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Lindernia dubia (L.) Pennell |
|---|---|
|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
| 속명 | 밭뚝외풀속(Lindernia)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Scoroph. e. N. Amer. 141 (1935) |
|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V) (박수현, 1994) |
-
Read MoreNo Image
선개불알풀
학명 : Veronica arvens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개불알꽃선봄까지꽃 선조롱박풀선지금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넓은 난형 삼각상 난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2cm 폭 7~15mm로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가장자리에는 3~4쌍의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밀생한다. 꽃이 달리는 윗부분의 잎은 호생하고 점점 작아진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벽자색이고 엽액에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4-6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삭과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화관은 지름 4mm로서 4개로 갈라진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다. 암술대가 짧다.
열매 : 삭과는 도심장형이며 끝이 깊게 파지고 나비 4mm정도이며 편평하고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으며 종자는 20개 내외이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밑에서 갈라져 곧게 자라며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유럽 아프리카 및 아시아에 널리 퍼져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울릉도와 중부 이남의 길가 풀밭에서 자란다.
형태 : 1~2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개불알풀 큰개불알풀
특징 : ▶꽃이나 열매에 자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개불알풀과 비슷하지만 곧추서기 때문에 선개불알풀이라고 하며 외래종으로서 남부지방에서는 곳에 따라 흔히 퍼져가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유럽큰고추풀
학명 : Gratiola officinal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큰고추풀속(Gratiola) target=_blank>큰고추풀속(Gratiola)</a>
잎 : 잎은 마주나기(對生)이며 잎자루는 없고 선상 피침형(線狀披針形)으로 길이 20-50㎜ 폭 3-8㎜로 3행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미세한 거치가 3-4개씩 있으며 혹은 밋밋한 것도 있다 .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의 위쪽 엽액에서 쌍을 지어 달린다. 꽃자루는 잎의 길이와 비슷하고 사상(絲狀)구조로 연약하다. 꽃받침은 5개의 열편으로 기부 근처 가까이 깊이 갈라지며 열편은 크기가 다르고 꽃자루와 함께 미세한 선모(腺毛)와 털이 혼생된다. 화관(花冠)은 나팔 모양이며 길이 10-18㎜로 흰 바탕에 적자색 줄무늬가 있고 표면에 미세한 털이 덮이고 끝이 4열되며 각 열편은 요두(凹頭)이고 위쪽의 열편 내부에는 긴 털이 밀생되며 2개의
열매 : 열매는 난형으로 2실(室)이며 길이 3-4㎜로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줄기 : 무모(無毛)로 줄기는 네모지며 곧게 자라고 높이 15-40㎝이며 중간부 위쪽의 엽액(葉腋)에서 가지 또는 꽃이 달린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북으로 폴란드 독일에 자라며 국내에서는 1999년 5월 22일 춘천 소양 제1교 아래 강가의 습지에서 밭뚝외풀과 미국외풀 등의 습지식물과 함께 혼생되는 큰 군락을 발견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국명은 같은속 식물로 큰고추나물이 자생되므로 `유럽큰고추나물`로 명명하였다. ▶자생식물인 큰고추풀(Gratiola japonica Miq.)에 비하여 `위쪽에서 가지를 치고 줄기가 4능(陵)이 뚜렷하며 잎에 거치가 있고 꽃자루가 잎의 길이와 비슷하게 길
-
Read MoreNo Image
새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Tuyama) T.Yama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target=_blank>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a>
이명 : 새며누리바풀새며느리바풀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4~12cm 폭 1~3.5cm로서 끝이 예리하게 뽀족해지며 기부가 둥글거나 수평이고 양면 맥 위와 가장자리 및 엽병에 짧은 털이 다소 산생하며 엽병은 길이 4~6m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고 포는 난형이며 적자색이 돌고 가장자리에 긴 가시털같은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에서 4mm정도로 자라며 끝이 뾰족하게 4개로 갈라지고 맥 위에 짧은 털이 있으며 화관은 길이 15mm정도로서 양순형이고 겉에 잔돌기가 다소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0.5mm이하로서 극히 짧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꼬불꼬불한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서고 진한 자주색이다.
분포 : 오대산 이북에 주로 자라지만 덕유산 및 부산 근처에서도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애기며느리밥풀에 비해 잎이 보다 크고 포가 난형인 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산꼬리풀
학명 :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긴잎자주꼬리풀 꼬리풀 북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5~10cm 폭 1.5~2.5cm로서 뒷면 맥 위에만 굽은 털이 다소 있으며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벽자색이고 총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10~20cm로서 연한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화관은 통부가 짧으며 지름 8mm로서 윗부분이 4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수술은 2개이며 꽃밥은 흑자색이다.
열매 : 열매는 편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다.
줄기 : 높이 40-80cm이고 가지가 거의 없으며 굽은 털이 산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부전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adunca M.Bieb. ex Steve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이명 : 싸할송이풀
잎 : 잎은 대생하고 1∼2회 우상복엽이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털이 없거나 엽병 기부 양쪽에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포는 털이 있고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소화경은 길이 약 1mm이다. 꽃받침은 통형으로 맥이 뚜렷하다. 화관은 길이 약 11mm이며 긴 통부 끝이 양순형으로 된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다. 엽병이 밑으로 흘러서 능선이 생긴다.
분포 : 한국(부전고원 및 북부지방)에 나며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봉래꼬리풀
학명 : Veronica kiusiana var. diamantiaca (Nakai) T.Yama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좀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붉은빛이 돌며 다소 딱딱한 털이 산생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보라색이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서 자라고 털이 있으며 포는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소화경보다 다소 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끝이 둔하고 화관은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2개로서 화관보다 2배정도 길며 꽃밥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암술머리는 두상으로서 암술대보다 다소 굵다.
열매 : 삭과이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줄기에 다소 붉은 빛이 돌며 긴 털이 있다.
분포 : 금강산 비로봉(포고 1.500m 근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Read MoreNo Image
미국외풀
학명 : Lindernia dubia (L.) Penne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밭뚝외풀속(Lindernia) target=_blank>밭뚝외풀속(Lindernia)</a>
-
Read MoreNo Image
밭뚝외풀
학명 : Lindernia procumbens (Krock.) Borba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밭뚝외풀속(Lindernia) target=_blank>밭뚝외풀속(Lindernia)</a>
이명 : 개고추풀 밭둑외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길이 1.5~3cm 폭 5~12mm로서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3~5맥이 평행한 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자색이고 엽액에서 1개씩 나오며 소화경은 길이 2~2.5cm이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다. 화관은 길이 6mm정도이고 통부 끝이 양순형이며 수술 4개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5mm이며 2개로 갈라지고 가을철에 흔히 폐쇄화가 달린다.
줄기 : 높이 7-15cm이고 털이 없으며 기부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 비스듬히 선다.
분포 : 제주도와 울릉도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외풀과 비슷하지만 뚝 근처의 습지에서 자라기 때문에 밭뚝외풀이라고 하며 논뚝에서도 흔히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방패꽃
학명 : Veronica tenella 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개투구꽃 누운꼬리풀 눈꼬리풀지금아재비투구꽃 투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거나 짧으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길이 1~2cm 폭 6~13cm로서 희미한 낮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자주색 맥이 있고 총상화서는 길이 5~10c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산생하며 10~20개의 꽃이 드문드문 달리고 포는 피침형이며 소화경보다 짧다. 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삭과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화관은 지름 6~7mm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폭 4~5mm이며 암술대는 길이 3mm 정도이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원줄기는 옆으로 뻗으면서 가지가 갈라져서 곧추서며 잔털이 산생한다.
분포 :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바위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nigrescen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이명 : 검정송이풀
잎 : 근생엽은 총생하고 경생엽은 대생하며 형태가 서로 비슷하고 엽병이 엽신보다 길며 엽신은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에 톱니가 있다.
꽃 : 7~8월에 개화하며 홍자색으로서 털이 없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6mm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6mm이고 열편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화관은 털이 없고 양순형이며 상순이 앞으로 굽고 끝이 파지며 수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삭과는 편평한 긴 난형이다.
줄기 : 높이 5-10cm이다.
분포 : 왜갈봉(표고 2.200m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만주송이풀과 비슷하지만 꽃색이 다르며 키가 작고 삭과가 크다.
-
Read MoreNo Image
민구와말
학명 : Limnophila indica (L.) Dru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구와말속(Limnophila) target=_blank>구와말속(Limnophila)</a>
이명 : 민논말 애기구와말 좀마름
잎 : 잎은 5~6개가 윤생하며 털이 없고 상반부가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1~1.5cm 폭 3~5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직접 줄기에 붙어 있고 수중엽은 선상으로 잘게 갈라진다.
꽃 : 꽃은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털이 없고 꽃받침보다 짧거나 비슷하지만 밑부분의 것이 간혹 길어지는 것도 있다. 꽃받침은 길이 3~3.5mm로서 막질이며 털이 없고 5개로 얕게 갈라지며 열편은 좁은 3각형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열매와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넓은 타원형이고 지름 3mm 정도이며 종자는 흑갈색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길이 0.3mm 정도이다.
줄기 : 수중경은 선상으로 잘게 갈라진다.
분포 : 경남 물금[勿禁]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구와말
특징 : 구와말과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털이 없으므로 민구와말이라 한다.
-
Read MoreNo Image
미국물칭개
학명 : Veronica americana Schwei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잎 : 잎은 마주나고 장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길이 1cm내외의 엽병이 있다. 길이는 2~7cm이고 너비는 1~2.5cm이다.
꽃 : 7~9월에 잎사이에서 꽃대가 나와 총상화서 형태로 청자색 꽃이 모여 핀다. 화서길이 5~13cm 꽃자루길이 1cm내외 꽃받침열편은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며 끝이 약간 들어간다. 길이는 2.5~3mm이고 너비는 3~3.5mm이다.
줄기 : 털이 없고 다소 다육질이다.
분포 :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알래스카 캄차카반도 사할린 일본 북해도
-
Read More
물칭개나물
학명 : Veronica undulata W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물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다소 심장저이며 원줄기를 다소 감싸고 길이 4~7cm 폭 8-15mm로서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연한 자주색 줄이 있고 총상화서는 엽액과 끝에 달리며 길이 5-12cm로서 화경이 짧고 소화경은 퍼지며 길이 4-6mm이고 포는 넓은 선형이며 소화경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화관도 지름 4mm로서 4개로 갈라진다. 수술 2개 암술 1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열매 : 둥근 삭과이며 지름 약 3mm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다소 육질이며 어릴 때는 군생하고 곧게 선다.
분포 : ▶아시아의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퍼져 있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물꽈리아재비
학명 : Mimulus nepalensis Ben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꽈리아재비속(Mimulus) target=_blank>물꽈리아재비속(Mimulus)</a>
이명 : 물꼬리아재비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4cm 나비 5~25mm이며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윗부분의 잎을 제외하고는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짬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5~22mm이다. 꽃받침은 5개의 좁은 날개가 있는 능선이 있고 끝이 돌기같이 5열하고 열편은 길이 1mm 이하이다. 화관은 길이 10~12mm이고 끝이 5열하며 안쪽 위에 2열의 털 같은 돌기가 있다.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장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연약하고 네모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주에 털이 없다.
분포 : 평북(묘향산) 이남에 나며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문모초
학명 : Veronica peregrin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벌레풀털문모초
잎 : 잎은 엽병이 없으며 줄기 하부에서 대생하고 상부에서는 호생하며 길이 1.5~2cm 폭 3~5mm로서 좁고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2~3개의 둔한 톱니가 약간 있거나 밋밋하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붉은빛이 돌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mm정도이다. 꽃받침은 길이 3.5-4.5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좁은 피침형이며 끝이 다소 둔하고 화관은 지름 2~3mm로서 백색바탕에 다소 붉은빛이 돌며 깊게 4개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길이 0.3mm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편원형이고 끝이 오목하며 길이 2~3mm 폭 3~4mm이고 흔히 벌레집으로 되며 둥글다.
줄기 : 높이 5-20cm이고 털이 없으며 약간 육질이고 곧게 서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총생한다.
분포 :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몽울토현삼
학명 :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현삼속(Scrophularia) target=_blank>현삼속(Scrophularia)</a>
이명 : 몽울개현삼 미륵개현삼
잎 : 잎은 대생하고 장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10~15cm 나비 4~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엽병은 짧다. 잎에 짧은 3각형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암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가 모여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고 화서는 짧고 거의 두상으로 모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털이 없다.
분포 : 서울(남산) 강원(금강산) 함남(원산 장진) 평북(낭림산 묘향산)에 나며 일본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
Read MoreNo Image
만주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mandshurica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송이풀속(Pedicularis) target=_blank>송이풀속(Pedicularis)</a>
잎 : 잎은 1회우상복엽으로서 밑에서 총생하며 가장자리에 막질의 인엽이 달리고 긴 엽병과 더불어 길이 15-20cm이며 털이 없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상하로 갈수록 짧아지고 작아지며 중앙부의 가장 큰 우편은 길이 23mm 넓이 7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점차 작아져서 화서에 이르러 포엽으로 되고 엽병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황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30cm이며 끝에서 총상화서가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17mm로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7mm로 밑부분의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은 우상으로 갈라져서 작은 포편같이 되고 톱니가 있다. 화관은 길이 2.5cm로서 양순형이며 상순이 활처럼 앞으로 굽는다.
열매 : 삭과는 긴 난형이며 길이 1.2cm정도로서 2개로 갈라진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능선을 따라 줄지어 돋은 잔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한국 중국 동북에 분포한다. 설악산 이북의 중복 이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
Read MoreNo Image
디기탈리스
학명 : Digitalis purpure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디기탈리스속(Digitalis) target=_blank>디기탈리스속(Digitalis)</a>
이명 : 디기다리스디기달리스디기타리스디기타리스풀심장병풀심장풀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타원형이며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고 양면에 주름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서 수상으로 발달하며 밑부분에서부터 피어 올라가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홍자색이고 짙은 반점이 있으며 종형이지만 가장자리가 다소 순형으로 된다. 2강수술이 있고 주두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원추형이며 꽃받침이 남아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분포 : 전국에 재배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등포풀
학명 : Limosella aquat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포풀속(Limosella) target=_blank>등포풀속(Limosella)</a>
이명 : 거미줄풀난나풀 란나풀
잎 : 넓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0mm 폭 1~3mm이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cm이다.
꽃 : 6~10월에 피고 지름 2.5mm로서 백색이며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엽액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4~20mm로서 꽃이 진 다음 지상으로 눕는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고 난형이고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3mm이며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0.3mm 정도로서 몇 개의 종선과 많은 횡선이 있다.
줄기 : 포복경이 지상으로 뻗고 마디가 없으며 끝에서 뿌리와 잎이 나고 사방으로 계속 퍼지며 곧추서는 원줄기가 없다.
분포 : 영등포의 한강가를 비롯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영등포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등포불이라고 하지만 전체의 모양이 등잔을 나열한 것 같다.
-
Read MoreNo Image
등에풀
학명 : Dopatrium junceum (Roxb.) Ham. ex Benth.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등에풀속(Dopatrium) target=_blank>등에풀속(Dopatrium)</a>
이명 : 방울조풀
잎 :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 또느 선상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1.5-2.5cm 폭 3~5mm이지만 위로 가면서 점점 작아져서 긴 타원형으로 되고 길이 1-3mm로서 곧게 선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경생엽에서 1개씩 액생하며 소화경은 길이 1-2mm이지만 꽃이 진 다음 1cm정도까지 자란다. 하부의 꽃은 폐쇄화이다. 꽃받침은 길이 1.5mm정도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고 끝이 둔하다. 화관은 길이 5~6mm이며 양순형이고 상순은 2개 하순은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고 2개의 헛수술이 화관통부에 달려 있다. 자방은 1실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2.5~3mm로서 둥글며 긴 꽃받침에 싸여 있다. 종자는 난형이며 그물같은 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다육질이며 부드럽고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곧게 서며 털이 없고 연약하다.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특징 : 열매가 등에의 눈처럼 생겨서 등에풀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