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Lonicera vidalii Franch. & Sav. |
|---|---|
|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
| 속명 | 인동속(Lonicera) |
| 이명 | 지리괴불나무지이산괴불나무 |
|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0cm 폭 2-5cm로서 표면에 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에 굳센 털과 선상의 돌기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선점이 있다. |
|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2-1.5cm로서 선상의 돌기가 있고 포는 길이 2-3mm로서 선이 있거나 없으며 소포는 난형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선모가 있으며 화관은 연한 황색이고 길이 10mm로서 양순이 거의 비슷하며 겉에 털이 있고 통부는 길이 6-7mm로서 기부가 굵다. 수술은 화관과 길이가 같으며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잇고 자방은 중앙 이하가 합쳐지며 선상의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수술대와 길이가 같으며 털이 있다. |
| 열매 | 열매는 중앙까지 서로 합쳐졌고 길이 7mm로서 7-8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종자는 갈색이다. |
| 줄기 | 가지는 회색이고 골속이 차 있으며 어린 가지에 선점이 있으나 없어지고 동아는 난형이다. 수피는 황갈색으로 다소 거칠게 벗겨진다. |
|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
|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
| 유사종 | ▶지리괴불나무 L.cerasoides Nak.: 어린 가지와 엽병 및 화경에 털이 없으며 지리산에서 자란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368 (Franch. & Sav., 1878)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줄댕강나무
학명 : Abelia tyaihyoni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강나무속(Abelia) target=_blank>댕강나무속(Abelia)</a>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좁은 예저이며 길이 2-6㎝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와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4㎜이다.
꽃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새가지 끝에 산방화서로 달리고 주홍색의 꽃봉우리가 맺으며 꽃은 연한 우유빛으로 피는데 꽃에는 은은하고 달콤한 향기가 있다. 포엽은 난형 첨두 심장저이며 꽃받침에 털이 있고 열편은 5개(간혹3-4개)이며 도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3-4mm로서 가장자리와 맥 위에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3-5mm로서 겉에 털이 있고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으며 자방은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있다.
열매 : 4개의 날개가 달린 종자는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와 늙은 가지에 여섯 줄의 홈이 있으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분포 : 충북 단양의 매포읍 제천 강원도 영월의 표고 300m 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석회암 지대의 지표 식생식물이다. 댕강나무처럼 줄기에 6개의 줄이 있고 우산모양으로 옆으로 누워서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
Read MoreNo Image
주걱댕강나무
학명 : 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강나무속(Abelia) target=_blank>댕강나무속(Abel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4각상 난형이고 끝이 예두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1~2.5cm 폭 5~10m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5월에 개화하고 황백색이며 취산화서에 3~5개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이 없으며 포와 소포가 있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화관은 길이 2~3cm로서 깔때기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둥글고 아래쪽 열편 안쪽에 황색 무늬가 있다. 수술은 4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윤채가 있으나 회갈색으로 된다.
형태 : 낙엽 관목.
-
Read MoreNo Image
좀댕강나무
학명 : Abelia serr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강나무속(Abelia) target=_blank>댕강나무속(Abelia)</a>
잎 : 잎은 대생하고 4각상 좁은 난형 또는 4각상 난형으로 길이 1~2.5cm 나비 5~10mm이며 끝은 급히 좁아져 둔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고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특히 뒷면 맥 위에 퍼진 털이 밀생하고 엽병이 짧다.
꽃 : 꽃은 5~6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새 가지 끝에서 길이 약 2.5mm의 화경이 나와 2~8개가 모여 달리며 밑에 포와 소포가 있다. 꽃받침 조각은 보통 2개 드물게 3개이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화관은 길이 13~18mm이고 내면에 긴 털이 있으며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약간 편평하다.
줄기 : 새 가지는 적갈색 2년지는 연한 갈색이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분포 : 경기(소요산)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
Read MoreNo Image
절초나무
학명 : Lonicera chrysantha var. longipe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잎 : 잎은 도란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5-12cm 나비 3-6cm로서 톱니가 없다. 잎에는 긴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3-7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액생하고 화경은 길이 2-3cm로서 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는 자방보다 길거나 같고 소포와 더불어 선점이 있다. 꽃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져서 털이 있고 통부는 짧으며 기부가 옆으로 퍼지고 상순이 중앙까지 갈라진다. 수술과 암술대에 털이 있으며 자방은 긴 난형으로서 선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으로서 8-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길이 3-3.5mm이다.
줄기 : 속이 비어 있으며 동아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괴불나무(L. maackii Maxim.): 화경이 엽병보다 짧은 것. ▶산괴불(var. crassipes Nakai): 화경의 길이가 1.5-3.0㎝이고 굵은 것. ▶털산괴불(for. villosa Hort.):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는 융모가 있는 것. ▶넓은잎산괴불(var. latifolia Korsh.):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고 원저인 것.
특징 : 한 줄기로 올라가 가지를 내어 퍼지며 꽃은 약 10일 동안 향기가 지속되고 열매는 광채를 내면서 겨울철까지 달려 있다.
-
Read MoreNo Image
잔털인동
학명 : Lonicera japonica f. chinensis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버들잎인동덩굴섬인동잔털인동덩굴 털인동
잎 :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끝이 둔한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3-8cm 나비 1-3cm로서 톱니가 없고 잎가장자리에 털이있으며 엽병은 길이 5m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1-2개씩 엽액에 달리며 포는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2cm로서 대생하며 소포는 길이 1mm이다. 상순이 반 이상 갈라지며 겉에 홍색이 돈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은 털이 있으며 화관은 길이 3-4cm이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며 통부 안쪽에 밀모가 있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그 중 1개가 깊게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7-8mm로서 9-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거의 없고 속이 비어 있다.
분포 : 전국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반상록활엽의 덩굴성 관목
유사종 : ▶털인동(var. repens Rehder) : 새로 자란 가지와 잎에 갈색털이 있는 것. ▶붉은인동(for. rubra): 붉은 꽃이 피는 것.
특징 : ▶1차식생이며 울폐된 숲에서는 나무에 기어올라 자라며 늦게 난 잎은 때로 상록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잎가장자리 이외에는 털이 거의 없고 상순이 반이상 갈라지며 겉에 홍색이 돈다.
-
Read MoreNo Image
인동덩굴
학명 : Lonicera japonic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금은화 눙박나무 섬인동우단인동 우단인동덩굴 인동 털인동덩굴
잎 :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3-8cm 너비 1-3cm로서 톱니가 없고 털이 없어지거나 뒷면 일부에 남으며 엽병은 길이 5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1-2개씩 엽액에 달리며 포는 잎 바로 밑에달리고 길이 2-3cm이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대생하며 소포는 길이 1mm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은 털이 있으며 화관은 길이 3-4cm이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며 겉에 털이 있고 통부 안쪽에 복모가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그 중 1개가 깊게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7-8mm로 서로 떨어져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골속이 비어 있고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분포 : 함북을 제외한 전국 산야에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반상록활엽의 덩굴성관목
유사종 : ▶털인동(var. repens Rehder) : 새로 자란 가지와 잎에 갈색털이 있는 것. ▶잔털인동(for. chinensis Hara) : 잎의 가장자리외에는 거의 털이 없으며 상순(上脣)은 반 이상 갈라지고 겉에 엷은 홍색이 도는 것. ▶붉은인동(for. rubra): 붉은 꽃이 피는 것.
특징 : 1차식생이며 울폐된 숲에서는 나무에 기어올라 자라며 늦게 난 잎은 때로 상록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
Read MoreNo Image
왕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vidalii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지리괴불나무지이산괴불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0cm 폭 2-5cm로서 표면에 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에 굳센 털과 선상의 돌기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5-15mm로서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액생하며 화경은 길이 1.2-1.5cm로서 선상의 돌기가 있고 포는 길이 2-3mm로서 선이 있거나 없으며 소포는 난형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선모가 있으며 화관은 연한 황색이고 길이 10mm로서 양순이 거의 비슷하며 겉에 털이 있고 통부는 길이 6-7mm로서 기부가 굵다. 수술은 화관과 길이가 같으며 수술대 기부에 털이 잇고 자방은 중앙 이하가 합쳐지며 선상의 돌기가 있고 암술대는 수술대와 길이가 같으며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중앙까지 서로 합쳐졌고 길이 7mm로서 7-8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종자는 갈색이다.
줄기 : 가지는 회색이고 골속이 차 있으며 어린 가지에 선점이 있으나 없어지고 동아는 난형이다. 수피는 황갈색으로 다소 거칠게 벗겨진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지리괴불나무 L.cerasoides Nak.: 어린 가지와 엽병 및 화경에 털이 없으며 지리산에서 자란다.
-
Read More
올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올아귀꽃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3-6cm 폭 2-4cm로서 양면에 분백색이 돌고 표면에는 잔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융모가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1-5mm이고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길이 1-1.2cm로서 연한 홍색이며 전년지 끝에 2개씩 달리고 화경은 길이 2-3mm로서 잔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에 털이 있고 소포가 없다. 화관은 양순이 깊이 갈라지지만 상하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으며 통부는 짧고 밑부분이 넓으며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이 불규칙하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수술은 꽃잎보다 약간 길고 수술대는 연한 홍색이며 꽃밥은 자주색이고 자방은 서로 합쳐지며 털이 없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열매 :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둥글지만 약간 편평하며 지름 8mm정도로서 5월에 적색으로 성숙하고 맛이 달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올라가며 수피는 황갈색으로 벗겨진다. 가지의 골 속은 충실하고 백색이며 어린가지에는 흑색 반점이 있다.
분포 : 경남을 제외한 전국의 표고 100-1 800m 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 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올괴불나무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눈이 녹으면서 가지 끝에 연분홍색의 꽃이 피어 아름답고 초여름에 익는 홍색 열매는 매혹적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병꽃
학명 : Diervilla sessilifolia Buckl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애기병꽃속(Diervilla) target=_blank>애기병꽃속(Diervilla)</a>
잎 : 잎은 대생하고 2줄로 배열되어 얼핏보기에 붉은병꽃나무와 비슷하며 엽병이 없고 난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6~15cm 폭 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황색이며 3~7개가 취산화서에 달리지만 가지 끝에 모여 원추형으로 되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이 뾰족하고 화관은 양순형이며 열편이 통부보다 짧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9~12mm로서 남아 있는 꽃받침 때문에 엉키며 잘 터지지 않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내외에 달하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네모가 진다. 원줄기 끝이 밑으로 처지기 때문에 위가 퍼지는 포기로 된다.
형태 : 낙엽 교목이다.
특징 : 원줄기 끝이 밑으로 처지기 때문에 위가 퍼지는 포기로 된다.
-
Read MoreNo Image
아왜나무
학명 :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K.Koch) Zabel ex Rumpl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분꽃나무속(Viburnum) target=_blank>산분꽃나무속(Viburnum)</a>
이명 : 개아왜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장 타원형으로 길이 6~20cm 나비 4~8cm이며 끝은 둔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파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으로 윤채가 나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잎짬에 성상모가 있고 두꺼우며 엽병은 길이 15~25mm로 붉은빛이 돈다.
꽃 : 꽃은 6월에 백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피고 2쌍의 잎이 있는 어린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관은 통부가 길이 5~6mm이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넓은 타원형이며 9월에 홍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골속은 갈색이며 어린가지는 붉은빛이 도나 늙으면 흑갈색으로 되고 피목이 생긴다.
분포 : 제주 경남(진해)에 나며 대만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아교목이다.
-
Read MoreNo Image
숫명다래나무
학명 : Lonicera core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미철두 또는 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3-6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중륵에 털과 연모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4m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녹색으로 5~6월에 피며 자웅이주이고 취산화서로서 새가지 기부에서 액출(腋出)하며 화서에 담갈색 털이 있다. 화경은 길이 8-13mm로서 털이 없고 포는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8mm로서 연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구형 또는 짧은 원주형이며 2개가 대부분 합쳐지고 9~10월에 녹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3-3.5mm로서 작으며 오목한 무늬가 있다. 과실은 선후도라 한다.
줄기 : 가지는 골속이 차 있으며 백색이고 어린 가지는 붉은색이 돌며 털이 없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100~1 600m 수평적으로 전국에 야생한다.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이다.
유사종 : 녹다래덩굴 개다래덩굴 섬다래덩굴 등이 있다.
특징 : ▶우리 나라의 특산식물이다. ▶천연기념물 제251호(창덕궁)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면적:1주 ⓒ지정사유:노거수 ⓓ수령:600년 ⓔ나무높이:6m ⓕ가슴높이 줄기둘레:75cm
-
Read MoreNo Image
소영도리나무
학명 : Weigela praecox (Lemoine) L.H.Bail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5~12cm 나비 2~3cm로서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양면 특히 뒷면에 융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0-2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1-3개씩 액생하며 꽃받침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가 설 다르게 유합되며 길이 7-10mm로서 털이 있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중앙 이상이 갑자기 넓어지며 길이 3-4cm로서 겉에 털이 있고 5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털이 있을 때도 있으나 밑부분에는 털이 없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3-18mm로서 선형이고 털이 없으며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어린가지에 2줄의 털이 있다.
분포 : 경상도 황해도 및 북부지방의 표고 100~1 900m에서 자라며 지리적으로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산소영도리나무(W. praecox L. H. Bailey var. pilosa Nakai):꽃받침통과 자방에 털이 없고 잎 뒷면 맥 위에만 잔털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섬댕강나무
학명 :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 W.K.Pai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댕강나무속(Abelia) target=_blank>댕강나무속(Abelia)</a>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넓은 난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점첨두 또는 미철두(微凸頭)이며 예저이고 길이 3-5cm로서 상반부에 몇 개의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4~6mm로서 대생한 두 개가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 싼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며 가지끝에 달리고 화경에 두 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3~4mm로서 털이 없고 소화경도 길이 0.5~1.5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통도 털이 없으며 길이 7~9mm이고 열편은 4~5개로서 도피침형이며 꽃이 필 때는 길이가 5mm에 달하고 화관통부는 길이 5~7mm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80cm에 달하고 원줄기에 여섯 줄의 홈이 있으며 가지는 붉은 빛이 돌고 털이 없다.
분포 : 경북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댕강나무(A. mosanensis T. Chung): 잎은 긴 난형이며 길이 3-7㎝로 매화잎과 비슷하고 가장자리가 매끈하다.
특징 : ▶댕강나무속은 석회암 지대의 대표적인 식생이다. ▶도동의 섬개야광나무 섬댕강나무 군락이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경북 울릉 남면 도동 ⓑ지정사유:특산식물자생지 ⓒ면적:49 587㎡이다. 도동 항구에서 시가지를 향하여 오른쪽의 암벽 능선을 따라 분포해 있는 군락이다. 이 두 수종은 모두 울릉도 특산종으로 소위 진희한 식물의 자생지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절벽처럼 된 곳인데 향나무가 군데군데 자라고 틈틈히 울릉도 특산인
-
Read MoreNo Image
섬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insular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물앵도나무 우단괴불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4~8cm 나비 2~4cm로서 난형 도란형 타원형 또는 타원상 도란형이며 첨두 도는 둔두이고 넓은 예저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표면에는 처음에 털이 있다가 맥 위에만 남고 뒷면에는 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3-5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액생하고 화경은 길이 1c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2개의 꽃이 달리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5-8mm로서 털이 있고 소포는 난형 둔두이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고 자방보다 짧다. 꽃받침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고 길이 5-10㎜이다. 화관은 백색이지만 황색으로 된다. 수술대는 털과 선점이 있으며 암술대는 털이 있다.
열매 : 장과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둥글고 지름 8mm 정도로서 7~8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 : 높이 5-6m이며 줄기는 올라와 우산모양을 이루고 어린가지에는 융모가 있으며 골속은 비어 있다. 정아(頂芽)는 뾰족하지만 측아는 난상 원형으로서 작으며 털이 있다.
분포 : 울릉도의 표고 800m 이하 해안가 산록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특징 : 백색의 꽃이 황색으로 지는 모습은 우아하고 여름철에 무르익는 열매 또한 아름답다. 맹아력이 강하고 성질이 강건하여 중부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색병꽃나무
학명 : Weigela florida f. alba (Carriere)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이명 : 색병꽃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혀잉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4-10cm 나비 2-4cm로서 표면 중륵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중륵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중열되며 길이 6-13mm로서 털이 거의 없다. 화관은 길이 3-4cm로서 중앙 이하가 갑자기 좁아지고 잔털이 있다. 열편은 둔두이며 약간 뒤로 젖혀지고 자방에 잔털이 있다. 처음에는 꽃이 백색이고 통부가 적색이던 것이 전체가 적색으로 된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2-20mm로서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없다.
줄기 : 어린 가지에 2줄의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흰병꽃(for. candida Rehder) :화관이 처음부터 끝까지 백색인 것. ▶좀병꽃(for. brevicalycina Uyeki): 꽃받침 열편의 길이가 5.0-6.5㎜인 것. ▶삼색병꽃(for. subtricolor Nakai): 화관이 백록색이고 통부 겉에 붉은빛이 돌며 안쪽 순판을 따라 누른빛이 도는 것. ▶병꽃나무(W. subsessilis L. H. Bailey) ▶골병꽃(W. hortensis K. Koch) ▶흰골병꽃(W
특징 : 5월에 병모양으로 깔대기모양으로 피는 야성적인 꽃을 감상할 수 있다.
-
Read MoreNo Image
삼색병꽃나무
학명 : Weigela florida f. subtricolor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이명 : 삼색병꽃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4-10cm 나비 2-4cm로서 표면 중륵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중륵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중열되며 길이 6-13mm로서 털이 거의 없다. 화관은 길이 3-4cm로서 중앙이하가 갑자기 좁아지고 잔털이 있으며 백록색이고 통부 겉에 붉은빛이 돌며 안쪽순판을 따라 누른빛이 돈다. 열편은 둔두이며 약산 뒤로 젖혀지고 자방에 잔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2-20mm로서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없다.
줄기 : 어린 가지에 2줄의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흰병꽃(for. candida Rehder) :화관이 처음부터 끝까지 백색인 것. ▶좀병꽃(for. brevicalycina Uyeki): 꽃받침 열편의 길이가 5.0-6.5㎜인 것. ▶색병꽃(for. alba Rehder) : 처음에는 꽃이 백색이고 통부가 적색이던 것이 전체가 적색으로 되는 것. ▶병꽃나무(W. subsessilis L. H. Bailey) ▶골병꽃(W. hortensis K. Koch) ▶흰골병꽃(W. hortensis
특징 : 5월에 병모양이나 깔대기모양으로 피는 야성적인 꽃을 감상할 수 있다.
-
Read MoreNo Image
산소영도리나무
학명 : Weigela praecox var. pilosa (Nakai)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이명 : 두메소영도리나무 )털병꽃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5-12cm 나비 2-3cm로서 잎 뒷면 맥위에만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0-2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3-4cm의 분홍꽃이 1-3개씩 액생 또는 정생하여 핀다. 꽃받침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가 서로 다르게 유합되며 길이 7-10mm로서 털이 있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중앙 이상이 갑자기 넓어지며 길이 3-4cm로서 겉은 붉은색이나 안쪽은 흰색이고 5개로 갈라진다. 소영도리나무와 달리 꽃받침통과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 : 삭과는 목질이고 길이 12-20mm로 털이 거의 없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어린가지에 2줄의 부드러운 털이 있다.
분포 : 경상도 황해도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성 관목
유사종 : ▶소영도리나무 : 기본종
-
Read MoreNo Image
산분꽃나무
학명 : Viburnum burejaeticum Regel & Her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분꽃나무속(Viburnum) target=_blank>산분꽃나무속(Viburnum)</a>
이명 : 산붓꽃나무 순북꽃나무 순분꽃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4-10cm로서 표면에 성모(星毛)와 단모(單毛)가 다소 있고 뒷면 특히 맥 위에 성모가 밀생하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털이 있으며 길이 3-10mm이다.
꽃 : 취산화서는 새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4-5cm로서 털이 없고 꽃은 5월에피며 백색이고 화관은 지름 5-6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둥글고 전체가 수레바퀴모양이다. 수술은 5개이고 화관보다 길며 자방은 털이 없거나 성모가 드물게 있다.
열매 : 핵과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1cm가량이며 9월에 벽흑색으로 익고 종자는 양쪽에 홈이 있다.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성모가 있으며 동아가 나출된다.
분포 : 전국적으로 표고 600m 정도 지역에 광범위하게 자라고 단양 부근 한계령에서 생육한다. 중국 러시아 극동부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분꽃나무(V. carlesii Hemsl.): 잎은 대생하며 난형이고 길이 3-10㎝로서 잎 양면에 털이 많고 잎의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섬분꽃나무(var. bitchuense Nakai): 바닷가 모래사장에 나고 잎이 약간 좁고 길며 꽃이 소형인 것.
특징 : 식물체 및 꽃의 관상가치가 뛰어나다. 밑에서 많은 줄기와 근맹아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하고 맹아력이 좋다.
-
Read MoreNo Image
산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chrysantha var. crassipe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산괴불
잎 : 잎은 도란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5-12cm 나비 3-6cm로서 톱니가 없고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3-7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액생하고 화경은 길이 1.5-3cm로서 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는 자방보다 길거나 같고 소포와 더불어 선점이 있다. 꽃받침은 톱니처럼 5개로 갈라져서 털이 있고 통부는 짧으며 기부가 옆으로 퍼지고 상순이 중앙까지 갈라진다. 수술과 암술대에 털이 있으며 자방은 긴 난형으로서 선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으로서 8-9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길이 3-3.5mm이다.
줄기 : 높이 3-4m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동아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분포 :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괴불나무(L. maackii Maxim.): 화경이 엽병보다 짧은 것. ▶털산괴불(for. villosa Hort.):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는 융모가 있는 것. ▶넓은잎산괴불(var. latifolia Korsh.):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고 원저인 것. ▶절초나무(var. longipes Maxim.): 잎에 긴 털이 있고 화경의 길이가 2-3㎝인 것.
특징 : 한 줄기로 올라가 가지를 내어 퍼지며 꽃은 약 10일 동안 향기가 지속되고 열매는 광채를 내면서 겨울철까지 달려 있다.
-
Read MoreNo Image
산가막살나무
학명 : Viburnum wrightii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분꽃나무속(Viburnum) target=_blank>산분꽃나무속(Viburnum)</a>
이명 : 묏가막살나무 무점가막살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아원형 넓은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8~14cm로서 급한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지만 화지(花枝)의 잎은 중앙 이상이 가장 넓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표면에 털이 없거나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은 맥 위와 맥액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6-20mm이고 탁엽이 거의 없다.
꽃 : 화서는 한쌍의 잎이 달린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5-10㎝이고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핀다. 화경은 길이 6-20㎜로서 선점이 있고 꽃받침에 털이 없으며 화관은 지름 5-6㎜로서 열편이 둥글고 수술이 화관보다 길다.
열매 : 열매는 난상 원형으로 지름 8㎜이며 9-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뒷면에 2개 앞면에 3개의 홈이 있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소지에 털이 거의 없다.
분포 : 대관령 황병산 등 표고 600m 이상되는 지역과 일본 및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성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털가막살나무(V. dilatatum Thunb. for. hispidum Nakai): 새가지 화서에 마디점과 짧은 털이 있으나 성상모가 없다. ▶덧잎가막살나무(var. stipellatum Nakai): 모든 잎에 탁엽이 있는 것. ▶무점가막살나무(var. eglandulosum Nakai): 잎의 뒷면에 선점이 없는 것.
특징 : 자생지에서는 열매가 보통 검거나 붉게 익는데 드물게 노란색으로 아름답게 익는 개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