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석곡

조회 수 707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Dendrobium moniliforme (L.) Sw.
과명 난초과(Orchidaceae)
속명 석곡속(Dendrobium)
이명 석곡란
잎은 2-3년생이며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4~7cm 폭 7~15mm로서 진록색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초와 연결된다.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적색이며 향기가 있고 2년전의 원줄기 끝에 1-2개가 달리며 밑부분에 비늘같은 것이 약간 달린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길이 22-25mm 나비 5-7mm로서 피침형 예두이고 측열편은 옆으로 퍼지며 꽃잎은 중앙부의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짧다. 순판은 약간 짧고 뒤쪽에 짧은 거(距)가 있으며 밑부분으로 암술을 양쪽에서 감싼다. 꽃색은 많은 변이가 있다.
줄기 근경으로부터 여러 대의 대가 나와 높이 20cm 정도 곧게 자라고 오래된 것은 잎이 없으며 줄기에는 마디마다 잎이 나지만 오래되면 마디만 남고 끝 부분에 몇 개의 잎만 붙어 있으며 녹갈색이 난다.
뿌리 근경에서 흰색의 굵은 뿌리가 많이 난다.
분포 ▶한국의 남부 일본 남부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남부지방 및 다도해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상록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특징 세계에 약 100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착생란으로 줄기에는 마디가 많으며 잎은 가죽질이다.
생육환경에 따라 형태와 꽃색이 조금씩 다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Nova Acta Regiae Soc. Sci. Upsal. 4:85 (1799)
참고문헌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0a3d5fc24f4258e19e3dbf7caf0b13d2.jpg

 

74e258d8bfb605da28e823b25589cd89.jpg

 

8271f14bbbceb629048e9c5df301adca.jpg

 

e78de88d356b1dadfa40d6fcb0865362.jpg

 


  1. 석곡

    학명 : Dendrobium moniliforme (L.) Sw.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석곡속(Dendrobium) target=_blank>석곡속(Dendrobium)</a>
    이명 : 석곡란
    잎 : 잎은 2-3년생이며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4~7cm 폭 7~15mm로서 진록색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초와 연결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적색이며 향기가 있고 2년전의 원줄기 끝에 1-2개가 달리며 밑부분에 비늘같은 것이 약간 달린다. 중앙부의 꽃받침잎은 길이 22-25mm 나비 5-7mm로서 피침형 예두이고 측열편은 옆으로 퍼지며 꽃잎은 중앙부의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짧다. 순판은 약간 짧고 뒤쪽에 짧은 거(距)가 있으며 밑부분으로 암술을 양쪽에서 감싼다. 꽃색은 많은 변이가 있다.

    줄기 : 근경으로부터 여러 대의 대가 나와 높이 20cm 정도 곧게 자라고 오래된 것은 잎이 없으며 줄기에는 마디마다 잎이 나지만 오래되면 마디만 남고 끝 부분에 몇 개의 잎만 붙어 있으며 녹갈색이 난다.
    뿌리 : 근경에서 흰색의 굵은 뿌리가 많이 난다.
    분포 : ▶한국의 남부 일본 남부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남부지방 및 다도해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특징 : 세계에 약 100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착생란으로 줄기에는 마디가 많으며 잎은 가죽질이다.
    생육환경에 따라 형태와 꽃색이 조금씩 다르다.

    file
    Read More
  2. 유령란

    학명 : Epipogium aphyllum (F.W.Schmidt) Sw.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유령란속(Epipogium) target=_blank>유령란속(Epipogium)</a>
    이명 : 개난초 위령란 유령난 육란 호설란
    잎 : 초상엽은 막질이고 길이 6-10mm로서 맥이 없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2-8개의 연한 갈색 꽃이 드문드문 옆을 향해 달려 총상화서를 이루고 포는 좁은 난형이며 얇은 막질이고 길이 6-10mm로서 젖혀지며 맥이 희미하다. 꽃받침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15㎜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꽃잎은 ?峙似㎞?길이가 비슷하고 피침형이다. 순판과 거(距)는 위쪽에서 옆을 향하며 안쪽에 홍자색 반점과 4-6개의 도드라진 종선이 있고 3개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난형이며 작고 중앙열편은 다소 뒤쪽이 부풀며 가장자리가 잔

    줄기 : 높이 7-20cm이고 육질이며 2-3개의 초상엽이 달린다.
    뿌리 : 뿌리가 굵고 짧으며 산호처럼 갈라진다.
    분포 : 북부 지역(부전고원에서부터 백두산지역까지)에서 자란다.
    형태 : 균근 기생식물

    특징 : 세계에 약 7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엽록소가 없는 부생란으로 꽃줄기는 단순하고 소수의 초상엽이 붙는다.
    file
    Read More
  3. 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um Sw.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복주머니란속(Cypripedium) target=_blank>복주머니란속(Cypripedium)</a>
    이명 : 개불알꽃 복주머니 복주머니꽃 요강꽃 작란화 포대작란화
    잎 : 잎은 호생하며 3~5개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8~20cm 나비 5~8cm 정도로서 털이 약간 있고 기부는 짧은 엽초를 이루어 줄기를 감싸며 밑부분에 달린 2-3개의 잎은 초상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길이 4-6㎝이고 연한 홍자색이며 포는 잎과 같고 길이 7-10㎝이다.
    상부의 꽃받침조각은 난형이며 길이 4-5㎝이며 끝이 뾰족하고 하부의 꽃받침조각은 서로 붙어있으며 끝이 2개로 갈라진다.
    꽃잎 중에서 2개는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안쪽 밑부분에 털이 약간 있으며 순판은 길이 3.5-5㎝로서 큰 주머니 모양이며 안쪽에 긴 털이 산재한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20-40cm이며 다세포의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일본 캄차카반도 백러시아 몽고 내몽고 대만 등 (북반구온대지방)에 분포한다.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이 속에는 광릉요강꽃과 털개불알꽃과 노랑개불알꽃이 있다. 모두 저온에 의해 휴면타파된다.
    특징 : ▶꽃의 모양이 마치 주머니를 연상시키므로 복주머니란 또는 요강꽃이라고도 한다.
    속명은 Cypris는 미의 여신 Venus(Kypris)를 나타내며 Pedium은 슬리퍼(Pedion)과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미의 여신이 신는 아름답고 우아한 신발과 같이 생겼다는 의미이다.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