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llium deltoidefistulosum S.O.Yu et al. |
|---|---|
| 과명 | 백합과(Liliaceae) |
| 속명 | 부추속(Allium) |
| 잎 | 잎은 3~6개이고 엽초는 길이 9.6~13.8cm로 길고 잎이 거의 곧추서고 단면이 삼각중공이다. |
| 분포 | 전북(지리산 운봉)에 난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Korean J. Pl. Taxon 11: 29 (1981) |
| 참고문헌 | 1) 한국산 Allium속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유성오, 이상태, 이우철, 1981) |
-
Read More
솔나리
학명 : Lilium cernuum Ko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이명 : 검솔잎나리 솔잎나리 흰솔나리
잎 : 잎은 호생하며 다닥다닥 달리고 길이 10-15cm 폭 1-5mm로서 가는 선형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고 좁아지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1-4개가 원줄기끝과 가지끝에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열편은 길이 25-40mm 폭 8mm정도로서 짙은 홍자색이지만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뒤로 말린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길게 꽃 밖으로 나오고 꽃밥은 길이 10-12mm이며 암술대는 자방보다 훨씬 길다.
열매 : 삭과는 넓은 도란형이고 끝이 편평하며 3개로 갈라져서 갈색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는 70cm에 달하고 곧게 서며 털이 없고 짙푸르다.
뿌리 : 인경(鱗莖)은 길이 3cm 지름 2cm정도로서 난상 타원형이다.
분포 : 제주도와 도서지방을 제외한 거의 전국에 자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솔나리 (var.candidum NAK.)는 백색꽃이 핀다. ▶검은솔나리 (var.atropurpureum NAK.)는 검은 빛이 도는 홍자색 꽃이 핀다.
특징 : 꽃은 옆을 향해 피고 잎이 솔잎처럼 가늘며 꽃이 아름답다.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11)
-
Read MoreNo Image
소엽맥문동
학명 : Ophiopogon japonicus (L.f.) KerGaw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맥문아재비속(Ophiopogon) target=_blank>맥문아재비속(Ophiopogon)</a>
이명 : 겨우사리맥문동 긴잎맥문동 좁은맥문동
잎 : 잎은 밑부분에서 총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10-30cm 폭 2-4mm로서 끝이 둔하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길이 4-5mm로서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7-12cm 폭 1-1.5mm로서 편평하며 예리한 능선이 있다. 총상화서는 길이 1-3cm로서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3cm로서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6mm로서 중앙 또는 꽃밑에 관절이 있다. 꽃잎과 수술은 각 6개이며 자방은 중위로서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장과이며 노출된 열매는 짙은 하늘색이고 둥글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새순이 나오고 수염뿌리 끝이 땅콩처럼 굵어지는 것도 있다.
분포 :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맥문아재비(O. jaburan (Kunth) Lodd.)을 비롯하여 속은 다르나 맥문동 및 개맥문동(Liriope spocata Lour.)이 있다.
특징 : "보통의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에 비해 잎이 특히 작고 가늘게 생겼기 때문에 ""소엽""맥문동이라 한다."
-
Read MoreNo Image
세잎솜대
학명 : Smilacina trifolia (L.) Des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솜대속(Smilacina) target=_blank>솜대속(Smilacina)</a>
이명 : 벌솜죽대 세잎솜때
잎 : 원줄기 밑에서 비늘같은 잎이 윤생하고 정상엽은 3개이며 밑부분의 것이 가장 크고 도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길이 11.5㎝ 폭 2.7㎝로서 끝이 둥글다가 돌기같이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2-6㎝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꽃보다 길며 털이 없다. 꽃받침은 3개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2mm정도로서 도란상 타원형이다. 수술은 꽃잎보다 짧다.
열매 : 장과는 둥글며 지름 5mm정도로서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고 군데군데 지하경이 나와 20-40㎝정도 자란다.
분포 : 압록강 상류 및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세모부추
학명 : Allium deltoidefistulosum S.O.Yu et a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잎 : 잎은 3~6개이고 엽초는 길이 9.6~13.8cm로 길고 잎이 거의 곧추서고 단면이 삼각중공이다.
분포 : 전북(지리산 운봉)에 난다.
-
Read MoreNo Image
섬말나리
학명 : 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이명 : 섬나리 성인봉나리
잎 : 몇 층의 윤생엽과 작은 호생엽이 달린다. 윤생엽은 6-10개씩 달리고 길이 10-18cm 폭 2-4cm로서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호생엽은 윤생엽과 비슷한 크기와 모양에서 점점 작아져 윗부분의 포와 연결된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끝과 가지끝에 1개씩 달려서 4-12개가 밑을 향해 핀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이며 두꺼운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길이 3-4cm로서 붉은 빛이 도는 황색이며 안쪽에 검붉은색 반점이 있고 뒤로 말린다. 밀구(蜜溝)에 털이 없고 자방이 암술대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지름 2.5-3.5cm로서 둥글고 9월에 결실한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50-100cm이다.
뿌리 : 인경은 난형이고 약간 붉은 빛이 돌며 간혹 관절이 있다.
분포 : 울릉도에서 널리 생육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말나리
특징 : 울릉도 특산식물이며 보통의 말나리에 비해 꽃에 황색빛이 더 많이 돌고 구가 조금 더 크다. 종명은 유명한 원예연구가인 Hanson을 기념하여 붙여졌다. 자생나리류 가운데 가장 일찍 개화하는 종이다.
-
Read MoreNo Image
선밀나물
학명 : Smilax nipponic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청미래덩굴속(Smilax) target=_blank>청미래덩굴속(Smilax)</a>
이명 : 새밀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5-15cm 폭 2.7-7cm로서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원저 절저 또는 심장저이다. 엽맥은 5-7개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다소 분백색으로서 털은 없으나 소돌기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1-4cm로서 탁엽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달려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산형화서는 길이 4-10cm의 화경이 있고 밑부분의 엽액에서 나온다. 수꽃의 화피는 옆으로 퍼지며 엽액에 여러개가 산형으로 달리고 길이 4mm정도로서 넓은 도피침형이다. 수술은 화피 길이의 1/2-2/3이며 꽃밥은 길이 0.7mm정도이다. 암꽃의 화피는 배모양이고 자방에 붙어있으며 자방은 둥글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흑색으로 익고 백분으로 덮여있으며 둥글다. 지름 6-10mm이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서고 덩굴손에 의해 물체에 감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선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grandicaule Y.S.Kim et a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꽃 : 화관은 통모양이며 수술대는 화관의 가운데에 달리며 수술머리는 둥글며 암술대는 산둥글레에 비해 길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선다.
분포 : 한반도(충청북도 각호산)
-
Read MoreNo Image
자주솜대
학명 : Smilacina bicolor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솜대속(Smilacina) target=_blank>솜대속(Smilacina)</a>
이명 : 자주솜때 자주지장보살 차색솜죽대
잎 : 잎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6-11㎝ 폭 2.5-5㎝로서 밑부분이 갑자기 밑으로 흘러 짧은 엽병으로 되고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 맥위에 잔돌기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4.5-5mm이며 끝의 총상화서는 간혹 1개 정도 가지가 갈라지고 꽃이 달린 부분은 길이 4-4.5㎝로서 돌기가 없다. 포는 길이 1mm정도로서 갈색이며 소화경은 길이 3-7mm이고 옆으로 퍼진다. 화피열편은 타원형이며 예두이지만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기도 하고 길이 2mm정도로서 처음에는 황색이지만 자줏빛이 도는 흑색으로 되며 점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으며 자방은 3실로서 둥글고 암술대는 뭉툭하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둥근 모양이고 다갈색이다.
줄기 : 높이 30-45cm로서 줄기 밑부분에서 2-3개의 초상엽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끝에 5-7개의 잎이 2줄로 달린다.
뿌리 : 굵은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지리산 반야봉 및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지리산 반야봉 정상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다도해비비추
학명 : Hosta jonesii M.G.Chu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비추속(Hosta) target=_blank>비비추속(Hosta)</a>
-
Read MoreNo Image
여로
학명 : 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chmizu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로속(Veratrum) target=_blank>여로속(Veratrum)</a>
잎 : 잎은 중앙 이하에서 호생하고 엽초가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밑부분의 잎은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 20-35cm 폭 3-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선형으로 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약간 드문드문 달리며 원추형인 복총상화서를 이룬다. 밑부분에 수꽃 윗부분에 양성화가 달리고 지름 1cm정도로서 반쯤 퍼지며 짙은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다. 화서는 길이 15-50㎝이고 몇 개의 가지가 비스듬히 갈라지며 소화경은 길이 8-12mm이고 6개의 화피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5-6mm내외이다. 포는 가지보다 짧으며 길이 2-4mm로서 넓은 침형이다. 6개의 수술은 중앙에 있고 꽃잎 길이의 1/2 정도이며 자방은
열매 : 삭과는 길이 12-15mm로서 3줄이 있으며 타원형이고 끝이 암술대가 수평으로 달린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40-60cm로서 화서와 더불어 돌기같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짧고 밑에서 가는 뿌리가 많이 나며 비스듬히 땅속으로 들어가고 원줄기의 밑부분과 더불어 엽초가 썩으면서 남은 섬유로 싸여 있다.
분포 :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경남 경북(팔공산 금오산) 충북 강원(백석산) 경기(광릉) 평남 함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여로(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참여로(C. nignum var. ussuriensis)
-
Read MoreNo Image
삿갓나물
학명 : Paris verticillata M.Bie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삿갓나물속(Paris) target=_blank>삿갓나물속(Paris)</a>
이명 : 삿갓풀 자루삿갓풀 자주삿갓나물
잎 : 잎은 피침형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10cm 폭 1.5-4cm로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거치는 없으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닿고 주맥은 3개이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윤생엽 중앙에서 한 개의 화병이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하늘을 향해 피고 화병은 길이 5-15cm정도 된다. 외화피는 4-5개이며 넓은 피침형 내지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2-4cm 폭은 5-15mm로서 녹색이며 내화피는 실같은 선형에 끝이 뾰족하고 길이는 1.5-2cm로서 누른 빛이 돌며 나중에는 밑으로 처진다. 수술은 8-10개로서 길이 5-7mm이고 꽃밥은 길이 5-8mm이며 약격(葯隔)은 뾰족하게 길어지고 길이 5-7mm이
열매 : 장과는 둥글며 자흑색이다. 종자는 많이 들어 있다.
줄기 : 근경끝에서 원줄기가 나와 외대로 자라며 높이 20-40cm정도 자라며 끝에서 6-8개의 잎이 윤생한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마다 잔뿌리가 몇 개씩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내몽고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특징 : ▶뿌리에는 독성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1속 1종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삼수여로
학명 : Veratrum bohnhofii var. latifoli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로속(Veratrum) target=_blank>여로속(Veratrum)</a>
잎 : 잎은 좁고 길며 밑부분의 잎은 길이 22-28㎝ 폭 20-25mm로서 엽병이 없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 : 화서는 길이 13㎝로서 꽃이 수상으로 밀생하며 화서축에 백색 면모가 있고 측지는 6-7개로서 수꽃만이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4-8mm이며 소포는 피침형이고 소화경의 길이가 비슷하며 털이 있다. 화피열편은 검은 적갈색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5-6mm 폭 2-3mm로서 약간 밑으로 젖혀진다. 수술은 2-3mm이고 심피는 길이 1.5-2mm이며 암술대는 수평으로 젖혀진다.
줄기 : 원줄기는 화서와 더불어 높이 60-70cm이고 밑부분은 지름 3-5mm이다.
뿌리 : 근경은 여로처럼 그물같은 섬유로 싸여있다.
분포 : 장진군과 삼수군 사이의 이승령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산파
학명 : Allium maximowiczii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이명 : 묏파
잎 : 잎은 2-3개이고 반원통형으로서 안쪽이 편평하며 화경(花莖)보다 짧고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적자색으로서 좁은 종형이고 화경(花莖)은 흔히 자줏빛이 돌며 끝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넓은 난형 예두의 포가 있다. 소화경은 길이 8-15mm이며 화피열편은 6개이고 길이 6-8m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같은 수의 수술보다 길거나 같고 수술대 사이에 톱니가 없다. 꽃은 적자색이지만 순백의 품종도 재배되고 있다.
뿌리 : 땅속에 길쭉한 구근을 가지고 있다. 인경은 좁은 난형이며 외피는 회갈색이고 딱딱해져서 종선이 생기며 약간 갈라진다.
분포 :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유사종 : ▶여러 해안에서 볼 수 있는 `큰산파`는 산파에 못지 않는 관상가치가 있다.
특징 : ▶재배품은 강건하다.
-
Read More
산자고
학명 : Tulipa edulis (Miq.) Bak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자고속(Tulipa) target=_blank>산자고속(Tulipa)</a>
이명 : 까치무릇 물구 물굿
잎 : 근생엽은 2개이며 선형이고 길이 15-25cm 폭 5-10mm로서 백록색이며 털이 없고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끝이 날카롭고 연질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길이 2-2.5cm로서 2-3개이며 소화경(小花莖)은 길이 2-4cm이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이고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2.4cm로서 백색 바탕에 자주색 맥이 있다. 꽃은 백색으로 줄기끝에 한 송이 피는데 위를 향해 벌어지고 넓은 종모양이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며 3개는 길고 3개는 짧다. 자방은 녹색이며 세모가 지고 타원체로서 1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녹색이며 거의 둥글고 세모가 지며 길이와 지름이 각각 1.2cm정도로서 끝에 길이 6mm정도의 암술대가 달린다.
줄기 :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 원형으로 길이 3∼4cm이며 지름 약 3cm이고 비늘조각은 안쪽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나고 면은 엷은 자갈색이다
뿌리 : 비늘줄기 밑에 수염뿌리가 많이 나 있다.
분포 :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무등산 백양산) 경기도(광릉) 등 중부이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산옥잠화
학명 : Hosta longisima Hond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비추속(Hosta) target=_blank>비비추속(Hosta)</a>
이명 : 금산비비추 물비비추 봉화비비추
잎 :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온다. 윤이 나는 녹색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자줏빛으로 피고 길이 5cm 안팎이며 원추화서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관은 깔때기처럼 생기고 6개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진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고 비스듬히 서며 3개로 갈라진다.
분포 :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
Read MoreNo Image
산부추
학명 : Allium thunbergii G.D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이명 : 맹산부추 산달래 왕정구지 참산부추
잎 : 잎은 2~5mm정도의 가는 잎 2~3개가 위로 퍼진다. 흰색이 도는 초록색으로 단면은 삼각형이다.
꽃 : 꽃은 8~9월에 홍자색으로 꽃자루 끝에 산형으로 동그랗게 달린다. 꽃 껍질 모양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작은 꽃대는 길이 1~1.5cm정도이다. 꽃잎 꽃받침은 4~5mm정도의 타원형으로 6장이다. 수술은 6개로 길고 밑부분이 넓게 퍼진다. 거치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분포 : 전국
형태 : 여러해살이 풀이다.
-
Read MoreNo Image
산마늘
학명 : Allium microdictyon Prok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잎 : 잎은 넓고 크며 2~3개씩 달린다. 길이는 20~30cm 너비는 3~10cm이다.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약간 흰빛을 띤 녹색이며 윤채가 없다. 잎자루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서로 둘러싸고 윗부분에 흑자색 점이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높이 40~70cm의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달걀모양으로 2개로 갈라지고 소화경은 길이 1.5~3cm이다. 화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5~6mm이며 6장이다. 수술 및 암술대는 화피보다 길며 꽃밥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거꾸로 된 심장모양이고 8~9월에 익는다. 3개의 심피로 되어 있으며 끝이 오그라들며 종자는 검다.
줄기 : 비늘줄기는 피침형이고 길이 4~7cm이며 그물같은 섬유로 덮여 있으며 갈색이 돈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산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thunbergii Morr. & Decn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굴레속(Polygonatum) target=_blank>둥굴레속(Polygonatum)</a>
이명 : 산퉁둥굴레
잎 : 잎이 대나무와 유사하다. 호생엽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지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 폭 2-5㎝로서 엽병이 없다. 잎 뒷면에 유리조각같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의 중간부분부터 1-2개씩 엽액에 달리고 길이 20-25mm로서 밑부분은 백색 윗부분은 녹색이며 소화경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화경(花莖)으로 된다. 6개의 수술이 통부 윗부분에 붙고 수술대에 잔돌기가 있으며 꽃밥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와 길이가 거의 같다.
열매 : 꽃이 지면 둥근 장과를 맺으며 9-10월경에 흑숙(黑熟)한다.
줄기 : 높이 30-60cm정도이며 6줄의 능각이 있고 끝이 처지며 육질의 근경은 점질이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가 곧게 서는데 윗부분으로 가면서 약간 구부러지고 가지는 없다.
뿌리 : 뿌리는 대나무처럼 옆으로 뻗으며 굵은 육질로 황백색을 띠고 단맛이 있다. 근경에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잎 뒷면 맥위에 잔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글레 (var.maximowiczii KOIDZ.) ▶잎은 길이 16㎝ 폭 5㎝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글레 (P.koreanum NAK.) ▶전체가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2-5개씩 달리는 것을 왕둥글레 (P.robustum NAK.)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산달래
학명 : Allium macrostemon Bung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부추속(Allium) target=_blank>부추속(Allium)</a>
이명 : 달래 달룽게 돌달래 들달래 원산부추 큰달래
잎 : 잎은 2~9개이고 선형으로 길이 20~30cm 나비 2~3mm이며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화경을 둘러싸고 밀랍분이 있으며 단면은 반원형으로 중공이고 표면에 홈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산형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15~20mm이다. 화피편은 6개이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4~6mm이며 수술과 암술대는 화피보다 몹시 길고 화서중의 1부 또는 전부가 살눈으로 변한다. 화경은 곧추서며 높이 40~80c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인경은 구형으로 지름 1.2~1.5cm이고 포지 끝에 새로운 인경이 생기며 백색 막질로 덮여 있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몽고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고온기에 휴면한다.
-
Read More
뻐꾹나리
학명 : Tricyrtis macropod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뻐꾹나리속(Tricyrtis) target=_blank>뻐꾹나리속(Tricyrtis)</a>
잎 : 잎은 호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5cm 나비 2~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줄기를 거의 둘러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하엽은 털이 없으나 중부 이상의 잎은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거친 털이 많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백색으로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하부에 황색 반점이 있는 것도 있고 줄기 끝과 상부 잎짬에 산방화서로 달린다. 화피편은 6개이고 내편은 좁은 피침형으로 평개하며 내편은 넓은 도피침형으로 외측에 선모가 있고 기부가 강하게 뒤로 말린다. 수술대에 털 같은 돌기가 있고 암술 3개로 기페 갈라지고 열편에 둥근 돌기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길이 약 3cm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고 비스듬히 하향하는 털이 있다.
뿌리 : 지하경은 수직으로 들어가며 마디에 잔뿌리를 내고 때로 복지를 뻗는다.
분포 : 경기(광릉)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