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Myriophyllum spicatum L. |
|---|---|
| 과명 | 개미탑과(Haloragaceae) |
| 속명 | 물수세미속(Myriophyllum) |
| 이명 | 붕어마름 이삭물수셈이 |
| 잎 | 잎은 4장씩 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
| 꽃 | 꽃은 6-10월에 피며 연한 갈색이고 물 위의 줄기 끝에 총상화서가 나와 많은 꽃이 층으로 달리며 포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1.5m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수꽃은 위쪽에 달리며 4개의 꽃잎은 길이 2.5mm로서 꽃이 피면 곧 떨어지고 수술은 8개이며 꽃밥은 길이 1.5mm이다. 암꽃은 아래쪽에 달리고 꽃받침통은 종형이며 4개의 골이 있고 길이 1mm로서 열편이 작다. |
| 열매 | 열매는 분과로 난상 구형이며 길이 2.5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단단하며 분과는 뒷면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 줄기 | 다년생 수초로서 때로는 한포기에서 여러 개가 나오고 물의 깊이에 따라서 크고 작은 것이 있으며 길이 1m이상 자라는 것도 있고 고인 물에 잠겨 있으며 갈녹색이지만 흐르는 물에서 자라는 것은 밝은 녹색이다. |
|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
| 형태 | 다년생 수초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인가목조팝나무
학명 : Spiraea chamaedryfoli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팝나무속(Spiraea) target=_blank>조팝나무속(Spiraea)</a>
이명 : 기장조팝나무 인가목 조팝나무 철연죽 털인가목조팝나무 털철연죽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첨두 원저이고 길이 2-4.5cm로서 가장자리에 갈색 복거치가(조팝나무는 단거치임) 있으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회백색이며 맥 액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백색이고 지름 8-10mm이며 새가지 끝의 산방 또는 산형화서에 달리고(조팝나무는 산형화서이며 전년지에서 꽃이 핌) 소화경은 가늘며 길이 1cm 정도이고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꽃이 진 다음에 젖혀지는 것과 곧게 서는 것이 있고 꽃잎은 백색이며 5-6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크고 뒷면 끝에 돌기가 있으며 암술대는 복면 끝에 달리고 길이 2.5mm이고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7-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가지에 뚜렷한 능선이 있고 털이 없다.
분포 : 중부 이북의 표고 300-600m에 걸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털인가목조팝나무(var.pilosa Hara et NAK.): 소지 엽병 및 엽신의 표면 특히 맥 위와 화서에 잔털이 있으며 열매의 복면에도 털이 많다. 경남 가야산에 자란다.
특징 : 맹아력이 약하다.
-
Read MoreNo Image
인가목
학명 : Rosa suavis Will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이명 : 관모인가목 금강찔레 둥근민둥인가목 민둥인가목 민인가목 제주가시나무 털민둥인가목 흰민둥인가목 흰인가목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3~7개이고 넓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6cm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뒷면은 약간 백색을 띠며 중륵 위에 누운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엽병에 때로 선모가 있다. 엽축에 자모가 있고 탁엽은 화살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장미색으로 피고 새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화경에 선모가 밀생한다. 꽃잎은 넓은 난형이다.
열매 : 과실은 난상 타원형으로 7~8월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에는 가시가 없는 것이 있으나 줄기에는 침상의 가시가 많다.
분포 : 경남(지리산) 강원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캄차카 사할린 중앙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
Read MoreNo Image
익모초
학명 : Leonurus japonicus Hou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익모초속(Leonurus) target=_blank>익모초속(Leonurus)</a>
이명 : 개방아 임모초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길다. 근생엽은 난상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이 다시 2-3개로 갈라지고 각 소열편은 톱니모양이거나 우상으로 다시 갈라지며 톱니가 있고 최종열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회록색이다.
꽃 : 꽃은 홍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윗부분의 엽액에 몇 개씩 층층으로 달려 윤산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고 화관은 아래위 2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이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며 적색 줄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넓은 난형으로서 약간 편평하며 3개의 능각이 있고 털이 없으며 숙존악 속에 있다. 종자를 충위자라 한다.
줄기 : 높이 1m 이상 자라는 것도 있고 둔한 사각형이며 백색털이 있어 전체가 백록색이 돌고 가지가 갈라진다. 모가 지며 곧게 선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야생한다.
형태 : 이년생 초본.
특징 : 전초를 익모초(益母草)라 한다.
-
Read MoreNo Image
이팝나무
학명 :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이팝나무속(Chionanthus) target=_blank>이팝나무속(Chionanthus)</a>
이명 : 니암나무 뻣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3~15cm 폭 2-6㎝로서 타원형 나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첨두 또는 예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표면은 녹색으로 중륵에 흔히 털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중륵 밑부분에 연한 갈색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어린 나무의 경우 복거치가 있다. 감나무와 비슷한 모양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이가화이다. 화서는 길이 6-10㎝로 새로 자란 가지 끝에 약 20일 동안 달려 있고 은은한 향기가 유지되며 밑에 잎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7-10mm로서 환절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깊게 갈라지며 꽃잎은 백색이고 4개이며 길이 1.2-2cm 폭 3mm로서 밑부분이 합쳐지고 통부가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은 2개이며 화통에 붙어 있고 수꽃에 암술이 없으며 자방은 2실로서 암술대가 짧다.
열매 : 열매는 길이 1.0-1.5cm로서 타원형의 핵과이며 9~10월에 벽흑색으로 익어 겨울까지 달려 있다.
줄기 : 줄기는 통직하며 회갈색이고 어린 줄기는 수피가 황갈색으로 벗겨진다.
뿌리 : 직근과 잔근이 있다.
분포 : ▶대만 중국 남부와 일본 남부에 주로 분포한다. ▶어청도 및 포항 홍해 향교에 대집단의 자생지가 있으며 중부 이남의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긴잎이팝나무(var. coreana Nakai): 이팝나무에 비해 잎이 더 좁고 긴 피침형이고 화관 열편의 폭이 1~1.5mm이다.
특징 : ▶세계적인 희귀종으로 큰나무는 대부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6호 - ⓐ소재지;전남 승주 쌍암면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수령 400년 수고 16.5m 흉고줄기둘레 4.46m 수관폭 동9m 서7m 남9.3m 북7.3m. 제183호 - ⓐ소재지: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가슴높이 줄기둘레:2.1m 제185호 - ⓐ소재지:경상남도 김해군 이북면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수령:600
-
Read MoreNo Image
좀미역고사리
학명 : Polypodium virginian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9E%80%EC%B4%88%EA%B3%BC(Polypodiaceae) target=_blank>고란초과(Poly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십자고사리속(Polypodium) target=_blank>십자고사리속(Polypodium)</a>
이명 : 좀나도우드풀 털미역고사리
잎 : 근경에 다소 드물게 달리며 인편으로 덮인다. 인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3-4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중앙에 흑갈색부가 있다. 엽병은 볏짚색이고 가늘며 길이 5-12cm이고 엽신은 양면에 털이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7-20cm 나비 2.5-5cm로서 1회 우상으로 중축까지 갈라진다. 우편은 10~25쌍이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1~2mm 넓이 2~6m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끄트머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앞뒤면에 털이 없다.
열매 : 포자낭군은 우편의 가장자리에 달리며 암갈색으로서 둥글다
뿌리 : 땅밑에 지름 1~3mm의 근경이 가로 길게 뻗으며 흑갈색의 인편으로 덮이고 수염뿌리를 낸다.
분포 : ▶한국 중국동북 몽골 일본 시베리아동부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
▶금강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이질풀
학명 :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손이풀과(Geraniaceae) target=_blank>쥐손이풀과(Gera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손이풀속(Geranium) target=_blank>쥐손이풀속(Geranium)</a>
이명 : 개발초거십초민들이질풀분홍이질풀붉은이질풀쥐손이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있고 장상으로 3-5개로 갈라지며 양면에 흔히 흑색 무늬가 있고 폭 3-7cm로서 표면에 복모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비스듬히 선 곱슬털이 있다. 열편은 도란형 둔두이고 얕게 3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서로 떨어진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연한 홍색 홍자색 또는 백색이고 화경에서 2개의 소화경이 갈라져 각 1개의 꽃이 달린다. 소화경과 꽃받침에 짧은 털과 더불어 퍼진 긴 선모가 있으며 자방에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길이 2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1.5-2cm로서 5개로 갈라져서 위로 말리며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옆으로 비스듬히 또는 기어가면서 길이 50cm정도 뻗으며 위로 퍼진 털이 있고 곳곳에 마디가 있다.
뿌리 : 뿌리가 여러 개로 갈라진다.
분포 :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남 경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산쥐손이 부전쥐손이 흰털쥐손이 꽃쥐손이 털쥐손이 갈미쥐손이 등이 있다.
-
Read More
이스라지
학명 : Prunus japonica var. nakaii (H.Lev.)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벚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벚나무속(Prunus)</a>
이명 : 물앵두 산앵도 산앵도나무 오얏 유수라지나무 이스라지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7cm 폭 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깊은 복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3-5mm이다.
꽃 :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며 연홍색이고 2-4개가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1.7-2.2cm 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있고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 잔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잎은 연한 홍색으로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수술이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에 잔털이 있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고 털이 없으며 7-8월에 적색으로 익고 맛이 약간 떫다. 종자는 둥글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mm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회갈색이며 회색의 띠를 갖는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100-1 100m에 이르는 숲 가장자리나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관목.
유사종 : ▶털이스라지(for.rufinervis Nak.): 엽맥에 털이 많다. ▶산이스라지(P. ishidoyana Nakai) : 소화경에 털이 없고 길이 1cm정도이며 꽃받침잎에 선상의 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꽃잎은 길이 1㎝이고 난형이며 백색 또는 담홍색인데 열매는 길이 1.7㎝ 직경 1.3㎝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며 8월에 황홍색 또는 홍색으로 익는다. 자방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옥매(P. g. for. albiplena) : 경기도
특징 : (P. nakaii Level.)
-
Read MoreNo Image
이삼사초
학명 : Carex leucochlora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잎 : 잎은 편평하고 나비 1~5mm이다. 기부의 엽초는 짙은 갈색으로 섬유같이 갈라진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2~6개의 소수가 떨어져 달린다. 소수는 곧추 서고 정소수는 곤봉모양으로 길이 4~20mm이며 짧은 자루가 있고 연한 녹색이며 수꽃이 나고 측소수는 구형 또는 짧은 원주형으로 길이 5~30mm이며 밑의 것은 약간 자루가 있고 암꽃이 달리며 최하의 포는 짧은 엽상으로 기부에 짧은 엽초가 있다. 암꽃의 인편은 도란형으로 길이 2~3mm이고 뒷면은 1~3맥이 있으며 끝에 작은 까락이 있고 연한 녹색이다.
열매 : 과포는 둥근도란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얕게 2열한다. 수과는 둥근 도란형이고 암술머리는 3열한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둔한 삼각형이며 상부는 깔깔하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중국 인도 뉴기니아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이삭호모초
학명 : Corispermum chinganicum Ilj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명아주속(Corispermum) target=_blank>명아주속(Corispermum)</a>
잎 : 잎은 선형이며 길이는 2~5cm 너비는 약 2mm이고 1맥이 있다. 엽저는 가늘어지고 엽두는 첨두 또는 철두이다.
꽃 : 수상화서는 얇고 매끄러운 원통형이며 길이 4~5 cm 너비 3~8 mm로서 포는 피침형 난형 광난형이고 대부분 3맥이다. 가장자리에는 막이 있고 끝은 첨두 또는 점첨두이다. 화피편은 3개로 분리되어 있고 드물게 합쳐진 경우도 있으며 위의 화피편은 타원형 아래의 화피편은 3각상으로서 위의 것보다 작고 끝은 불규칙한 치아상이다. 수술은 5개이며 화피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열매 : 포과는 광택이 약간 있으며 갈색 반점이 조금 있고 타원상 도란형 혹은 광타원형이다. 길이는 2~4mm 너비는 1.5~2mm이고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성모가 있는 경우도 있다. 엽저는 심장저 엽두는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담황색이고 전연이다.
줄기 : 줄기는 녹색 또는 적자색으로서 밑부분은 직립하고 위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중국 몽골 러시아
-
Read MoreNo Image
이삭포아풀
학명 : Poa bulbosa var. vivipara Koel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포아풀속(Poa) target=_blank>포아풀속(Poa)</a>
잎 : 잎은 어긋나며 길이 10cm 나비 1~2mm. 잎 2~3개. 긴 엽초와 짧은 잎. 엽설 길이 2~4mm 흰색 막질이다.
꽃 : 꽃은 4~6월 원추화서를 이룬다. 화서의 길이는 4~8cm 소수의 길이는 2.7~4mm이며 난형이고 소화는 3~4개이다. 소화는 거의 자주색의 무성아로 전환. 호영 용골부와 가장자리 맥위 연모이다.
열매 : 열매는 영과이다.
줄기 : 구근처럼 부푼 기부로부터 곧게 자란다. 기부는 자주색이며 빳빳하다.
분포 : 유럽
-
Read MoreNo Image
이삭여뀌
학명 :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ersicaria) target=_blank>여뀌속(Persicaria)</a>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7-15cm 폭 4-9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5-30mm의 짧은 엽병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있고 표면에는 흔히 흑색 반점이 있다. 탁엽은 원통형이며 길이 5-10mm로서 가장자리에 수염같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적색이며 짧은 화경이 있어 약간 휘고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윗부분에서 나오며 길이 20-40cm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길이 2-3mm로서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5개이고 자방은 난상 원형이며 화주(花柱)는 보다 길고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양끝이 좁고 납작한 난형이며 암갈색이고 길이 2.5mm 가량으로서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숙존악에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50-80cm이고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거친 털이 산포되어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새이삭여뀌 (var. neofiliforme T. LEE) : 잎에 털이 적고 맥이 들어가지 않으며 끝이 뾰족하다.
특징 :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난다.
-
Read MoreNo Image
이삭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spicata P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이명 : 꼭지송이풀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4개씩 윤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2-5cm 폭 5-10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가시끝이 있는 톱니가 있다. 잎표면은 짧은 흰털이 있으며 뒷면은 맥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0-11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줄기나 가지에 수상(穗狀)으로 모여 달리고 포는 잎과 비슷하며 꽃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연모(軟毛)가 있고 종형이며 털이 있고 윗부분이 얕게 갈라지며 끝이 3개로 갈라졌다. 화관은 순형이며 길이 1-1.5cm이고 상순은 길이 2.5mm정도로서 전 길이의 1/3정도이며 용골상이고 끝이 부리처럼 되었으며 하순은 3쪽으로 넓게 갈라졌다.
열매 : 삭과는 편난형이며 다소 곧게 서고 길이 6-8mm이며 흑갈색이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겉에 그물 무늬가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한개 또는 여러개가 나와 곧게 서고 4개 능선을 따라 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북부 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구름송이풀과 비슷하지만 꽃의 상순이 짧은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이삭사초
학명 : Carex dimorpholepis Steu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방울사초
잎 : 밑부분의 엽초는 잎이 없고 흑갈색이 도는 계피색이며 전면이 약간 그물처럼 된다. 잎은 편평하고 나비 4-10mm이며 가장자리는 거칠다.
꽃 : 화경(花莖)은 예리한 삼각형으로서 윗부분이 거칠다. 소수(小穗)는 4-6개가 접근하여 달리며 대가 있고 길이 3-6cm로서 원주형이며 지름이 암꽃 5mm 수꽃 3-4mm로서 밑으로 처지고 위에서부터 1-4개는 윗부분에 암꽃이 달리지만 다른 것은 암꽃뿐이며 대에 굳센 털이 있다. 밑부분의 포 2-3개는 잎같고 화경보다 길며 초가 없다. 자화영(雌花穎)은 가락을 제외한 길이가 2.5mm로서 흑록색 바탕에 구리색의 줄이 있고 뒷면은 녹색으로서 3맥이 있으며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거의 곧추서고 막질이며 편평한 넓은 난형이고 맥이 없으며 겉에 유두상의 돌기가 있고 붉은빛 또는 갈색이 도는 계피색이며 짙은 적갈색 반점이 있다. 부리는 짧고 끝이 밋밋하며 구리색이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고 길이 1.5mm정도로서 넓은 도란형이다.
줄기 : 높이 40-80cm이고 총생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이삭봄맞이
학명 : Stimpsonia chamaedrioides C.Wright ex A.Gra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앵초과(Primulaceae) target=_blank>앵초과(Prim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이삭봄맞이속(Stimpsonia) target=_blank>이삭봄맞이속(Stimpsonia)</a>
이명 : 꼬리취란화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1~2cm 나비 7-12mm로서 이와 비슷하거나 짧은 엽병이 있지만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아져서 없어지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지름 4-5mm로서 흰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송이씩 달리고 전체가 총상화서로 되며 포엽은 윗부분의 것은 피침형이고 길이 2-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받침은 길이 2-3mm로서 5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끝이 둔하며 화관은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통부는 길이 2.5mm이다. 수술은 5개로서 통부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지름 2.5mm이다.
줄기 : 높이 3-12cm로 전체에 퍼진 선모가 있다.
형태 : 1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이삭바꽃
학명 : Aconitum kusnezoffii Rch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오속(Aconitum) target=_blank>초오속(Aconitum)</a>
잎 : 잎은 호생하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중렬하고 소열편은 끝이 뾰족하며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청색으로 피며 줄기 끝과 위쪽 잎짬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소화경에 잔털이 있다. 꽃잎모양의 꽃받침조각은 5개로 투구모양을 이루고 2개의 꽃잎은 위쪽 꽃받침 속으로 들어가 밀선을 이룬다. 자방은 5개로 털이 거의 없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의 하부는 날개처럼 된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타원형이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어 밖으로 젖혀진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자웅이주이다.
분포 : 함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이삭물수세미
학명 : Myriophyllum spicat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9C%EB%AF%B8%ED%83%91%EA%B3%BC(Haloragaceae) target=_blank>개미탑과(Halo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수세미속(Myriophyllum) target=_blank>물수세미속(Myriophyllum)</a>
이명 : 붕어마름 이삭물수셈이
잎 : 잎은 4장씩 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 : 꽃은 6-10월에 피며 연한 갈색이고 물 위의 줄기 끝에 총상화서가 나와 많은 꽃이 층으로 달리며 포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1.5m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수꽃은 위쪽에 달리며 4개의 꽃잎은 길이 2.5mm로서 꽃이 피면 곧 떨어지고 수술은 8개이며 꽃밥은 길이 1.5mm이다. 암꽃은 아래쪽에 달리고 꽃받침통은 종형이며 4개의 골이 있고 길이 1mm로서 열편이 작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난상 구형이며 길이 2.5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단단하며 분과는 뒷면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줄기 : 다년생 수초로서 때로는 한포기에서 여러 개가 나오고 물의 깊이에 따라서 크고 작은 것이 있으며 길이 1m이상 자라는 것도 있고 고인 물에 잠겨 있으며 갈녹색이지만 흐르는 물에서 자라는 것은 밝은 녹색이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생 수초
-
Read MoreNo Image
이삭마디풀
학명 : Polygonum polyneuron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뀌속(Polygonum) target=_blank>여뀌속(Polygonum)</a>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다소 끝이 둔하게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거의 엽병이 없으며 길이 5-30mm 폭 2-8mm로서 마르면 흑갈색으로 되고 때로는 분백색이 돈다. 윗부분의 잎은 흔히 작으며 떨어지기 쉬우므로 꽃이 필 때는 수상화서와 비슷하게 된다. 엽초 모양의 탁엽은 길이 5-10mm로서 맥이 많고 맥을 따라 많이 갈라진다.
꽃 : 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 또는 여러개씩 달린다. 화피는 길이 3mm정도이다. 화수(花穗)가 이삭같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삼각상 난형이고 화피보다 1.5배가량 길고 윗부분이 화피 밖으로 나온다.
줄기 : 원줄기는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서지만 가지는 곧게 서고 능선이 많으며 털이 없다.
분포 : 경기도 군자 근처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큰옥매듭풀(P. bellardi Allioni var. effusum): 마디풀과 비슷하나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마디풀(P. aviculare): 줄기는 털이 없고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특징 : 꽃이 필 때 윗부분의 잎이 떨어지기 쉬워 이삭화서처럼 보이므로 이삭마디풀이라고 한다. 또한 식물체는 마르면 흑갈색 또는 분백색이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이삭단엽란
학명 : Microstylis monophyllos (L.) Lind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이삭단엽란속(Microstylis) target=_blank>이삭단엽란속(Microstylis)</a>
이명 : 쌍잎난초 이삭두잎난 이삭쌍엽난 이삭쌍잎란 이삭홀잎란 큰이삭란 홀잎난초
잎 : 잎은 1-2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밝은 녹색이며 길이 4-8㎝ 나비2-5㎝로서 끝이 둔하고 질이 연하며 밑부분은 넓은 초상의 엽병으로 되어 화경(花莖)을 감싼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지름 2.5-3mm로서 연한 황록색이며 화경(花莖)은 길이 15-35cm이고 화서는 길이 10-17㎝로서 많은 소형의 꽃이 달려 있다. 포는 삼각상 피침형이고 길이 1-2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은 선형이며 퍼져서 젖혀지고 길이 2.5mm정도이며 꽃잎은 피침형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끝이 뾰족하다. 순판은 꽃받침과 길이가 같으며 밑부분은 타원형이고 윗부분은 뾰족하며 3맥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고 대가 있으며 길이 5-6mm로서 마른 화피가 붙어 있다.
줄기 : 위구(僞球)는 난형이고 마른 잎의 엽초로 싸여 있다.
분포 : 태백산 금강산 이북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세계에 약 20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
Read MoreNo Image
이삭귀개
학명 : Utricularia racemosa W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통발과(Lentibulariaceae) target=_blank>통발과(Lentib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통발속(Utricularia) target=_blank>통발속(Utricularia)</a>
이명 : 수원땅귀개 수원땅귀이개 이삭귀이개
잎 : 잎은 지하경의 군데군체에서 총생하고 주걱형이며 길이 2-3.5mm로서 녹색이고 화경(花莖)에 비늘같은 잎이 호생하고 경생엽은 원줄기에 압착하며 도피침형이고 길이 2-3.5mm로서 양끝이 좁으며 중앙부에 붙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0-30cm이며 비늘같은 잎이 호생하여 달린다. 꽃은 8-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4-10개가 다소 드문드문 달리고 포는 경생엽과 같으며 소포는 선형이고 길이 1-1.5mm로서 소화경과 길이가 같다. 꽃받침은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2.5mm로서 유두상의 소돌기가 밀생한다. 화관은 지름 4mm이며 거(距)는 하순보다 2배 정도 길고 앞을 향한다. 수술은 2개이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지름 2.5-3mm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다.
뿌리 : 지하경이 가는 실처럼 땅속에서 뻗으면서 뿌리에 작은 포충대(捕蟲袋)가 달린다.
분포 : 경기도 강원도 이남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며 식충식물이다.
특징 : 식충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이른범꼬리
학명 : Bistorta tenuicaulis (Bisset & S.Moor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범꼬리속(Bistorta) target=_blank>범꼬리속(Bistorta)</a>
이명 : 봄꼬리풀
잎 : 근생엽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8cm 폭 2-3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절저 또는 예저이며 엽병으로 흐르고 잔털이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다소 흰색이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7-15cm로서 잎이 없거나 1-2개의 잎이 있다.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총상화서는 길이 1.5-3.5cm로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화피는 길이 3m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6개로 되어 있으며 화피보다 길고 소화경은 길이 2.5-3mm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며 화피보다 약간 길고 세모지며 광택이 나는 갈색이다.
뿌리 : 근경은 짧게 옆으로 기며 굵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정상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범꼬리(B. incana): 경생엽은 잎자루가 짧거나 없고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을 띤다. ▶가는범꼬리(B. major S. F. Gray var. angustifolia): 범꼬리에 비해 잎이 좁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범꼬리(B. major S.F.Gray var. japonica): 땅속줄기는 비후하고 잎자루는 엽초가 되고 잎 뒤는 흰색이다. ▶씨범꼬리(B. vivipara): 근경은 굵고 짧다. 근생엽은 피침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