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산밤나무

조회 수 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Castanea crenata var. kusakuri (Blume) Nakai
과명 참나무과(Fagaceae)
속명 밤나무속(Castanea)
이명 멧밤나무 뫼밤나무
잎은 장타원형의 피침 모양이며 잔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꽃이 긴 원추화서를 이룬다.
열매 과실은 견과로 9~10월에 익는다.
분포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 활엽 교목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약밤나무

    학명 : Castanea bungean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밤나무속(Castanea) target=_blank>밤나무속(Castanea)</a>
    이명 : 약밤 평양밤나무 함종율
    잎 : 잎은 호생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배열되며 넓은 피침형 난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10-20cm로서 첨두이며 심장저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치아상의 톱니 끝이 침처럼 뾰족하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백색의 성모가 밀생하거나 털이 전혀 없으며 가지 끝의 잎은 대개 털이 있고 선점(腺點)이 없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6월에 핌 수꽃은 새가지 밑의 엽액에서 곧추 자라고 잎보다 짧으며 6개로 갈라진 화피와 10개 정도의 긴 수술로 된다. 수꽃 이삭은 15cm 가량되며 유이화서로 꽃이 2-3송이씩 모여 달린다. 암꽃은 화서 기부에서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 달리고 총포로 싸여 있으며 암술대는 길고 좌(座)는 좁으며 내피가 잘 벗겨진다.
    열매 : 열매는 견과로서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나비 2-3cm로서 윗부분에 잔털이 있으며 9-10월에 익는다. 각두(殼斗)의 가시는 황색으로 되고 길이 1.5cm로서 복모가 밀생하며 각두 내면에 견모(絹毛)가 있다.
    줄기 : 높이 15-20cm 지름 70cm에 달하며 수피는 세로로 깊게 갈라지고 소지는 녹갈색이며 털이 드문드문 있거나 밀생하고 동아는 넓은 난형이며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기슭 마을부근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밤나무(C. crenata Sieb. et Zucc.)
    특징 : 밤나무에 비하여 잎의 톱니가 길고 갈라짐이 작으며 껍질이 얇다.
    Read More
  2. No Image

    산밤나무

    학명 : Castanea crenata var. kusakuri (Blum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밤나무속(Castanea) target=_blank>밤나무속(Castanea)</a>
    이명 : 멧밤나무 뫼밤나무
    잎 : 잎은 장타원형의 피침 모양이며 잔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꽃이 긴 원추화서를 이룬다.
    열매 : 과실은 견과로 9~10월에 익는다.


    분포 :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Read More
  3. No Image

    밤나무

    학명 :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밤나무속(Castanea) target=_blank>밤나무속(Castanea)</a>

    잎 : 잎은 호생하며 측지에서는 2줄로 배열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는 10~20cm로서 파상의 톱니가 있고 17~25쌍의 측맥이 비스듬히 평행하게 달리며 측맥 끝이 침형이고 표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선점(腺點)이 밀포한다. 엽병은 길이 1-1.5cm로서 털이 있고 탁엽이 있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침상에는 녹색이 없으므로 구별된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백색이며 7-8월에 피고 새가지 밑부분의 엽액에서 곧추 자라는 꼬리화서에 많이 달린다. 암꽃은 웅화서 밑부분에서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달리고 포로 싸인다.
    열매 : 열매는 9-10월에 익고 각두(殼斗)의 포침은 길이 3cm로서 털이 거의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익으면 벌어진다. 견과는 3개 또는 1개식 들어 있으며 지름 2.5-4cm로서 좌(座)가 밑부분을 전부 차지하고 윗부분에 백색 털이 있으며 다갈색으로 익는다. 과주가 짧고 내피가 잘 벗겨지지 않는다.
    줄기 : 높이 15m 지름 1m로서 수피가 암갈색 또는 암회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소지는 자줏빛이 도는 적갈색으로서 단모 또는 성모가 있으나 없어진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섭씨 12도의 등온선을 중심으로 하여 난대중부에서 온대 북부 이외에 남미 호주 등지에 분포하고 일본과 만주에도 분포한다. ▶세계의 주요 생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유럽 중동아시아 이태리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칼 그리이스이다. ▶전국의 표고 100-1 100m에서 자란다. ▶부여 공주 등 충남지역과 하동 산청 광양 순창 임실 등 남부지역에서 많이 재배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약밤나무(C. bungeana): 밤나무에 비해 잎이 더 크고 거치는 더 깊으며 소지는 털이 있고 과실은 소형으로서 저면은 좁고 속알은 약간 경미가 있다. 함종율 평양율이라고 하며 중부 이북에 분포하나 남부지방에서도 식재하고 있다. ▶밤나무에는 재배품종이 많다: 국내 선발종으로는 산대 광주올밤 중흥밤 옥광밤 산성밤등이 있다. 도입종으로는 풍다마조생 삼조삼 단택 이취 축파 유마 은기등이 있다.
    특징 : ▶맹아력이 좋고 수세가 강건하다. ▶변재는 좁고 암회백색 심재는 담갈색으로 심 변재의 구분이 분명하고 연륜 또한 뚜렷하다. 환공재로 딱딱하고 나무갗은 거칠며 무거우며 내구성이 크고 할열이 용이하며 절삭 가공 접착 도장 건조성은 보통이며 약제주입성은 매우 불량하다. 타닌함량이 대단히 많고 습기에는 강하다. ▶천연기념물 ①제97호 ②소재지:강원도 명주군 주문진읍 교향리 6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