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붉은겨울살이

조회 수 3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Viscum album f. rubroauranticum (Makino) Ohwi
과명 겨우살이과(Loranthaceae)
속명 겨우살이속(Viscum)
이명 붉은겨우살이
줄기와 잎은 녹색으로 겨울풍경을 아름답게 해 준다. 잎은 대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는 3-6cm 폭은 6-12mm로 끝은 둔하고 기부는 둥글고 밑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엽병은 없고 짙은 녹색이며 잎은 두껍고 윤채가 없다.
개화기는 4월로 2가화이며 정생하고 화경이 없으며 황색이며 소포는 술잔 모양이고 화피는 종같으며 4개로 갈라지고 암술머리는 대가 없다.
열매 둥글며 적색으로 익고 직경은 6mm 정도로 끝에 화피열편과 암술머리가 남아 있다.
줄기 까치집 모양으로 자라며 녹색이 난다. 가지는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사이가 3-6cm이고 매끈하다.
뿌리 기생식물이다.
분포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상록활엽소관목 (기생식물이며 관엽 관경(觀莖) 식물)
유사종 ▶겨우살이(V. album var. coloratum Ohwi): 열매는 공모양이며 익으면 연노란색의 반투명체가 된다.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 et. Sav.): 기생식물로서 엽록소가 있는 잎을 통해 스스로 광합성을 하며 뿌리를 숙주나무에 박고 물과 영양분을 섭취한다.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Engl.): 잎은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 있고 많은 마디가 있다.
특징 열매가 붉은 점이 겨우살이와 다르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Neolin. Fl. Manshur. 585 (Kitag., 1979)
참고문헌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붉은씨서양민들레

    학명 : Taraxacum laevigatum 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민들레속(Taraxacum) target=_blank>민들레속(Taraxacum)</a>

    잎 : 잎은 근생엽(根生葉)뿐이며 털이 없고 길이 8-15㎝ 깊게 하향톱니가 있는 우상 분열(羽狀 分裂)을 하거나 좁은 삼각상 피침형의 열편으로 우상 분열을 한다.
    꽃 : 꽃은 4-6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지름 2.5-3㎝ 황색이고 70-90개의 설상화로 이루어지며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6-15㎝이다. 총포편(總苞片)은 2줄로 배열하며 청록색이다. 외총포편은 피침형이며 평개(平開)되거나 끝이 아래쪽을 향하여 굽는다. 내총포편은 선형(線形)이며 외총포편보다 길다. 모두 끝이 뾰족하다.
    열매 : 수과(瘦果)는 방추형이며 적색 또는 적갈색 위에 작은 가시가 있고 사상(絲狀)의 부리 모양의 돌기가 있다. 관모는 오백색(汚白色)이다.


    분포 : 서울 전역에 분포되어 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서양민들레(T. officinale Weber.): 잎은 근생엽뿐이며 윤곽이 장타원형 또는 주걱형이다. 꽃은 3-9월에 피며 두화는 150-200개의 설상활 구성되어 있다.
    특징 : ▶북아메리카 일본에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78년에 全義植씨에 의하여 서울의 선정릉에서 채집하고 `붉은씨서양민들레`로 국명을 신칭하여 보고되었다. ▶`서양민들레`와 비슷하다.
    Read More
  2. No Image

    붉은수크령

    학명 : Pennisetum alopecuroides var. erythrochaetum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수크령속(Pennisetum) target=_blank>수크령속(Pennisetum)</a>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40-60㎝ 나비 9-15㎜로서 털이 다소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화수는 원주형이고 길이 15-25㎝ 지름 15㎜로서 흑자색이다. 소수의 대는 길이 1㎜정도로서 중축과 더불어 털이 밀생하며 소지에는 1개의 양성화와 수꽃이 달린다. 소수는 길이 5mm정도로서 맥이 없고 총포모는 길이 25-28mm이며 짙은 적색이다. 첫째 포영은 길이 0.7mm정도로서 맥이 없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3㎜정도로서 3-5맥이 있다. 퇴화된 호영은 소수와 길이가 같고 양성화를 둘러싸며 7맥이 있고 양성화의 호영은 5맥이


    뿌리 : 근경에서 억센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위끝에 중축과 더불어 백색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수크령 (P.alopecuroides (L.) SPRENG.) ▶붉은수크령 (for.erythrochaetum OHWI)

    Read More
  3. No Image

    붉은서나물

    학명 : Erechtites hieracifolia Ra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5%AD%ED%99%94%EA%B3%BC(Compositae) target=_blank>국화과(Composi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붉은서나물속(Erechtites) target=_blank>붉은서나물속(Erechtites)</a>
    이명 : 대룡국화 민머위나물 )
    잎 : 잎이 쇠서나물과 비슷하지만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거나 2-3개의 잎이 접근하여 달림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리거나 원줄기를 감싸고 날카로운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지만 화서 밑부분의 잎은 갑자기 작아지지 않고 녹색으로서 털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정생 또는 액생하고 두화는 산방상으로 달리며 원통형이고 밑부분이 약간 튀어나오며 길이 1.5cm 지름 0.5cm로서 밑부분에 소포가 있다. 포편은 1줄로 배열되고 나비 0.5-1.5mm로서 녹색이며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선형이며 밑부분이 다소 넓다.
    열매 : 수과는 흑갈색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3mm로서 10-12개의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14mm정도로서 백색이다. 관모는 수과에서 잘 분리된다.
    줄기 : 높이 0.2-2m이고 종선이 있으며 연하고 곧게 서며 붉은빛이 돌고 골속이 해면질이며 원줄기가 연약하다.

    분포 : ▶북반구의 온대지방과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 널리 귀화하여 자란다. 지리적으로 열대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일본등지에 분포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대형의 1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4. No Image

    붉은사철란

    학명 : Goodyera macranth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사철란속(Goodyera) target=_blank>사철란속(Goodyera)</a>

    잎 : 잎은 3~4개가 호생하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길이 2~4cm 폭 1~2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회록색이며 백색 무늬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붉은빛이 도는 연한 갈색이며 통같고 길이 2.5-3cm로서 1-3개가 달린다. 화축 자방 및 꽃받침에 꼬불꼬불한 털이 느슨하게 있으며 포는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1.5~2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꽃받침잎은 넓은 선형이며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다. 순판은 길이 17-20mm이고 밑부분이 부풀며 안쪽에 털이 있고 현부(舷部)는 피침형이며 끝이 젖혀지고 다소 뾰족하다. 꽃술대는 짧다.
    열매 : 길이 15~18mm의 삭과이다.
    줄기 : 높이 4-8cm이고 기부는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제주도와 완도 등 다도해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 다년생 초본

    특징 : 세계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5종이 분포한다. 지상 또는 착생란으로 줄기의 밑동이 길다.
    Read More
  5. No Image

    붉은병꽃나무

    학명 : Weigela florida (Bunge) A.DC.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병꽃나무속(Weigela) target=_blank>병꽃나무속(Weigela)</a>
    이명 : 당병꽃나무 물병꽃나무 병꽂나무 조선병꽃나무 좀병꽃나무 참병꽃나무 통영병꽃나무 팟꽃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4~10cm 나비 2~4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표면 중륵에 잔털 뒷면 중륵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5월에 짙은 홍자색으로 피고 잎짬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중렬하고 길이 6~13mm이며 열편은 피침형이다. 화관은 길이 3~4cm이고 끝이 5열하며 자방에 잔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길이 15~22mm이며 9월에 익고 종자에 날개가 없다.
    줄기 : 어린가지는 모서리 위에만 털이 있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Read More
  6. No Image

    붉은벌깨덩굴

    학명 : Meehania urticifolia f. rubr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벌깨덩굴속(Meehania) target=_blank>벌깨덩굴속(Meehan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삼각상 심장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 2-5cm 폭 2-3.5cm이지만 덩굴의 잎은 지름 1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적색으로 5월에 피고 화경 윗부분의 엽액에 큰 순형화가 한쪽을 향해 4개 정도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1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4-5cm이며 통부가 길고 갑자기 부풀며 아래쪽 꽃잎의 중앙열편은 특별히 크고 측열편과 더불어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긴 백색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좁은 도란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털이 드문드문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화경(花莖)으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7. No Image

    붉은물푸레

    학명 : Fraxinus pennsylvanica Mars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푸레나무속(Fraxinus) target=_blank>물푸레나무속(Fraxinus)</a>
    이명 : 붉은물푸레나무
    잎 : 잎은 대생 기수1회우상복엽 소엽은 5~9장 엽병이 있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 점첨두 넓은 예저 길이 8~14cm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거나 거의 밋밋하고 소엽병은 길이 3~6mm로서 밀모가 있다.
    꽃 : 꽃은 잎보다 먼저 피며 원추화서는 전년지 밑부분에 액생하고 털이 밀생하며 암꽃은 녹색으로서 뚜렷하지 않고 꽃밥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화사는 짧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6cm 날개는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 둔두 점첨두 간혹 요두이며 중앙 이하 또는 기부까지 흐른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며 소지는 엽병과 더불어 털이 밀생한다.


    형태 : 낙엽 교목.
    유사종 : ▶좁은붉은물푸레 (var.lanceolata SARG.): 소엽이 피침형이 가깝다.

    Read More
  8. No Image

    붉은대극

    학명 :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C%80%EA%B7%B9%EA%B3%BC(Euphorbiaceae) target=_blank>대극과(Euphorb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대극속(Euphorbia) target=_blank>대극속(Euphorbia)</a>
    이명 : 민대극
    잎 : 잎은 어릴 때 붉은빛을 띤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뭉뚝하고 길이 9-10cm 폭 1.5cm이다.
    꽃 : 줄기 끝의 엽액에서 측지가 나와 배상화서(杯狀花序)가 달린다. 수꽃에는 소포편이 없고 자방의 표면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표면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없다.
    줄기 : 높이는 40-50cm이고 가지가 줄기 끝에서 산형으로 퍼져 난다.
    뿌리 : 지하경은 퉁퉁하다.
    분포 : 울릉도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

    Read More
  9. No Image

    붉은노루삼

    학명 : Actaea erythrocarpa Fisc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target=_blank>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노루삼속(Actaea) target=_blank>노루삼속(Actaea)</a>

    잎 : 경생엽은 호생하고 2-3개이며 엽병이 길고 2-4회 3출복엽이며 최종소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결각 및 뾰족한 톱니가 있고 때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4-10cm 폭 2-6cm로서 맥위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줄기 선단의 총상화서는 길이 3-5cm이고 소화경은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10-15mm 지름 1mm정도로서 암적색이며 수평으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도란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꽃이 피면 곧 떨어지며 꽃잎은 넓은 난형이고 길이 2-2.5mm이며 수술은 길이 4mm정도이다.
    열매 : 장과는 둥글고 지름 6mm정도로서 적색 또는 백색으로 익는다. 소과경은 지름 0.6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40-70cm이며 밑부분에 인편같은 잎이 있고 윗부분에 잔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노루삼과 달리 열매가 적색 또는 백색이다.
    Read More
  10. No Image

    붉은꽃싸리

    학명 : Campylotropis macrocarpa f. rosea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싸리속(Campylotropis) target=_blank>꽃싸리속(Campylotropis)</a>

    잎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길이 2~5cm로서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미요두이다. 잎의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에 갈색 견모가 밀생하고 엽병은 길이 1.5-3.7㎝로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기판이 적색이고 용골판이 자주색이고 길이 1cm정도로서 길이 8cm정도의 엽액에서 나온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포액에 1개씩 달리며 길이 5-7mm로서 꽃과의 사이에 환절이 있다. 꽃받침열편은 통부보다 짧고 길이가 서로 비슷하며 첨두이다.
    열매 : 협과는 길이 1.2-1.5㎝ 넓이 5㎜정도로서 타원형이고 주름과 녹색 연모가 많으며 양끝이 좁고 10월에 익는다. 싸리속(Lespedeza)은 소화경이 끝까지 남아 있는 포액에 2개씩 달리며 환절이 없으나 꽃싸리속(Campylotropis)은 화경이 곧 떨어지는 포액에 1개씩 달리고 환절이 있다.
    줄기 : 한 곳에서 여러 대가 모여 나와서 사방으로 퍼진다. 어린가지에 견모가 있다.

    분포 : 경남 김해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꽃싸리(C. macrocarpa Rehder): 꽃은 길이 8㎝정도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8-9월에 계속 연분홍색으로 핀다.

    Read More
  11. No Image

    붉은구상

    학명 : Abies koreana f. rubrocarp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전나무속(Abies) target=_blank>전나무속(Abies)</a>

    잎 : 잎은 젓나무처럼 생겼으며 끝이 둘로 갈라져 있으며 뒷면은 순백색의 기공조선(氣孔條線)이 발달하여 하얀색을 띤다.
    꽃 : 5-6월에 솔방울처럼 빨강 노랑 분홍 자주 등의 다양한 색깔의 꽃이 생장점에 크기 1-2㎝로 핀다.
    열매 : 8-9월에 붉은 색의 구과가 열린다.
    줄기 : 소지는 처음에는 약간 털이 있으며 황색을 띠지만 나중에는 털이 없어지고 자색을 띤다. 가지에는 잎이 떨어진 자국이 뚜렷하다. 동아는 난원형이며 털이 없고 송진이 약간 묻어 있다.

    분포 :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무등산의 표고 500-2 000m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유사종 : ▶푸른구상(for. chlorocarpa T. Lee): 구과의 색이 푸른 것. ▶검은구상(for. nigrocarpa Hatus.): 구과의 색이 검은 것.

    Read More
  12. No Image

    붉은골풀아재비

    학명 : Rhynchospora rubra (Lour.)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target=_blank>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a>
    이명 : 송이골풀아재비 송이방동사니
    잎 : 잎은 선형이고 폭 1.5-3㎜로서 밑부분에만 달린다.
    꽃 : 꽃은 9월에 피고 화경(花莖) 끝에 송이처럼 달리며 포는 5-10개로서 잎같고 사방으로 퍼진다. 소수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6-7mm로서 5-6개의 인편이 다소 2줄로 배열되고 연한 적갈색이며 밑부분에 1개의 암꽃 윗부분에 3-4개의 수꽃이 달리거나 꽃이 없다. 암술대는 길며 갈라지지 않고 화피열편은 침형이며 6개로서 수과길이의 1/2 정도이고 위를 향한 잔돌기가 있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고 갈색이나 차츰 짙어지며 길이 1.5-1.8㎜로서 위 가장자리에 짧은 가시털이 약간 있고 부리가 짧다.
    줄기 : 높이 30-40cm이고 전체가 연한 녹색이며 둔하게 각이 지고 평활하며 곧게 선다.

    분포 : 남부지방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3. No Image

    붉은고로쇠

    학명 : Acer mono f. rubripes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B%A8%ED%92%8D%EB%82%98%EB%AC%B4%EA%B3%BC(Aceraceae) target=_blank>단풍나무과(Ac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단풍나무속(Acer) target=_blank>단풍나무속(Acer)</a>

    잎 : 잎은 대생하고 둥글며 5-7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은 점첨두이며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지름 7~15cm로서 뒷면 맥액에 속생한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엽병은 적색이며 잎은 가을철에 황색으로 된다.
    꽃 : 산방상 원추화서는 새가지 끝에서 잎과 같이 나오고 꽃은 일가화로서 5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지름 5-7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며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시과는 예각으로 벌어지고 길이 2~3cm이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곧게 자라고 웅대하게 퍼지며 껍질은 회청색으로 평활하지만 장령목이 되면서부터 세로로 골이져 갈라지고 어린가지는 회황색으로 얕게 갈라진다. 이른봄에 수액을 받아 약수로 한다.
    뿌리 : 천근성(淺根性)이고 사출(射出) 또는 수평으로 발달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00-1 800m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긴고로쇠나무(A. mono Max. for. dissectum Rehder) : 잎이 깊게 갈라지고 열편이 피침형이며 엽병이 매우 길다. ▶집께고로쇠(A. mono Max. for connivens Rehder) : 열매가 예각으로 벌어진다. ▶털고로쇠(A. mono Max. var. ambiguum Rehder) : 잎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뒷면에 짧은 갈색 털이 있다. ▶산고로쇠(A. mono Max. var. horizontale Nak

    Read More
  14. No Image

    붉은겨울살이

    학명 : Viscum album f. rubroauranticum (Makino) Ohw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2%A8%EC%9A%B0%EC%82%B4%EC%9D%B4%EA%B3%BC(Loranthaceae) target=_blank>겨우살이과(Lor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겨우살이속(Viscum) target=_blank>겨우살이속(Viscum)</a>
    이명 : 붉은겨우살이
    잎 : 줄기와 잎은 녹색으로 겨울풍경을 아름답게 해 준다. 잎은 대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는 3-6cm 폭은 6-12mm로 끝은 둔하고 기부는 둥글고 밑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엽병은 없고 짙은 녹색이며 잎은 두껍고 윤채가 없다.
    꽃 : 개화기는 4월로 2가화이며 정생하고 화경이 없으며 황색이며 소포는 술잔 모양이고 화피는 종같으며 4개로 갈라지고 암술머리는 대가 없다.
    열매 : 둥글며 적색으로 익고 직경은 6mm 정도로 끝에 화피열편과 암술머리가 남아 있다.
    줄기 : 까치집 모양으로 자라며 녹색이 난다. 가지는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사이가 3-6cm이고 매끈하다.
    뿌리 : 기생식물이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소관목 (기생식물이며 관엽 관경(觀莖) 식물)
    유사종 : ▶겨우살이(V. album var. coloratum Ohwi): 열매는 공모양이며 익으면 연노란색의 반투명체가 된다.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 et. Sav.): 기생식물로서 엽록소가 있는 잎을 통해 스스로 광합성을 하며 뿌리를 숙주나무에 박고 물과 영양분을 섭취한다.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Engl.): 잎은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 있고 많은 마디가 있다.
    특징 : 열매가 붉은 점이 겨우살이와 다르다.
    Read More
  15. No Image

    붉은강낭콩

    학명 : Phaseolus multiflorus Will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강낭콩속(Phaseolus) target=_blank>강낭콩속(Phaseolus)</a>

    잎 : 잎은 어긋나고 소엽이 3장씩 나오며 엽병이 길다. 소엽은 사각형 넓은 난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8월에 붉은색으로 피고 원추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은 깊게 갈라지며 기판은 서지만 용골판은 꼬인다.
    열매 : 열매는 꼬투리로 줄 모양이고 길이 10cm이며 짧은 털이 있는 것도 있다. 종자에 무늬가 있다.






    Read More
  16. No Image

    붉은가죽나무

    학명 : Ailanthus altissima f. erythrocarpa Rehd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태나무과(Simaroubaceae) target=_blank>소태나무과(Simaroub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죽나무속(Ailanthus) target=_blank>가죽나무속(Ailanthus)</a>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길이 60-80cm 이다. 소엽은 13-25개이고 넓은 피침상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13cm 폭 5cm로서 연모가 있고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다. 잎의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회색으로 털이 없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0-30cm이며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지름 7-8mm이고 녹색이 도는 백색으로 6월에 개화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꽃잎은 끝이 안으로 꼬부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5심피로 된 자방의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시과는 3-5개씩 달리고 붉은빛이 돌며 얇고 피침형이며 길이 3-4cm 폭 1cm로서 1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9월에 성숙하고 봄까지 달려 있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간이 통직하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소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없어지는 것도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많이 식재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가죽나무(A. altissima Swingle): 소엽은 길이 7-13㎝ 폭 5㎝의 넓은 피침상 달걀형으로서 차례로 붙어 있고 소엽 아래쪽에 큰 톱니가 3-4개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Read More
  17. No Image

    붉은가문비

    학명 : Picea jezoensis f. rubrilepis Uyek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가문비나무속(Picea) target=_blank>가문비나무속(Picea)</a>

    잎 : 잎은 길이 1-2㎝의 편평한 선형예두(線形銳頭)이며 뒷면에 백색 기공조선이 발달한다.
    꽃 : 황갈색의 수꽃은 길이 1.5㎝의 원통형이고 연한 자주색의 암꽃은 길이 1.5㎝로서 달걀모양의 타원형이며 암수한그루이다.
    열매 : 9월에 길이 4.0-7.5㎝의 원주형 구과가 밑으로 드리워지면서 자주갈색(마르면 암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회갈색의 수피가 세로로 갈라지면서 비늘처럼 일어난다.

    분포 : 지리산 덕유산 설악산 금강산 백두산 등의 표고 500-2 300m에 자생하며 일본과 만주 중국에도 분포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특징 : 고산성 수종이고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결이 곧다.
    Read More
  18. No Image

    붉노랑상사화

    학명 : Lycoris flavescens M.Y.Kim & S.T.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수선화과(Amaryllidaceae) target=_blank>수선화과(Amaryll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상사화속(Lycoris) target=_blank>상사화속(Lycoris)</a>
    이명 : 가마귀마눌 개상사화 흰상사화
    잎 : 잎은 인경 끝에 총생하며 가을에 나오고 선형으로 길이 35~38cm 나비 10~15mm이며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짙은 녹색으로 봄철에 마른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백색으로 약간 황색을 띠며 화경 끝에 10여개의 꽃이 산형화서로 달려 옆으로 향해 피며 소화경은 길이 7~8mm이고 총포는 2개로 막질이며 뒤로 젖혀진다. 화통은 길이 4~15mm이고 화피는 길이 4~5.5cm이며 화피열편은 6개로 도피침형이고 중부 이상은 뒤로 젖혀진다. 6개의 수술은 꽃 밖으로 길게 나오며 암술대는 길이 6.5~10cm이고 종자는 생기지 않는다.

    줄기 : 인경은 난형이며 지름 4cm 정도이고 흑갈색이며 화경은 곧추 서고 높이 40~50cm이며 속이 비어 있다.

    분포 : 제주 및 나로도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Read More
  19. No Image

    붉나무

    학명 : Rhus javan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옻나무과(Anacardiaceae) target=_blank>옻나무과(Anacar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붉나무속(Rhus) target=_blank>붉나무속(Rhus)</a>
    이명 : 굴나무 불나무 뿔나무 오배자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7~13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며 엽축에 날개가 있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5~12cm 나비 2.5~6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질이 두껍다.
    꽃 : 꽃은 이가화로 7~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5~30cm이고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조각 꽃잎 및 수술은 각각5개이고 암꽃은 퇴화한 5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편구형이고 자황색 또는 백록색으로 짧은 털이 밀생하며 10월에 성숙하고 껍질은 산염미가 있다.
    줄기 : 작은 가지는 황색이며 어린가지 엽병 잎 뒤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히말라야 타이 버마 인도지나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소교목이다.


    Read More
  20. No Image

    붉가시나무

    학명 : Quercus acuta Thun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참나무과(Fagaceae) target=_blank>참나무과(Fag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참나무속(Quercus) target=_blank>참나무속(Quercus)</a>
    이명 : 가랑닢 가새나무 북가시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도는 긴 난형이고 길이 7-13cm로서 점첨두이며 끝이 둥글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는 것도 있다. 표면은 광택나는 짙은 녹색 뒷면은 황록색이며 어릴 때는 갈색 면모로 덮여 있으나 없어지고 혁질이며 엽맥은 9~13쌍이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다.
    꽃 : 꽃은 5월에 피는 일가화로서 웅화서는 새가지의 기부에서 밑으로 처지며 갈황색의 털이 있고 자화서는 윗부분에서 곧추 나와 2-5개의 꽃이 달리며 웅화서처럼 털이 있다. 수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많은 수술이 있고 암꽃은 털로 덮여 있는 총포로 싸여 있으며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 각두는 반구형이고 포린이 발달하지 못하고 5-6개의 동심윤층(同心輪層)이 있으며 타원형의 견과는 길이 2cm로서 쓴맛이 나고 이듬해 10월에 익는다. 견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2㎝정도이다.
    줄기 : ▶높이 20m 지름 60cm이며 줄기가 굵고 곧게 자라며 많은 가지와 무성한 잎이 있다. 어린가지에 갈색 털이 밀포한다. ▶목재는 붉은빛이 돌며 굳다. 수피는 흑갈색이며 약간 벗겨진다.

    분포 : ▶일본과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남쪽 섬에서 자란다. 제주도의 표고 170~500m에서 많이 자라고 전라남도에 난다.
    형태 : 상록활엽교목 수형:원개형
    유사종 : ▶개붉가시나무(for. subserra Uyeki): 완도에 자생하며 잎의 위쪽에 파상 거치가 약간 있다.
    특징 : ▶함평의 붉가시나무는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110호로 지정되었다. ▶붉가시나무라는 이름은 목재의 색깔이 붉은데서 비롯되었으며 목재가 무겁고 잘 쪼개지지 않을 뿐 아니라 보존성이 좋고 잎의 질감이 어느 것보다 좋다. 맹아력(萌芽力)이 강하다. ▶Quercus속중 잎이 상록이면서 각두의 포린이 발달하지 않은 수종들(붉가시나무 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개가시나무)을 Cyclobalanopsis속으로 독립시키는 학자도 있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