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애기더덕

조회 수 50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Codonopsis minima Nakai
과명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더덕속(Codonopsis)
이명 섬더덕 애기소경불알
잎은 어긋나지만 작은 가지에서는 마주나고 달걀모양 또는 달걀상 타원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있고 맥 위에 더 많이 있으며 뒷면은 흰색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뒤로 다소 말린다
꽃받침은 바소꼴이며 5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조각은 바소꼴로서 길이 약 10-12mm, 화관은 종처럼 생기며 13mm 끝이 5개로 갈라안쪽이 어두운 자주빛이 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의 끝부분은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9~10월에 익으며 끝부분이 3갈래로 터져 종자가 나온다
줄기 줄기는 가늘고 약간 자색을 띠며 시계방향으로 다른 나무에 감겨 올라간다
질겨서 잡아 당겨도 끊어지지 않고 자르면 유액 나오지만 향이 전혀 나지 않았다
뿌리 뿌리는 굵지 않고 작은 크기로 동그란 모양
분포 제주도 한라산 높은 숲속
형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유사종 더덕(C. lanceolata)은 주로 산 중턱의 숲속에서 자라므로 뿌리는 중앙부가 비대해져 굵고 약간 길다.
종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 잎이 4윤생처럼 보이고, 잎자루가 없다. 뿌리가 도라지 모양이다.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 뿌리가 공 모양이다.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 잎이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다.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 전체가 소형이고 줄기가 질겨서 잘 끊어지지 않는다.
특징 전체가 소형이고 털이 많으며 끊어지지 않는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l. Quelpaert Isl. 85 (Nakai, 1914)
참고문헌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초롱꽃

    학명 : Campanula punctata L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롱꽃속(Campanula) target=_blank>초롱꽃속(Campanula)</a>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심장상 난형이며 경생엽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거나 없고 삼각상 난형이거나 넓은 피침형이며 뾰족한 끝이 둔하게 그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길이 5~8cm 폭 1.5~4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 또는 연한 홍자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긴 화경 끝에 종같은 꽃이 달려 밑으로 처진다. 꽃의 길이는 4~8cm이며 꽃통은 3.5cm로 아래를 향하여 핀다. 꽃받침은 5개로 좁게 갈라지며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열편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으며 수술은 5개 암술 1개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삭과는 8-9월에 익으며 자방 3실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흔히 옆으로 자라는 포복지(匍匐枝)가 있다. 줄기는 중상부에서 가지를 치며 잔털이 있다.
    뿌리 : 잔근성이며 지하경이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동부시베리아에 분포한다. 남부와 중부 중부지역의 산의 낮은 곳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자주초롱꽃(C. p. var. rubiflora Max.) : 평북에서 자라며 짙은 자주색 꽃이 핀다. ▶섬초롱꽃(C. takesimana) : 울릉도에서 자생하며 전체적으로 대형이다. 잎과 줄기에 광택이 있으며 꽃은 자주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다. ▶흰섬초롱꽃(C. takesimana Nak. for. alba T. Lee) ▶자주섬초롱꽃(C. takesmmana Nak. purpurea T. Lee)은 울릉도에 자생한다.

    Read More
  2. No Image

    진퍼리잔대

    학명 : Adenophora palustris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이명 : 선모시나물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다소 얇고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이 둔하거나 둥글며 길이 2-5㎝ 폭 1-2㎝로서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희미하거나 뚜렷하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고 밑으로 처지며 소포는 넓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잎같으며 톱니가 있고 소화경은 길이 1-4mm이다. 꽃받침열편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1-2개의 톱니가 있으며 화관은 윗부분이 넓은 종형이고 길이 1-1.5cm로서 연한 누른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줄기 : 높이가 70cm에 달하고 곧게 서며 능선 위에 털이 다소 있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진안 무주 지리산 등 강원도 이남의 깊은 산 습지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3. No Image

    좀층층잔대

    학명 : Adenophora verticillata var. abbreviata H.L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잎 : 경생엽은 돌려나거나 가끔 마주나고 피침형 타원형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엽병은 없다. 잎은 길이 1.6~4.4cm 너비 0.8~1.6cm이며 엽선은 뾰족하거나 둔하며 잎겨드랑이는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유저이다.
    꽃 : 꽃차례는 원추꽃차례로 가지는 돌려난다. 꽃은 방사상칭이며 소화경이 있고 꽃받침열편은 5개로 선형이며 톱니는 없다.

    줄기 : 줄기는 모여나며 털은 없다.
    뿌리 : 뿌리는 신장형으로 가늘고 길다.
    분포 : 한반도(제주도 한라산)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Read More
  4. No Image

    잔대

    학명 :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이명 : 가는잎딱주갯딱주 층층잔대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거의 원심형이며 꽃이 필 때쯤되면 없어지고 경생엽은 윤생 대생 또는 호생하며 긴 타원형 난상 타원형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4-8cm 나비 5-40mm로서 양끝이 좁으며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엉성한 원추화서를 형성하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하위자방 위에 열편이 달리며 화관은 종형이고 길이 13-22mm이며 하늘색이고 끝이 좁아지지 않는다. 암술대는 약간 밖으로 나오며 3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로서 화통으로부터 떨어지며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고 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끝에 꽃받침이 달린 채로 익으며 술잔 비슷하고 측면의 능선 사이에서 터진다.
    줄기 : 높이 40-120cm이고 곧게 선다. 전체에 잔털이 있다.
    뿌리 : 뿌리가 굵다. 일본에서는 이 뿌리를 사삼(沙蔘)이라 하고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등 온대에서 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톱잔대 넓은잔대 층층잔대 가는층층잔대 당잔대 등이 있다.
    특징 : 대표적인 산나물의 하나로 `딱주`라 하여 따로 이름이 주어져 있다.
    Read More
  5. No Image

    자주꽃방망이

    학명 :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ex KerGaw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롱꽃속(Campanula) target=_blank>초롱꽃속(Campanula)</a>
    이명 : 꽃방망이꽃방맹이 자주꽃방맹이 자지꽃방맹이
    잎 : 근생엽은 긴 엽병을 갖는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넓은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5-10cm 나비 1-3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으로서 원줄기 끝에 10개 정도가 두상으로 모여 위를 향해 달리지만 윗부분의 엽액에도 달리며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상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고 화관은 길이 2-3c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3실이며 종자는 작고 많으며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4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많다.
    뿌리 : 짧은 근경이 옆으로 자라며 퍼지고 다소 밑으로 굽은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와 남해안을 제외한 전국에 거의 분포하나 주로 중북부 지방의 표고 500m 이상되는 지역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자주꽃방망이(Campanula glomerata for. alba Nakai) : 백두산과 태백산에서 자라는 다년초로 원줄기 끝과 잎 겨드랑이마다 흰꽃이 몇 송이씩 붙는다. 통꽃 끝은 5개로 갈라진다. 어린싹을 나물로 한다.
    특징 : 고산성식물이다.
    Read More
  6. No Image

    인천잔대

    학명 : Adenophora remotidens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잎 : 경생엽은 어긋나고 엽병이 약간 있으며 두껍고 피침상 긴 타원형으로 길이 2.54~5cm이다. 끝부분은 약간 둔하며 잎가장자리는 둔한 톱니 또는 톱니가 있으며 털이 있고 뒷면은 담녹색이다.
    꽃 : 꽃차례는 좁은 원추꽃차례로 소화경에는 털이 있다. 꽃은 흰색으로 길이 1.27cm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좁고 톱니가 있다. 화관은 좁은 종형이며 열편은 삼각형이다. 암술은 길게 돌출하며 수술 기부는 넓고 털이 있다.

    줄기 : 줄기는 직립 단생하며 가늘고 털이 있다.

    분포 : 한반도(인천 제물포)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Read More
  7. No Image

    외대잔대

    학명 : Adenophora racemosa J.Lee & S.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잎 : 잎 뒷면이 백녹색이고 털이 아주 드물거나 없다.
    꽃 : 원추화서가 없다. 화관이 곤상이고 화반(花盤)은 구형이다.



    분포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 북대사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넓은잔대(A.divaricata var. manshurica) ▶왕잔대(A.tyosenensis): 화관이 넓은 종형이고 화반이 긴 원통형이다. ▶금강모시대(A.pulcher Kitamura)
    특징 : ▶출전:Kor.J.Plant Tax.vol.20(2) 1990 6
    Read More
  8. No Image

    왕잔대

    학명 : Adenophora tyosenensis Nakai ex T.H.Chu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잎 : 잎은 5장씩 윤생하지만 윗부분에서는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거의 엽병이 없으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8cm 나비 3cm이고 표면에 비듬같은 털이 다소 밀생하며 뒷면 주맥 위에 긴 백색 털이 산생하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피침형이고 거의 밋밋하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자주색으로서 종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과 화서축에 원줄기와 더불어 백색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통부보다 길고 밋밋하며 통부와 더불어 털이 다소 있고 화관은 거의 길이 15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밖으로 훨씬 나와 있고 윗부분이 굵으며 짧은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종선과 더불어 긴 백색 털이 다소 밀생한다.

    분포 : 전라북도 덕유산 함경남도 부전 고원의 산지 등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

    특징 : 잔대보다 전체가 크고 잎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Read More
  9. No Image

    영아자

    학명 : Asyneuma japonicum (Miq.) Br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영아자속(Asyneuma) target=_blank>영아자속(Asyneuma)</a>
    이명 : 여마자 염마자염아자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장란형으로 길이 5~12cm 나비 2.5~4cm이며 양끝이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하부의 잎은 엽병이 있고 중부의 것은 기부에 날개가 있는 짧은 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소형으로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7∼9월에 자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화서 밑부분에서는 갈라지고 포는 선형이며 소화경은 1~3mm이다. 꽃받침조각은 선형으로 밋밋하고 화관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뒤로 말리고 수술은 기부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끝이 3열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지름 5~6mm이다. 납작한 공 모양이고 세로 맥이 뚜렷하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능선이 있고 전체에 털이 약간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0. No Image

    애기도라지

    학명 : Wahlenbergia marginata (Thunb.) A.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애기도라지속(Wahlenbergia) target=_blank>애기도라지속(Wahlenbergia)</a>
    이명 : 아기도라지 좀도라지 하늘도라지
    잎 :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근생엽과 더불어 도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 2~4cm 폭 3~8mm로서 가장자리가 흰빛이 돌고 두꺼우며 흔히 파상으로 되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적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하늘색으로서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2-3mm로서 곧게 선다. 화관은 깔대기모양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길이 5-8mm이다. 5개의 수술과 1개 암술이 있다. 암술머리는 2~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곧게 서며 도원추형이고 길이 6~8mm의 삭과로서 포배에서 갈라진다. 종자는 여러 개이고 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4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가늘고 곧게 서며 흔히 밑에서 갈라지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와 다도해 도서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도라지꽃과 비슷한 소화가 피기 때문에 애기도라지라고 한다.
    Read More
  11. No Image

    애기더덕

    학명 : Codonopsis minim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더덕속(Codonopsis) target=_blank>더덕속(Codonopsis)</a>
    이명 : 섬더덕 애기소경불알
    잎 : 잎은 어긋나지만 작은 가지에서는 마주나고 달걀모양 또는 달걀상 타원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있고 맥 위에 더 많이 있으며 뒷면은 흰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뒤로 다소 말린다
    꽃받침은 바소꼴이며 5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조각은 바소꼴로서 길이 약 10-12mm, 화관은 종처럼 생기며 13mm 끝이 5개로 갈라안쪽이 어두운 자주빛이 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의 끝부분은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9~10월에 익으며 끝부분이 3갈래로 터져 종자가 나온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약간 자색을 띠며 시계방향으로 다른 나무에 감겨 올라간다
    질겨서 잡아 당겨도 끊어지지 않고 자르면 유액 나오지만 향이 전혀 나지 않았다

    뿌리 : 뿌리는 굵지 않고 작은 크기로 동그란 모양
    분포 : 제주도 한라산 높은 숲속
    형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유사종 : 더덕(C. lanceolata)은 주로 산 중턱의 숲속에서 자라므로 뿌리는 중앙부가 비대해져 굵고 약간 길다.
    종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 잎이 4윤생처럼 보이고, 잎자루가 없다. 뿌리가 도라지 모양이다.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 뿌리가 공 모양이다.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 잎이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다.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 전체가 소형이고 줄기가 질겨서 잘 끊어지지 않는다.

    특징 : 전체가 소형이고 털이 많으며 끊어지지 않는다.
    Read More
  12. No Image

    숫잔대

    학명 : Lobelia sessilifolia Lam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숫잔대속(Lobelia) target=_blank>숫잔대속(Lobelia)</a>
    이명 : 습잔대잔대아재비 진들도라지
    잎 : 잎은 호생하며 다소 밀생하고 중앙부의 잎은 피침형이며 엽병이 없고 끝이 길게 좁아지다가 둔해지며 길이 4-7cm 폭 0.5-1.5cm로서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고 윗부분의 잎은 점점 작아져서 포엽으로 되며 밑부분의 잎은 다소 짧고 끝이 둔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벽자색이고 원줄기 끝에 1개의 총상화서가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2mm이고 화관은 중앙가지 양순형으로 갈라지며 하순은 3개로 중앙까지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긴 연모(軟毛)가 있다. 꽃받침은 자방에 붙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길이 8-10mm이며 긴 타원형으로 포배에서 터지고 종자는 편평한 난형이며 길이 1.5mm정도로서 윤채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가지와 털이 없다.
    뿌리 : 짧고 굵은 근경이 있다.
    분포 : 제주도 및 남부 다도해 지역을 제외한 전국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양지성 습지식물. 종명 sessilifolia는 `대가 없는 잎`의 뜻으로 잎에 엽병이 없음을 나타낸다.
    Read More
  13. No Image

    수원잔대

    학명 : Adenophora poly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이명 : 개모싯대 개잔대관악잔대 긴털꽃잔대 깔끔잔대 껄끔모싯대 꽃잔대 돌잔대수모시나물 잔털잔대 좀꽃모시나물 좀꽃잔대 지리모시나물지리산잔대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중앙부의 잎은 길이 3-4cm 나비 5-10mm로서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리며 톱니가 드물게 있어 톱잔대와 비슷하지만 톱니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하늘색으로서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6-8mm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화관은 길이 2.2cm정도로서 윗부분이 넓으며 암술대가 밖으로 길게 나온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다소 단단해 보인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형태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식별하기 어려우며 톱잔대와의 중간형도 나타난다.
    Read More
  14. No Image

    수염용담

    학명 : Gentianopsis barbata (Froel.) 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염용담속(Gentianopsis) target=_blank>수염용담속(Gentianopsis)</a>
    이명 : 수염과남풀
    잎 : 근엽은 도피침상 비짜루모양으로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까칠까칠하며 경엽은 대생하고 장선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4~10cm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없다.
    꽃 : 꽃은 9월에 연한 하늘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게 뾰족하고 길이는 화통부와 거의 같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장 타원형이며 2개로 갈라진다.


    분포 : 함남북에 나며 만주 중국 아무르 몽고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Read More
  15. No Image

    수염가래꽃

    학명 : Lobelia chinensis Lou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숫잔대속(Lobelia) target=_blank>숫잔대속(Lobelia)</a>
    이명 : 수염가래
    잎 : 잎은 호생하여 2줄로 배열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1-2cm 폭 2-4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8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이 돌며 소화경은 길이 1.5-3cm로서 한 가지에서 1-2개씩 액생하고 꽃이 필 때는 곧게 서지만 꽃이 진 다음에는 처진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길이 1cm정도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한쪽으로 치우쳐서 좌우 비대칭이 된다. 수술은 합쳐져서 암술을 둘러싸며 자방은 하위이고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길이 5-7mm이며 종자는 적갈색이고 길이 1/3mm정도로서 미끄럽다.
    줄기 : 높이 3-15cm이고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뿌리가 내리고 옆으로 선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도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Read More
  16. No Image

    소경불알

    학명 :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더덕속(Codonopsis) target=_blank>더덕속(Codonopsis)</a>
    이명 : 만삼아재비 소경불알더덕 알더덕알만삼
    잎 : 잎은 호생하나 측지에서는 4개의 잎이 대생한 것 같이 보이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짧은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2~4.5cm 너비 1.2~2.5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백색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잎(열편)은 길이 1-1.5cm 나비 4-6mm로서 녹색이다. 꽃부리(화관)은 종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약간 뒤로 말리고 길이 2-2.5cm로서 안쪽은 짙은 자주색이며 겉은 윗부분이 더욱 짙은 자주색이고 밑부분은 연한색이다.
    열매 : 열매는삭과이고 10~11월경에 원추형으로 맺는다.
    줄기 : 덩굴
    뿌리 : 뿌리는 둥굴거나 더덕 비슷하지만 전체에 털이 있고 괴근 끝이 가늘어지지 않아 둥근 모양이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일본,중국,아무르,우수리

    형태 : 덩굴성의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같은 Codonopopsis속 식물로 우리 나라에서는 만삼(C. pilosula)은 해발 1 000m 정도의 능선 밑이나 사면에 주로 서식하는데 뿌리가 가늘고 길어 깊게 자란다.

    더덕(C. lanceolata)은 주로 산 중턱의 숲속에서 자라므로 뿌리는 중앙부가 비대해져 굵고 약간 길다.
    종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 잎이 4윤생처럼 보이고, 잎자루가 없다. 뿌리가 도라지 모양이다.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 뿌리가 공 모양이다.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 잎이 어긋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다.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특징 : 얼핏보기에 만삼같지만 뿌리가 길지 않다. 산지의 낮은 곳 습지에서 자라는 소경불알은 뿌리가 길어지지 않고 둥글게 자란다. 즉 토양을 비롯한 환경조건에 적응하면서 지하부의 형태가 적절히 진화했다고 생각된다.
    Read More
  17. No Image

    섬초롱꽃

    학명 : Campanula takesim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롱꽃속(Campanula) target=_blank>초롱꽃속(Campanula)</a>

    잎 : 근생엽은 길이 20cm 나비 3.5-8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흔히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위로 가면서 긴 타원형으로 되고 엽병에 날개가 있어 밑부분으로 원줄기를 감싸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줄기 위 엽액에서 총상화서를 이루어 아래를 향해 피고 연한 자주색 바탕에 짙은 색의 반점이 있으며 길이 3-5cm이다. 꽃받침열편은 길이 1-1.5cm로서 털이 거의 없으며 열편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다.

    줄기 : 높이 30-100cm 이고 비교적 털이 적으며 능선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줄기는 비대하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라며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분포 :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섬초롱꽃 for.alba T.Lee : 기본종과 같이 자라며 백색 바탕에 짙은 색의 반점이 있다. ▶자주섬초롱꽃 for.purpurea T.Lee : 꽃이 짙은 자주색이다. ▶초롱꽃(C. punctat Nakai)은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 Nakai)은 남방한계선을 경기도 용문산으로 하여 명지산 오대산 설악산양로봉 등지에 자생하는데 고산성 식물이므로 재배시에는 지나치게 도장하고 꽃의 색도 자생
    특징 : 일반적으로 초롱꽃에 비하여 꽃에 자주색 반점이 많이 있다. 자주색 꽃이 피는 자주 섬초롱꽃과 흰 꽃이 피는 흰 섬초롱꽃의 2가지가 있다. 속명 Campanula는 라틴어 campana(鐘)의 축소형으로 작은 종모양의 꽃이 피는 것을 나타낸다.
    Read More
  18. No Image

    섬잔대

    학명 : Adenophora taquetii H.Le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잔대속(Adenophora) target=_blank>잔대속(Adenophora)</a>
    이명 : 개딱주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도란상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1.5~2cm 폭 1~1.5cm로서 질이 약간 두텁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4~5쌍의 잔 톱니가 있고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하늘색이고 1개 내지 소수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포는 피침형이고 잎같으며 소포와 더불어 톱니가 있는 것도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색이며 꽃받침열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7mm정도로서 톱니와 털이 없으며 옆으로 퍼지고 끝이 약간 뒤로 젖혀진다. 화관은 종형이며 길이 2cm정도로서 끝이 5~6개로 갈라져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수술보다 길고 굵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수술과 더불어 꽃부리 밖으
    열매 : 긴 타원상의 삭과이며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줄기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잎이 달린 자리에서 줄이 생기며 곧게 자라지만 총생할 때는 옆으로 굽었다가 끝부분만이 선다.
    뿌리 : 굵게 비대한 덩이 뿌리가 땅속 깊이 있으며 여러개의 줄기가 갈라져 곧게 뭉쳐 난다.
    분포 : 한라산 정상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섬에서 자라기 때문에 섬잔대라고 한다.
    Read More
  19. No Image

    새수염가래꽃

    학명 : Lobelia chinensis var. tetrapetal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숫잔대속(Lobelia) target=_blank>숫잔대속(Lobelia)</a>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길이 1~2cm 너비 2~4mm이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소형으로 흰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1~2송이씩 나온다. 꽃자루의 길이는 1.5~3cm이고 화관은 입술 모양이며 길이 1cm정도이다. 5갈래이고 갈래는 피침형이고 좌우 상칭한다. 씨방 하위 꽃받침 조각은 5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5~7mm이고 꽃받침이 남아 있다.
    줄기 : 줄기는 보통 땅에 깔리며 마디에서 뿌리가 갈라져 나온다. 전체에 털이 없다.

    분포 : 한국(전북 옥구)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수염가래꽃과 닮았으나 꽃잎이 4갈래이다.
    Read More
  20. 백도라지

    학명 : Platycodon grandiflorum f. albiflorum (Honda) H.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초롱꽃과(Campanulaceae) target=_blank>초롱꽃과(Campan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도라지속(Platycodon) target=_blank>도라지속(Platycodon)</a>
    이명 : 백길경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긴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4-7cm 나비 1.5-4c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개가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0.5-5mm로서 삼각상 피침형이며 화관은 끝이 퍼진 종형이고 지름 4-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5실이며 암술대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도란형이고 꽃받침열편이 달려 있으며 포간(胞間)으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원줄기를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뿌리 : 뿌리가 굵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도라지 : 기본종 ▶겹도라지 (for. duplex MAK.): 꽃이 겹으로 되어 있다. ▶흰겹도라지 (for. leucanthum HARA) : 백색 꽃이 피는 겹도라지.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