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오동나무

조회 수 1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aulownia coreana Uyeki
과명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오동나무속(Paulownia)
이명 오동
잎은 대생하며 난상 원형 또는 아원형이지만 흔히 오각형으로 되고 첨두 심장저이며 길이 15~23cm 폭은 12~29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갈색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맹아에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1cm로서 잔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난형이고 첨두이며 서기도 하고 퍼지기도 하며 양면에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6cm로서 자주색이지만 참오동나무와는 달리 세로로 된 자주색 줄이 없으며 후부(喉部)는 황색이고 내외부에 성모와 선모가 있으며 이강웅예(二强雄蘂)는 털이 없고 자방은 난형으로서 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난형 첨두의 삭과로 털이 없고 길이는 3cm 정도로서 10~11월에 익는다.
줄기 줄기가 통직하고 수피는 담갈색이고 암갈색의 거친줄이 종으로 나 있다.
뿌리 주근이 있고 측근이 길게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중부 이남의 따뜻한 곳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형
유사종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 Steud.): 울릉도 원산으로 전국에 많이 식재되고 있으며 꽃잎에 자주색 줄이 세로로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징 ▶참오동과 같이 자라며 겉모양이 비슷하지만 잎뒷면에 다갈색 털이 있고 화관에 자줏빛이 도는 점선이 없다. ▶목재는 재질이 가볍고 무늬가 좋으며 내습성과 내부성이 높다. 심 변재의 구분이 명확치 않으며 연륜은 뚜렷하고 색은 엷은 홍백색이다. 환공재로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갗은 거칠며 국산재로 가장 가벼우며 절삭가공성 도장성은 보통이고 접착성은 양호하나 포삭성은 불량하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ull. Agric. Forest. Coll. Suigen (Suwon) 1 : 20 (1925)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참오동나무

    학명 :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동나무속(Paulownia) target=_blank>오동나무속(Paulownia)</a>
    이명 : 참오동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지만 3-5개로 약간 갈라지며 점첨두 심장저이고 길이 15-30(50)cm로서 표면에 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대가 있는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8-20c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정생하는 원추화서는 길이 20-30cm이며 꽃받침은 넓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둔두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갈색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깔때기 비슷한 종형이며 길이 5-6c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세로로 달리는 많은 평행자점선(平行紫點線)이 있으며 겉에 선모가 있고 자방은 난형으로 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예두이며 털이 없고 길이 3-4cm로서 10월에 성숙한다. 나무 껍질을 백동피(白桐被)라 한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가지는 굵고 퍼지며 어린 가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표고 50~400m 황해도 이남에서 재배하며 울릉도에서는 자생상을 이룬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오동나무(P. coreana Uyeki): 꽃은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흰색 또는 자주색이나 참오동나무와는 달리 세로로 된 자주색 줄이 없다.

    Read More
  2. No Image

    오동나무

    학명 : Paulownia coreana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동나무속(Paulownia) target=_blank>오동나무속(Paulownia)</a>
    이명 : 오동
    잎 : 잎은 대생하며 난상 원형 또는 아원형이지만 흔히 오각형으로 되고 첨두 심장저이며 길이 15~23cm 폭은 12~29cm로서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 갈색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맹아에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1c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난형이고 첨두이며 서기도 하고 퍼지기도 하며 양면에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6cm로서 자주색이지만 참오동나무와는 달리 세로로 된 자주색 줄이 없으며 후부(喉部)는 황색이고 내외부에 성모와 선모가 있으며 이강웅예(二强雄蘂)는 털이 없고 자방은 난형으로서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난형 첨두의 삭과로 털이 없고 길이는 3cm 정도로서 10~11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가 통직하고 수피는 담갈색이고 암갈색의 거친줄이 종으로 나 있다.
    뿌리 : 주근이 있고 측근이 길게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중부 이남의 따뜻한 곳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형
    유사종 :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 Steud.): 울릉도 원산으로 전국에 많이 식재되고 있으며 꽃잎에 자주색 줄이 세로로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징 : ▶참오동과 같이 자라며 겉모양이 비슷하지만 잎뒷면에 다갈색 털이 있고 화관에 자줏빛이 도는 점선이 없다. ▶목재는 재질이 가볍고 무늬가 좋으며 내습성과 내부성이 높다. 심 변재의 구분이 명확치 않으며 연륜은 뚜렷하고 색은 엷은 홍백색이다. 환공재로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갗은 거칠며 국산재로 가장 가벼우며 절삭가공성 도장성은 보통이고 접착성은 양호하나 포삭성은 불량하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