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분홍미선나무

조회 수 79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학명 Abeliophyllum distichum f. lilacinum Nakai
과명 물푸레나무과(Oleaceae)
속명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피며 총상화서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분홍색이고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回旋狀)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충북 군자산록
형태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미선나무(A.distichum Nakai): 꽃은 백색 또는 분홍색. ▶상아미선(for. eburneum T. Lee): 꽃이 상아색 으로 핀다.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 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 Lee)
특징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ot. Mag. (Tokyo) 36 : 26 (192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DSC03485.jpg

 

DSC03460.jpg

 

DSC03448.jpg

 


  1. 쇠물푸레나무

    학명 : Fraxinus sieboldiana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푸레나무속(Fraxinus) target=_blank>물푸레나무속(Fraxinus)</a>
    이명 : 계룡쇠물푸레 좀쇠물푸레나무
    잎 : 잎은 대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된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점첨두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1.5-3.5cm로서 표면은 녹색 또는 홍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 중륵에 백색 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고 소엽병은 짧으며 총엽병 표면에는 홈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암수딴그루로 5월에 피며 새가지에서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길이 6-12cm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톱니처럼 작으며 꽃잎은 선형이고 수술과 길이가 같고 수술은 2개이며 암꽃에 퇴화된 작은 수술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시과로 선상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날개와 더불어 길이 2cm 정도이며 9월에 홍자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0m에 달하며 소지는 회갈색이고 어릴 때는 흔히 잔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표고 200-1 600m 의 산중턱 바위틈이나 계곡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좀쇠물푸레(var.angustata Bl.):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다.
    특징 : 꽃은 야생의 향기가 매력적이며 수세와 맹아력이 강하다.
    file
    Read More
  2. 분홍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f. lilacin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선나무속(Abeliophyllum) target=_blank>미선나무속(Abeliophyllum)</a>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3-8cm 폭 0.5-3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이다.
    꽃 : 꽃은 전년도에 형성되었다가 잎보다 먼저 피며 총상화서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분홍색이고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回旋狀)으로 겹쳐지며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두이고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줄기 :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분포 : 충북 군자산록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미선나무(A.distichum Nakai): 꽃은 백색 또는 분홍색. ▶상아미선(for. eburneum T. Lee): 꽃이 상아색 으로 핀다.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 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 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file
    Read More
  3. 미선나무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푸레나무과(Oleaceae) target=_blank>물푸레나무과(Ole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미선나무속(Abeliophyllum) target=_blank>미선나무속(Abeliophyllum)</a>

    잎 : 잎은 대생하여 2줄로 달리고 길이 3~8cm 폭 0.5~3.0cm의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절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5mm쯤 되며 위쪽에 홈이 패여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이고 잎 뒷면에 가는 털이 난다.
    꽃 : 개화기는 3~4월로 전년에 형성되었던 꽃이 잎보다 먼저 피는데 백색 또는 도홍색 꽃이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3-15cm이다. 꽃받침은 종상사각형이며 떨어지지 않고 길이 3-3.5mm이며 열편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화관은 꽃받침보다 길며 4개의 열편은 처음에 회선상(回旋狀)으로 겹쳐지고 타원형 미요두이다. 수술은 2개이고 화통 기부에 달린다.
    열매 : 시과는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5mm로서 끝이 오그라들며 넓은 예저이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중간쪽에 2개가 들어 있으며 반달모양이다.
    줄기 : 높이 1.5m에 달하고 수형으로 우산모양을 이룬다.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골속이 계단모양이며 소지가 사각형이다.
    뿌리 : 개나리의 뿌리와 비슷하다.
    분포 : 충청북도 진천과 괴산군 영동군의 전석지나 야산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전라북도 내변산 직소천 유역을 따라 많이 자라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타원형.
    유사종 : ▶기본종은 꽃이 백색이다. ▶상아미선(for. eburneum T. Lee): 꽃이 상아색 으로 핀다. ▶분홍미선(for. lilacinum Nakai): 꽃이 분홍색 으로 핀다.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T. Lee)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 T. Lee)
    특징 :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천연기념물: 진천의 미선나무자생지는 천연기념물 14호로 지정되었다가 남채로 멸종되어 해제되고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부안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370호로 지정되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므로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제220호 - ⓐ소재지: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면적:7 798㎡ ⓒ지정사유:특산수종의 자생지 제221호 - ⓐ소재지: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면적:14 400㎡ ⓒ지정사유:특산 수목의 자생지 제364호 ⓐ소재지: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산19-4 상서면 청림리 산228·229 ⓑ면적: 2 330㎡ ⓒ 지정사유 : 학술연구자원 제370호로 지정되었다.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