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쉬나무

조회 수 1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Euodia daniellii Hemsl.
과명 운향과(Rutaceae)
속명 쉬나무속(Euodia)
이명 디지나무소동백나무쇠동나무 수유나무 시유나무
잎은 대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1개이고 타원형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점첨두이지만 끝이 둔하고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5~12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맥액에 꼬부라진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선점과 더불어 잔톱니가 있다. 소엽병은 거의 없으며 엽병은 길이 3-6cm이다.
꽃은 잡성화 또는 암수딴그루로서 8월에 백색으로 피고 길이 4~5mm로서 향기가 적으며 가지끝에 길이 7-8cm의 취산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짧으며 꽃잎은 길이 3mm로서 안쪽에 털이 있고 안으로 굽는다. 헛수술은 5개이며 자방은 꽃잎보다 약간 짧고 암술대가 5개이다.
열매 둥근모양의 삭과는 5개로 갈라지며 길이 8mm로서 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타원형으로 검정색을 띠며 윤채가 있고 등유로 이용한다.
줄기 소지는 회갈색이며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2년생 가지는 적갈색으로 피목이 특히 발달하였다. 동아는 2개의 아린으로 싸이며 갈색 털로 덮인다.
분포 ▶중국 등에 분포한다. ▶중부이남 및 황해도 등의 표고 100~600m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타원형(장소에 따라 차이가 많다.)
유사종 ▶오수유(E.officinalis Dode): 소엽이 7-16개이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열매는 원두(圓頭)인 것. 꽃은 5-6월에 피며 중국 원산으로 약으로 쓰인다.
특징 꽃이 귀한 8월경에 산방상으로 피는 백색꽃이 나무 전체를 수놓으며 10월경에 적색으로 익는 열매도 아름답다. 수세가 강건하고 생장이 빠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J. Linn. Soc., Bot. 23 : 104 (1886)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황벽나무

    학명 : Phellodendron amurense Rup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황벽나무속(Phellodendron) target=_blank>황벽나무속(Phellodendron)</a>
    이명 : 황경나무 황경피나무 황병피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13개이며 피침상 난형 또는 난형이고 미상(尾狀) 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5-10㎝ 넓이 3-5㎝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고 진녹색이며 뒷면은 백색이고 엽맥 기부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원추화서는 잔털이 있으며 지름 5-7cm이고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가지 끝에 모여 황록색으로 피며 길이 6mm로서 소화경이 짧고 화피는 5-8개이다. 꽃받침열편은 짧으며 꽃잎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 밑부분과 더불어 내면에 털이 있고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핵과는 둥글고 7-10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겨울 동안 나무에 그대로 달려 있고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굵고 사방으로 퍼지며 수피는 연한 회색으로 코르크질이 잘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고 내피는 황색이다. 내피를 건위제로 이용하고 황벽이란 이름은 황색 내피에서 온 것이다.

    분포 : ▶중국과 일본 우수리 아모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표고 1 300m이하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털황벽(P. molle Nak.) : 잎 뒷면에 융모가 있다. ▶섬황벽(P. insulare Nak.) : 소엽이 3-5쌍이다. ▶넓은잎황벽(P. sachalinense Sarg.) : 황벽나무에 비하여 잎의 폭이 넓고 코르크층이 얕다.
    특징 : 꽃은 6월에 눈에 잘 띠지 않는 대신 수평으로 배열된 가지의 패턴과 코르크가 잘 발달되어 수직으로 갈라진 수피 그리고 약한 그늘을 제공하는 수관이 이 수목의 특징이다. 변재는 갈색의 줄무늬가 있는 회백색 심재는 황갈색으로 심 변재의 구분은 희미하나 연륜은 뚜렷하다.
    Read More
  2. No Image

    화태황벽나무

    학명 : Phellodendron amurense var. sachalinense F.Schmidt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황벽나무속(Phellodendron) target=_blank>황벽나무속(Phellodendron)</a>
    이명 : 넓은잎황경피나무 넓은잎황벽나무 넓은황벽나무 섬황경피나무 섬황벽 큰황경피나무 )큰황벽나무 화태황경피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3-5쌍이며 피침상 난형 또는 난형이고 미상(尾狀) 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5-10㎝ 넓이 3-5㎝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고 진녹색이며 뒷면은 백색이고 엽맥 기부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원추화서는 잔털이 있으며 지름 5-7cm이고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가지 끝에 모여 황록색으로 피며 길이 6mm로서 소화경이 짧고 화피는 5-8개이다. 꽃받침열편은 짧으며 꽃잎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 밑부분과 더불어 내면에 털이 있고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핵과는 둥글고 7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겨울 동안 나무에 그대로 달려 있고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굵고 사방으로 퍼지며 수피는 연한 회색으로 코르크질이 잘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고 내피는 황색이다. 내피를 건위제로 이용하고 황벽이란 이름은 황색 내피에서 온 것이다.

    분포 : 전국 심산의 표고 1 300m 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털황벽(P. molle Nak.) : 잎 뒷면에 융모가 있다. ▶넓은잎황벽(P. sachalinense Sarg.) : 코르크층이 얇고 잎에 연모가 적다.

    Read More
  3. No Image

    털황벽

    학명 : Phellodendron amurense f. molle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황벽나무속(Phellodendron) target=_blank>황벽나무속(Phellodendron)</a>
    이명 : 우단황경나무 우단황벽나무 털황경피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13개이며 피침상 난형 또는 난형이고 미상(尾狀) 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5-10㎝ 넓이 3-5㎝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고 진녹색이며 잎 뒷면에는 융모가 있다.
    꽃 : 원추화서는 잔털이 있으며 지름 5-7cm이고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가지 끝에 모여 황록색으로 피며 길이 6mm로서 소화경이 짧고 화피는 5-8개이다. 꽃받침열편은 짧으며 꽃잎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 밑부분과 더불어 내면에 털이 있고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핵과는 둥글고 7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겨울 동안 나무에 그대로 달려 있고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굵고 사방으로 퍼지며 수피는 연한 회색으로 코르크질이 잘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고 내피는 황색이다. 내피를 건위제로 이용하고 황벽이란 이름은 황색 내피에서 온 것이다.

    분포 : 전국 심산의 표고 1 300m 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섬황벽(P. insulare Nak.) : 소엽이 3-5쌍이다. ▶넓은잎황벽(P. sachalinense Sarg.) : 코르크층이 얇고 잎에 연모가 적다.
    특징 : 털황벽은 황벽나무에 비하여 잎 뒤에 융모가 있다.
    Read More
  4. No Image

    털초피나무

    학명 : Zanthoxylum piperitum f. pubescens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잔털좀피나무 털산초나무 )털초피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0개이고 난형 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미요두 예저이고 길이 1-3.5cm로서 4-7개의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의 기부와 엽면 및 정점에 선점이 있고 향기가 있으며 잎 중앙부에 연한 황록색 반문(斑紋)이 있고 흔히 엽축에 가시가 있다. 잎에 털이 많이 있다.
    꽃 : 복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연한 황록색 꽃이 달리고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5개씩의 화피와 수술이 있고 꽃잎이 없으며 자방은 떨어져 있으며 기부에 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적갈색으로서 구형이며 선점(線點)이 있고 9월에 익으며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성숙한 과피를 말린 것을 산초(山椒)라 한다.
    줄기 : 높이 3m에 달하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탁엽이 변한 가시는 밑으로 약간 굽었으며 길이 1cm로 마주보며 달린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초피나무(Z. piperitum A.P. DC.): 중부 이남에서 자라며 잎에는 털이 없다.

    Read More
  5. 털백선

    학명 : Dictamnus dasycarpus f. velutinus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선속(Dictamnus) target=_blank>백선속(Dictamnus)</a>
    이명 : 털검화 )
    잎 :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으로서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투명한 유점(油點)이 있으며 털이 많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2.5cm이고 꽃잎은 5개이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0.5-2cm로서 털과 더불어 선모(腺毛)가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와 더불어 처지지만 끝이 위로 향한다.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삭과는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가 90cm에 달한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청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백선
    특징 : 백선과 닮았으나 잎에 털이 많음
    file
    Read More
  6. No Image

    탱자나무

    학명 : Poncirus trifoliata Ra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탱자나무속(Poncirus) target=_blank>탱자나무속(Poncirus)</a>

    잎 : 잎은 호생하고 삼출엽이며 엽병에 날개가 약간 있다. 소엽은 혁질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로서 둔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둔한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정도이고 잎 표면에 투명점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3.5-5cm로서 정생 또는 액생하고 1개 또는 2개씩 달리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5개가 이생하고 꽃잎은 길이 1.5cm정도이며 개출한다. 수술은 20개이고 털은 없으며 자방은 8-10실로 나뉘고 밀모가 있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며 지름 3cm로서 향기가 좋으나 먹을 수 없고 9-10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1.3cm쯤 된다. 어린 가지는 약간 편평하고 녹색이다.
    줄기 : 가지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3-5㎝정도의 굳센 가시가 호생한다. 가시와 가지가 녹색이므로 다른 식물과 쉽게 구별된다.

    분포 : 경기 이남 표고 700m 이하의 따뜻한 지역에서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천연기념물 제78(경기도 강화군 강화읍)호 79(경기도 강화군 화도면)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1주(株) 13㎡ ⓑ소유자:개인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년 ⓔ나무높이:4m ⓕ뿌리목둘레:1m. 이 나무는 강화도 역사박물관에 이웃해서 토성의 비탈면 아래쪽에 보호를 위해 철책에 둘러싸여있고 석축이 되어 있어서 나무에 해로운 흙이 유실은 염려없다. 굵은 줄기의 아래쪽 내부는 목질부가 부후해 있고 줄기에는 독특한 골이 세로로 나 있다. 건
    Read More
  7. No Image

    초피나무

    학명 : Zanthoxylum piperitum (L.)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산초나무 좀피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0개이고 난형 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미요두 예저이고 길이 1-3.5cm로서 4-7개의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의 기부와 엽면 및 정점에 선점이 있고 향기가 있으며 잎 중앙부에 연한 황록색 반문(斑紋)이 있고 흔히 엽축에 가시가 있는 경우도 있다. 잎의 기부에 길이 1㎝의 대생한 가시가 있다.(산초나무의 가시는 호생임)
    꽃 : 복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연한 황록색 꽃이 달리고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5개씩의 화피와 수술이 있고 꽃잎이 없으며(산초나무는 꽃잎이 없음) 자방은 떨어져 있으며 기부에 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적갈색으로서 구형이며 선점(線點)이 있고 9-10월에 익으며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성숙한 과피를 말린 것을 산초(山椒)라 한다.
    줄기 : 높이 3m에 달하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탁엽이 변한 가시는 밑으로 약간 굽었으며 길이 1cm로 대생한다.(산초나무는 호생임)

    분포 : 표고 50~1 300m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충남 강원 황해도에 야생한다.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산초나무(Z. Schinifolium s. et Z.) 잔잎이 6~10쌍으로 더 많고 가시가 불규칙하게 1개씩 호생하며 꽃은 꽃잎이 있고 잎에 초피나무 같은 향기가 없다. 따라서 산초나무는 식용으로는 쓰지 않으며 열매를 소염제로 타박상이나 유종에 쓴다.(주로 외과용) ▶털초피나무(Z. p. var. pubescens) : 잎에 털이 많고 제주도에서 자란다. ▶개산초나무(Z. planispinum) : 소엽 3-7개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고 상록
    특징 :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 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에는 후박나무 식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마삭나무 먼나무 산초나무 자귀나무 닥나무 딱총나무 푸조나무 산뽕나무 새비나무 화살나무 쥐똥나무 사위질빵 칡 왕머루등이 자라고 있다. ▶제피나무 젠피나무라고도 하며 민물고기 요리의 비린내를 없애는 향신료로서 오랜 옛날부터 널리 사용된
    Read More
  8. No Image

    좀산초나무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f. microphyllum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좀분지나무 좀산초
    잎 :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13-21개이고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가늘고 길이 1cm미만이다.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축에 잔가시가 있으며 산초특유의 향기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지름 3mm로서 연한 녹색이고 향기가 없으며 정생하는 길이 5-10cm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에 마디가 있다. 꽃받침잎은 난상 원형이며 꽃잎은 길이 2mm로서 피침형이고 안으로 꼬부라지며 각각 5개이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같고 곧추서기 때문에 밖으로 나오며 암술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길이 약 4mm이며 녹갈색에서 홍색으로 익고 흑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에 가시가 엇갈려서 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 000m 이하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민산초(var. inermis T.Lee): 가시가 없는 것. ▶전주산초(var. subinermis T.Lee): 가시의 길이가 2㎜ 이내이며 잎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인 것. ▶초피나무(Z. piperitum A. P. DC.): 꽃잎이 없고 소지에는 잎의 양쪽에 커다란 가시가 있으며 소엽이 9-19개인 것.
    특징 : 맹아력은 보통이다.
    Read More
  9. No Image

    좀머귀나무

    학명 : Zanthoxylum fauriei (Nakai)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15~30cm로서 기수우상복엽이며 엽병은 길이 약 3cm이다. 소엽은 7-11쌍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7.5cm정도로서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뒷면이 회록색이며 엽병과 가시에 붉은빛이 돈다. 소엽은 소엽병이 없고 길이 4~8cm 나비 1~2cm로서 끝 부분으로 갈수록 차츰 좁아지고 끝이 패어지며 투명한 점이 있고 미세하게 둔한 톱니가 있으며 각각의 쑥 들어간 곳에 투명한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로 피고 길이 12cm의 화경이 있는 산형상 원추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둥글고 미세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약 2mm이다.
    열매 : 삭과는 구형이고 지름 5-6㎜로서 11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흑색으로 광택이 나며 향기가 적고 매운맛이 있는데 새와 짐승의 먹이가 된다.
    줄기 : 가지는 굵고 어릴 때는 적색을 띠며 종종 백분(白粉)이 있고 불규칙적으로 가시가 있다.

    분포 :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민머귀나무(var.inermis T.Lee) : 가시가 없으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대부분의 줄기가 셋으로 갈라져 3지목(三枝木)같은 인상을 준다.
    Read More
  10. No Image

    왕초피나무

    학명 : Zanthoxylum corean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왕산초나무 왕좀피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윤채(潤彩)가 있고 향기가 강하다. 소엽은 7-13개이며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밑은 좁고 끝은 날카로우며 길이 2~5cm 넓이 1-3㎝로서 정소엽은 엽병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투명한 선점과 더불어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축과 엽낵에 흔히 가시가 있다.
    꽃 : 화서는 짧은 원추화서이며 지름 4-6㎝로 액생하고 꽃은 단성으로서 5월에 피며 꽃잎이 없다. 수꽃은 5-6개의 꽃받침잎과 5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은 5-8개의 꽃받침잎과 2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붉은빛이 돌고 구형이며 선점(線點)이 있고 길이 5㎜ 지름 4㎜ 내외로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자라고 소지는 잔털이 있으며 길이 6~20mm의 굵고 굳센 가시가 마주난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700~1 100m 수평적으로 제주도에 야생하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특징 : 우리 나라 특산으로 제주도 저지대의 계곡이나 해변에서 자라는 희귀종으로 맹아력이 강하다.
    Read More
  11. No Image

    오수유

    학명 : Euodia officinalis Dod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쉬나무속(Euodia) target=_blank>쉬나무속(Euodia)</a>
    이명 : 당수유 약수유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7-15개이며 소엽병이 짧고 난형 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점첨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8cm로서 표면은 어릴때 털이 있지만 중륵 이외의 것은 점차 없어지고 뒷면에 털이 있다.
    꽃 : 산방화서는 정생 또는 측생하며 지름 6-11cm로서 털이 있고 꽃은 녹황색으로 5~6월에 피며 빽빽이 나며 거의 소형이다.
    열매 : 삭과는 붉은 빛이 돌며 원두이고 4개의 심피(心皮)가 있으며 길이 5-6mm로서 거칠며 종자는 거의 둥글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 4mm정도로서 하늘색이 돈다. 과실을 오수유라고 한다.
    줄기 :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50m 수평적으로 경북(경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이다.
    유사종 : ▶쉬나무(E. daniellii Hensley): 잎은 7-11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길이 5-12㎝이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선점과 톱니가 있다.

    Read More
  12. No Image

    쉬나무

    학명 : Euodia daniellii Hems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쉬나무속(Euodia) target=_blank>쉬나무속(Euodia)</a>
    이명 : 디지나무소동백나무쇠동나무 수유나무 시유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1개이고 타원형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점첨두이지만 끝이 둔하고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5~12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맥액에 꼬부라진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선점과 더불어 잔톱니가 있다. 소엽병은 거의 없으며 엽병은 길이 3-6cm이다.
    꽃 : 꽃은 잡성화 또는 암수딴그루로서 8월에 백색으로 피고 길이 4~5mm로서 향기가 적으며 가지끝에 길이 7-8cm의 취산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짧으며 꽃잎은 길이 3mm로서 안쪽에 털이 있고 안으로 굽는다. 헛수술은 5개이며 자방은 꽃잎보다 약간 짧고 암술대가 5개이다.
    열매 : 둥근모양의 삭과는 5개로 갈라지며 길이 8mm로서 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타원형으로 검정색을 띠며 윤채가 있고 등유로 이용한다.
    줄기 : 소지는 회갈색이며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2년생 가지는 적갈색으로 피목이 특히 발달하였다. 동아는 2개의 아린으로 싸이며 갈색 털로 덮인다.

    분포 : ▶중국 등에 분포한다. ▶중부이남 및 황해도 등의 표고 100~600m에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수형:타원형(장소에 따라 차이가 많다.)
    유사종 : ▶오수유(E.officinalis Dode): 소엽이 7-16개이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열매는 원두(圓頭)인 것. 꽃은 5-6월에 피며 중국 원산으로 약으로 쓰인다.
    특징 : 꽃이 귀한 8월경에 산방상으로 피는 백색꽃이 나무 전체를 수놓으며 10월경에 적색으로 익는 열매도 아름답다. 수세가 강건하고 생장이 빠르다.
    Read More
  13. No Image

    유자나무

    학명 : Citrus junos Siebold ex Tanak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귤속(Citrus) target=_blank>귤속(Citrus)</a>
    이명 : 산유자나무 유자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6-9㎝로서 긴 난상 타원형으로 긴 점첨두 둔저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백색으로 엽액에 1개씩 달리고 때로는 밑으로 처지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5-6월에 개화한다. 20개 정도의 수술은 5체 또는 밑부분에서 통상으로 합쳐지며 환상의 화반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편구형이고 외피는 울퉁불퉁하며 지름 4-7cm로 향기가 있고 외피와 신맛이 강한 내부가 잘 떨어지지 않으며 중심부가 비어 있고 10-11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4m에 달하며 가지에 길고 뾰족한 가시가 있다.

    분포 : 전남 등 남부 지방에 식재.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특징 : 본(本) 속(屬)중에서 가장 추위에 강하다.
    Read More
  14. No Image

    상산

    학명 : Orixa japonic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상산속(Orixa) target=_blank>상산속(Orixa)</a>
    이명 : 상산나무송장나무 일본상산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도란형이고 윤채가 나며 확대경으로 보면 엽맥에 투명한 세점이 많다. 첨두 설저이며 길이 5-13cm 너비 3-7cm로서 밑부분이 짧은 엽병으로 되고 독특한 냄새가 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파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은 황록색이며 뒷면 맥 위에 처음에는 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잎이 아직 어릴 때 황록색 꽃이 엽액에 달리며 수꽃은 총상화서에 달리고 4개씩의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과 1개의 퇴화된 암술이 있다. 암꽃은 1개씩 달리며 1개의 암술과 퇴화된 4개씩의 꽃받침 꽃잎 및 수술이 있고 암술머리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4개로 갈라지는 갈색 삭과로서 10-11월에 익으며 굳은 내과피가 반점함에 따라 길이 4㎜인 난원형의 흑색 종자가 멀리 흩어진다.
    줄기 : 어린줄기는 회백색으로 털이 난다.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수형을 이룬다.

    분포 : 제주도에서는 표고 1 300m에서도 자라고 남해안 지역에서는 산록과 계곡에 자생한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특징 : 생장이 빠르다.
    Read More
  15. No Image

    산초나무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분지나무 산추나무 상초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13-21개이고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좁아지면서 요두로 끝나고 밑부분이 예저이며 길이 1.5-5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축에 잔가시가 있다. 산초특유의 향기가 있다.
    꽃 : 자웅이주로서 꽃은 9월에 피며 지름 3mm로서 연한 녹색이고 향기가 없으며 정생하는 길이 5-10cm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에 마디가 있다. 꽃받침잎은 난상 원형이며 꽃잎은 길이 2mm로서 피침형이고 안으로 꼬부라지며 각각 5개이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같고 곧추서기 때문에 밖으로 나오며 암술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약 4mm이며 녹갈색에서 홍색으로 10월에 익고 흑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에 가시가 엇갈려서 난다. 소지에 1개씩 떨어져나는 가시가 있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 000m 이하의 산야에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민산초나무(var. inermis T.Lee): 가시가 없는 것으로 전남지역에 자란다. ▶전주산초(var. subinermis T.Lee): 가시의 길이가 2㎜ 이내이며 잎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인 것. ▶좀산초(var. microphyllum T.Lee): 잎이 가늘고 1㎝미만인 것. ▶초피나무(Z. piperitum A. P. DC.): 꽃잎이 없고 소지에는 잎의 양쪽에 커다란 가시가 있으며 소엽이 9-19개인 것.
    특징 :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산초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딱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충청북도 보령군 오천면 외연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2 727㎡정도이다. 이 상록수림에서 자라고 있는
    Read More
  16. 백선

    학명 : Dictamnus dasycarpus Turc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선속(Dictamnus) target=_blank>백선속(Dictamnus)</a>
    이명 : 검화자래초
    잎 :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으로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투명한 유점이 있다. 표면에는 작은 선점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2.5cm이고 꽃잎은 5개이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0.5-2cm로서 털과 더불어 선모가 있고 꽃잎에는 홍자색의 줄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와 더불어 처지지만 끝이 위를 향한다. 자방은 5실이다.
    열매 : 삭과는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가 90cm에 달하며 줄기의 윗부분에 털이 퍼져 난다.
    뿌리 : 굵은 뿌리가 있다.
    분포 : 만주 중국 동부시베리아에 분포.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털백선(D. dasycarpus Turez. var. velutinus)은 잎에 털이 많으며 청진에서 자란다.
    특징 : 산호랑나비 애벌레의 숙주식물 방향성 식물 속명 Dictamnus는 고대 희랍명으로 dicte(산에서)란 뜻으로 이 식물의 생육지를 나타내고 종명은 열매에 거센 털이 있다는 뜻이다.
    file
    Read More
  17. No Image

    민산초나무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var. inermis (Naka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민분지나무 민산초 전주산초 전주산초나무
    잎 :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13-21개이고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좁아지면서 요두로 끝나고 밑부분이 예저이며 길이 1.5-5c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축에는 잔가시가 없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3mm로서 연한 녹색이고 향기가 없으며 정생하는 길이 5-10cm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에 마디가 있다. 꽃받침잎은 난상 원형이며 꽃잎은 길이 2mm로서 피침형이고 안으로 꼬부라지며 각각 5개이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같고 곧추서기 때문에 밖으로 나오며 암술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길이 약 4mm이며 녹갈색에서 홍색으로 익고 흑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에 가시가 없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 000m 이하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전주산초(var. subinermis T.Lee): 가시의 길이가 2㎜ 이내이며 잎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인 것. ▶좀산초(var. microphyllum T.Lee): 잎이 가늘고 1㎝미만인 것. ▶초피나무(Z. piperitum A. P. DC.): 꽃잎이 없고 소지에는 잎의 양쪽에 커다란 가시가 있으며 소엽이 9-19개인 것.
    특징 : 맹아력은 보통이다.
    Read More
  18. No Image

    머귀나무

    학명 :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초피나무속(Zanthoxylum) target=_blank>초피나무속(Zanthoxylum)</a>
    이명 : 매오동나무 민머귀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길이 40cm 정도이다. 소엽은 19-23개이고 길이 7-12㎝로서 두꺼우며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둔한 거치가 있다. 뒷면은 회갈색이고 갈색의 유점이 산재해 있으며 엽맥이 돌출해 있다. 선상의 잔톱니가 있으며 소엽병이 2㎝로 짧다. 엽축에 가시가 있는 것이 있고 없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로 피고 새 가지 끝에 길이 12㎝의 화경이 있는 산형상 원추화서에 달리며 황백색의 꽃이 7-8월에 핀다. 꽃받침잎은 둥글고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화경은 가장자리에 선상의 잔톱니가 있다. 꽃받침 꽃잎 수술이 각각 5개씩이다.
    열매 : 삭과는 구형이고 지름 5-6㎜로서 11-12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흑색으로 광택이 나며 향기가 적고 매운맛이 있는데 새와 짐승의 먹이가 된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소지에 털이 없으며 줄기와 가지에 굵고 예리한 길이 5-7mm의 가시가 있어 줄기를 보호한다.

    분포 : 제주도와 울릉도 전라남도 도서지방의 표고 150~1 100m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대만 중국 필리핀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민머귀나무(var.inermis T.Lee) : 가시가 없으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좀머귀나무(Z.fauriei Ohwi) : 소엽이 7-11쌍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7.5cm정도로서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뒷면이 회록색이며 엽병과 가시에 붉은 빛이 돈다. 머귀나무에 비하여 잎이 소형이다.
    특징 : 대부분의 줄기가 셋으로 갈라져 3지목(三枝木)같은 인상을 준다.
    Read More
  19. No Image

    레몬

    학명 : Citrus limonia Osbec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귤속(Citrus) target=_blank>귤속(Citrus)</a>

    잎 : 잎은 어긋나고 처음에는 붉은 색을 띠지만 점점 녹색으로 변한다.
    꽃 : 꽃은 5∼10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또는 몇 개씩 무리지어 달린다. 꽃봉오리는 붉은 색이고 꽃의 안쪽은 흰색 바깥쪽은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을 띤다.
    열매 : 열매는 1년에 6∼10번 수확하는데 주로 10월 이후부터 다음해 봄까지 수확하고 11∼12월에 가장 많이 수확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연중 수확하며 1∼5월에 가장 많이 수확한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겉껍질이 녹색이지만 익으면 노란 색으로 변하며 향기가 강하다. 완전히 익기 전인 껍질이 녹색일 때 수확하여 익힌다. 종자는 난형이고 양끝이 뾰족하다.


    분포 : 전세계



    Read More
  20. No Image

    둥근금감

    학명 : Fortunella japonica (Thunb.) Swingl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운향과(Rutaceae) target=_blank>운향과(Ru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금감속(Fortunella) target=_blank>금감속(Fortunella)</a>
    이명 : 금귤 )금귤나무 )동굴귤
    잎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원저이며 길이 4-9cm 너비 2-4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백록색이며 엽맥이 뚜렷치 않다. 엽육 중에는 많은 소유점이 있고 엽병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백색으로서 향기가 있으며 1-2개가 엽액에 모여 달리고 화경은 길이 3-5mm이며 꽃받침은 5개 난형이고 꽃이 핀 후 커지며 꽃잎도 5개이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7mm이며 5-7월에 개화한다. 수술은 많으며 1개의 암술이 있고 자방은 4-5실이다.
    열매 : 열매는 감과로 둥글며 지름 2-3cm이고 10-11월에 오렌지색으로 성숙하고 먹을 수 있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7-10mm이다.
    줄기 : 수피는 회청색이고 줄기가 많이 갈라지며 가시가 없다.

    분포 : 남부 지방에서 과수로 식재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금감(F. japonica var. margarita Makino): 열매는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3㎝이고 종자는 길이 10-12㎜이다.
    특징 : 금감에 비해 나무가 작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