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Pedicularis spicata Pall. |
|---|---|
|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
| 속명 | 송이풀속(Pedicularis) |
| 이명 | 꼭지송이풀 |
|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4개씩 윤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2-5cm 폭 5-10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가시끝이 있는 톱니가 있다. 잎표면은 짧은 흰털이 있으며 뒷면은 맥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0-11mm이다. |
|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줄기나 가지에 수상(穗狀)으로 모여 달리고 포는 잎과 비슷하며 꽃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연모(軟毛)가 있고 종형이며 털이 있고 윗부분이 얕게 갈라지며 끝이 3개로 갈라졌다. 화관은 순형이며 길이 1-1.5cm이고 상순은 길이 2.5mm정도로서 전 길이의 1/3정도이며 용골상이고 끝이 부리처럼 되었으며 하순은 3쪽으로 넓게 갈라졌다. |
| 열매 | 삭과는 편난형이며 다소 곧게 서고 길이 6-8mm이며 흑갈색이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겉에 그물 무늬가 있고 9월에 익는다. |
| 줄기 | 줄기는 한개 또는 여러개가 나와 곧게 서고 4개 능선을 따라 털이 있다. |
|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 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특징 | 구름송이풀과 비슷하지만 꽃의 상순이 짧은 것이 다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Reise russ. Reich 3: 738 (1776)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
Read MoreNo Image
일월토현삼
학명 : Scrophularia koraiensis var. melutina Sakata ex Uyeki & Sak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애기개현삼 우단현삼 털개현삼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가장자리에 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과 엽병에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흑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는 원추화서는 취산화서가 모여 이루어지며 화서에 털이 밀생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형 예두로서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원줄기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경북 일원산과 평북 대흥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이삭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spicata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이명 : 꼭지송이풀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4개씩 윤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2-5cm 폭 5-10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가시끝이 있는 톱니가 있다. 잎표면은 짧은 흰털이 있으며 뒷면은 맥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0-11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줄기나 가지에 수상(穗狀)으로 모여 달리고 포는 잎과 비슷하며 꽃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연모(軟毛)가 있고 종형이며 털이 있고 윗부분이 얕게 갈라지며 끝이 3개로 갈라졌다. 화관은 순형이며 길이 1-1.5cm이고 상순은 길이 2.5mm정도로서 전 길이의 1/3정도이며 용골상이고 끝이 부리처럼 되었으며 하순은 3쪽으로 넓게 갈라졌다.
열매 : 삭과는 편난형이며 다소 곧게 서고 길이 6-8mm이며 흑갈색이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겉에 그물 무늬가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한개 또는 여러개가 나와 곧게 서고 4개 능선을 따라 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 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구름송이풀과 비슷하지만 꽃의 상순이 짧은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우단담배풀
학명 : Verbascum thapsu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우단담배풀속(Verbascum) target=_blank>우단담배풀속(Verbascum)</a>
잎 : 잎은 어긋나며 장 타원형 길이 12~40cm 나비 4~12cm 두껍고 첨두 기부 쐐기꼴 둔한 톱니. 엽병 거의 없다.
꽃 : 수상화서 화서 길이 50cm 지름 2~2.5cm 꽃자루 없고 꽃잎 바깥쪽에 성상모 밀생. 수술 5개 위쪽 3개 수술대 흰털과 작은 꽃밥 아래쪽 2개 수술대 털 없고 큰 꽃밥.
열매 : 열매는 구형으로 높이 7mm이며 털로 덮여 있고 잔존 꽃받침에 싸여있다.
줄기 : 잎에서 흘러내린 날개 모양 부수체. 털 우단처럼 밀생.
분포 :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시아
-
Read MoreNo Image
외풀
학명 : Lindernia crustacea (L.) F.Mue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밭뚝외풀속(Lindernia) target=_blank>밭뚝외풀속(Lindernia)</a>
이명 : 나도고추풀 풀고추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형 삼각상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10~20mm 폭 6~12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엽액에 1개씩 달려서 산방상으로 되고 소화경은 길이 1-2.5cm로서 비스듬히 벌어지며 윗부분의 잎은 포같다. 꽃받침은 길이 4-5mm로서 능선이 있고 5개의 뾰족한 열편으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1cm로서 양순형이고 상순은 2개로 하순은 3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인데 하부의 2개는 기부에 돌기가 있다.
열매 : 삭과는 길이 4-5mm로서 긴 타원형이며 희미한 요점(凹點)이 있다.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7-15cm이고 잔털이 다소 있으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열매가 참외와 비슷하여 외풀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오동나무
학명 : Paulownia coreana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동나무속(Paulownia) target=_blank>오동나무속(Paulownia)</a>
이명 : 오동
잎 : 잎은 대생하며 난상 원형 또는 아원형이지만 흔히 오각형으로 되고 첨두 심장저이며 길이 15~23cm 폭은 12~29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갈색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맹아에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1c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난형이고 첨두이며 서기도 하고 퍼지기도 하며 양면에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6cm로서 자주색이지만 참오동나무와는 달리 세로로 된 자주색 줄이 없으며 후부(喉部)는 황색이고 내외부에 성모와 선모가 있으며 이강웅예(二强雄蘂)는 털이 없고 자방은 난형으로서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난형 첨두의 삭과로 털이 없고 길이는 3cm 정도로서 10~11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가 통직하고 수피는 담갈색이고 암갈색의 거친줄이 종으로 나 있다.
뿌리 : 주근이 있고 측근이 길게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중부 이남의 따뜻한 곳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형
유사종 :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 Steud.): 울릉도 원산으로 전국에 많이 식재되고 있으며 꽃잎에 자주색 줄이 세로로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징 : ▶참오동과 같이 자라며 겉모양이 비슷하지만 잎뒷면에 다갈색 털이 있고 화관에 자줏빛이 도는 점선이 없다. ▶목재는 재질이 가볍고 무늬가 좋으며 내습성과 내부성이 높다. 심 변재의 구분이 명확치 않으며 연륜은 뚜렷하고 색은 엷은 홍백색이다. 환공재로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갗은 거칠며 국산재로 가장 가벼우며 절삭가공성 도장성은 보통이고 접착성은 양호하나 포삭성은 불량하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좁쌀풀
학명 : Euphrasia coreanalpina Nakai ex Y.Kimu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좁쌀풀속(Euphrasia) target=_blank>좁쌀풀속(Euphrasia)</a>
이명 : 고려깨풀 둥근잎깨풀산좁쌀풀 아기좁쌀풀 조선좁쌀풀
잎 : 경생엽은 길이 4mm 정도로서 밑부분의 것이 곧 떨어지고 끝이 둔한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2~3쌍의 둔한 또는 둥근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 근처에 잔돌기가 있다.
꽃 : 6~8월에 개화하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포는 난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 3.5~6mm로서 2~4쌍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 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화관은 길이 4mm 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m 정도로서 성숙한 꽃받침보다 길며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10-15cm이고 가지는 없으며 밑을 향한 털이 있다.
분포 : 厚昌 雲仙嶺 및 赴戰高原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특징 : 애기좁쌀풀이란 작은 또는 연약한 좁쌉풀이란 뜻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이명 : 천마송이풀
잎 : 잎은 1회우상복엽으로서 우상은 대가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다시 중열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0~15cm이다.
꽃 : 5~6월에 개화하며 연한 홍자색으로서 밑부분에서 나오고 소화경은 길이 6cm이며 꽃받침은 긴 통형이고 겉에 5맥과 더불어 잔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도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통부 길이의 1/3 정도이다. 화관은 양순형으로서 상순은 활처럼 앞으로 굽고 끝이 약간 파진 듯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모두 끝이 둥글며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산생한다.
열매 : 삭과이다.
줄기 : 잔털이 다소 있으며 원줄기가 짧다.
뿌리 : 뿌리 끝에서 잎이 밀생한다.
분포 : 개성 천마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애기물꽈리아재비
학명 : Mimulus tenellus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꽈리아재비속(Mimulus) target=_blank>물꽈리아재비속(Mimulus)</a>
이명 : 애기물꼬아리 애기물꽈리좀물꽈리아재비
잎 :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6~12mm 폭 3~8mm로서 밑부분에 포인(苞鱗)같은 것이 달려 있는 것도 있으며 엽병은 길이 2~6mm이다.
꽃 : 7~8월에 개화하고 황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4mm 정도이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5개의 좁은 날개가 있고 길이 5~8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mm 이하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 난상 피침형이다.
줄기 : 높이가 25cm에 달하고 털이 없으나 간혹 긴 털이 1~2개 있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지고 지면에 닿으면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물꽈리아재비
특징 : 물꽈리아재비에 비해 소화경이 짧고 꽃받침도 작아 애기물꽈리아재비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애기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setaceum (Maxi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target=_blank>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a>
이명 : 가는잎며느리밥풀 구름며느리밥풀금강산애기며느리밥풀맛며느리바풀 백두산꽃며느리밥풀백두산바풀 아기며느리밥풀애기며느리바풀원산며느리밥풀원산바풀 작은새애기풀큰애기며느리밥풀 큰애기바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넓은 선형이고 길이 2-3cm 나비 3-4mm로서 엽병이 짧으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짙은 홍색으로서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포는 선형 또는 삼각상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가시같은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홍색이다. 꽃받침은 길이 3-4.5mm로서 잔털이 있거나 털이 거의 없으며 열편은 뾰족하고 다소 까락같이 되며 화관은 길이 15-18mm로서 하순의 중앙열편에 밥풀같은 2개의 백색 무늬가 있다.
열매 : 길이 8~9mm인 둥근 삭과이고 짧은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원줄기는 둥글지만 다소 둔한 능각이 지며 잔털이 산생하고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하며 남쪽으로는 일본 남부 북쪽으로는 만주까지 자란다.
형태 : 반기생의 1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알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Nakai ex Beauver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target=_blank>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a>
이명 : 둥근잎며느리밥풀둥근잎밥풀 둥근잎새애기풀알며느리바풀
잎 : 중앙부의 잎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게 뾰족해지거나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3~6cm 폭 1.5~3cm로서 밑부분이 둥글며 갑자기 좁아져서 밑으로 흐르고 엽병은 길이 5~10mm로서 골이 파지며 엽면과 더불어 짧은 털이 다소 산생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홍자색 또는 백색(for.albiflorum Nak.)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포는 좁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다소 치밀하게 달리고 가장자리에 긴 가시털같은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잔털이 다소 있으며 열편은 길이 3.5~4mm로서 피침형이고 까락같은 끝으로 되며 화관은 길이 16~18mm로서 입자상의 돌기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1cm 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며 짧은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30-70cm로서 능선을 따라 굽은 백색 털이 있고 가지가 퍼져서 위를 향한다.
분포 : 중부 이남과 동쪽 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분포되어 있다.
형태 : 반기생 1년초.
유사종 : 꽃며느리밥풀
특징 : 꽃며느리밥풀보다 잎이 둥글고 포에 가시톱니가 한층 더 발달함.
-
Read MoreNo Image
앉은좁쌀풀
학명 : Euphrasia maximowiczii Wetts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좁쌀풀속(Euphrasia) target=_blank>좁쌀풀속(Euphrasia)</a>
이명 : 기생깨풀 선좁쌀풀 좁쌀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잎은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둔두 원저이고 길이 6-12mm 폭 5-10mm로서 잎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꽃이 달린 부분의 잎은 보다 작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으로서 줄기 윗부분 엽액에 수상화서로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3.5mm이며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상 삼각형이며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화관은 길이 4-6mm이고 순형으로서 열편 끝이 오목하며 상순은 곧게 서고 하순은 중앙부에 황색 반점이 있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길이 5mm이고 긴 타원형이며 잔털이 있고 8-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3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반기생 일년초.
-
Read MoreNo Image
쌀파도풀
학명 : Omphalothrix longipe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쌀파도풀속(Omphalothrix) target=_blank>쌀파도풀속(Omphalothrix)</a>
이명 : 눈송이풀 배꼽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약 6mm이며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쪽의 잎짬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실같이 가늘고 길이 약 1cm로 잎보다 길다. 꽃받침은 통형으로 5열하고 열편은 짧고 끝이 둔하며 미모가 있다. 화관은 순형으로 길이 4~5mm이고 상순은 하순보다 길며 상순은 끝이 오목하고 하순은 3열하며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장 타원형이며 셋으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섬세하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평북(낭림산) 함남북에 나며 만주 몽고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수염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var. japonicum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target=_blank>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a>
이명 : 며느리바풀며느리밥풀 새애기풀
잎 : 잎은 대생하고 긴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길이 3~6cm 폭 1~2.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10mm이다.
꽃 : 8~9월에 개화하며 홍색이고 수상화서에 달리며 화서에 포가 다닥다닥 달리고 백색 연모가 있으며 포는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가시 같은 톱니와 더불어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뾰족하게 갈라지며 다세포로 된 긴 털이 있고 화관은 길이 16~18mm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하순의 중앙열편에 밥풀같은 2개의 백색 무늬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cm 정도로서 짧은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가지가 길게 자라고 햇볕을 잘 쬐는 곳에서는 적자색이 돈다.
분포 : 남부지방과 서남 군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분포되어 있다.
형태 : 반기생 1년초.
유사종 : ▶흰수염며느리밥풀 (for.leucanthum Nak.): 백색 꽃이 핀다.
-
Read MoreNo Image
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resupinat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이명 : 가지송이풀 그늘송이풀도시락나물마주송이풀 마주잎송이풀명천송이풀 수송이풀 이삭송이풀 잔털송이풀칠보송이풀털송이풀
잎 : 잎은 호생하지만 밑부분의 잎은 대생하기도 하고 엽병은 짧으며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지고 길이 4-9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복거치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원줄기 끝에서 총생하는 포같은 잎사이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5-10mm로서 앞쪽이 깊게 갈라지고 뒷면은 끝이 둥글며 2-3개의 둔한 톱니와 더불어 짧은 털이 있다. 화관은 홍자색이고 길이 2cm로서 끝이 새부리처럼 꼬부라지며 하순이 옆으로 퍼져서 지름이 10mm에 달하고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8-12mm이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밑에서 여러대가 나와 함께 자라며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줄기는 굵게 네모지고 곧게서며 속이 비었다.
뿌리 : 수염뿌리를 가지고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수송이풀 (var.gigantea Nak.): 전체가 크고 가지가 많다. ▶마주송이풀 (var.oppositifolia Miq.): 잎이 대생한다. ▶명천송이풀 (var.spicata Nak.): 꽃이 드문드문 달려 수상으로 된다.
-
Read MoreNo Image
소엽풀
학명 : Limnophila aromatica (Lam.) Mer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구와말속(Limnophila) target=_blank>구와말속(Limnophila)</a>
이명 : 소향풀 참소엽풀
잎 : 잎은 대생하거나 밑부분에서 3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cm 폭 3~7(10)mm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낮은 톱니가 있다.
꽃 : 9~10월에 개화하며 황백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7~15mm이고 꽃받침 밑에 소포가 잇다. 꽃받침은 길이 5~7mm로서 5개로 중열되며 열편은 좁은 피침형이고 화관은 길이 10mm 정도로서 다소 황백색이 돌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짧다.
열매 : 삭과는 넓은 난형이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은며 종자는 뒷면에 2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0.3mm 정도로서 흑색이고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20-25cm이고 털이 없으며 입상 돌기모 입상(粒狀) 돌기모(突起毛)가 있고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전체에 소엽같은 향기가 있기 때문에 소엽풀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성주풀
학명 : Centranthera cochinchinensis var. lutea (Hara)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성주풀속(Centranthera) target=_blank>성주풀속(Centranthera)</a>
이명 : 가시나물나도깨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길이 2~5cm 폭 3~7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상부의 잎은 작으며 호생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15~20mm로서 황색이며 원줄기 윗부분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포는 좁은 피짐형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꽃받침에 붙어 있다. 꽃받침은 앞쪽이 얕게 터지며 끝이 뾰족하고 꽃이 필 때는 길이 7~10mm이며 열매가 익을 때 쯤에는 길이 10~15mm로서 삭과보다 길다. 화관은 꽃받침이 터진 곳에서 자라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가 길고 암술머리에 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포배로 터지고 종자에 줄이 있다.
줄기 : 높이 20-40cm이며 전체에 굳은 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적갈색이다.
분포 : 동아시아의 열대에서부터 온대에 거쳐 자란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섬현삼
학명 :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경생엽은 길이 4~7.5cm이지만 가장 큰 잎은 길이 12~18.5cm 폭 9~11cm로서 둔두이며 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크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화서는 길이 15~32cm로서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2.5~3mm 지름 5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서로 포개지고 열편은 둔두이며 길이 1.5mm 폭 3mm이고 화관은 길이 1cm 정도로서 녹색이 도는 자주색이며 통부는 길이와 지름이 각각 5~6mm이고 정열편은 길며 3개로 갈라진다. 암술대는 길이 2mm이지만 자라서 3mm 정도로 되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길이 8~9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에 날개가 있다.
분포 : 울릉도 해안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섬꼬리풀
학명 : Veronica nakaianum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잎 :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엽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3.5~5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거의 수평이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결각과 더불어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고 골이 파진다.
꽃 : 꽃은 6∼7월에 연한 하늘색으로 피고 윗부분의 잎짬과 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포엽은 난형으로 톱니가 있고 소화경은 길이 3~6mm이다. 꽃받침은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화관도 4열하고 수술은 2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전주에 털이 있다.
분포 : 경북(울릉도)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설령개현삼
학명 : Scrophularia borealikore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개현삼 개현삼아재비 구레이현삼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경생엽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에두 절저이고 길이 7~12cm 폭 4~10cm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엽병은 길이 7~15mm로서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흑자색이며 취산화서는 모여서 하나의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소화경에 선상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길이 2mm 지름 5mm로서 털이 없으며 화관은 길이 8-9mm이고 통부는 길이 5mm 지름 4mm이며 암술대는 길이 3~3.5mm이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상 구형이고 길이 5~8mm 지름 4~6mm이며 종자는 흑색이고 길이 1mm 정도로서 7개의 종선이 있으며 옆으로도 선이 있다.
줄기 : 높이 50-90cm이고 원줄기에 날개가 있으며 털이 없다.
분포 :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선주름잎
학명 :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주름잎속(Mazus) target=_blank>주름잎속(Mazus)</a>
이명 : 곧은담배풀선고초풀 선담배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도란상 긴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3-5cm 폭 8-15mm로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를 반정도 감싸며 엽맥 위에 선상 돌기가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잔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길이 1cm가량이고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꽃이 필 때는 길이 4mm로서 짧은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11mm이며 통상 종꼴로서 1/3부분에서 넓어지면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3맥이 있고 끝이 다소 뾰족하며 길이 9mm이고 밑부분과 맥 위 및 가장자리에 긴 백색 털이 다소 밀생한다. 화관은 길이 15mm로서 상순은 곧고 짧은 난원형이며 끝이 파이고 하순은 길며 기부에 돌기같은 털
열매 : 삭과는 구형으로 지름 3mm정도이며 털이 있고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밑으로부터 가지를 많이 치며 퍼진 흰털이 밀생하고 중부이상에서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