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Sanicula rubriflora F.Schmidt ex Maxim. |
|---|---|
|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
| 속명 | 참반디속(Sanicula) |
| 이명 | 붉은참바디 붉은참반듸 |
| 잎 | 근생엽은 원신형이며 지름 6-20c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양쪽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이고 끝이 둥글며 3-5개로 갈라지고 복거치 또는 결각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0-40cm이다. 경생엽은 2개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다시 갈라지지 않는다. |
| 꽃 | 꽃은 6월에 피며 소산화서는 1-5개이고 줄기끝에서 나며 길이 3-6cm의 화경이 있고 대생한 잎위에 산형으로 달리며 흑자색 꽃이 밀생한다. 소총포는 선상 도피침형이고 옆으로 퍼지며 녹색이고 3-7개 있으며 길이 1-2cm이다. 수꽃은 15개 정도로 길이 1-2mm의 소화경이 있고 꽃받침보다 1-2배 길다. 양성화는 4-7개 있고 자방에는 갈고리 털이 있다. |
| 열매 | 분과는 난원형이고 1-3개이며 대가 없고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4mm가량이며 가시는 길이 2mm로서 끝이 굽고 비스듬히 퍼진다. 배면에 1줄 합생면에 2줄의 유관이 있으며 6-7월에 익는다. |
| 줄기 | 높이 20-5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겉에 가는 능선이 있다. |
|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흑갈색 수염뿌리가 뭉쳐 난다. |
|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 |
| 유사종 | 참반디(S. chinensis) |
| 특징 | 참반디와는 크기 꽃의 색상의 차이가 있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Prim. fl. amur. 123 (1859) 1) Bot. Hist. North-East. Pr. Chin. (Manch.) 865 (Noda, 1971)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
Read MoreNo Image
만주논냉이
학명 : Cardamine regeliana var. manshurica Kitag.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냉이속(Cardamine) target=_blank>냉이속(Cardamine)</a>
-
Read MoreNo Image
마키노국화
학명 : Dendranthema makinoi (Matsum.)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국속(Dendranthema) target=_blank>산국속(Dendranthema)</a>
이명 : 룡뇌국화
잎 : 잎은 호생으로 난형이고 넓은잎구절초 또는 재배 국화 잎과 닯았으나 약간 작음.
꽃 : 꽃은 흰색으로 두상화서의 가장자리에 설상화 가운데에는 노란 관상화가 있으며 두상화서의 지름은 3-4㎝이다.
줄기 : 땅속줄기는 땅 속을 기는 가지를 내며 땅위줄기는 50-80㎝이다.
분포 : 강원도의 석회암 지대에 난다.
-
Read MoreNo Image
비노리
학명 : Eragrostis multicaulis Steu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새그령속(Eragrostis) target=_blank>참새그령속(Eragrostis)</a>
잎 : 잎은 길이 5~7cm 폭 3mm이고 엽초는 평활하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6-10cm이며 가지는 1개이거나 밑에서부터 갈라지기 때문에 윤생한 것같고 겨드랑이와 그 밖의 부분에 긴 털이 없다. 소수는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4~8개의 소화가 들어 있고 길이 2-3.5mm 지름 1-1.5mm로서 녹색이며 자줏빛이 돌고 까락이 없으며 광택이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고 호영은 길이 1.5mm의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막질이며 밋밋하고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다. 수술은 2~3개이며 꽃
줄기 : 높이 7-30(50)cm이며 가늘고 털이 없으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져 비스듬히 선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비녀골풀
학명 : Juncus krameri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3%A8%ED%92%80%EA%B3%BC(Juncaceae) target=_blank>골풀과(Jun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풀속(Juncus) target=_blank>골풀속(Juncus)</a>
이명 : 비녀골
잎 : 잎은 화서보다 짧고 원통형이며 단관질로서 격막이 뚜렷하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화서끝에 달리며 3-10송이의 꽃이 다소 밀착하여 두상화서를 이루고 맨 밑의 포는 잎 모양이며 화서보다 길다. 화피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녹색으로서 길이는 3-4㎜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고 꽃밥은 난형이며 수술대보다 훨씬 짧다.
열매 : 삭과는 삼각상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화피보다 다소 길고 종자는 길이 0.5mm정도로서 도란형이다.
줄기 : 원줄기는 둥글며 높이 30-60cm로서 2-3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비고사리
학명 : Lindsaea japonica (Baker) Diel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비고사리과(Lindsaeaceae) target=_blank>비고사리과(Lindsa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고사리속(Lindsaea) target=_blank>비고사리속(Lindsaea)</a>
이명 : 새깃고사리좀새깃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5㎝로서 자갈색이며 밑부분에 털같은 인편이 있다. 엽신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길이 3-7㎝ 나비 1-2㎝로서 털이 없으며 황록색이고 끝이 뾰족하다. 우편은 7-12쌍이며 짧은 대가 있고 퍼지며 위끝은 직선이거나 약간 도드라지고 포자낭이 달리지 않는 잎에는 결각이나 둔한 톱니가 약간 있으며 밑부분이 비스듬히 굽는다.
열매 : 포자낭군은 잎가장자리에서 엽맥을 연결하여 달리기 때문에 위쪽 전부를 차지하고 가장자리를 향하여 벌어지는 포막이 있다.
줄기 : 옆으로 뻗는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고 털같은 인편이 있다.
분포 : 한라산 남쪽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초본
특징 : 새깃고사리는 비고사리에 유사하나 포자낭군이 연속하여 달리지 않는다.
-
Read MoreNo Image
브라질마편초
학명 : Verbena brasiliensis Ve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마편초과(Verbenaceae) target=_blank>마편초과(Verbe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마편초속(Verbena) target=_blank>마편초속(Verbena)</a>
잎 : 잎은 타원형 또는 선상 타원형으로 크기가 다른 톱니가 있고 길이 7-15㎝ 폭 1-3.8㎝로 거친 털이 있어 꺼끌꺼끌하다. 잎자루는 거의 없고 위의 잎은 기부가 줄기를 싼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 취산화서가 달린다. 꽃은 지름이 2-3㎜로 담자색이며 1개의 포엽이 있고 꽃받침은 포엽보다 길이가 짧고 끝이 5열되며 화관의 통부는 꽃받침 길이의 2배이며 외부에 털이 있고 끝이 5열된다. 암술과 수술은 짧아서 화관 통부 속에 들어 있다. 꽃이 지고 열매가 될 때에는 이삭이 길어져서 길이 1-5㎝가 된다.
열매 : 과실은 길이 1.2㎜이고 갈색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00-200㎝로 네모지며 거친 털이 있다.
분포 : 북아메리카 하와이 뉴질랜드와 일본에 귀화되었다. ▶제주 중문관광단지내의 여미지식물원 정문 앞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마편초(Verbena officinalis):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보통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다시 우열된다. 수상화서는 길이 30㎝에 이르며 꽃이 엉성하게 달린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8(4)
-
Read MoreNo Image
붕어마름
학명 : Ceratophyllum demersum L. var. demersu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target=_blank>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붕어마름속(Ceratophyllum) target=_blank>붕어마름속(Ceratophyllum)</a>
잎 : 잎은 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5-12개의 밑이 합쳐져서 1개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싸며 차상(叉狀)으로 갈라지고 길이 1.5-2.5cm로서 열편은 실같이 가늘고 잔가시같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엽액에 자루가 없는 작은 단성화가 1개씩 달리고 8-10개로 갈라진 총포가 있으며 화피는 없다. 수꽃은 여러개의 수술이 있고 수술대는 없으며 꽃밥은 긴 타원형이고 끝에 가시같은 2-3개의 작은 돌기가 있다. 암꽃은 1개의 암술로 되고 암술대은 1개이다.
열매 : 수과는 긴 난형이며 대가 없고 길이 4-5mm로서 밑부분 근처에 2개의 자침(刺針)이 있으며 자침같은 암술대는 흔히 열매보다 길고 남아 있다. 8-9월에 익는다.
줄기 : 가지 끝에 생기는 생식아로 월동하고 원줄기는 길이 20-40cm로서 가늘며 짧은 가지가 성글게 난다.
뿌리 : 뿌리는 발달하지 않고 가지가 변한 가근(假根)으로 땅속으로 들어간다.
분포 : ▶전세계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수생 다년초.
유사종 : ▶오성붕어마름 (var.quadrispinum MAK.): 밑부분에 자침(刺針) 이외에 견부(肩部)에도 2개의 자침이 달려 있다.
특징 : ▶침수성의 다년초이다. ▶기부에 2개의 바늘모양의 가시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붕겐새풀
학명 : Calamagrostis bungeana V.Petro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새풀속(Calamagrostis) target=_blank>새풀속(Calamagrostis)</a>
잎 : 잎몸은 폭 2㎜로 접히고 엽설은 길이 4.5㎜가량으로 막질이다.
꽃 : 원추화서는 타원형으로 밀착하고 낱꽃은 다수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4.5㎜로 광택이 나고 황적색이다. 호영은 서로 비슷하고 용골에 강모가 많다. 외영은 호영보다 짧고 끝에 톱니가 4개이다. 중앙 밑부분에서 까락이 나온다. 캘러스의 털은 낱꽃 길이의 1/2이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의 길이 2-2.5㎜이다.
줄기 : 줄기는 가냘프고 가지를 치지 않는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에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붓순나무
학명 : Illicium anisatum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순나무과(Illiciaceae) target=_blank>붓순나무과(Illic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순나무속(Illicium) target=_blank>붓순나무속(Illicium)</a>
이명 : 가시목 말갈구 발갓구 붓순
잎 :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cm 넓이 2-5㎝로서 예두 예저이다. 양면에 털이 없으며 톱니가 없고 두툼하며 짙은 녹색에 광택이 나며 잎을 자르면 향이 난다. 엽병은 길이 6-10㎜이고 털이 없다. 엽맥이 뚜렷하지 않다.
꽃 : 꽃은 3-4월에 피며 액생하고 녹백색이며 지름 2.5-4㎝로 향기가 있다. 화경은 길이 1cm이고 꽃받침잎은 6개이며 꽃잎은 10-15개이고 길이 10-13mm로서 선형이다. 수술은 많으며 길이 3mm이고 자방은 길이 4mm로서 6-12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6-12개가 바람개비처럼 배열되며 지름 2-2.5cm이고 9-10월에 익으며 외과피는 육질이고 내과피는 각질이며 특유한 향이 있고 유독성 길이 6-7mm의 황색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줄기 : 높이 3-5m이며 수피에 특유한 향이 있고 수피는 어두운 회색이며 가지에 털이 없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분포 : ▶일본 북해도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진도 완도 등에서 자생하며 전라남도 경상남도 이남 천리포까지도 식재가 가능하다.
형태 : 상록활엽소교목 수형:타원형.
특징 : 맹아력은 강하지만 생장속도가 느리다. 질감이 고우며 잎전체에 윤기가 있고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
Read More
붓꽃
학명 : Iris sanguinea Donn ex Hor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붓꽃과(Iridaceae) target=_blank>붓꽃과(Ir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붓꽃속(Iris) target=_blank>붓꽃속(Iris)</a>
잎 : 잎은 곧추 서고 선형으로 길이 30~50cm 나비 5~10mm이며 끝은 뾰족하고 중륵은 뚜렷하지 않으며 밑부분은 엽초같고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2~3개씩 달리며 지름 8cm 내외이고 소화경은 길이 2~4cm로 소포보다는 짧으나 자방보다 길며 포는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5~6cm이다. 외화피편은 넓은 도란형으로 퍼지고 조부는 황색 바탕에 자색 줄무늬가 있으며 내화피편은 타원상 도피침형으로 길이 약 4cm이고 곧추 선다. 암술대의 열편 끝은 2열하고 톱니가 있으며 꽃밥은 암자색이다. 화경은 곧추 서고 높이 30~60c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대가 있고 양 끝이 뾰족한 원주형이다. 종자는 갈색이고 삭과 끝이 터지면서 나온다.
줄기 :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나와 뭉쳐나며 밑부분에 붉은빛을 띤 갈색 섬유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고 갈색의 섬유로 덮여있다.
뿌리에는 소화·구어혈·소종의 효능이 있어 민간에서는 소화불량·복창만·질타손상·치질·옹종·개선 등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몽고 다후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이름의 유래는 꽃봉오리가 먹을 머금은 붓과 같다고 해서 붓꽃이라 한다.
-
Read MoreNo Image
붉은톱풀
학명 : Achillea alpina subsp. rhodoptarmica (Nakai) Kita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톱풀속(Achillea) target=_blank>톱풀속(Achillea)</a>
이명 : 각시톱풀 좀가새풀 좀톱풀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넓은 선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6.5~10cm 폭 6~7mm로서 뒷면에 견모가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밑부분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 : 두화는 지름 6~7mm이며 총포는 길이와 나비가 각각 4~4.5mm로서 구상 종형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외편이 보다 짧고 가장자리는 갈색이며 견모가 다소 있고 암꽃은 6~8개로서 양성화보다 길며 장미색이고 밑부분에 날개가 있다.
열매 : 삭과는 편평하며 길이 2.2mm 폭 1mm 정도로서 끝이 수평하고 밑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70-90cm이고 털이 다소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함경도의 높은 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붉은토끼풀
학명 : Trifolium pratense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토끼풀속(Trifolium) target=_blank>토끼풀속(Trifolium)</a>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장상3출복엽이고 소엽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저(銳底) 또는 원저(圓底)에 둔두(鈍頭) 또는 요두(凹頭)이고 길이 3-5cm 넓이 1-3cm로서 가장자리 측맥끝이 세거치상(細鋸齒狀)으로 돌출되었다. 잎표면에 흰 무늬가 있고 양면에 털이 소생하며 탁엽은 난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졌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줄기 또는 가지끝에 자주빛 또는 붉은 자줏빛 접형화(蝶形花)가 산형으로 밀집되어 두상화서를 이루며 화경이 거의 없이 줄기 꼭대기잎 탁엽으로 싸여 있다. 포는 난상피침형으로 꽃받침보다 짧다. 꽃받침은 종모양으로서 선상피침형의 5치가 있다. 꽃잎은 길이 12-16mm이다.
열매 : 협과는 길이 2mm정도의 도란형으로서 숙존악에 싸여 있고 과피는 막질이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신형으로서 황갈색 또는 황자색이며 8-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전체에 털이 다소 있고 곧추 30-60cm정도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세계적으로 분포한다. ▶(목초재배)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토끼풀과 비슷하지만 화서에 화경이 거의 없고 포엽이 없으며 원줄기에 퍼진 털이 있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다.
-
Read MoreNo Image
붉은털이슬
학명 : Circaea erubescens Franch. & Sa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바늘꽃과(Onagraceae) target=_blank>바늘꽃과(Onag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털이슬속(Circaea) target=_blank>털이슬속(Circaea)</a>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길이 2~5cm)은 붉은 갈색을 띤다. 엽신은 난형이거나 좁은난형(길이 3~7cm 너비 1.5~3.5cm)이며 끝부분은 급히 뾰족하고 밑부분은 거의 둥그스름하다. 잎엽연에는 짧은 거치가 드물게 있고 연하며 털은 보통 없다. 엽액에서는 보통 짧은 가지가 나와 그 끝에 작은 잎이 생긴다.
꽃 : 꽃은 7~8월경에 보통 가지끝에서 총상화서를 이루고 핀다. 화서는 흔히 가지치며 꽃대는 가늘고 꽃핀 다은 길어지며 (길이 6~10cm) 털은 없다. 포엽은 작다. 꽃받침통은 난형이고 짧으며 꽃받침잎(길이 약 2mm)은 분홍색이다. 꽃잎은 도란형이며 끝부분은 얕게 오목하고 길이는 꽃받침잎의 절반정도 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고 8~9월에 여물고 좁은도란형(길이 2mm 너비 1.5mm 정도)이며 갈고리모양의 털이 촘촘히 덮여있으며 2칸으로 되었고 2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과병은 털이 없고 열매보다 2~3배 정도 길며 가늘고 아래로 드리운다.
줄기 : 줄기는 보통 가지치지 않고 곧추자라며 털은 없고 붉은 자색을 띤다. 어린식물체에는 구부러진 짧은 털이 드물게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뿌리 : 근경은 길게 뻗는다.
분포 : 한반도(북부 남부) 일본 중국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붉은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koreana (Nakai)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터리풀속(Filipendula) target=_blank>터리풀속(Filipendula)</a>
이명 : 붉은터리
잎 : 잎은 호생하며 1회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은 가장 크며 길이 9cm 폭 11cm로서 단풍잎처럼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측소엽은 작으며 4-5쌍이지만 경생엽에는 1-4쌍이 달리고 탁엽은 길이 0.5-1cm로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적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끝의 취산상 산방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 5개이고 수술은 많으며 꽃잎보다 훨씬 길다. 꽃받침은 피침형으로 길이 0.5mm이고 꽃잎은 타원형으로 길이 3mm이며 암술은 5-6개이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 2.5mm가량으로 앞뒤에 털이 있고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8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홈줄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북부지방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흰터리풀 (for.alba NAK.) : 백색꽃이 피며 부전고원(赴戰高原)에서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붉은키버들
학명 : Salix koriyanagi f. rubra (Nakai) W.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버드나무과(Salicaceae) target=_blank>버드나무과(Salic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버드나무속(Salix) target=_blank>버드나무속(Salix)</a>
이명 : 키버들
잎 : 잎은 대생하거나 호생하며 선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또는 예첨두이며 둔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6-8cm 폭 6-18mm로서 붉은 빛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가장자리의 톱니는 뚜렷하지 않은 소치(疎齒)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mm이며 탁엽이 없다.
꽃 : 꽃은 4월에 피고 암수딴그루로서 가지끝의 유이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자웅화수는 길이 2-3cm로서 많은 꽃이 달리며 포는 2㎜정도로서 둥글고 흑색이나 흰색의 긴 털이 밀생한다. 수술은 1개이고 수술대는 포보다 3-5배 길며 포보다 긴 털이 있고 꽃밥은 흑자색이다. 자방은 대가 없고 백색털이 밀생하며 자방에 암술대가 있고 암술머리는 2개이며 분홍색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며 털이 밀생하고 4-5월에 성숙한다.
줄기 : 어린줄기에 붉은 빛이 돈다. 가지는 길게 뻗으며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황갈색 또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분포 : 함경북도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키버들(S. purpurea var. japonica Nakai): 가느다란 황갈색의 가지가 곧게 벋으면서 자라고 잎은 길이 6-8㎝ 폭 5-10㎜로서 뒷면이 흰색을 띤다.
특징 : ▶키버들에 비해서 어린 줄기와 잎에 붉은 빛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버들개지를 이용하기 위해서 논밭에 재배하기도 하며 맹아력이 강하다.
-
Read MoreNo Image
붉은참반디
학명 : Sanicula rubriflora F.Schmidt ex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반디속(Sanicula) target=_blank>참반디속(Sanicula)</a>
이명 : 붉은참바디 붉은참반듸
잎 : 근생엽은 원신형이며 지름 6-20c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양쪽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이고 끝이 둥글며 3-5개로 갈라지고 복거치 또는 결각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0-40cm이다. 경생엽은 2개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다시 갈라지지 않는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소산화서는 1-5개이고 줄기끝에서 나며 길이 3-6cm의 화경이 있고 대생한 잎위에 산형으로 달리며 흑자색 꽃이 밀생한다. 소총포는 선상 도피침형이고 옆으로 퍼지며 녹색이고 3-7개 있으며 길이 1-2cm이다. 수꽃은 15개 정도로 길이 1-2mm의 소화경이 있고 꽃받침보다 1-2배 길다. 양성화는 4-7개 있고 자방에는 갈고리 털이 있다.
열매 : 분과는 난원형이고 1-3개이며 대가 없고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4mm가량이며 가시는 길이 2mm로서 끝이 굽고 비스듬히 퍼진다. 배면에 1줄 합생면에 2줄의 유관이 있으며 6-7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20-5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겉에 가는 능선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굵으며 흑갈색 수염뿌리가 뭉쳐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참반디(S. chinensis)
특징 : 참반디와는 크기 꽃의 색상의 차이가 있다.
-
Read MoreNo Image
붉은조개나물
학명 : Ajuga multiflora f. rose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개나물속(Ajuga) target=_blank>조개나물속(Ajuga)</a>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5-3cm 폭 7-20mm로서 양면에 긴 선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적색으로 5-6월에 피고 엽액에 달리며 총상으로 되고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7mm정도로서 반 이상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2cm정도로서 2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이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것이 가장 길다.
열매 : 사분과(四分果)는 도란형이며 능각이 없고 뒷면에 그물맥이 있으며 앞쪽 밑부분에 큰 부착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긴 털이 밀생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붉은자주애기괭이밥
학명 : Oxalis acetosella var. rosea Peter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4%AD%EC%9D%B4%EB%B0%A5%EA%B3%BC(Oxalidaceae) target=_blank>괭이밥과(Oxal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괭이밥속(Oxalis) target=_blank>괭이밥속(Oxalis)</a>
이명 : 분홍빛괭이밥 장미색애기괭이밥풀
분포 : 한반도(중부 북부) 러시아
특징 : 원변종인 애기괭이밥에 비해 꽃이 장미색이다.
-
Read MoreNo Image
붉은완두
학명 : Pisum sativum var. arvense (L.) Trautv.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완두속(Pisum) target=_blank>완두속(Pisum)</a>
잎 : 잎은 호생한다.
꽃 : 꽃은 접형이다.
열매 : 열매는 타원형이다.
분포 : 유럽산 2년초
-
Read MoreNo Image
붉은여로
학명 : Veratrum versicolor f. brunne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여로속(Veratrum) target=_blank>여로속(Veratrum)</a>
잎 : 잎은 원줄기 하반부에서 호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20-30㎝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초와 연결된다.
꽃 : 꽃은 7-8월이 피며 갈색꽃이 핀다. 원줄기의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의 포는 피침형이고 수술과 화피열편(花被裂片)이 각각 6개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다.
줄기 : 원줄기 밑부분은 엽초가 썩어서 남은 섬유로 덮여 있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밑부분에 굵은 수염뿌리가 있다. 근경 윗부분과 원줄기 밑부분은 엽초가 썩어서 남은 섬유(纖維)로 덮여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여로 푸른여로
특징 : 곧추 자란다. 독성이 있는 근경을 약용으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