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비진도콩

조회 수 22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Dumasia truncata Siebold & Zucc.
과명 콩과(Leguminosae)
속명 비진도콩속(Dumasia)
이명 산흑두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긴 난형이며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둔한 끝에 소돌기가 있으며 밑부분이 재저이거나 둔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짧은 복모가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탁엽은 넓은 선형이고 3맥이 있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소탁엽은 길이 1mm정도이다.
총상화서는 1-3개가 액생하며 길이 2-5cm로서 화경이 있고 꽃은 8-9월에 피며 길이 길이 15~20mm로서 황색이고 꽃받침은 통형으로서 끝이 비스듬히 잘리며 털이 없다.
열매 열매는 협과로 도피침형이고 길이 4~5cm 나비 7-8mm로서 연한 자주색으로 익으며 흑색의 둥근 종자가 3~5개 들어 있다.
줄기 원줄기는 나약하며 자흑색이 돌고 밑을 향한 짧은 복모가 있는 것도 있다.
분포 비진도에 난다.
형태 덩굴성 다년초
특징 1978년에 김삼식 교수가 비진도에서 처음으로 채집했기 때문에 비진도콩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am. Nat. 1: 119 (1845)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f99941f05545f3babb299bf76de2d622.jpg

 


  1. 왕대

    학명 :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왕대속(Phyllostachys) target=_blank>왕대속(Phyllostachys)</a>
    이명 : 강죽참대
    잎 : 잎은 3-7(흔히 5-6)개씩 달리고 길이 10-20㎝ 폭 1.2-2.0㎝로서 피침형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털이 없으며 잔톱니가 있다. 견모(肩毛)는 5-10개가 개출(開出)되어 오랫동안 남아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지만 매우 드물게 피며 화서의 길이는 5-10㎝이고 포는 도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끝에 달린 엽편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길이 10-30mm이고 각 포에 1-5개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3c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연모가 있다. 꽃밥은 길이 10mm정도이고 자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길고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밀알모양으로 여름에 결실하는데 죽실 죽미등으로 부른다. 영과(穎果)로서 내외영이 있고 가을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지만 추운 곳에서는 높이 3m 지름 1cm정도밖에 자라지 못한다. 경면(莖面)은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되고 포엽은 일찍 떨어지며 털이 있고 엽편이 있다. 속껍질을 죽여(竹茹)라 한다. 가지는 두세개씩 나온다.
    뿌리 :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어나가며 6월에 죽순이 나오는데 죽순 껍질에는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분포 : 수직적으로 표고 600m 이하 수평적으로 전남 전북(백양산) 경남 경북 충남 충북 강원도에서 난다.
    형태 : 상록 목본.
    유사종 : ▶포대죽(P. aurea) : 중국 원산으로 여러 곳에서 식재한다. 줄기는 연한 황색이며 마디가 기부에서는 밀집되어 있다. ▶대명죽(Pleioblastus Granineus) ▶한산죽(P. hindsii)
    특징 : 대나무는 1년 동안 20m까지도 자라는데 생장은 그것으로 완료되며 이후 2-3년에 걸쳐 더 견고해진다. 한 번 꽃을 피우고 난 후에는 고사하므로 그 지역이 모두 폐죽림이 된다.
    file
    Read More
  2. 비진도콩

    학명 : Dumasia truncata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진도콩속(Dumasia) target=_blank>비진도콩속(Dumasia)</a>
    이명 : 산흑두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긴 난형이며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둔한 끝에 소돌기가 있으며 밑부분이 재저이거나 둔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짧은 복모가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탁엽은 넓은 선형이고 3맥이 있으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소탁엽은 길이 1mm정도이다.
    꽃 : 총상화서는 1-3개가 액생하며 길이 2-5cm로서 화경이 있고 꽃은 8-9월에 피며 길이 길이 15~20mm로서 황색이고 꽃받침은 통형으로서 끝이 비스듬히 잘리며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도피침형이고 길이 4~5cm 나비 7-8mm로서 연한 자주색으로 익으며 흑색의 둥근 종자가 3~5개 들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나약하며 자흑색이 돌고 밑을 향한 짧은 복모가 있는 것도 있다.

    분포 : 비진도에 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특징 : 1978년에 김삼식 교수가 비진도에서 처음으로 채집했기 때문에 비진도콩이라고 한다.
    file
    Read More
  3. 땅나리

    학명 :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합속(Lilium) target=_blank>백합속(Lilium)</a>
    이명 : 애기중나리 작은중나리
    잎 : 잎은 길이 5-13cm 폭 3-6mm로서 호생하고 다닥다닥 달리며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털이 없으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때로는 반원형의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윗부분의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1-8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로서 황적색이고 안쪽에 뚜렷하지 않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길이 3-4cm로서 도피침형이고 뒤로 거의 완전히 말린다. 밀구(蜜溝) 양쪽에 털이 약간 있으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오고 꽃밥은 붉은 빛이 돌며 암술대가 자방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3-4cm로서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털이 없고 높이 30-100cm 가량 된다.
    뿌리 : 인경(鱗莖)은 지름 3-5mm로 작으며 담황색이고 인편은 적으며 인경 위의 원줄기에서 뿌리가 나온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제주도의 바닷가 풀밭에서 주로 생육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꽃이 밑을 향해 피며 종명의 callosum은 ""자색 반점이 있다(callosus)""는 뜻으로 꽃에 반점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