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ad MoreNo Image
자주목련
학명 : 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Maxim.) Rehder & E.H.Wilso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목련과(Magnoliaceae) target=_blank>목련과(Magn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목련속(Magnolia) target=_blank>목련속(Magnolia)</a>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6~15cm 폭 3~7cm로서 도란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두이지만 뾰족해지고 예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광택이 있는 담녹색으로 엽맥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4~5월에 가지 끝에서 큰 꽃으로(지름 12-15㎝) 핀다. 꽃잎의 겉은 홍자색이고 안쪽이 백색이다. 다른 목련류처럼 꽃잎이 6장이나 바깥 꽃받침 3장이 흡사 꽃잎 같아 9장으로 보인다. 꽃잎은 모양이 서로 비슷하며 도란형에 가깝고 약간 육질이다.
열매 : 열매는 홍갈색 골돌이고 길이는 8-12cm의 원주형이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며 어린가지와 동아에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라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백목련(M. denudata Desr.): 잎의 길이 10-15㎝의 도란형인데 어긋나며 끝이 둔하지만 뾰족하고 예저로 표면에 털이 약간 있다.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엽맥에 털이 약간 있다. 지름 12-15㎝의 커다란 흰색꽃이 가지 끝에 피며 향기가 짙다.
-
Read MoreNo Image
자주만년청
학명 : Rhoeo discolor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D%EC%9D%98%EC%9E%A5%ED%92%80%EA%B3%BC(Commelinaceae) target=_blank>닭의장풀과(Commel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주만년청속(Rhoeo) target=_blank>자주만년청속(Rhoeo)</a>
이명 : 만년청아재비 자주색만년청
잎 : 잎은 바소꼴로 두껍고 끝이 날카로우며 밑부분은 줄기를 싸고 있다. 표면은 회색빛을 띤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자줏빛이 돈다. 잎 사이에서 짧은 꽃이삭이 자라고 2개의 포안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 : 꽃은 흰색 또는 하늘색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3개씩이며 수술은 6개로서 수술대에 긴 털이 있다.
특징 : 자주만년초라고도 한다.
-
Read MoreNo Image
자주땅귀개
학명 : Utricularia yakusimensis Mas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통발과(Lentibulariaceae) target=_blank>통발과(Lentib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통발속(Utricularia) target=_blank>통발속(Utricularia)</a>
이명 : 자주땅귀이개
잎 : 잎은 긴 난형으로 밑동에서 나오고 녹색이다.
꽃 : 화경(花莖)은 가늘고 길며 1개가 곧게 선다. 꽃은 연분홍색이고 소형이며 총상화서로 달리고 화병이 있다. 화관은 3-4mm이고 끝이 입술모양으로서 하순 꽃잎은 난형이며 뾰족한 거(距)는 아래로 향하고 상순 꽃잎은 거보다 짧다.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열매를 덮은 숙존악은 귀이개와 같다.
분포 : 경상북도 경기도 서울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초
-
Read MoreNo Image
자주덩굴별꽃
학명 : Cucubalus baccifer f. atropurpureu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석죽과(Caryophyllaceae) target=_blank>석죽과(Cary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덩굴별꽃속(Cucubalus) target=_blank>덩굴별꽃속(Cucubalus)</a>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2-5cm 폭 7-2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다.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길이 1-4mm의 엽병으로 된다. 잎의 색깔은 자주색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 끝에 꽃이 1개씩 옆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처음에는 통형으로서 길이 1cm정도이지만 꽃이 피면 중앙부까지 5조각으로 갈라지나 나중에는 벌어져서 붙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끝이 2갈래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 자방은 1실이다.
열매 : 삭과는 장과상으로 둥글며 9월에 흑색으로 익고 윤이나며 매끈하고 갈라지지 않는다. 꽃받침과의 사이에 길이 2.5-3mm의 대가 있다. 종자는 많으며 흑갈색이고 지름 1-1.5mm로서 둥글다.
줄기 : 덩굴의 길이가 1.7m정도 뻗으며 줄기는 가늘고 마디는 퉁퉁하며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가지가 많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색깔은 자주색이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윤개관중
학명 : Polystichum makinoi (Tagawa) Tagaw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target=_blank>십자고사리속(Polystichum)</a>
이명 : 개관중
잎 : 엽병은 길이 40cm 정도로 잎보다 짧으며 하부에 광택이 있는 흑갈색의 인편이 붙는다. 잎은 길이 25~60cm 정도이고 2회 우상복엽이며 엽질은 광택이 있는 단단한 종이질이다. 소엽의 끝은 가시처럼 된다.
열매 : 포자낭군은 소엽의 잎맥과 가장자리의 중간쯤에 생기고 잎의 위쪽 가장자리부터 붙는다. 포막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는 경우도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선다.
분포 : 제주도 일본 중국
형태 : 상록다년생초본
-
Read MoreNo Image
육지꽃버들
학명 : Salix viminalis L. var. viminali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드나무과(Salicaceae) target=_blank>버드나무과(Sal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드나무속(Salix) target=_blank>버드나무속(Salix)</a>
이명 : 대륙꽃버들 대륙솜버들 륙지꽃버들 육지버들
잎 : 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중앙 이하가 가장 넓으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20-25cm 폭 3-10mm로서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함.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융모가 밀생하며 은백색이다. 엽병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있고 탁엽이 작다.
꽃 : 꽃은 자웅이주로 4-5월에 유이화서로 핀다. 웅화수(雄花穗)는 타원형이며 길이 1.5-4cm이고 포는 도란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상반부는 흑색으로 털이 있고 밀선은 1개 수술은 2개이며 서로 떨어지거나 밑부분이 붙는다. 자화수는 길이 2.5-3.5cm이고 포는 도란형으로서 짧은 털이 있으며 상반부는 흑색이고 밀선은 1개이다. 자방은 난형이며 밀모로 덮여 있고 대는 선(腺)보다 짧거나 없으며 암술머리는 2-4개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4-8㎜로 6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5-6m로서 소지에 융모가 밀생하며 동아에 털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함남 함북 평북-신의주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좁은잎육지꽃버들 (var.linearifolia WIMMER et GRABOWSKI) : 잎이 길이 10-16cm 폭 4-8mm이다. ▶좀육지꽃버들 (var.abbreviata DOELL) : 잎이 길이 3-9cm 폭 4-9mm이고 화서의 길이가 6-12mm이며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육절보리풀
학명 : Glyceria acutiflora Tor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꾸리광이속(Glyceria) target=_blank>미꾸리광이속(Glyceria)</a>
이명 : 개미피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10-30㎝ 나비 3-6㎜이고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백색 막질이며 길이 4-7㎜로서 좁은 삼각형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화서는 선형으로서 밑부분이 엽초로 싸이며 길이 10-30cm이고 가지는 2개씩 달리며 길이가 다르고 원줄기와 평행하다. 소수(小穗)는 길이 25-50mm로서 연한 녹색이며 길이 2-4㎝ 나비 3㎜로서 대가 짧고 선상 피침형이며 8-15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가 서로 다르다. 첫째 것은 길이 3mm로서 1맥이 있고 피침형 예두이며 둘째 것은 길이 4-5mm로서 1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9mm이고 피침형 예두로서 7맥이
열매 : 영과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2.5-3mm이고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높이 20-7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서 새싹이 돋는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두메미꾸리꽝이(G. alnasteretum Komarov):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80-150㎝ 근경은 길다. 잎은 진한 녹색이고 엽설은 위쪽이 약간 들쭉날쭉하다. ▶긴진돌피(G. effusa Kit.):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다. ▶대택광이(G. spiculosa Roshev.): 높이 70-100㎝ 근경은 옆으로 길게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고 줄기는 곧게 선다. ▶검정진들피(G. triflora Komarov): 잎몸은 길이
-
Read MoreNo Image
육박나무
학명 : Actinodaphne lancifolia (Siebold & Zucc.) Meis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9%EB%82%98%EB%AC%B4%EA%B3%BC(Lauraceae) target=_blank>녹나무과(Lau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육박나무속(Actinodaphne) target=_blank>육박나무속(Actinodaphne)</a>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길이 7-10cm 너비 2-4cm로서 둔두 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잔털이 밀생하며 7-10쌍의 우상맥이 있고 엽병은 길이 0.8-1.5cm로서 어릴 때 털이 약간 있다.
꽃 : 7월경에 엽액에서 화경이 없는 산형화서가 발달하며 밖은 인편으로 싸여 있고 꽃은 이가화이며 총포편은 황색으로서 꽃잎같고 화피가 뚜렷하지 않게 6개로 갈라지며 수꽃은 9개의 수술이 있고 그 중에서 안쪽 줄의 3개는 선체(腺體)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서 구형이며 지름 1cm로서 다음해 7-8월 붉게 성숙한다. 과경은 길이 5-10mm로서 밀모가 있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수피는 평활하며 연한 흑자색이고 둥글고 큰 비늘처럼 떨어져서 버즘나무 모과나무의 수피같이 되어 섬사람들은 해병대나무라고 한다. 소지는 자갈색이며 좁은 피목이 있고 털이 없다.
분포 :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우리 나라는 남쪽 섬지방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특징 : ▶육박나무는 전라남도 완도군 주도의 상록수림에서 자라며 이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 28호에 지정되어 있다. 그곳에 자라는 수종으로는 돈나무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까마귀쪽나무 영주치자 송악 생달나무 감탕나무 빗죽이나무(비쭈기나무) 덤불락살나무 팥배나무 벚나무 조록싸리 청가시덩굴 개머루등이 있다. ▶개화한 후 그 이듬해에 열매가 맺는다. ▶전남 珠島(주도)에 있는 것이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크며 높이가
-
Read MoreNo Image
둥근잎택사
학명 : Caldesia parnassifolia (Bassi ex L.) Par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택사과(Alismataceae) target=_blank>택사과(Alisma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둥근잎택사속(Caldesia) target=_blank>둥근잎택사속(Caldesia)</a>
-
Read MoreNo Image
둥근잎녹나무
학명 : Cinnamomum camphora var. cyclophyll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5%B9%EB%82%98%EB%AC%B4%EA%B3%BC(Lauraceae) target=_blank>녹나무과(Lau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녹나무속(Cinnamomum) target=_blank>녹나무속(Cinnamomum)</a>
-
Read MoreNo Image
둥근말발도리
학명 : Deutzia scabr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범의귀과(Saxifragaceae) target=_blank>범의귀과(Saxifr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말발도리속(Deutzia) target=_blank>말발도리속(Deutzia)</a>
이명 : 말발도리
-
Read MoreNo Image
동백사초
학명 : Carex livida (Wahl.) Will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초속(Carex) target=_blank>사초속(Carex)</a>
이명 : 밀사초
-
Read MoreNo Image
덩굴장미
학명 :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Thory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장미속(Rosa) target=_blank>장미속(Rosa)</a>
이명 : 덩굴찔레
-
Read MoreNo Image
대만피
학명 : Echinochloa glabrescens Munro ex Hook.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피속(Echinochloa) target=_blank>피속(Echinochloa)</a>
-
Read MoreNo Image
대마참나물
학명 : Tilingia tsusimensis (Yabe)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속리참나물속(Tilingia) target=_blank>속리참나물속(Tilingia)</a>
이명 : 노루참나물
-
Read MoreNo Image
대구으아리
학명 : Clematis taeguensis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으아리속(Clematis) target=_blank>으아리속(Clematis)</a>
-
Read MoreNo Image
단풍잎석위
학명 : Pyrrosia polydactyla (Hance) Chi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B%9E%80%EC%B4%88%EA%B3%BC(Polypodiaceae) target=_blank>고란초과(Poly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석위속(Pyrrosia) target=_blank>석위속(Pyrrosia)</a>
-
Read MoreNo Image
단풍고사리삼
학명 : Sceptridium nipponicum (Makino) Holu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0%EC%82%AC%EB%A6%AC%EC%82%BC%EA%B3%BC(Ophioglossaceae) target=_blank>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사리삼속(Sceptridium) target=_blank>고사리삼속(Sceptridium)</a>
-
Read MoreNo Image
단주대극
학명 : Euphorbia hylonoma Hand.-Maz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극속(Euphorbia) target=_blank>대극속(Euphorbia)</a>
이명 : 단주낭독
-
Read MoreNo Image
다도해비비추
학명 : Hosta jonesii M.G.Chun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비추속(Hosta) target=_blank>비비추속(Hosta)</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