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Dryopteris kinkiensis Koidz. ex Tagawa |
|---|---|
|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
| 속명 | 관중속(Dryopteris) |
| 잎 | 잎이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 20-30㎝로서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흑갈색이며 막질이고 밋밋하며 밑부분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고 선상 삼각형 또는 피침상 삼각형이지만 작은 것은 난형 삼각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며 길이 30-60㎝ 폭 20-30㎝로서 2회우상복엽이고 밑부분이 가장 넓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대가 짧고 끝이 뾰족하다. 소우편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원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로서 양쪽이 보다 넓으며 표면에 털이 없고 |
|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에 가깝게 달리지만 중간형의 것도 있으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
| 형태 | 상록다년초이다. |
| 유사종 | ▶제주지네고사리 (D.kinkiensis KOIDZ.) |
| 특징 | 엽병과 중축의 인편이 흑갈색이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200 (1933)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3)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
Read MoreNo Image
자주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purpurella Tag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잎 : 엽병은 길이 30cm 내외이다. 흑색~흑갈색의 선형인 인편이 붙는다. 엽신은 길이 45cm 내외이며 삼각상 광란형으로 2회 우상 복엽이거나 3회 우상 심열이다. 중축과 우축은 홍자색을 띤다.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과 가장자리의 중간에 붙는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서며 잎이 총생한다.
분포 : 한반도(제주도) 일본 중국
형태 : 상록성이다.
-
Read MoreNo Image
왕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참왕지네고사리
잎 : 잎은 길이 약 120cm 폭 20-30cm이고 엽병과 엽신 길이의 1/2이거나 같은 길이이며 인편이 밀생한다. 엽병에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막질이고 딱딱하며 넓은 선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짙은 갈색으로서 큰 것은 길이 2cm정도이다. 엽신은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지지 않으며 중축에 선형의 인편이 달리고 폭 20~30cm이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폭 2-3cm로서 짧은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1줄로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굵고 땅을 기며 끝에서 여러 개의 잎이 뭉쳐난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엷은잎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kinkiensis Koidz. ex Tag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잎 : 잎이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 20-30㎝로서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흑갈색이며 막질이고 밋밋하며 밑부분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고 선상 삼각형 또는 피침상 삼각형이지만 작은 것은 난형 삼각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며 길이 30-60㎝ 폭 20-30㎝로서 2회우상복엽이고 밑부분이 가장 넓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대가 짧고 끝이 뾰족하다. 소우편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원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로서 양쪽이 보다 넓으며 표면에 털이 없고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에 가깝게 달리지만 중간형의 것도 있으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이다.
유사종 : ▶제주지네고사리 (D.kinkiensis KOIDZ.)
특징 : 엽병과 중축의 인편이 흑갈색이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sacrosanta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애기쪽제비고사리 좀족제비고사리
잎 : 엽병에 달린 인편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인편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 엽신이 얇고 소우편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짐. 우축에 달린 인편의 밑부분은 주머니처럼 되지 않고 소우편 중륵 뒷면에 주머니 같은 작은 인편이 섞여 있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난형이며 밑부분이 3회 우상 비슷하게 갈라지고 우편은 곧으며 서로 겹칠 정도로 배게 달리고 표면은 윤채가 그리 나지 않으며 밑부분의 소우편에 대가 있고 열편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소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보다 가깝게 달린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족제비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엽병에 달린 인편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인편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인 것이 다르며 또 큰 족제비 고사리보다는 엽신이 얇고 소우편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아물고사리
학명 : Dryopteris amurensis (Milde) H.Chris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아무르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40㎝로서 중축 및 우축과 더불어 흑갈색 인편이 드물게 달린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난형으로 길이 15-20㎝ 폭 15-22㎝로서 3회 우상으로 완전히 또는 깊게 갈라짐. 우편은 첫째것이 가장 크고 뒤쪽이 보다 넓으며 갑자기 작아짐. 소우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로서 대가 극히 짧으며 우상으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고 주머니같은 인편이 있으며 열편은 끝이 까락처럼 뾰족한 톱니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밑부분의 소맥 위쪽에 달리고 포막은 신장형에 가까우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뿌리 : 짧은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
분포 :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산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bissetiana (Baker)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족제비고사리 큰검정털고사리
잎 : 엽병은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흑색 또는 연한 갈색이며 막질로서 밑부분이 넓어진다. 엽신은 난상 타원형으로서 점차 좁아져서 끝이 뾰족하며 짙은 녹색을 나타낸다. 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밑부분에는 대가 긴 것도 있다. 우축에 달린 인편의 밑부분은 주머니처럼 부풀며 소우편 뒷면 중륵에 달린 인편은 거의 둥글고 주머니같다. 소우편은 우상으로 얕게 또는 깊게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약간 뒤로 말린다.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과 가장자리 중간에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끝에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로 온대성 양치류이다.
특징 : 중부지방에서 겨울철 산행시에 계곡의 낙엽수림하에서 상록으로 볼 수 있는 양치류는 족제비고사리가 대부분이다.
-
Read MoreNo Image
산비늘고사리
학명 : Dryopteris polylepis (Franch. & Sav.)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곰비늘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5-20㎝로서 표면에 홈이 파지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 엽신은 도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40-65㎝ 폭 15-20㎝로서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짐. 인편은 흑갈색 또는 흑색이며 난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큰것은 밋밋하지만 작아질수록 가장자리에 실같은 돌기가 많아진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대가 없고 폭 1-2㎝이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표면에 털처럼 갈라진 작은 인편이 있으며 뒷면에 연한 갈색인편이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잎 끝부분에 달리고 열편 가장자리에 보다 가깝게 1줄로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굵고 곧추서며 잎이 총생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유사종 : ▶관중
특징 : 관중과 비슷하지만 측맥이 갈라지지 않는다.
-
Read MoreNo Image
비늘고사리
학명 : Dryopteris lacera (Thunb.) Kuntz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곰고사리 비눌고사리
잎 : 잎은 길이 60㎝내외이며 엽병은 엽신보다 짧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 인편은 길이가 2㎝에 달하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면서 난상 긴 타원형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된다. 엽신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표면은 밝은 황록색이고 들어간 엽맥 때문에 주름지며 뒷면의 흰빛이 돈다. 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폭 5-8m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에 대가 있으며 양쪽 밑이 귀처럼 나오지만 윗부분에는 대가 없다.
열매 : 윗부분의 우편은 다소 짧아지면서 포자낭군이 뒷면 전체에 달리고 포막이 둥글며 포자낭군이 달렸던 우편은 먼저 마른다.
뿌리 : 짧고 덩어리같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
분포 : 중부 남부 제주도 울릉도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반상록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북관중
학명 : Dryopteris coreanomont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보태면마
잎 : 엽병은 길이 23㎝로서 2가지 형태의 인편이 달리며 큰것은 길이 27mm 폭6-7mm로서 막질이고 작은것은 길이 2-10mm 폭 0.2-0.8mm로서 선형이다. 엽신은 피침형이며 길이가 80㎝에 달하고 우축에 달린 털같은 인편은 곧 떨어진다. 우편은 중앙 이하가 넓으며 길이 12㎝로서 선상 피침형이고 길게 뾰족해지며 열편은 밑으로 흐르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 맥위에는 털이 약간 있다.
열매 : 포자낭은 중앙부에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지름 1mm정도로서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잎이 총생.
분포 : 함북 보태동에서 자란다.
특징 : 관중과 비슷하지만 열편사이가 넓고 톱니가 약간 깊으며 인편은 우축 뒷면에 약간 남을 뿐이다.
-
Read MoreNo Image
바위틈고사리
학명 : Dryopteris laeta (Kom.)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고려고사리 고운비늘고사리긴고려고사리애기바위틈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5-50㎝로서 인편이 밀포한다. 인편은 연한 갈색이며 막질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는 15mm에 달하지만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엽신은 난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30-40cm 폭 25-30cm로서 밝은 녹색이고 3회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우편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짧은 대가 있으며 뒷면에 인편이 있다. 소우편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 가까이의 열편 밑부분에 1-3줄로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까칠까칠하다.
뿌리 : 짧게 옆으로 뻗는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
분포 : 금강산 표훈사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바위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saxifraga H.It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광릉족제비고사리털지네고사리
잎 : 잎은 총생하며 엽병은 길이 10-20㎝로서 인편이 밀생하고 밑부분이 굵다. 인편은 퍼지며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서 흑갈색이고 뒤로 젖혀지며 밑부분이 표주박처럼 퍼진다. 엽신은 긴 타원상 난형 또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15-30㎝ 폭 10-15㎝이다. 우편에 짧은 대가 있으며 소우편은 선상 긴 타원형 도는 피침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밑으로 흐르고 밑부분의 것이 우상으로 반쯤 또는 깊게 갈라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앙 또는 중륵 가까이에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족제비고사리 (D. bissetiana) ▶광릉족제비고사리 (D. saxufraguvaria) : 족제비고사리와 바위족제비고사리의 변종이며 엽신은 삼각형이지만 인편이 사방으로 퍼지고 광릉에서 자란다.
특징 : 족제비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인편이 수평으로 퍼지거나 밑을 향하는 것이 있어 구별된다.
-
Read MoreNo Image
뫼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sabaei (Franch. & Sav.)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산족제비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5~25cm이고 진한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인편은 연한 갈색 또는 중앙이 진한 갈색이고 크고 넓은 피침형으로 난형이다. 길이 1~1.3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다. 잎몸은 2~3회 깃꼴로 갈라지며 긴 타원상 난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길이 35~45cm 너비 15~25cm 우편은 5~7쌍 다섯째 번부터 갑자기 좁아지며 기부의 우편이 가장 크고 길이 10~15cm 짧은 자루가 있다. 맨 아래 소우편이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가장자리와 소우축의 중간 열편의 기부에 달린다.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링는 밋밋하다.
뿌리 : 땅속줄기는 굵고 덩이 모양이며 잎이 다보록이 난다.
분포 : 한국(중부 북부) 일본
형태 : 상록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느리미고사리
학명 : Dryopteris tokyoensis (Matsum. ex Makino)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눌메기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5-30㎝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더욱 밀생하고 인편은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갈색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큰것은 길이 1-1.5cm이다. 엽신은 도피침형이고 양끝이 점점 좁아지며 길이 70-90㎝ 폭 17-25㎝이다. 우편은 30-40쌍이고 중앙부의 것은 넓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서 대가 없으며 뒷면 중륵에 소인편이 있고 우상으로 얕게 또는 반쯤 갈라진다. 열편은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첫째 1쌍
열매 : 포자낭군은 엽신 윗부분에만 달리며 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1-2줄로 배열되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
뿌리 : 굵고 짧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
분포 : 광릉과 수원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반들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medioxima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
Read MoreNo Image
금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gymophylla (Baker) C.C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잎 : 엽병은 길이 15-30㎝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있으며 인편은 갈색이고 피침형으로서 길이 5-10mm이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난형이며 길이 20-40㎝ 폭 15-30㎝이고 갑자기 좁아져서 길게 뾰족해지며 3회 우상으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짐. 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삼각상 넓은 피침형이고 대가 길며 첫째 우편은 뒤쪽 첫째 소우편이 훨씬 크기 때문에 일그러진 삼각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이다. 소우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으로서
열매 : 포자낭군은 톱니의 파진 밑에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 투명한 막질이다.
뿌리 : 옆으로 자라는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
분포 : 중부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특징 : 가는잎족제비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인편이 곧 떨어진다.
-
Read MoreNo Image
광릉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saxifragivar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잎 : 잎은 총생하며 엽병은 길이 10-20㎝로서 인편이 밀생하고 밑부분이 굵다. 인편은 퍼지며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서 흑갈색이고 뒤로 젖혀지며 밑부분이 표주박처럼 퍼진다. 엽신은 삼각형이지만 인편이 사방으로 퍼지고 길이 15-30㎝ 폭 10-15㎝이다. 우편에 짧은 대가 있으며 소우편은 선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예두(銳頭) 예저(銳底)이며 밑으로 흐르고 밑부분의 것이 우상으로 반쯤 또는 깊게 갈라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소우편의 중앙 또는 중륵 가까이에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분포 : 광릉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바위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xifraga H.ITO)
특징 : 족제비고사리와 바위족제비고사리의 잡종이다. 광릉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관중
학명 :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면마 호랑고비
잎 : 잎은 근경에서 윤생하고 길이 1m 내외 폭 25cm 정도에 달하며 엽병은 엽신보다 훨씬 짧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윤채가 있으며 황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2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작아진다. 엽신은 도피침형으로서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우편엽은 대가 없으며 폭은 1.5~2.5cm로 거의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아래로 갈수록 작아지며 간격이 넓어지고 곱슬털 같은 인편이 있다.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 또는 둔두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맥은 표면에서 들어가며 측맥은 보통 2개로 갈라지고 가에는 둔한 거치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잎 윗부분의 우상엽 중륵 가까이에 2줄로 붙어 있다. 포막은 둥근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굵고 곧다.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초(숙근성 양치류).
유사종 : ▶비늘고사리(D. lacera) ▶곰비늘고사리(D. uniformis) ▶유럽산관중(D. filix-mas) ▶북미산 관중(D. marginalis) ▶아프리카산 관중(D. anthemintica)
특징 : 환경부에서 지정한 보호식물(식-2)이므로 산야에서 함부로 채취해서는 안 된다.
-
Read MoreNo Image
곰비늘고사리
학명 : Dryopteris uniformis (Makino)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이명 : 곰고사리 숫곰고사리
잎 : 잎은 근경 끝에 총생한다. 엽병은 길이 15~30cm 정도이고 흑갈색 인편이 있다. 인편은 흑갈색 또는 짙은 갈색이며 넓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위로 갈수록 좁고 짧아지며 중축의 것은 퍼지거나 밖으로 젖혀지고 소돌기가 있다. 엽신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절저이며 길이 40-60cm 폭 15~22cm로서 2회 우상으로 길게 또는 완전히 갈라진다. 우편은 피침형이고 폭 1~3.5cm로서 뒷면 중륵에 인편이 드문드문 있으며 짧은 대가 있고 밑부분일
열매 : 포자낭군은 윗부분에 달리며 중간형이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
뿌리 : 근경은 짧고 굵다.
분포 : 중부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로 온대성 양치류이다.
유사종 : ▶참곰비늘고사리 (for.coreana H.ITO) : 열편 끝이 둔하며 완도에서 자란다.
특징 : 밀생하는 인편이 곰의 털과 비슷하다 하여 이와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
Read MoreNo Image
계곡고사리
학명 : Dryopteris hayatae Tag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잎 : 잎은 단형으로 총생한다.
열매 : 포자낭군은 비교적 모든 우편에 엽신의 가장자리부터 붙기 시작하며 맥과 엽연부 중간에 붙고 소맥에 정생한다.
줄기 : 줄기는 괴상하고 작으며 직립 혹은 사향한다.
분포 : 대만과 일본의 구주 남부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
Read MoreNo Image
가는홍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caudipin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관중속(Dryopteris) target=_blank>관중속(Dryopteris)</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