 날카롭다. 외영은 길이 3-3.5㎜ 5맥으로 매끈하고 맥과 맥 사이에 연모가 있으며 밑에 구불구불한 털이 있고 내영은 외영보다 짧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의 길이 2㎜이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하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작다.
    분포 : 관모봉 고산의 풀밭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Read More
  5. No Image

    청포아풀

    학명 : Poa viridula Pali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푸른꾸렘이풀 푸른꿰미풀
    잎 : 잎은 편평하거나 안으로 오그라들며 길이 5-15cm 나비 1.5-3mm이고 엽설은 반원형 절두이며 길이 1-2㎜이고 끝이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며 정엽이 엽초보다 짧다.
    꽃 : 화경(花莖)은 곧추자라며 총생하고 높이 30-60cm이다.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녹색이고 곧게서며 빽빽하고 길이 8-15cm 지름 1.5-3cm로매우 가는 가지가 3-5개씩 달리며 잔돌기가 있고 화축은 실 모양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4-5mm 나비 3mm로서 2-3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 3mm이며 3맥이 있고 길이가 다르다. 호영은 윗부분이 갈색이다. 길이 3mm로서 5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능각부 밑부분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

    줄기 : 녹색이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특징 : ▶포아풀과 비슷하나 녹색이고 엽설이 아주 짧다.
    Read More
  6. No Image

    좀포아풀

    학명 : Poa compress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카나다꿰미풀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7-15㎝ 나비 1.5-3㎜이며 털이 없고 엽설은 짧으며 막질이고 길이 1㎜이며 절두로서 반원형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곧게 서고 약간 치밀하며 길이 3-7㎝로서 피침형이고 짙은 녹색이다. 가지는 2-3개씩 달리며 길이 1-2cm로서 거칠고 밑부분에서부터 소수(小穗)가 달리며 소수는 길이 3-5㎜로서 3-6개의 꽃이 들어 있고 짧은 대가 있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같으며 넓은 피침형이고 3맥이 있으며 호영은 길이 2-3mm이고 둔두로서 윗가장자리가 구리색이며 중륵은 다소 희미하고 측면에 털이 없다. 능각과 측맥은 밑부분에만 짧은 복모가 있

    줄기 :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고 윗부분이 곧게 선다.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뻗는 줄기가 있고 화경(花莖)은 높이 15-70cm로서 편평하며 짙은 녹색이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긴다.
    분포 : 중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l):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선다. 잎몸은 황록색 납작하고 엽초에 털이 없이 매끈하다. ▶가는포아풀(P. mastumurae Hack.): 높이 40-80㎝ 근

    Read More
  7. No Image

    좀새포아풀

    학명 : Poa deschampsioides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잎몸은 길이 5㎝ 폭 2.3㎜로 표면은 꺼칠꺼칠하고 엽설은 길이 1㎜내외이다.
    꽃 : 원추화서는 난형으로 대체로 성기게 달리고 매끈하며 길이 5-6㎝로 자주색이다. 작은 이삭은 길이 4.5-5㎜고 낱꽃은 3-5송이이다. 호영은 서로 다르고 막질이며 끝이 날카롭고 윗부분이 꺼칠꺼칠하며 3맥으로 가장자리는 투명하다. 제 1호영은 길이 3㎜ 제 2호영은 길이 3.5㎜이고 외영은 길이 3.5㎜ 5맥이고 배 부분과 가장자리 맥에 긴 누운 털이 밀생한다. 밑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있다. 내영은 길이 3.4㎜ 용골은 2개로 연모가 있다. 수술은

    줄기 : 줄기는 성기게 모여 달리고 밑은 길고 가냘프다. 마디는 1-2개로 털이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초원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8. No Image

    좀꾸러미풀

    학명 : Poa radula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좀꾸렘이풀
    잎 : 잎은 길이 20-30㎝ 나비 5-10mm로서 엽초는 중앙 이상까지 유합되고 다소 거칠며 능선이 있고 엽설은 길이 1-3mm이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20-30㎝로서 난형이며 가지는 반윤생하고 잔돌기가 있으며 옆으로 퍼지고 소수(小穗)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4-10mm로서 4-8개의 소화가 들어있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며 첫째것은 길이 2.5mm로서 1맥이 있고 둘째것은 길이 3-3.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이며 안으로 접히고 길이 3.5-4.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중륵이 뚜렷하고 측면에 털이 없으며 능각부와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고 면모가 약간 있다. 내영은

    줄기 : 높이 80-150cm로서 마디사이 윗부분과 근경 윗부분이 거칠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강원도에서 자란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9. No Image

    자주포아풀

    학명 : Poa glauca Vah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구름꿰미풀 주름꾸렘이풀
    잎 : 잎은 회청색이고 길이 5-10㎝ 나비 2-2.5㎜로서 편평하며 엽초는 마디보다 길고 때로는 부분적으로 자주색이 돌며 털이 없이 매끈하다. 엽설은 길이 2.5㎜정도로서 둔두이며 막질이다.
    꽃 : 원추화서는 피침형으로서 곧으며 길이 3-7㎝이고 가지는 짧으며 소돌기가 있고 2-5개씩 달린다. 작은이삭은 대가 짧으며 연한 녹색이지만 약간 자줏빛이 돌고 길이 3-4mm로서 2-3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3맥이 있고 첫째 것은 길이 2.5mm 둘째 것은 길이 3mm이다. 호영은 길이 2.5-3mm로서 좁은 난형이며 5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위에는 자줏빛이 도는 부분이 있고 측면에 털이 없으며 능각부와 측맥 밑부분에

    줄기 : 높이 20-30cm이고 밀생하며 곧게 선다.

    분포 : 태백산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가는포아풀(P. mastumurae

    Read More
  10. No Image

    이삭포아풀

    학명 : Poa bulbosa var. vivipara Koel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잎은 어긋나며 길이 10cm 나비 1~2mm. 잎 2~3개. 긴 엽초와 짧은 잎. 엽설 길이 2~4mm 흰색 막질이다.
    꽃 : 꽃은 4~6월 원추화서를 이룬다. 화서의 길이는 4~8cm 소수의 길이는 2.7~4mm이며 난형이고 소화는 3~4개이다. 소화는 거의 자주색의 무성아로 전환. 호영 용골부와 가장자리 맥위 연모이다.
    열매 : 열매는 영과이다.
    줄기 : 구근처럼 부푼 기부로부터 곧게 자란다. 기부는 자주색이며 빳빳하다.

    분포 : 유럽



    Read More
  11. No Image

    울릉포아풀

    학명 : Poa ullungdoensis Chu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엽초는 닫히고 대개 마디 사이보다 길고 가장 밑의 엽초는 자주색이다. 줄기와 엽초가 납작하고 가는 능선이 있으며 털이 없고 매끈하다. 잎몸은 매우 좁은 선형이고 길이 9-17㎝ 폭 1-2㎜이다. 대개 안으로 말리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절두형이고 길이 0.2㎜이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5-10㎝ 폭 1-1.7㎝로 밑의 마디에서 납작한 가지가 2-5개 나오며 약간 꺼칠꺼칠하다. 중앙 이상의 마디에서는 가지가 나오거나 단순하고 끝에는 소수의 작은이삭이 달린다. 가장 밑의 가지의 길이는 2.2-4.8㎝ 작은이삭은 길이 2.8-5㎜ 낱꽃은 2-4송이이다. 호영은 서로 길이가 약간 다르고 제1호영은 길이 1.2-2.2㎜ 1맥 제2호영은 길이 1.7-2.8㎜ 3맥이다. 용골은 꺼칠꺼칠하거나 매끈하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며 단순하고 밑이 구부러지며 마디는 5-8개이다.

    분포 : 경상북도 울릉도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Read More
  12. No Image

    왕포아풀

    학명 : Poa prat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드럼꾸레미풀 드럼꾸렘이풀 왕꿰미풀
    잎 : 잎은 편평하거나 다소 오그라들며 길이 7-20cm 폭 2~4mm로서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절두로서 길이 1-2m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8-15cm로서 좁은 난형이며 곧추서고 가지가 2-5개씩 반윤생하며 옆으로 넓게 퍼지고 잔돌기가 있으며 잔이삭이 조밀하게 달린다. 잔이삭은 난형이며 길이 3~6mm로서 3-5개의 꽃이 들어 있고 까락이 없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고 첫째 것은 길이 1.5-2mm로서 피침형이며 1맥이 있고 둘째 것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2-2.5mm이며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중륵이 뚜렷하며 능각과

    줄기 : 높이가 30-80cm에 달하고 총생하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13. No Image

    실포아풀

    학명 : Poa acroleuca Steu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꾸레미풀 실꿰미풀
    잎 : 잎은 길이 10-15㎝ 나비 1.5-3㎜이며 엽초는 밋밋하고 윗부분이 편평하며 엽설은 길이 1-2㎜로서 둔두이고 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0-20cm이며 성기게 퍼지고 난형이며 끝이 처지고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비스듬히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잔이삭은 편평하며 녹색으로서 흰빛이 돌고 3-5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길이 3-5mm이다. 포영은 예두로서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1.5mm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2.5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능선이 거칠다. 호영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2.5mm 정도로서 측면 밑부분과 맥 위에 백색 털이 있

    줄기 : 밑부분에서 굽으나 윗부분은 곧게 자라고 높이 40-50cm로서 짙은 녹색이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마디포아풀(var. subminiliformis Honda): 밑부분의 1-2마디가 굵어지며 제주도와 거문도에서 자란다.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Read More
  14. No Image

    섬포아풀

    학명 : Poa takeshimana Hon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울릉꾸렘이풀 울릉꿰미풀
    잎 : 잎은 선형이고 길이 15㎝ 나비 1.3㎜로서 매끈하며 줄기 윗부분의 잎은 때로 화경(花莖)보다 길고 엽초는 마디사이보다 길며 털이 없고 엽설은 길이 0.3mm로서 절두이다.
    꽃 : 화경(花莖)은 둥글다.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퍼지지 않고 좁으며 길이 5-7㎝로서 다소 구불구불하고 능선에 잔돌기가 있으며 가지가 1-2개씩 달리고 화서축과 평행하며 실처럼 가늘다. 작은이삭은 피침형이며 3개의 소화가 들어 있고 거의 털이 없어 밋밋하다. 포영은 길이 2-3mm 호영은 길이 3mm이다. 포영은 길이가 다소 다르며 첫째 것은 1맥이 있고 둘째 것은 3맥이 있으며 작은이삭과 길이가 같다. 호영은 5맥이 있고 밑부분에 구불구불한

    줄기 : 높이 30cm이고 밀생하고 가냘프며 털이 없다.

    분포 : 경상 북도 울릉도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15. No Image

    선포아풀

    학명 : Poa nemoral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선꾸렘이풀 선꿰미풀
    잎 : 잎은 가늘고 길이 20cm 폭 1.5mm이며 털이 없고 엽초는 마디사이보다 짧거나 길며 길이 3-7cm이고 엽설은 길이 0.5mm이하로서 막질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4-10cm로서 거칠고 가지가 비스듬히 위로 퍼지며 작은이삭은 길이 3~5mm로서 2~5개의 잔꽃으로 이루어진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고 3맥이 있으며 첫째 것은 길이 3mm정도이고 둘째 것은 길이 3.5mm정도이다. 호영은 길이 3-4mm로서 3맥이 뚜렷하며 뒷면 능각부와 측맥에 연모가 있고 주맥은 반 정도 측맥은 1/3까지 구불구불한 솜털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맥 위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30-70cm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 산지에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특징 : 여러 개가 뭉쳐 나거나 큰 무리를 이루지 않는다.
    Read More
  16. No Image

    시베리아포아풀

    학명 : Poa sibirica Rosh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잎몸은 선형이고 폭 3.5-6㎜이고 끝이 뾰족하고 납작하며 엽초가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길이 1㎜로 끝이 둔하다.
    꽃 : 원추화서의 길이 6-18㎝ 긴 타원형 피라미드형 성기게 달리고 가지는 약간 길다. 작은이삭은 길이 4-5㎜ 낱꽃은 3-4송이이다. 호영은 좁은 피침형이고 서로 다르고 용골 위가 꺼칠꺼칠하다. 제1호영은 길이 1-2㎜ 1맥이고 제2호영은 길이 3㎜ 3맥이다. 외영은 5맥으로 털이 없고 밑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없다. 내영은 외영과 같은 길이이다. 용골 2개 위에 섬고가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의 길이 1.3-1.5㎜이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긴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의 풀밭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Read More
  17. No Image

    새포아풀

    학명 : Poa annu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개꾸렘이풀 새꿰미풀
    잎 : 잎은 길이 2-8cm 폭 2~4mm로서 양끝이 갑자기 둔해지며 털이 없고 매끄럽다. 엽설은 길이 3~6mm이며 반원형이다.
    꽃 : 꽃은 5~9월에 걸쳐 피고 길이 3-8cm의 원추화서는 난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가지가 2개씩 달려서 수평으로 퍼지고 잔이삭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3-5mm로서 5개 내외의 잔꽃이 들어 있다. 잔꽃은 연한 녹색이나 일부는 홍자색을 띠기도 한다. 첫째 포영은 길이 1.5mm 정도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2.5㎜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정도로서 중륵이 뚜렷하며 가장자리는 막질로서 털이 없으나 다른 곳에는 백색 털이 있고 내영은

    줄기 : 높이 10-25cm이며 기부에서 갈라져 뭉쳐 나고 밑부분이 마디에서 굽는다.

    분포 : ▶범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특징 : ▶가을에 싹이 나와 파란 잎이 총생하며 다음해 5월에 꽃이 핀다.
    Read More
  18. No Image

    마디포아풀

    학명 : Poa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섬꾸렘이풀
    잎 : 잎은 길이 10-15㎝ 나비 1.5-3㎜이며 엽초는 밋밋하고 윗부분이 편평하며 엽설은 길이 1-2㎜로서 둔두이고 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0-20cm이며 성기게 퍼지고 난형이며 끝이 처지고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비스듬히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잔이삭은 편평하며 녹색으로서 흰빛이 돌고 3-5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길이 3-5mm이다. 포영은 예두로서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1.5mm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2.5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능선이 거칠다. 호영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2.5mm 정도로서 측면 밑부분과 맥 위에 백색 털이 있

    줄기 : 밑부분에서 굽으나 윗부분은 곧추 자라고 높이 40-50cm로서 짙은 녹색이다.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비스듬히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밑부분의 1-2마디가 굵어진다.

    분포 : 제주도와 거문도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19. No Image

    두메포아풀

    학명 : Poa malacantha var. shinanoana (Ohw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잎은 안으로 오그라들거나 편평하고 길이 4-6㎝ 나비 4-5㎜로서 표면은 분백색이며 엽설은 길이 2-4㎜로서 반원형이고 막질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약간 치밀하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5-7cm이며 끝이 처지고 가지가 밋밋하며 2개씩 달리고 옆으로 퍼진다. 소수(小穗)는 짧은 대가 있으며 길이 6-8㎜ 나비 4㎜로서 꽃이 들어 있고 자줏빛이 돌지만 다소 연한 녹색인 것도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며 첫째 것은 길이 3-4mm이고 둘째 것은 길이 4-5mm로서 짧은 측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매우 뾰족하며 5맥이 있고 뒷면에 능각이 있으며 길이 5-6

    줄기 : 높이 10-25cm이고 다소 총생하며 약간 두껍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선다.
    분포 : 백두산지역 등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l):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선다. 잎몸은 황록색 납작하고 엽초에 털이 없이 매끈하다. ▶가는포아풀(P. mastumurae Hac

    Read More
  20. No Image

    눈포아풀

    학명 : Poa palustr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이명 : 뜰꾸렘이풀 뜰포아풀 물포아풀 진퍼리꿰미풀
    잎 : 잎은 길이 10-20㎝ 나비 1-2㎜이며 엽설은 길이 3-5㎜로서 둔두이고 막질이다.
    꽃 : 원추화서는 곧게 서고 성기게 퍼지며 길이 12-25㎝로서 난형이고 가지는 반윤생하며 옆으로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작은이삭은 난형으로서 길이 3-5㎜이며 2-3개의 꽃이 들어 있고 연한 녹색이다. 포영은 피침형 예두로서 3맥이 있으며 길이 2-2.5mm이고 능각부에 잔돌기가 있다. 호영은 예두이며 윗부분에 갈색이 돌고 길이 2.5-3mm로서 밑부분에 면모(綿毛)가 있으며 중륵이 뚜렷하지 않고 털이 없으며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다. 내영은 호영과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눕는다.
    뿌리 : 근경은 가냘프고 짧다.
    분포 : 북부지방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