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Cornopteris crenulato-serrulata (Makino) Nakai |
|---|---|
|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
| 속명 | 뿔고사리속(Cornopteris) |
| 이명 | 개응달고사리민응달고사리응달숲고사리 참왜고사리참외고사리큰산고사리 |
| 잎 | 엽병은 엽신과 길이가 비슷하고 인편은 막질로서 연갈색이며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 엽신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20-40㎝로서 3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짐. 첫째 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밑으로 갈수록 좁아져 첫째 소우편이 없어지는 수도 있다. 소우편은 대가 없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깊게 갈라진다. 중축 우축 및 소우편은 중륵 뒷면에는 좁은 인편과 더불어 |
| 열매 | 포자낭군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포막은 없다. |
|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끝에서 잎이 밀생. |
| 분포 | 광릉에서 발견되었으며 금강산(학소령)과 백두산에서도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
Read MoreNo Image
털숲고사리
학명 : Cornopteris decurrentialata var. pilosella H.It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고사리속(Cornopteris) target=_blank>뿔고사리속(Cornopteris)</a>
잎 : 근경에서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엽병은 길이 20-40㎝로서 적자색(赤紫色)이며 잘 부러지고 밑부분에 피침형의 연한 갈색(褐色) 인편이 드문드문 자란다. 엽신은 긴 난형 또는 타원형 난형으로서 2회 우상으로 얕게 또는 깊게 갈라진다. 우편은 거의 대생하며 대가 거의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흔히 낫처럼 위로 굽는다. 소우편은 넓은 타원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다. 잎 뒷면 특히 중축이나 우축과 엽맥 위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에 달리며 선형이고 때로는 2개로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
유사종 : ▶뿔고사리 (Cornopteris decurrenti-alata (HOOKER) NAKAI)
특징 : 뿔고사리와 같이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지리산숲고사리
학명 : Cornopteris × christenseniana (Koidz.) Tag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고사리속(Cornopteris) target=_blank>뿔고사리속(Cornopteris)</a>
이명 : 지리숲고사리
잎 : 엽병에 인편이 많고 3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털이 대개 단세포로 되어 있다. 엽병은 길이 50㎝ 엽신은 길이 60㎝ 폭 50㎝로서 삼각상 난형이다. 소우편은 긴 타원상 난형으로서 대가 없으며 날개가 거의 없는 소축에 약간 붙고 길이 2-4㎝ 폭 7-12mm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약간 또는 깊게 갈라지며 뚜렷치 않은 톱니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에 달리고 타원형으로서 길이 1mm정도이다.
분포 : 지리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털숲고사리의 큰것과 비슷하지만 엽병에 인편이 많고 3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털이 대개 단세포로 되어 있다. 뿔고사리와 같은 지역에서 자라지만 보다 드물다.
-
Read MoreNo Image
응달고사리
학명 : Cornopteris crenulato-serrulata (Makino)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고사리속(Cornopteris) target=_blank>뿔고사리속(Cornopteris)</a>
이명 : 개응달고사리민응달고사리응달숲고사리 참왜고사리참외고사리큰산고사리
잎 : 엽병은 엽신과 길이가 비슷하고 인편은 막질로서 연갈색이며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 엽신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20-40㎝로서 3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짐. 첫째 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밑으로 갈수록 좁아져 첫째 소우편이 없어지는 수도 있다. 소우편은 대가 없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깊게 갈라진다. 중축 우축 및 소우편은 중륵 뒷면에는 좁은 인편과 더불어
열매 : 포자낭군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포막은 없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끝에서 잎이 밀생.
분포 : 광릉에서 발견되었으며 금강산(학소령)과 백두산에서도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뿔고사리
학명 : Cornopteris decurrenti-alata (Hook.)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고사리속(Cornopteris) target=_blank>뿔고사리속(Cornopteris)</a>
이명 : 뿔왜고사리 숲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40cm이며 적자색이고 잘 부러지며 하부에 피침형이고 엷은 갈색 인편이 있다. 엽신은 25~40cm이고 장 타원상 난형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때로는 삼각형에 가깝고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장 타원상 피침형이고 대가 없으며 흔히 낫처럼 위로 굽는다. 소우편은 둔한 톱니가 있고 우편의 주맥과 중축이 합쳐지는 부근에 사마귀 같은 작은 돌기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에 달리고 선형이며 2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분포 : 제주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