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올괴불나무

조회 수 1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과명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인동속(Lonicera)
이명 올아귀꽃나무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3-6cm 폭 2-4cm로서 양면에 분백색이 돌고 표면에는 잔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융모가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1-5mm이고 털이 밀생한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길이 1-1.2cm로서 연한 홍색이며 전년지 끝에 2개씩 달리고 화경은 길이 2-3mm로서 잔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에 털이 있고 소포가 없다. 화관은 양순이 깊이 갈라지지만 상하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으며 통부는 짧고 밑부분이 넓으며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이 불규칙하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수술은 꽃잎보다 약간 길고 수술대는 연한 홍색이며 꽃밥은 자주색이고 자방은 서로 합쳐지며 털이 없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열매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둥글지만 약간 편평하며 지름 8mm정도로서 5월에 적색으로 성숙하고 맛이 달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올라가며 수피는 황갈색으로 벗겨진다. 가지의 골 속은 충실하고 백색이며 어린가지에는 흑색 반점이 있다.
분포 경남을 제외한 전국의 표고 100-1 800m 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특징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 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올괴불나무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눈이 녹으면서 가지 끝에 연분홍색의 꽃이 피어 아름답고 초여름에 익는 홍색 열매는 매혹적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Act. Hort. Pertop. 12 : 169 (1892)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038d130954cd531e3019a39e239f7cf.jpg

 

92ae2bcce6c6a2ec16595e41c8c04f8b.jpg

 

6745c8d06b3c3256b454bee68f05f7a5.jpg

 

DSC03633.jpg

 


  1. No Image

    완두

    학명 : Pisum sativ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완두속(Pisum) target=_blank>완두속(Pisum)</a>
    이명 : 흰꽃완두
    잎 : 잎은 호생한다.

    열매 : 열매는 선형이다.
    줄기 : 줄기는 가는 편이며 단면이 다각형이며 표면에 털이 있고 녹색이다.


    형태 : 유럽산 1 2년초

    특징 : 종실은 대체로 둥글며 빛깔이 녹색 백색 황색 갈색 및 얼룩색이 있으며 100립중은 20 ~ 50g이다. 10a당 수확량은 100kg이다. 꼬투리는 편평한 원통형으로써 콩의 꼬투리와 비슷하지만 좀 더 크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백분으로 덮여있다. 한 꼬투리에는 5 ~ 6개의 종실이 들어있다.
    Read More
  2. No Image

    완도현호색

    학명 : Corydalis wandoensis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호색과(Fumariaceae) target=_blank>현호색과(Fum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호색속(Corydalis) target=_blank>현호색속(Corydalis)</a>

    잎 : 잎은 2차 3갈래로 갈라지는 복엽이다. 잎은 짧은 잎자루와 긴 엽축을 가지며 잎자루는 길이 1㎝ 긴 엽축은 길이 2-3㎝이다. 잎은 엷은 청록색 2회 2-3열로 갈라진다. 작은잎의 열편은 선상 피침형 길이 2-2.5㎝ 폭 3-4㎜이다.
    꽃 : 꽃은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고 양순형 총상화서는 길이 2㎝이다. 포는 치아상으로 갈라지고 거는 길이 7㎜ 꽃자루는 길이 1.5-1.7㎝ 아래쪽 꽃잎은 길이 1.1㎝ 폭 0.5㎝이다. 수술은 2개로 길이 8.5㎜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불규칙적인 두상체 폭 1㎜이다.
    열매 : 열매는 선형 잘록잘록하고 길이 1.9㎝ 폭 2㎜이다.
    줄기 : 줄기는 길이 7-18㎝의 땅속줄기에서 다수가 옆으로 향해 나와 위로 향한다. 땅속줄기 위에 다수의 화축이 달리고 땅속줄기와 줄기의 결합 부분에 흰색을 띤 비늘조각이 있다.
    뿌리 : 땅속줄기 끝에 달린 공 모양의 괴경은 흰색이다.
    분포 : 전라남도 완도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갈퀴현호색(C. grandicalyx B.Oh et Y.Kim): 잎은 호생하고 2회 3출 겹잎이며 작은잎은 원형 또는 알 모양이고 잎가는 밋밋하다.

    Read More
  3. No Image

    왁살고사리

    학명 : Arachniodes borealis Seri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쇠고사리속(Arachniodes) target=_blank>쇠고사리속(Arachniodes)</a>
    이명 : 큰가새고사리 큰산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5-25㎝로서 앞쪽에 홈이 파지고 연한 볏짚색에 밝은 갈색이 돌지만 밑부분은 흑갈색이며 중축및 우축과 더불어 반투명한 인편이 달린다. 엽신은 길이 25-40㎝ 폭 20-35㎝이고 4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있고 잿빛이 도는 녹색이다. 우편은 첫째것이 가장 크며 길이 15-35㎝로서 길이 1.5-3㎝의 대가 있고 뒤쪽 첫재 소우편이 길게 자라므로 잎 전체가 오각형 비슷하게 된다. 최종열편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톱니 또는 결각

    열매 : 포자낭군은 열편의 파진 곳에 가까운 소맥 뒷면에 달리고 포막은 둥글며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림.
    분포 :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라지만 울릉도 및 안면도에서도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진저리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잎 양면에 털이 있어서 구별된다.
    Read More
  4. No Image

    옻나무

    학명 : Rhus verniciflua Stoke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옻나무과(Anacardiaceae) target=_blank>옻나무과(Anacar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붉나무속(Rhus) target=_blank>붉나무속(Rhus)</a>
    이명 : 옷나무 참옷나무
    잎 : 잎은 가지끝에 모여 달리며 호생하고 대형의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40cm이다. 소엽은 9-11개이고 길이 7~20cm 넓이 3~6cm로서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표면에 흔히 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 퍼진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가을에 붉은 단풍이 든다.
    꽃 : 원추화서는 액생하고 밑으로 처지며 길이 15-30cm로서 퍼진 털이 있고 꽃은 잡성으로서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5개씩의 꽃받침잎과 꽃잎이 있으며 수꽃은 5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5개의 작은 수술과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핵과는 지름 6~8mm로서 편구형이며 연한 황색이고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며 소지는 굵고 회황색이며 어릴 때는 갈색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줄기가 곧게 올라가 층층이 가지를 수평으로 뻗어서 수형을 이룬다.

    분포 : 강원도 원주지역 횡성군 및 전남 남원 충북 옥천에서 자라며 전국적으로 재배 가능하며 함경북도 청천강유역까지 분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붉나무(R. javanica L.) 개옻나무(R. trichocarpa NIQUEL) 검양옻나무(R. sylvestris S. et Z) 등이 있다.
    특징 : 변재는 백색이고 심재는 밝은 황색으로 심 변재 구분이 명확하고 연륜도 비교적 뚜렷하다. 환공재로 나무갗은 거칠고 광택이 강하며 연하다. 도장과 마무리가 잘되고 습기와 수분에 견디는 힘이 좋다.
    Read More
  5. No Image

    옹굿나물

    학명 : Aster fastigiatus Fi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취속(Aster) target=_blank>참취속(Aster)</a>
    이명 : 옹긋나물
    잎 : 처음에 나온 잎은 꽃이 필 때까지 그대로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나비 4-15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엽병으로 되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선점과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흔히 뒤로 말리며 윗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경생엽은 위로 가면서 점차 작아지고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뒷면은 복모가 밀생하고 선점이 있으며 화서의 잎은 길이 2-3mm이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7-9mm로서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3-8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4mm 나비 5mm이며 포는 4줄로 배열되고 도피침형 둔두로서 털이 많으며 내편은 길이 1.5mm이다. 설상화는 1줄로서 백색이고 화관은 길이 5-6.5mm 나비 1mm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mm 폭 0.6mm로서 잔털과 더불어 선점이 있다. 관모는 1층이고 거세며 어두운 백색 또는 연한 붉은 빛을 띠고 길이 4mm이며 10-11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퍼지며 깔깔한 털이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6. No Image

    올챙이풀

    학명 : Blyxa echinosperma (C.B.Clarke) Hook.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라풀과(Hydrocharitaceae) target=_blank>자라풀과(Hydrochar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올챙이자리속(Blyxa) target=_blank>올챙이자리속(Blyxa)</a>

    잎 : 잎이 밑부분에서 총생한다.잎은 선형이고 자갈색이며 길이 7~30cm 폭 3~7mm로서 끝이 뽀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큰 맥이 5개 정도 있지만 맥사이에 잔맥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5~7cm이며 포로 들러싸여 있고 통은 길이 4~5cm로서 열매보다 약간 길고 원통형이다. 꽃은 양성이고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각 3개이고 꽃받침잎은 길이7mm이며 수술은 길이 6mm이다.
    열매 : 종자는 원주형이고 길이 1.5mm로서 종선이 있으며 잔돌기가 산생하고 양끝에 꼬리같은 돌기가 종자보다 2~4배 정도 길다.
    줄기 : 줄기가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의 물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올챙이자리(B.aubertii L.C.RICH.)

    Read More
  7. No Image

    올챙이자리

    학명 : Blyxa aubertii Ri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라풀과(Hydrocharitaceae) target=_blank>자라풀과(Hydrochar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올챙이자리속(Blyxa) target=_blank>올챙이자리속(Blyxa)</a>
    이명 : 올챙이풀 큰올챙이자리
    잎 : 잎은 밑부분에서 총생하고 엽병은 없으며 선형이고 길이 7-30㎝ 폭 3-7㎜이며 끝이 뾰족하고 얇으며 자갈색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큰 맥이 5개 정도 있지만 맥 사이에 잔맥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5-7cm이며 포로 둘러싸인 통은 길이 4-5cm로서 열매보다 약간 길고 원통형이다. 꽃은 양성이며 물 밖으로 흰색꽃이 핀다. 외화피 내화피 모두 3장이고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은 길이 7mm이며 수술은 길이 6mm이다.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은 각 3개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갈래이며 자방은 좁고 긴 원통형이다.
    열매 :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1.5mm 로서 종선이 있으며 잔돌기가 산생하고 양끝에 꼬리가 없다.
    줄기 : 줄기가 없고 잎이 밑부분에 총생한다.

    분포 : 중부 이남 지역
    형태 : 1년생 수초
    유사종 : ▶올챙이풀 (B.echinosperma HOKER fil.): 종자 양끝에 달린 꼬리같은 돌기가 종자보다 2-4배 정도 길다.

    Read More
  8. No Image

    올챙이솔

    학명 : Blyxa japonica (Miq.) Maxim. ex Asch. & Gur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라풀과(Hydrocharitaceae) target=_blank>자라풀과(Hydrochari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올챙이자리속(Blyxa) target=_blank>올챙이자리속(Blyxa)</a>
    이명 : 올챙이풀
    잎 : 잎은 호생하고 선형이며 줄기에 직접 달려서 점차 좁아지고 길이 4-5㎝ 폭은 1.5-2㎜이며 자갈색이고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는 없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8월에 피고 엽액에서 1개씩 나오며 화경이 없고 밑부분이 포로 싸인다. 포로 싸인 통부는 원통형으로서 길이 18-20mm이며 자방은 하위이고 꽃받침잎과 꽃잎 및 수술이 각 3개이다. 꽃잎은 백색이며 길이 7-8mm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2mm이다.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선형이고 길이는 1.5-2㎝이며 종자는 피침형으로서 겉이 밋밋하고 길이 2mm 지름 0.5mm이다.
    줄기 : 윗부분이 2갈래씩 갈라지고 길이는 5-25㎝정도이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자란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지역
    형태 : 1년생 수초


    Read More
  9. No Image

    올챙이고랭이

    학명 : Scirpus juncoides var. hotarui (Ohw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랭이속(Scirpus) target=_blank>고랭이속(Scirpus)</a>
    이명 : 올챙이골
    잎 : 잎은 엽신이 퇴화하고 가장자리가 비스듬히 잘린 것 같은 막질 엽초만이 줄기를 감싼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화서는 옆에 달리며 1~7개의 소수가 두상으로 모이고 포는 1개로 줄기에 이어져 곧추 서며 길이 3~7cm이고 표면에 얕은 홈이 있다. 소수는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8~15mm 나비 5~6mm이다. 인편은 난원형으로 길이 3~4mm이고 끝이 둥글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도란형으로 흑갈색이고 윤채가 나며 길이 2~2.5mm이고 양쪽이 볼록하며 익으면 옆으로 주름이 있다. 암술머리는 2~3개이고 자침은 5~6개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며 가는 원주형으로 짙은 녹색이다.
    뿌리 : 근경은 거의 없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인도 인도네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Read More
  10. No Image

    올벚나무

    학명 : Prunus pendula f. ascendens (Makino)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벚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벚나무속(Prunus)</a>
    이명 : 발강올벗나무 붉은올벗나무 올벗나무 화엄벗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6-10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 맥 위에만 털이 남으며 가장자리에 예거치 또는 복거치가 있고 엽병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1.5-1.8cm로서 연홍색이고 2-5개가 산형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8-10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밑부분이 넓고 길이 5mm로서 털이 있으며 꽃잎은 타원상 도란형이고 길이 10mm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며 6-7월에 검게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굵고 수형이 웅대하며 가지가 많다. 작은 가지는 회색빛 나는 보라색이고 수피는 회갈색이다. 수피는 광택이 있고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다.

    분포 : ▶지리적으로는 황해도 장산곶 제주도 위봉산 지리산 보길도에 분포해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능수벚나무(Prunus itosakura Sieb.)
    특징 : ▶천연기념물 제38호 - ⓐ소재지:전남 구례 화엄사 ⓑ지정사유:老巨樹(노거수) ⓒ수령 310년 수고 15m 흉고줄기둘레 5m 수관폭 동4m 서5m 남7.5m 북2m.
    Read More
  11. No Image

    올방개아재비

    학명 : Eleocharis kamtschatica (C.A.Mey.)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늘골속(Eleocharis) target=_blank>바늘골속(Eleocharis)</a>
    이명 : 검바늘골 검은바늘골 골풀아재비 물골 석냥골
    잎 : 윗부분의 엽초는 5-8㎝이고 붉은 자갈색이며 가장자리가 수평으로 자른 것 같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소수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7-20mm 지름 3-5mm로서 짙은 자갈색이며 가장 밑부분의 인편 1개만이 꽃이 없고 화경(花莖)을 감싼다. 그밖의 인편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4-5mm로서 곧추서고 끝이 둔하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해면질이며 난형 또는 삼각형이고 길이 1-2mm로서 수과와 폭이 거의 같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다. 화피열편은 침형이고 4-5개로서 수과보다 길거나 짧으며 밑을 향한 잔돌기가 있다.
    열매 : 수과는 황갈색이며 렌즈형이고 길이 1-1.5㎜로서 밋밋하다.
    줄기 : 가늘게 뻗는 줄기가 있으며 높이 5-50㎝ 지름 1mm로서 원통형이다.

    분포 : 목포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물꼬챙이 (E. mamillata var. cyclocarpa KITAGAWA)
    특징 : ▶물꼬챙이와 비슷하지만 전체적으로 작다.
    Read More
  12. No Image

    올방개

    학명 : Eleocharis kuroguwa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바늘골속(Eleocharis) target=_blank>바늘골속(Eleocharis)</a>
    이명 : 올메 올미장대
    잎 : 엽초는 얇은 막질로 짙은 적갈색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50~90cm 지름 3-4mm로서 둥글며 흑록색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격막이 있다. 꽃은 7~10월에 피고 화수는 원주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2~4cm 직경 3~5mm로서 황록색 또는 볏짚색이다. 인편은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6-8mm로서 끝이 둥글고 뾰족하며 중륵이 뚜렷하지 않고 뒷면에 뚜렷하지 않은 맥이 있다. 암술대는 압축된 삼각형으로서 밑부분이 뚜렷한 반상체로 되며 수과보다 4~5배정도 길고 끝이 2~3개로 갈라진다. 화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1.8~2mm로서 부풀은 렌즈형이고 황갈색이 난다.
    줄기 : 줄기는 둥글며 속이 비어있고 마디가 있으며 마디마다 격막으로 막혀 있다. 줄기색은 녹색이 나며 싱그럽다. 기타 형태는 꽃대와 비슷하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고 그 끝에 직경 5~8mm정도 되는 괴경이 달린다. 줄기 밑부분에서는 많은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어있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수생 숙근성 다년초 관경식물이다.
    유사종 : ▶남방개(E. dulcis Trin) ▶쇠털골(E. acidularis for longiseta T. Koyama) ▶네모골(E. wichurae B cklr.) ▶올방개아재비(E. kamtschatica Kom.) ▶물꼬챙이골(E. manillata var. cryclocarpa Kitakawa)

    Read More
  13. No Image

    올미

    학명 : Sagittaria pygmae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택사과(Alismataceae) target=_blank>택사과(Alisma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보풀속(Sagittaria) target=_blank>보풀속(Sagittaria)</a>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선형이며 길이 10~18cm 폭 5~8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다수의 평행맥이 있다.
    꽃 : 수면 위로 뻗은 화경(花莖)은 곧게 서고 길이 10-25cm이며 1-2단으로 윤생하고 상부에 수꽃 하부에 화병이 없는 1개의 암꽃이 달린다. 꽃은 백색이며 7~9월에 피고 가지 밑에 포가 있다. 암꽃에는 꽃잎과 꽃받침잎은 각 3개이고 암술이 많으며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수꽃은 길이 1-3cm의 화경이 있고 꽃잎과 꽃받침은 각 3개이며 수술은 1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편평한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는 날개가 있으며 길이와 나비가 각 5mm정도로서 암술대가 남아 있다.

    뿌리 : 지하경은 가늘고 길게 옆으로 뻗으며 끝에 과경이 달린다.
    분포 : ▶동아시아의 온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14. No Image

    올리브나무

    학명 : Olea europae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올리브나무속(Olea) target=_blank>올리브나무속(Olea)</a>

    잎 : 잎은 타원형으로 은빛을 띠는 녹색이며 길이 4~10cm 폭 1~3cm입니다.
    꽃 : 꽃은 백색으로 작게 핀다.
    열매 : 과실은 작은 핵과로 길이 1~1.5cm 정도이다. 야생종은 재배되는 품종에 비해 열매가 작고 과육이 적다.


    분포 : 지중해 아시아 아프리카 일부
    형태 : 상록의 교목 또는 관목

    특징 : 보통은 여러 줄기가 자라지만 외대로 가꿀 수도 있다. 꽤 빠르게 오래된 모습으로 변하는 식물이다.
    Read More
  15. 올괴불나무

    학명 :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인동속(Lonicera) target=_blank>인동속(Lonicera)</a>
    이명 : 올아귀꽃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3-6cm 폭 2-4cm로서 양면에 분백색이 돌고 표면에는 잔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융모가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1-5mm이고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길이 1-1.2cm로서 연한 홍색이며 전년지 끝에 2개씩 달리고 화경은 길이 2-3mm로서 잔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에 털이 있고 소포가 없다. 화관은 양순이 깊이 갈라지지만 상하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으며 통부는 짧고 밑부분이 넓으며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이 불규칙하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수술은 꽃잎보다 약간 길고 수술대는 연한 홍색이며 꽃밥은 자주색이고 자방은 서로 합쳐지며 털이 없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열매 :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둥글지만 약간 편평하며 지름 8mm정도로서 5월에 적색으로 성숙하고 맛이 달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올라가며 수피는 황갈색으로 벗겨진다. 가지의 골 속은 충실하고 백색이며 어린가지에는 흑색 반점이 있다.

    분포 : 경남을 제외한 전국의 표고 100-1 800m 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 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올괴불나무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눈이 녹으면서 가지 끝에 연분홍색의 꽃이 피어 아름답고 초여름에 익는 홍색 열매는 매혹적이다.

    file
    Read More
  16. No Image

    옥잠화

    학명 : Hosta plantaginea (Lam.) A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비추속(Hosta) target=_blank>비비추속(Hosta)</a>
    이명 : 둥근옥잠화 비녀옥잠화
    잎 : 잎은 엽병이 길며 길이 15-22cm 폭 10-17cm로서 녹색이고 난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파상으로서 8-9쌍의 맥이 있고 밋밋하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40-56cm정도인데 더러 1m이상되는 것도 있고 1-2(4)개의 포가 달리며 꽃은 총상으로 달리고 포는 2개이며 밑의 것은 길이 3-8cm로서 긴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녹색이다. 화관통부는 담자색이고 길이 11.5cm정도로서 가운데 부분부터 깔때기모양으로 벌어지는데 꽃잎은 약간 뒤로 젖혀져 있다. 꽃은 아침에 피고 해가 지면 오므라 든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고 암술은 한 개이다.
    열매 : 삭과는 삼각상 원주형이며 길이 6.5cm 지름 7-8mm로서 밑으로 처지고 종자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10월에 익는다.

    뿌리 : 근경이 굵다.
    분포 : 전국에 널리 재배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긴옥잠화 (var.japonica HIKUTI et MAEKAWA) : 잎이 보다 길고 꽃이 좁으며 열매를 맺지 못한다.
    특징 : 근경(根莖 뿌리줄기)이 굵은 것이 특징이다.
    Read More
  17. 옥잠난초

    학명 : Liparis kumokiri F.Mae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리난초속(Liparis) target=_blank>나리난초속(Liparis)</a>
    이명 : 구름나리란
    잎 : 잎은 2개가 전년도의 줄기 옆에서 나오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2㎝ 나비 2.5-5㎝로서 가장자리에 주름이 지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처럼 되어 서로 마주 안는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지만 자줏빛이 돌며 화경(花莖)은 높이 15-30cm로서 능선에 좁은 날개가 있고 5-15송이의 꽃이 드물게 붙는다.
    포는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 1-1.5mm이다.
    꽃받침은 길이 5.5~6.5mm로서 끝이 둔하고 좁은 타원형이며 꽃잎은 선형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아래로 드리워지고 중앙부에 얕은 홈이 있다.
    순판은 중앙 윗부분에서 뒤로 젖혀지고 현부(舷部)는 나비 5mm로서 끝이 약간 뾰족하며 예주는 길이 3mm로서 낮은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 좁은 날개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대가 있으며 곧추서고 길이 10-15mm이다.
    줄기 : 높이 20-31cm이다.
    뿌리 : ▶구경은 지름 1~1.5cm이다.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흔히 지상에 나와있고 마른 엽병으로 싸여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나나벌이난초: 옥잠난초와 닮은 난으로 소형이고 입술꽃잎의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여 옥잠난초와 구별된다.
    특징 : 세계에 약 300종 특히 열대에 많고 우리 나라에 약 6종이 분포한다.
    땅 위 또는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 다년초이다.

    file
    Read More
  18. No Image

    옥수수

    학명 : Zea may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옥수수속(Zea) target=_blank>옥수수속(Zea)</a>
    이명 : 강낭이 강냉이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1m정도에 달하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져서 처지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수꽃은 원줄기 끝에 달리며 큰 원추형의 화서를 형성한다. 화서의 분지에는 각 2개의 꽃이 달린 소수(小穗)가 수상(穗狀)으로 달리고 수술이 각 3개씩 있으며 포영에 잔털이 있다. 자화수(雌花穗)는 윗부분의 엽액에 달리고 많은 꽃이 화축에 정렬하며 각각 막질의 영과 1개의 자방이 있다. 암술대는 적갈색이고 화서를 둘러싸고 있는 포영 밖으로 나와 밑으로 처진다. 화서축은 길이 20-30cm로 자라서 굵어지며 많은 영과가 달린다.
    열매 : 영과는 편구형이고 밑부분이 짧게 뾰족해지며 지름 6mm정도로서 보통 황색이지만 자줏빛이 도는 것 및 그 밖의 여러 가지가 있다. 모양이 어금니와 비슷하고 옥수수 수염을 옥촉서예라 한다.
    줄기 : 높이 1-3m이고 곧게 자란다. 땅에 가장 가까운 곳에 2~3개의 줄기 마디가 있다.
    뿌리 : 줄기 마디에서 굵은 곁뿌리가 나와 땅 속으로 들어가 가는 뿌리를 낸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1년초.

    특징 : ▶주요한 재배작물의 하나이다.
    Read More
  19. No Image

    옥매

    학명 : Prunus glandulosa f. albiplena Koehn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벚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벚나무속(Prunus)</a>
    이명 : 만첩옥매 백매 흰옥매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3-9cm로서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4-6mm이다.
    꽃 : 꽃은 5월에 잎과 같이 피며 백색 만첩이고 소화경은 뒤로 젖혀지고 선상(腺狀)의 잔톱니가 있으며 꽃잎은 타원형으로서 백색이고 암술대와 자방에 털이 없으나 간혹 잔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은 줄기를 감싸듯 가득히 다닥다닥 붙어 핀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거의 둥글며 지름 1-1.2cm로서 털이 없고 붉게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며 가지에 털이 없고 총생한다. 해마다 땅에서 새로운 가지가 많이 나온다.

    분포 : 전국의 정원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홍매(P. sinensis)- 빨간 꽃이 피는 것. ▶산매나무- 매화같이 흰빛깔 홑겹꽃이 띄엄띄엄 피는 것.
    특징 : 가지에 털이 없고 밀생한다.
    Read More
  20. No Image

    옥녀꽃대

    학명 : Chloranthus fortunei (A.Gray) Solm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target=_blank>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홀아비꽃대속(Chloranthus) target=_blank>홀아비꽃대속(Chloranthus)</a>
    이명 : 조선꽃대
    잎 : 잎은 줄기 끝에 4장이 모여 나며 넓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백색으로 향기가 있고 수술은 3개이며 가늘다. 양쪽 수술대에는 1실로 된 꽃밥이 있고 가운데 수술대에 2실로 된 꽃밥이 있다. 씨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없다. 홀아비꽃대에 비해 남부 지방에 자라며 가운데 수술에 2실로 된 꽃밥이 있는 것이 다르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며 둥글고 노란색이 도는 녹색으로 7~8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제주도와 남부 지방의 숲 속에 자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