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Populus davidiana Dode |
|---|---|
|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
| 속명 | 사시나무속(Populus) |
| 이명 | 발래나무 백양 사실버들 사실황철 산사시나무 왕사시나무 왜사시나무 파드득나무 |
| 잎 | 잎은 호생하며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2-6c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고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파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며 엽병은 편평하고 길이 1-5cm로서 털과 선점이 없다. |
| 꽃 |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유이화서이며 자웅이주이다. 수꽃이삭은 길이 5-10cm이고 원추형이며 포는 둥글고 자줏빛이 돌며 깊은 톱니가 있고 일찍 떨어지며 화피는 길이 3mm로서 기울어진 원추형이고 수술은 6-12개이다. 암꽃이삭은 길이 4-10cm로서 대에 털이 있으며 자방은 길이 2.5mm로서 난형이고 암술머리는 2-3개이다. 꽃에는 꽃받침과 꽃잎이 없다. |
|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5월에 성숙하여 갈라진다. 흰솜털에 달린 열매는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 |
| 줄기 | 높이 20m 지름 1m에 달하는 것도 있으나 보통 높이 10m 지름 30cm에 달한다. 수피는 회록색이고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얕게 갈라져서 흑갈색으로 된다. 소지는 털이 없으며 회록색이고 동아도 털이 없으며 약간 점질이고 탁엽이 일찍 떨어진다. 수피를 백양목피(白楊木皮)라고 한다. |
| 분포 | ▶중국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1 900m에 이르는 지역에 자라고 울릉도 팔공산 용문산 계룡산 일월산 태백산 치악산 오대산 태기산 설악산 황해도 평북에 야생한다. |
| 형태 | 낙엽활엽교목. |
| 유사종 | ▶털사시나무(P. davidiana var. pilosa NAK.):잎 뒷면과 엽병 및 어린 가지에 털이 약간 있으며 경기도에서 자란다. ▶황철나무(P. maximowiczii) ▶긴잎사시나무(P. davidiana var. laticuneata NAK.):잎이 넓은 예저로 평북 및 황해도에서 자란다. |
| 특징 | 포플러류는 자람이 빠르고 수확기가 대단히 짧은 속성수종으로 목재의 수요가 많으므로 조림가치가 매우 높은 수종이라 하겠다. 다만 포플러류는 대체로 토양조건에 대해서 대단히 까다롭기 때문에 조림지 선택에 있어 매우 조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산불이 났던 곳이나 식생이 파괴된 곳 또는 개방지등에 침입하여 군집을 이룬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Mem. Soc. Hist. Nat. Aut. 18 : 31 (1905)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TAG •
- 사시나무,
- Populus davidiana Dode,
- 버드나무과(Salicaceae),
- 사시나무속(Populus),
- 발래나무,
- 백양,
- 사실버들,
- 사실황철,
- 산사시나무,
- 왕사시나무,
- 왜사시나무,
- 파드득나무,
-
Read MoreNo Image
사옥
학명 : Prunus serrulata var. quelpaertensis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벗나무속(Prunus) target=_blank>벗나무속(Prunus)</a>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급한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2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 또는 복거치가 있고 끝이 짧은 침형이며 엽병은 길이 2-3cm로서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연한 홍색 또는 거의 백색이며 산방화서 또는 산형화서에 2-5개씩 달리고 화경은 길이 2-3cm로서 잔털이 있으며 화축에 포가 있고 꽃받침통은 털이 없으며 열편은 난형 예두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6-7월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가 옆으로 벗겨지며 암자갈색이고 소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벚나무 (var.spontanea (MAX.) WILS.) : 잎이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엽병에 2-3개의 선(腺)이 있다. ▶가는잎벚나무 (var.densiflora UYEKI) : 잎이 피침형이다. ▶잔털벚나무 (var.pubescens NAK.) : 화경 소화경 잎 뒷면 및 엽병에 털이 있다. ▶털벚나무 (var.tomentella NAK.) : 엽병과 잎 뒷면 중륵에 융모가 밀생하고 화경에도 털이 많다.
-
Read MoreNo Image
사시나무
학명 : Populus davidiana Dod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드나무과(Salicaceae) target=_blank>버드나무과(Sal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시나무속(Populus) target=_blank>사시나무속(Populus)</a>
이명 : 발래나무 백양 사실버들 사실황철 산사시나무 왕사시나무 왜사시나무 파드득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2-6c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고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파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며 엽병은 편평하고 길이 1-5cm로서 털과 선점이 없다.
꽃 :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유이화서이며 자웅이주이다. 수꽃이삭은 길이 5-10cm이고 원추형이며 포는 둥글고 자줏빛이 돌며 깊은 톱니가 있고 일찍 떨어지며 화피는 길이 3mm로서 기울어진 원추형이고 수술은 6-12개이다. 암꽃이삭은 길이 4-10cm로서 대에 털이 있으며 자방은 길이 2.5mm로서 난형이고 암술머리는 2-3개이다. 꽃에는 꽃받침과 꽃잎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5월에 성숙하여 갈라진다. 흰솜털에 달린 열매는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1m에 달하는 것도 있으나 보통 높이 10m 지름 30cm에 달한다. 수피는 회록색이고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얕게 갈라져서 흑갈색으로 된다. 소지는 털이 없으며 회록색이고 동아도 털이 없으며 약간 점질이고 탁엽이 일찍 떨어진다. 수피를 백양목피(白楊木皮)라고 한다.
분포 : ▶중국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1 900m에 이르는 지역에 자라고 울릉도 팔공산 용문산 계룡산 일월산 태백산 치악산 오대산 태기산 설악산 황해도 평북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털사시나무(P. davidiana var. pilosa NAK.):잎 뒷면과 엽병 및 어린 가지에 털이 약간 있으며 경기도에서 자란다. ▶황철나무(P. maximowiczii) ▶긴잎사시나무(P. davidiana var. laticuneata NAK.):잎이 넓은 예저로 평북 및 황해도에서 자란다.
특징 : 포플러류는 자람이 빠르고 수확기가 대단히 짧은 속성수종으로 목재의 수요가 많으므로 조림가치가 매우 높은 수종이라 하겠다. 다만 포플러류는 대체로 토양조건에 대해서 대단히 까다롭기 때문에 조림지 선택에 있어 매우 조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산불이 났던 곳이나 식생이 파괴된 곳 또는 개방지등에 침입하여 군집을 이룬다.
-
Read MoreNo Image
사슨딸기
학명 : Rubus parvifolius var. taquetii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딸기속(Rubus) target=_blank>산딸기속(Rubus)</a>
잎 : 잎은 호생하고 3출우상복엽이지만 맹아(萌芽)에 있어서는 5개씩 달린 것도 있으며 소엽은 길이 2cm로서 광란형 또는 도란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정소엽은 흔히 3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고 엽병에는 가시가 많다. 가장자리에 결각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장미색으로 초여름에 피며 취산화서로서 정생(頂生)한다. 꽃받침은 길이 7-8㎜의 피침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5장이고 적색이며 길이는 5㎜로 꽃받침보다 짧고 화경에 털과 가시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지름 1.2-1.5㎝인 반원형이며 대형으로 7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 : 옆으로 뻗으며 줄기에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많고 털이 흩어져 난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청멍석딸기(var. concolor MAK. et NEMOTO.) : 잎 뒷면에 털이 거의 없다. ▶멍석딸기(R. parvifolius L.) : 잎은 길이 2-5cm이고 표면에는 잔털이 있고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으며 엽병에도 털이 나 있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
Read MoreNo Image
사스레피나무
학명 : Eurya japonic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차나무과(Theaceae) target=_blank>차나무과(Th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스레피나무속(Eurya) target=_blank>사스레피나무속(Eurya)</a>
이명 : 가새목 무치러기나무 섬사스레미나무 세푸랑나무
잎 : 잎은 두줄로 호생하며 혁질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넓은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3~8cm 폭은 1~3cm로서 위를 향한 둔한 톱니가 있고 앞면은 진록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잎가에는 둔한 거치가 있고 엽병의 길이는 1~5mm로 짧다.
꽃 : 꽃은 2가화로서 4월에 피며 전년도 가지의 엽액에서 1~2개씩 모여 핀다. 꽃은 아래를 향해 피며 직경은 5~6mm이고 연한 황록색이며 향기가 나고 화경은 길이 1~2mm정도로서 자흑색이며 소포는 2개이고 끝까지 붙어 있다. 꽃받침은 5개이며 둥글고 자흑색이며 길이 1~1.5mm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꽃잎도 5개로서 기부가 합생하며 자백색이고 길이 3-4mm이다. 수꽃의 수술은 10~15개이며 암꽃의 꽃잎은 길이 2mm로서 수술이 없고 자방이 둥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직경 5~6mm로서 10월에 자흑색으로 익는다. 중앙에는 많은 작은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수피는 흑갈색이 나고 어린가지는 털이 없다. 가지의 정아가 비쭈기나무(빗죽이나무)와 비슷한 피침형이다. 혁질이고 광택이 있다.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 말레이지아 인도에도 분포한다. ▶전남과 경남 등 따뜻한 지역의 표고 1 000m 이하에 흔히 자생한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수형:원형
유사종 : ▶떡사스레피나무(var. aurescens Rehder et Wils.):잎이 넓고 두꺼우며 암술대가 떨어져 있고 마르면 황색으로 된다. 거제도에서 자란다. ▶섬사스레피나무(for. integra T. Lee):거제도 잎에 톱니가 없다. ▶우묵사스레피나무(E. j. emarginata) :수고 2-3m 엽맥이 뚜렷하며 잎이 뒤 로 말린다.
특징 : ▶전정을 하면 맹아가 잘 나온다. ▶사스레피나무는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에 천연기념물 제 28호에지정된 주도의 상록수림에 하나이다. 그곳에 자라는 나무는 상록활엽수로서 모밀잣밤나무 붉가시나무 돈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까마귀쪽나무 광나무 다정큼나무 생달나무 감탕나무 비쭈기나무(빗죽이나무) 육박나무 황칠나무 영주치자 송악 멀꿀 마삭줄 모람 볼레괴불나무 자금우가 있다. 낙엽활엽수종으로서는 팽나무 소사나무 검양옻나무
-
Read MoreNo Image
사스래나무
학명 : Betula ermanii Ch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자작나무속(Betula) target=_blank>자작나무속(Betula)</a>
이명 : 가새사스래가새사시나무고채목긴고채목묏거자수새사스레나무새수리나무쇠고채목왕사스래좀고채목큰사스래피나무
잎 : 잎은 삼각상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아심장저 또는 아원저이며 길이 5-10cm로서 불규칙하고 성긴 톱니가 있고 측맥은 7-11쌍이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지점이 있으며 맥 위에 털이 있다. 양면 잎맥에 미모와 불규칙한 중거치가 있으며 잎맥은 길이 1-2.4cm이다. 엽병은 5-30㎜이다.
꽃 : 수꽃의 화서는 길이 8cm로 아래를 향하며 암꽃 화서는 길이 2cm정도로 위를 향하고 5-6월에 개화한다. 웅화수는 가지끝에 매달리고 길이 3-5㎝이다.
열매 : 과수는 곧게 서고 길이 2-3cm로서 긴 타원형이며 대는 길이 3-5mm이고 털이 많다. 실편의 중앙열편은 측편보다 길고 선상 긴 타원형이며 측편은 도란상 타원형이다. 열매의 날개는 열매 나비의 1/2정도이고 소견과는 도란형이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7-8m이고 수피는 회적갈색 또는 거의 회백색이며 종이처럼 벗겨져서 줄기에 오랫동안 붙어있다. 소지에 지점(脂點)과 점상 피목이 있다.
분포 :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지리산 설악산 한라산 백록담 부근 소백산 태백산 팔공산 등지의 비교적 높은 산에 많이 분포하며 중부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고산성 낙엽 활엽 교목.
유사종 : ▶가새사스래(var. incisa Koisz.) : 소지에 지점이 적고 잎이 대개 아심장저이며 엽맥이 10-14쌍이다. ▶좀고채목(var. saitoana Hatus.): 잎이 난형이며 길이 1-2.5cm(최대 5㎝)로서 표면에 털과 지점이 거의 없고 밑부분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지점이 거의 없다. 지리산 천왕봉 및 한라산의 산정에 자란다. ▶왕사스래(var. ganjuensis Nakai): 과수가 원통형으로 길이 4-5cm 폭 1-1.5cm
-
Read MoreNo Image
사상자
학명 : Torilis japonica (Houtt.)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상자속(Torilis) target=_blank>사상자속(Torilis)</a>
이명 : 뱀도랏진들개미나리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2회 우상으로 전열(全裂)하며 길이 5-10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며 소엽은 난상 피침형이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싸안는다.
꽃 : 꽃은 백색으로 6~8월에 피며 복산형화서로서 줄기끝이나 가지끝에 정생하고 꽃잎은 5개이다. 소산경은 5-9개이며 길이 1-3cm로서 6-20개의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2-4mm로서 긴 화경과 더불어 복모가 있고 총포편은 4-8개이며 선형으로 길이 1cm정도이고 소총포는 선형으로서 소화경에 붙어 있다. 5개의 수술이 있고 자방은 하위로서 1개이며 악치편은 가시털 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4-10개씩 달리며 난형이고 길이 2.5-3mm로서 짧은 가시같은 털이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과실을 사상자(蛇床子)라 한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전체에 짧은 복모가 있다. 줄기는 곧게서며 원주형이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내며 가는 홈줄이 있다.
분포 : 유럽 코카서스 북아메리카 북아시아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특징 : 중국에서는 이 열매를 사상자라고 이르지 않는다.
-
Read MoreNo Image
사방오리
학명 : Alnus firm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자작나무과(Betulaceae) target=_blank>자작나무과(Bet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오리나무속(Alnus) target=_blank>오리나무속(Alnus)</a>
이명 : 사방오리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12cm 폭 2-4cm로서 점첨두 원저이며 불규칙한 세예복거치(細銳複鋸齒)가 있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 맥 위에만 남는다. 측맥은 5-10쌍이 가장자리까지 벋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3-4월에 잎과 함께 꽃이 핀다. 수꽃 화서는 길이 4-5cm로서 가지 선단에서 3-6개씩 밑으로 처지며 원주형이고 꽃이 많이 달린다. 수꽃은 각 포린에 3개씩 달리며 수술은 5개이고 화피는 5개로 갈라진다. 암꽃 화서는 길이 2cm로 수꽃 화서 밑에 있는 소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긴 타원형이다. 암꽃은 각 포린에 2개씩 달리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과수는 길이 2-2.5cm로서 타원형이며 길이 1-2cm의 과경이 있고 털이 있으며 소견과는 좁은 타원형이고 끝이 첨두상이며 길이 4mm로서 종자의 날개는 종자 길이의 1/2이고 좁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원산지에서는 높이 7m 지름 30cm에 달한다. 수피는 회갈색이며 소지에는 털이 없고 동아는 세장(細長)하며 아린(芽鱗)은 3-4개이다. 가지가 잘 분지한다.
분포 : 전국 각처에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왕사방오리(var. hirtella Fr. et Sav.) : 어린 가지 엽병 및 엽맥 위에 밀모가 있다. ▶좀사방오리(A. pendula Matsum.)
특징 : 우리나라에는 1940년경 도입하여 전국에 식재해 왔으나 현재는 대부분 대전 이남의 온난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다.
-
Read MoreNo Image
사마귀풀
학명 : Aneilema keisak Hass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D%EC%9D%98%EC%9E%A5%ED%92%80%EA%B3%BC(Commelinaceae) target=_blank>닭의장풀과(Commel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마귀풀속(Aneilema) target=_blank>사마귀풀속(Aneilema)</a>
이명 : 애기달개비 애기닭의밑씻개
잎 : 잎은 호생하며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2~6cm 폭 4~8mm로서 밑부분이 길이 1cm정도의 엽초로 되며 엽초 전체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줄기 선단이나 각 엽액에서 1개씩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지름 약 13mm이고 화경은 길이 1.5-3cm로서 선상의 포가 1개 있다. 꽃받침잎은 피침형 둔두로서 길이 4mm정도이고 꽃잎은 난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5mm정도로서 꽃받침잎과 더불어 3개씩이며 연한 홍색이다. 수술은 3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헛수술은 3개로서 짧다. 암술 1개이고 수술대 기부에 긴 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길이 8-10mm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각 실에 5-6개의 종자가 들어있고 과경은 길이 1.5-3㎝로서 밑으로 굽는다.
줄기 : 줄기 기부는 비스듬히 땅을 기면서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이고 연한 녹색이지만 홍자색이 돌며 줄기에 털이 돋은 1개의 줄이 있다.
뿌리 : 줄기의 땅을 기는 부분에서는 마디 마다 수염뿌리가 돋는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덩굴닭이장풀(Streptolirion volubile):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심장형 꽃은 흰색이다.
특징 : 열대 지방에 약 6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
Read MoreNo Image
사리풀
학명 : Hyoscyamus niger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C%A7%80%EA%B3%BC(Solanaceae) target=_blank>가지과(Sola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리풀속(Hyoscyamus) target=_blank>사리풀속(Hyoscyamus)</a>
이명 : 싸리풀
잎 : 근생엽은 엽병이 있으나 경생엽은 없으며 원줄기를 약간 감싸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가장자리에 결각상 또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원줄기 끝에 달리고 꽃받침은 통모양으로 얕게 5갈래이며 꽃이 핀 후 약간 길게 자란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으로서 5갈래이며 통부는 자줏빛이 돌고 열편은 연녹색이며 자주색의 맥이 있다. 수술은 화관통 중앙에 달린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2실이다.
줄기 : 전체에 털과 선모가 있어 점성이다.
분포 : 각처에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잎과 종자에 맹렬한 독성이 있으나 잎은 진통제로 사용한다. ▶만주에는 이년초도 있다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사람주나무
학명 : Sapium japonicum (Siebold & Zucc.) Pax & Hoff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람주나무속(Sapium) target=_blank>사람주나무속(Sapium)</a>
이명 : 귀룽목쇠동백나무신방나무아구사리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첨두 원저이고 길이 7~15cm 폭 5-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약간 물결모양을 이루기도 하며 끝에 선점이 있다. 엽병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없고 잎과 닿는 곳에 2개의 선이 있으며 탁엽이 일찍 떨어지고 어린 가지와 엽병은 흔히 자줏빛이 돌며 자르면 유즙이 나온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정생하는 수상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10cm로서 윗부분에 많은 수꽃이 달리며 밑부분에는 화병이 있는 몇 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3개로 갈라진 술잔모양의 꽃받침잎과 2-3개의 수술있고 암꽃은 3개의 꽃받침잎과 3개의 암술대가 있는 난형의 자방이 1개 있다.
열매 : 열매는 3개의 과피로 되며 둥근 삭과로서 3개로 갈라지고 3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둥글고 지름 7mm로서 청갈색 바탕에 선상의 흑색 반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6m에 달하고 동아는 2-3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으며 털이 없다. 수피는 녹회백색이며 오래된 줄기는 얇게 갈라진다. 겨울눈은 삼각상으로 끝이 뾰족하고 2개의 아린(芽鱗)으로 싸여 있다. 가지를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분포 : 전라도 경상도 충청남도 등의 표고 100~1 300m에 서해안에서는 백령도까지 동해안에서는 속초 설악산까지 자라며 광양의 백운산에 많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오구나무(S. sebiferum): 잎은 약간 두껍고 사각상 난형이다.
특징 : 난대성 수종이며 때로는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다행송과 같은 아름다운 수형을 만든다.
-
Read MoreNo Image
사동미나리
학명 : Cnidium dahuricum (Jacq.) Turcz. ex Fisch. & Mey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천궁속(Cnidium) target=_blank>천궁속(Cnidium)</a>
이명 : 다우리아미나리 다후리아벌사상자상동미나리
잎 : 경생엽은 엽초가 있고 1~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3개 또는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맥이 달린 것처럼 두꺼워지거나 약간 뒤로 말려 두꺼워지고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며 엽병에 줄이 있고 엽맥이 표면에서는 들어가며 뒷면에서는 튀어나온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백색이고 복산형화서로 달린다. 포엽은 잎과 비슷하지만 가장자리가 넓은 막질로 된 끝에 잎의 흔적이 있으며 화경에 능선이 있다. 총포 및 소총포는 피침형이고 녹색 중륵과 측맥 바깥부분이 녹색부보다 훨씬 넓은 백색 막질이며 끝은 중륵의 연장으로서 뾰족하고 소산경은 한쪽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자방은 하위이며 6개의 날개같은 능선이 있고 암술대는 짧으며 끝이 파지고 곧다.
열매 : 열매는 분과 능선이 있음
줄기 : 높이 50cm에 달하고 털이 없다.
분포 : 백두산지역의 농사동(農事洞)과 삼하면(三下面) 사이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사데풀
학명 : Sonchus brachyotus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가지똥속(Sonchus) target=_blank>방가지똥속(Sonchus)</a>
이명 : 사데나물 삼비물 서덜채 석쿠리 시투리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어려서는 자홍색을 띠나 자라면서 회록색을 띤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잎 사이가 짧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2-18cm 나비 1-2.8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떨어져 있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다.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떨어져 달리며 가장자리에 치아상 또는 결각상의 톱니가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산형화서 비슷하게 달리며 화경은 길이 1.2-8cm로서 굵고 털이 있으며 포는 1-2개이다. 총포는 넓은 통형이고 꽃이 필 때는 길이 16-20mm 지름 4-5mm이며 흰솜털이 있다.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으로 길이 4-6mm이고 내편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8-10mm이다. 꽃은 모두 설상화이며 황금색이고 길이 21-24mm 나비 2mm로서 화관끝이 5개로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13-14mm이고 윗부분
열매 : 수과는 갈색의 타원형이며 길이 3.5mm로서 양면에 5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13mm로서 윗부분이 백색 밑부분이 갈색이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전체에 유백색즙이 있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단일하거나 가지를 적게 치며 털이 없고 세로로 줄이 있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사다리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glanduligera (Kunze) Ching var. glandulige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4%89%EC%A4%84%EA%B3%A0%EC%82%AC%EB%A6%AC%EA%B3%BC(Davalliaceae) target=_blank>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target=_blank>처녀고사리속(Thelypteris)</a>
이명 : 고려사다리고사리고려새발고사리새닥달고사리 좀새닥달고사리참사다리고사리
잎 : 엽병은 짧은 털과 더불어 인편이 약간 있고 인편은 연한 갈색이며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엽신은 좁은 삼각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15-45㎝ 폭 4-17㎝로서 끝이 뾰족하고 대가 없으며 우상으로 거의 완전히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뒷면에 황색 선점이 있다. 열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폭 1.5-2.5mm로서 밋밋하고 끝이 둔하고 소맥이 갈라지지 않으며 끝까지 닿는다.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2줄로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뿌리 : 가는 근경이 길게 뻗으며 끝부분 이외에는 인편이 드문드문 있다.
분포 : 남쪽 해안지대와 섬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초본.
유사종 : ▶참사다리고사리 (var.koreana NAK.) : 우편이 꼬리처럼 길고 열편은 폭 1-2mm로서 피침형이다.
특징 : 참사다리고사리는 우편이 꼬리처럼 길고 열편은 폭 1-2mm로서 피침형이다.
-
Read MoreNo Image
사국이질풀
학명 : Geranium shikokianum Matsu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손이풀과(Geraniaceae) target=_blank>쥐손이풀과(Geran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손이풀속(Geranium) target=_blank>쥐손이풀속(Geranium)</a>
잎 : 잎은 대생하며 장상으로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에 결각상 또는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거친 털이 난다. 잎 뒷면에 견모가 있다. 탁엽은 2개가 합생하고 건막질로서 갈색이며 난형이고 길이 8-10mm이다. 엽병은 길고 개출모(開出毛)가 있다.
꽃 : 화경끝에 소화경이 있는 꽃이 2개씩 달리고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2cm정도로서 적자색이다. 꽃받침에 퍼진 털이 있으며 꽃잎은 밑부분 가장자리에만 백색털이 있고 각각 5장씩이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약 3mm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줄기에 개출모(開出毛)가 있다.
분포 : 한라산 고지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섬쥐손이 (var.quelpaertense NAKAI) : 기본종에 비해 식물체가 작고 퍼진 털이 밀생하며 잎 뒷면에 견모가 없는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사과나무
학명 : Malus pumila Mi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과나무속(Malus) target=_blank>사과나무속(Malus)</a>
이명 : 능금나무 사과
잎 :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톱니가 있으며 맥 위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흰색 꽃이 잎과 함께 가지 끝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산형으로 달린다.
열매 :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줄기 : 작은가지는 자줏빛이다.
분포 : 세계 각지
특징 : 많은 재배종이 있다.
-
Read MoreNo Image
뿔이삭풀
학명 : Parapholis incurva (L.) C.E.Hub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이삭풀속(Parapholis) target=_blank>뿔이삭풀속(Parapholis)</a>
잎 : 엽초는 광택이 있고 절간(節間)보다 짧으며 엽설(葉舌)은 높이 0.5-1㎜이고 막질(膜質)이며 털이 없다. 잎새는 길이 2.5-12㎝ 폭 1.5㎜로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4-6월에 피며 수상화서(穗狀花序)는 원주형이며 길이 4-10㎝ 안쪽으로 굽었고 소수(小穗)는 길이 6-8㎜ 1개의 꽃으로 이루어진다. 포영(苞潁)은 모든 소수에 2개씩 있고 혁질(革質)이며 3-5맥 녹색으로 끝이 뾰족하다. 호영은 포영보다 작으며 투명하고 1맥이 있다. 내영(內潁)은 호영보다 짧고 투명하다. 수술은 3개로 꽃밥은 담황색이며 길이 0.8㎜이다.
줄기 : 줄기는 뭉쳐나고 원주형(圓株形)이며 높이 10-40㎝로 2-6개의 마디가 있고 기부는 땅에 누우며 끝이 위를 향한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북아메리카와 중국의 저쟝성에 귀화되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1994년 6월 11일 제주도 용수리 바닷가에서 최초 채집되었다. ▶수상화서의 모습이 뿔모양이어서 국명을 `뿔이삭풀`로 신칭하였다.
-
Read MoreNo Image
뿔말
학명 : Zannichellia pedunculata Rch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0%80%EB%9E%98%EA%B3%BC(Potamogetonaceae) target=_blank>가래과(Potamogeto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말속(Zannichellia) target=_blank>뿔말속(Zannichellia)</a>
잎 : 잎은 각 마디에 2-3장씩 윤생하고 실같이 가늘며 길이 5-8㎝ 나비 0.5㎜정도이고 원줄기를 감싸는 탁엽이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엽액에 수꽃과 암꽃이 같은 화경에 달리며 수꽃은 1개의 수술로 되고 수술대에는 2실로 된 꽃밥이 달린다. 암꽃은 화피가 있으며 2-5개의 떨어진 암술이 있고 암술머리는 나팔처럼 벌어지며 암술대의 길이는 2.5-3㎜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1-2.5㎜의 과경 끝에 2-5개씩 달리며 길이 1.5-3.3mm의 과병이 있다. 열매는 반월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뒷면에 돌기가 있다.
뿌리 : 지하경은 2개의 마디마다 원줄기로 교대되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자란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수초
유사종 : ▶기본종은 과병이 보다 짧거나 없으며 보다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뿔냉이
학명 : Chorispora tenella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냉이속(Chorispora) target=_blank>뿔냉이속(Chorispora)</a>
잎 : 근생엽은 잎자루가 있고 거친 파상 거치연이며 길이 10-15㎝이다.
꽃 : 꽃자루 작은 돌기상의 선모(腺毛)가 산재한다. 꽃은 폭 10㎜내외의 담홍자색의 십자화이고 꽃받침은 6-7㎜로 표면에 돌기상의 선모와 개출모가 있다. 꽃잎 4장 수술 6개 암술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5㎝ 폭은 2-3㎜의 반달모양으로 휘어지고 8-15개의 구간이 생기면서 각 2개의 종자가 있고 열매 끝이 긴뿔처럼 된다.
줄기 : 줄기는 길이 20-50㎝이다. 줄기의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파상 거치연이다.
뿌리 : 뿌리는 직근이다.
분포 : ▶북미 이란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 ▶국내는 중부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경기도 문산의 화석정 아래 묵밭과 산정호수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뿔남천
학명 : Mahonia japonica (Thunb.)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매자나무과(Berberidaceae) target=_blank>매자나무과(Berb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남천속(Mahonia) target=_blank>뿔남천속(Mahonia)</a>
이명 : 개남천
잎 : 잎은 가지 끝에 나란히 달리고 기수 1회 우상복엽이며 엽축에 마디가 있다. 엽병의 밑부분은 엽초로 된다. 소엽은 5~8쌍이며 엽병이 없고 난상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예리한 거치가 있다. 표면은 녹색으로 윤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다.
꽃 : 꽃은 3~4월에 황색으로 핀다. 줄기끝에서 몇 개의 총상화서가 나와 밑으로 처지고 화경이 있는 작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9개 꽃잎은 6개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밑은 2개의 밀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흑자색으로 익는다. 백분이 덮인다. 자방은 1실이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한다. 수피는 코르크질이고 목재는 황색이다.
분포 : 중국
형태 : 상록관목이다.
-
Read MoreNo Image
뿔고사리
학명 : Cornopteris decurrenti-alata (Hook.)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면마과(Dryopteridaceae) target=_blank>면마과(Dryopte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뿔고사리속(Cornopteris) target=_blank>뿔고사리속(Cornopteris)</a>
이명 : 뿔왜고사리 숲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40cm이며 적자색이고 잘 부러지며 하부에 피침형이고 엷은 갈색 인편이 있다. 엽신은 25~40cm이고 장 타원상 난형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나 때로는 삼각형에 가깝고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장 타원상 피침형이고 대가 없으며 흔히 낫처럼 위로 굽는다. 소우편은 둔한 톱니가 있고 우편의 주맥과 중축이 합쳐지는 부근에 사마귀 같은 작은 돌기가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에 달리고 선형이며 2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분포 : 제주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