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Tragopogon dubius Scop. |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쇠채아재비속(Tragopogon) |
| 잎 | 잎은 호생하며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20-30㎝ 기부는 폭이 1㎝정도로 줄기를 반쯤 둘러싸며 끝부분은 뾰족하고 어릴 때는 솜털이 덮이지만 자라면 털이 없어진다. |
| 꽃 |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두화가 핀다. 두화 바로 밑의 꽃자루는 넙쩍하게 자란다.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4㎝ 폭 1.3㎝로 8-13개의 같은 모양의 총포편이 1열로 배열되며 설상화보다 길이가 길다. 설상화는 담황색이고 길이 2.5-3㎝이다. |
| 열매 | 수과는 길이 2㎝내외이고 가는 방추형으로 8개정도의 능선이 있고 능선위에 작은 돌기물이 있으며 길이 3㎝정도의 자루 끝에 관모가 붙는다. 관모는 백색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
| 줄기 | 줄기는 높이 30-100㎝로 중공(中空)이다. |
| 뿌리 | 뿌리는 직근이다. |
| 분포 |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서아시아 남아메리카 등지에 귀화되었다. ▶충북 단양의 매포지역에서 채집하였다. |
| 형태 | 이년생 초본이다. |
| 유사종 | ▶쇠채 |
|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9(2)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Fl. Carn. Ed. 2, 2: 95 (1772) |
|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XV) (박수현, 1999) |
-
Read MoreNo Image
쇠채아재비
학명 : Tragopogon dubius Scop.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쇠채아재비속(Tragopogon) target=_blank>쇠채아재비속(Tragopogon)</a>
잎 : 잎은 호생하며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20-30㎝ 기부는 폭이 1㎝정도로 줄기를 반쯤 둘러싸며 끝부분은 뾰족하고 어릴 때는 솜털이 덮이지만 자라면 털이 없어진다.
꽃 :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두화가 핀다. 두화 바로 밑의 꽃자루는 넙쩍하게 자란다. 총포는 종형이며 길이 4㎝ 폭 1.3㎝로 8-13개의 같은 모양의 총포편이 1열로 배열되며 설상화보다 길이가 길다. 설상화는 담황색이고 길이 2.5-3㎝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2㎝내외이고 가는 방추형으로 8개정도의 능선이 있고 능선위에 작은 돌기물이 있으며 길이 3㎝정도의 자루 끝에 관모가 붙는다. 관모는 백색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높이 30-100㎝로 중공(中空)이다.
뿌리 : 뿌리는 직근이다.
분포 :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서아시아 남아메리카 등지에 귀화되었다. ▶충북 단양의 매포지역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이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쇠채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