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Lycopus 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
|---|---|
| 과명 | 꿀풀과(Labiatae) |
| 속명 | 쉽싸리속(Lycopus) |
| 이명 | 애기쉽사리 애기택란 |
| 잎 | 잎은 대생하고 옆으로 퍼지며 밑부분의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4-8cm 폭 5-15m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5-3cm 나비 1.5-5mm로서 톱니가 없는 것도 있으며 양끝이 좁다. |
| 꽃 | 꽃은 7-9월에 피고 흰색이며 엽액에 몇 송이씩 밀생하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고 화관은 아래위로 갈라진 순형으로서 상순이 얕게 2개로 갈라져서 곧게 서며 하순은 옆으로 퍼지고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며 암술은 1개로서 꽃잎보다 길게 밖으로 나와 끝이 2개로 갈라진다. |
| 열매 | 열매는 소견과이다. |
| 줄기 | 높이 30-70cm이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마디 부분에만 흰털이 약간 있지만 그 밖의 부분에는 털이 거의 없으며 중앙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
| 뿌리 | 근경은 흰색 가지가 옆으로 뻗으면서 퍼진다. |
| 형태 | 다년초.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
Read MoreNo Image
애기장구채
학명 : Silene aprica Turcz. ex Fisch. & C.A.Me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끈끈이장구채속(Silene) target=_blank>끈끈이장구채속(Silene)</a>
이명 : 갯장구채 털장구채
잎 : 잎은 대생하며 선상 피침형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길이 2-8cm 폭 2-15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서 취산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2개씩 갈라지며 포는 혁질이고 소화경의 길이는 5-30mm이다. 꽃받침은 통모양이고 난형이며 길이 8-10mm로서 10맥이 있고 끝이 5개로 갈라졌다. 꽃잎은 5개이고 백색 또는 분홍색이며 현부(舷部)는 길이 2mm가량이고 끝이 파지고 2개로 갈라졌으며 기부는 좁아졌다.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삭과는 6-7월에 익고 난형이며 길이 6-8mm로서 끝이 6조각으로 터진다. 종자는 신장형이고 지름 0.5mm로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20-5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를 적게 치고 전체에 회색의 잔털이 밀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장구채(M. firmum Rohrb.): 녹색 또는 자줏빛을 띠는 녹색 마디 부분은 검은 자줏빛이다. 잎은 긴 타원형 난상 넓은 피침형 길이 3-10㎝이다. ▶털장구채(M. firmum Rohrb. for. pubescens Ohwi): 장구채와 닮았으나 식물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가는장구채(M. seoulensis Nakai): 전체에 잔털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난형 끝이 뾰족하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자운
학명 : Gueldenstaedtia verna (Georgi) Boris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애기자운속(Gueldenstaedtia) target=_blank>애기자운속(Gueldenstaedtia)</a>
이명 : 털새돔부털새동부
잎 : 잎은 모두 근출엽이며 9-17개 소엽으로 된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엽병이 길고 길이 3-8cm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0.5-1.5cm 폭 2-5mm로서 둔두 또는 첨두에 짧은 까끄라기같은 1개의 돌기가 있고 원저거나 설저이며 앞뒷면에 긴털이 밀생한다. 탁엽은 난형으로 긴복모가 있다.
꽃 : 화경(花莖)은 길이 4-9cm로서 긴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잎이 없고 끝에 1-4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12-15mm로서 보라색의 접형화이다. 소화경은 짧고 꽃받침은 종형이며 길이 7mm로서 겉에 긴 백색 털이 밀생하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긴 열편은 길이 3mm정도이다. 기판의 현부는 난형이고 끝이 파지며 익판은 장원형으로 용골판보다 길다. 자방에 긴 백색 털이 있다.
열매 : 협과(莢果)는 긴 난형이고 1실이며 길이 12mm정도로서 2조각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를 떨어낸다.
뿌리 : 굵고 긴 뿌리에서 잎이 총생하고 가는 뿌리는 적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대구 낭림산 이북의 심산지역.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애기일엽초
학명 : Lepisorus onoei (Franch. & Sav.) Ch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target=_blank>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일엽초속(Lepisorus) target=_blank>일엽초속(Lepisorus)</a>
잎 : 잎은 길이 6-8cm로서 털이 없으며 선형 또는 선상 주걱형이고 끝부분이 가장 넓으며 나비 2-5mm이고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리며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엽병은 길이 2-7mm이고 중축은 가늘며 맥이 뚜렷하지 않다.
열매 : 포자낭군은 뒷면 윗부분에 2줄로 배열하며 둥글고 중륵과 가장자리의 중앙에 달린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지름 1mm정도로서 인편이 밀생하고 약간 접근하여 잎이 1줄로 달린다. 인편은 피침형이며 근경에 들어 붙고 길이 2.5-3mm로서 흑갈색이지만 가장자리로 갈수록 색이 연해지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약간 갈라진다.
분포 : 제주도 울릉도와 남해 도서지방 강원도 이남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의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일엽초
특징 : ▶일엽초와 비슷하나 소형이고 뿌리줄기가 길게 뻗으며 잎은 일엽초에 비해 느슨하게 나고 끝이 둥글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이삭사초
학명 : Carex ochrochlamys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분포 : 한반도(함경남도 북소령 함경북도 관모봉)
특징 : 경성사초에 비해 과포는 밋밋하고 바위사초에 비해 영의 인편은 녹색 또는 볏짚색이며 과포 양측에 극히 좁은 날개가 있다 .
-
Read MoreNo Image
애기월귤
학명 : Vaccinium oxycoccus subsp. microcarpus (Turcz.)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앵도나무속(Vaccinium) target=_blank>산앵도나무속(Vaccinium)</a>
이명 : 좀월귤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6mm 폭 2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가장자리는 뒤로 말리며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mm 미만으로서 거의 없다.
꽃 : 꽃은 1-2개가 가지끝에 달리며 밑으로 처지고 소화경은 길이 2cm로서 털이 거의 없으며 중앙부에 2개의 소포가 있다. 꽃받침은 도란형이고 4개의 삼각상 열편으로 갈라지며 화관은 붉은 빛이 돌고 4개로 깊게 갈라져서 뒤로 젖혀지며 열편은 길이 6-7mm이다. 수술은 8개이고 자방은 하위로서 4실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 6-7mm로서 적색으로 익으며 밑으로 처진다.
줄기 : 지상에 나온 가지는 짧고 가지에 짧은 털이 있으나 껍질이 벗겨짐에 따라 짙은 갈색으로 된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 백두산 지역.
형태 : 상록 관목
-
Read MoreNo Image
애기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minor Mi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원추리속(Hemerocallis) target=_blank>원추리속(Hemerocallis)</a>
이명 : 애기넘나물 참칼원추리
잎 : 잎은 대생하여 서로 얼싸안고 길이 40cm 폭 6-10mm로서 황록색이며 잎 표면에 깊은 골이 생기지 않는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화경(花莖)은 높이 0.5-1m로서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며 3-6개의 꽃이 달리고 저녁때 피었다가 다음날 아침에 시들며 화피열편은 길이 10cm정도로서 뒤로 젖혀지지 않고 통부는 가늘고 길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고 암술대는 길다.
열매 : 삭과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뒤쪽이 벌어져 검은색 종자가 나온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고 타원형의 굵은 괴근이 생긴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골잎원추리와 비슷하지만 식물체가 작고 화경(花莖)이 그리 갈라지지 않으며 꽃의 수가 적고 잎 표면에 깊은 골이 생기지 않는다. ▶다른 원추리 종류들에 비해 키가 작고 개화시기가 빠르며 개화기간이 길다. 왜성의 원추리로서 새로운 원예품종의 육성을 위한 기본종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는 식물유전자원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우산나물
학명 :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우산나물속(Syneilesis) target=_blank>우산나물속(Syneilesis)</a>
이명 : 애기삿갓나물
잎 : 첫째 잎은 둥글고 지름 20-30cm로서 장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7-9개이고 2-3회 2개씩 중열되며 소열편은 나비 4-8mm로서 뒷면에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처음에는 뒤로 젖혀져서 거미줄 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지만 점차 없어지고 엽병은 길이 10-16cm이다. 둘째 잎은 약간 작으며 지름 12-24cm이고 열편은 나비 4-5cm이며 엽병은 길이 2-6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6-7mm로서 두상화가 복산방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6-16mm이고 선상의 포가 있으며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9-12mm로서 자갈색이며 포편은 5개이다. 소화는 8-10개이고 화관은 길이 10.5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붉은빛이 돈다.
열매 : 수과는 원통형이고 길이 5mm로서 털이 없으며 종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8-10mm로서 오백색(汚白色) 또는 적색이다.
줄기 : 높이가 70-120cm이고 원줄기는 자줏빛이 돌며 가지가 없고 2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짧은 근경이 옆으로 벋는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우산나물(S. palmata (Thunb.) Max.)은 잎이 상대적으로 얕게 갈라졌으며 열편의 수도 작다.
특징 : 속명 Syneilesis는 희랍어이며 합착하여 말린 자엽이 있다는 뜻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완두
학명 : Lathyrus humilis (Ser.) Spre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연리초속(Lathyrus) target=_blank>연리초속(Lathyrus)</a>
잎 : 잎은 호생하고 3~5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이며 끝은 갈라지는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3.5cm이고 양끝은 둔하며 끝은 약간 나오고 맥 위에 긴 털이 드문드문 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탁엽은 타원상 화살모양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홍자색을 띠나 건조하면 남색으로 되며 잎짬에서 긴 화경이 나와 위쪽에 소수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 끝은 얕게 갈라지고 화관은 나비모양이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선형이고 털이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모가 진다.
분포 :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 중국 몽고 아무르 우수리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염주사초
학명 : Carex parciflora var. macroglossa (Franch. & Sav.)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보리사초 산바눌사초 애기보리사초 작은구슬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폭 2-5mm로서 회청색이다.
꽃 : 소수(小穗)는 3-4개이며 웅소수(雄小穗)는 끝에 달리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8-12mm로서 짧은 대가 있고 꽃이 적다. 자소수는 곁에 달리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0-15mm로서 대가 있으며 곧추서고 꽃은 위에서는 가깝게 달리며 밑으로 내려가면서 드물게 달리고 윗부분의 것은 끝에 1-2개의 수꽃이 있다. 포는 잎같으면 녹색이고 밑부분은 긴 통같으며 자화영(雌花穎)은 넓은 난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로서 연하며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다. 암술대는 밑부분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2배정도 길고 비스듬히 퍼지며 세모진 난상 방추형이고 길이 5-8mm로서 연한 회청색이며 맥이 많고 윗부분은 천천히 좁아진 부리로서 끝이 막질이며 얕게 파진다. 수과는 세모진 넓은 난형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0-30cm이며 뻗는 줄기가 없다. 원줄기는 삼각기둥 모양이며 거칠거칠하고 갈색 섬유질의 엽초에 덮여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고 목질화되어 있다.
분포 : 지리산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애기앉은부채
학명 : 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천남성과(Araceae) target=_blank>천남성과(A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앉은부채속(Symplocarpus) target=_blank>앉은부채속(Symplocarpus)</a>
이명 : 작은삿부채
잎 :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엽병이 길며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대개 둔하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거나 심장저 비슷하고 길이 10-20cm 나비 7-12c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이른 봄 다른 식물이 움트기전에 싹이 돋아 배추잎처럼 큰 잎으로 자랐다가 6월이 되면 지상부가 사라지고 휴면에 들어간다. 8월에 검붉은색의 포엽이 자라고 포엽 안에 꽃이 핀다.
꽃 : 꽃은 길이 1cm 정도되는 육수화서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화서는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리며 보우트 같은 검은 자갈색의 포로 싸여 있고 넓은 타원형이다. 잎이 자란 다음에 꽃이 핀다.
열매 : 열매는 다음해 꽃이 필 때 익는다.
뿌리 :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강원도 이북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앉은부채(S. renifolous Schott)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개화시기가 2-3월경으로 상대적으로 빠르다.
특징 : "▶종자를 채취하기가 난해한 식물이므로 인공번식시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꽃에서 특이한 냄새(고기 썩는 냄새)가 나므로 곤충 및 육식성 동물들이 착각하여 건드림으로써 수정이 가능하다. 속명에서 희랍어의 """"symploce(결합의 뜻)""""와 """"carpos(열매)""""의 합성어로서 자방이 집합된 열매에 붙어있다. 종명 nipponicus는 일본을 비롯한 주변 지역에서 생육한다.는 뜻이다. 명명자인 Makino는 일본의 식물분류학자 牧野富太郞(목야부태랑)("
-
Read MoreNo Image
애기아욱
학명 : Malva parviflor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아욱과(Malvaceae) target=_blank>아욱과(Malv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아욱속(Malva) target=_blank>아욱속(Malva)</a>
잎 : 잎은 어긋나며 원형 또는 신장형 길이 3~6cm 5~7개 열편으로 중열 가장자리 둔한 거치 심장저. 엽병 5~10cm 연모이다.
꽃 : 꽃은 총상화서를 이룬다. 잎겨드랑이에 2~3개 꽃자루 짧고 지름 6~8mm이다. 소포엽은 3개로 좁은 도피침형이고 꽃받침은 5열 길이 4~5mm이며 열매시 커진다. 꽃잎은 5개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꽃잎 열편은 장 타원형이다. 수술은 다수 수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분과 10개이다. 망상무늬이고 모서리에 좁은 파상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지 치며 털 있거나 없다.
분포 : 유럽 아프리카 서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일본
-
Read MoreNo Image
애기씨범꼬리
학명 : Bistorta vivipara var. angustifoli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범꼬리속(Bistorta) target=_blank>범꼬리속(Bistorta)</a>
잎 : 근생엽과 경생엽이 모두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3-6cm로서 잎의 밑부분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맥은 옆으로 평행하다.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청색이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경에 연한 홍색으로 피는데 수상화서의 길이는 3-7cm이며 밑부분에 길이 2.5mm 정도의 난원형 주아가 달리는 것으로 구별된다. 화경은 높이 10-30cm이고 화피는 길이 3mm정도이가. 수술은 8개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3개로서 길게 꽃밖으로 나온다.
뿌리 : 근경이 굵고 짧다.
분포 : 북부지방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털씨범꼬리 (var.roessleri)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특징 : 씨범꼬리에 비해 근생엽과 경생엽이 모두 선상 피침형이고 뒷면이 회청색이며 털이 없는 것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쐐기풀
학명 : Urtica laeteviren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쐐기풀과(Urticaceae) target=_blank>쐐기풀과(Urt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쐐기풀속(Urtica) target=_blank>쐐기풀속(Urtica)</a>
이명 : 쐐기풀 아기쐐기풀 작은잎쐐기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밝은 녹색이며 길이 5-10cm 나비 2.5cm이고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과 선점이 있다. 엽병은 잎 길이의 1/3이상이고 탁엽은 4개이며 길이 6-7mm로서 선형이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10월에 피고 녹색이며 웅화서는 가지 끝에 자화서는 밑부분에 달린다. 꽃부분은 4수이고 수꽃은 지름 2mm정도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녹색이고 길이 2mm정도이며 난상 원형이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위를 향한 잔털이 있고 여러대가 한군데에서 나오며 가지가 갈라져서 큰 포기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잎쐐기풀(U. angustifolia Fischer): 줄기는 둔한 사각형 잎은 긴 타원형 피침형 길이 6-12㎝ 양 면에 털이 약간 있다. ▶쐐기풀(U. thunbergiana S. et Z.):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난형 난상 원형 길이 5-12㎝ 표면에 황색의 드문 털 뒷면 맥위에 짧은 털이 있다.
특징 : 온몸에 쐐기 가시털이 퍼져 난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쉽싸리
학명 : Lycopus 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쉽싸리속(Lycopus) target=_blank>쉽싸리속(Lycopus)</a>
이명 : 애기쉽사리 애기택란
잎 : 잎은 대생하고 옆으로 퍼지며 밑부분의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4-8cm 폭 5-15m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5-3cm 나비 1.5-5mm로서 톱니가 없는 것도 있으며 양끝이 좁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흰색이며 엽액에 몇 송이씩 밀생하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고 화관은 아래위로 갈라진 순형으로서 상순이 얕게 2개로 갈라져서 곧게 서며 하순은 옆으로 퍼지고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며 암술은 1개로서 꽃잎보다 길게 밖으로 나와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소견과이다.
줄기 : 높이 30-70cm이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마디 부분에만 흰털이 약간 있지만 그 밖의 부분에는 털이 거의 없으며 중앙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흰색 가지가 옆으로 뻗으면서 퍼진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애기수영
학명 : Rumex acetosell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디풀과(Polygonaceae) target=_blank>마디풀과(Polyg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리쟁이속(Rumex) target=_blank>소리쟁이속(Rumex)</a>
이명 : 애기괴싱아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창모양이고 톱니는 없으며 길이3-6cm 폭1-2cm로서 예두 또는 둔두이고 귀같은 돌기가 좌우로 퍼진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기부가 창검같으며 질이 연약하고 줄기를 둘러싼 탁엽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달리는 원추화서의 가지에서 윤생하며 짧은 녹갈색의 화경이 있다. 꽃받침잎은 6장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꽃에 수술이 6개 지름이 3mm이고 암꽃에 암술대가 3개이며 잘게 갈라진 암술머리가 있으며 꽃받침이 자라지 않는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의 수과로 3개의 능선이 있고 갈색을 띠며 광택은 없다.
줄기 : 높이 20-5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적자색이다. 잎과 함께 신맛이 난다.
뿌리 : 근경이 뻗으면서 왕성하게 번식하며 털이 없으나 털같은 돌기가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수영(R. acetosa): 땅속줄기는 약간 크고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긴 창모양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토대황(R. aquaticus): 잎은 긴 타원상 난형 긴 삼각형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소리쟁이(R. japonicus): 뿌리는 비후하고 잎은 타원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굴곡 약간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짧다. ▶호대황(R. gmelini): 잎 뒷면 맥에 흰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어 거칠
특징 : 수영과 비슷하지만 작기 때문에 애기수영이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이명 : 천마송이풀
잎 : 잎은 1회우상복엽으로서 우상은 대가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다시 중열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0~15cm이다.
꽃 : 5~6월에 개화하며 연한 홍자색으로서 밑부분에서 나오고 소화경은 길이 6cm이며 꽃받침은 긴 통형이고 겉에 5맥과 더불어 잔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도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통부 길이의 1/3 정도이다. 화관은 양순형으로서 상순은 활처럼 앞으로 굽고 끝이 약간 파진 듯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모두 끝이 둥글며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산생한다.
열매 : 삭과이다.
줄기 : 잔털이 다소 있으며 원줄기가 짧다.
뿌리 : 뿌리 끝에서 잎이 밀생한다.
분포 : 개성 천마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애기솔나물
학명 : Galium verum var. asiaticum f. pusillum (Nakai) M.Par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C%AD%EB%91%90%EC%84%A0%EC%9D%B4%EA%B3%BC(Rubiaceae) target=_blank>꼭두선이과(Ru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갈퀴덩굴속(Galium) target=_blank>갈퀴덩굴속(Galium)</a>
이명 : 바위갈키
잎 : 잎은 선형이며 원줄기에서는 각 마디에 2장의 정상엽과 잎모양의 탁엽 5-9장이 윤생하고 길이 6-8mm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젖혀지고 가지에서는 6개 또는 4개씩 달리며 길이 3-5m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젖혀진다.
꽃 : 꽃은 황색이며 소형이고 가지 끝에 모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소화경은 길이 2mm이며 화관은 지름 2mm이고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자방은 털이 없으며 수술은 4개이고 길이 1mm이며 꽃밥과 수술대는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지며 털이 없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열매 : 열매는 소형이며 2개씩 달리고 거의 털이 없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며 높이 10-20cm이고 밑동이 누우며 약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줄기에 가는 털이 나 있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정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솔나물
특징 : 솔나물에 비해 전체가 극히 소형.
-
Read MoreNo Image
애기석위
학명 : Pyrrosia petiolosa (H.Christ & Baroni) Ch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9E%80%EC%B4%88%EA%B3%BC(Polypodiaceae) target=_blank>고란초과(Poly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석위속(Pyrrosia) target=_blank>석위속(Pyrrosia)</a>
잎 : 영양엽의 엽병은 길이 2~4cm이고 엽신은 길이 3~4cm 넓이 5~18mm이며 난형으로 혁질이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갈색의 성상인모(星狀鱗毛)로 덮였다. 포자엽의 엽병은 길이 6~7.5cm 넓이 7~15mm이며 뒷면에 갈색 성상모가 있고 그 속에 포자낭이 숨어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둥글며 뒷면 전체에 달리고 포막은 없다
뿌리 : 근경은 길게 옆으로 뻗으며 지름 1-3mm로서 인편이 전체를 감싸고 인편은 황갈색으로서 길이 3mm이며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잎이 다닥다닥 달린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극동지역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이다.
특징 : ▶석위와 비슷하지만 보다 작고 엽신에 비해 엽병이 긴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애기석남
학명 : Andromeda polifoli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진달래과(Ericaceae) target=_blank>진달래과(Er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지석남속(Andromeda) target=_blank>장지석남속(Andromeda)</a>
이명 : 각시석남 애기진달래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선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1.5~3.5cm 나비 3~7mm이며 양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뒤로 말리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혁질이며 엽병은 1.5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연한 홍색 또는 백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산형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2~16mm이다. 화관은 단지모양으로 끝이 5열하고 꽃받침조각은 난형이며 수술은 10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편구형이다.
뿌리 : 묵은 뿌리는 땅에 닿아 뿌리를 내며 그 끝에서 가지가 갈라져 곧추서고 털이 없다.
분포 : 함북(대택 무산) 함남(부전고원)에 나며 북반구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상록활엽 소관목
-
Read MoreNo Image
애기사초
학명 : Carex conica Boot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둥글사초 흰사초
잎 : 잎은 나비 2-4㎜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검은 자주색에서 암갈색으로 되며 흔히 섬유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 : 소수(小穗)는 3-5개개가 서로 떨어져 곧게 서고 웅소수(雄小穗)는 곤봉형으로서 끝에 달리며 암갈색이고 자소수는 짧은 원주형이며 길링 1-2.5cm 나비 2.5-3.5mm로서 윗부분의 것은 엽초 속에 들어 있고 밑부분의 것은 대가 길게 나온다. 포는 가시같으며 굵어진 엽초와 더불어 길이 1-3cm이고 자화영(雌花穎)은 도란형이며 검은 자갈색으로서 뒷면에 1맥이 있고 갑자기 뾰족해진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암술머리는 3개로 길이 3mm정도이다.
열매 : 과포는 포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길며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2.5-3mm로서 맥이 많으며 맥은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고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져 짧은 부리로 되며 끝이 약간 밖으로 꼬부라지고 갈라지지 않는다. 수과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2mm로서 끝이 찌그러진 원반같다.
줄기 : 줄기는 근경에서 총생하고 높이 20-50cm로서 둔한 삼각형이며 밋밋하거나 윗부분만 거칠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또는 짧게 뻗는다.
분포 : 남쪽 섬 및 남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