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벌노랑이

조회 수 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Regel
과명 콩과(Leguminosae)
속명 벌노랑이속(Lotus)
잎은 호생하며 보통 5개의 소엽으로 구성 되지만 밑부분에 있는 2개의 소엽은 원줄기에 밀접하여 탁엽같이 보이고 윗부분에 있는 3개의 소엽은 끝에서 총생하며 탁엽은 작거나 없다. 소엽은 길이 7-15mm로서 도란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원두이고 끝이 뾰족하며 엽축은 길이 2-10mm이다.
꽃은 6-8월에 피고 길이 15mm로서 황색이며 액생하는 화경 끝에 산형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6-7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통부보다 길며 기판은 도란형으로서 가장 크고 뒤로 선다.
열매 열매는 협과(莢果)로 길이 3cm이며 곧고 두조각으로 갈라져서 많은 흑색 종자가 나온다.
줄기 길이가 30cm 정도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눕기도 하고 비스듬히 서기도 한다.
뿌리 약간 굵은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일본에 분포한다. 한라산의 해발 1 500m-1 700m 사이 전남(지리산) 전북 경남 경북(일월산) 강원 경기 황해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
유사종 연리초 활량나물 등이 있다.
특징 "약간 축축한 땅에 유난히 노란 빛깔의 꽃을 피워 ""벌노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Index sem. hort. petrop. 23 (1864)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서양벌노랑이

    학명 : Lotus corniculatus L. var. corniculatu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벌노랑이속(Lotus) target=_blank>벌노랑이속(Lotus)</a>

    잎 : 잎은 3소엽으로 되며 소엽은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0.7-1.3㎝ 폭 3-8㎜이다. 탁엽은 소엽과 같은 모양이고 소엽과 구별이 안되어 우상복엽인 것처럼 보인다.
    꽃 : 꽃은 5-9월에 피고 길이 5-6㎝의 긴 꽃자루 끝에 3-7개의 꽃이 산형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은 길이 5-8㎜로 통부는 털이 없고 열편에 약간의 털이 있으며 열편은 통부와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꽃봉오리일 때는 곧게 서거나 안쪽으로 약간 휜다. 꽃잎은 황색이며 기변(旗弁)은 길이 1-1.5㎝ 익변(翼弁)의 길이는 1㎝ 용골변의 길이는 1㎝이다.

    줄기 : 줄기는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길이 30㎝정도이고 중공(中空)이 아니며 수질이 차 있다.
    뿌리 : 뿌리는 직근성이다.
    분포 : 인도 이란 호주 북미 일본 중국 등지에 귀화되었다. ▶남부지방과 제주도의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고 있다.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분포된다. ▶전북 고창 충남 서산 등지으 바닷가에서도 발견하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벌노랑이(L.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5(2) ▶국내에서는 1994년 8월 2일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들벌노랑이와 혼생되어 넓은 지역에 분포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후 전북 고창 충남 서산 등지의 바닷가에서도 발견하였다. ▶자생종인 벌노랑이(L.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에 비하여 꽃받침 열편은 통부와 길이가 같거나 짧고 산형화서에 3-7개의 접형화(蝶形花)가 밀집되어 구별이 된다.
    Read More
  2. No Image

    벌노랑이

    학명 :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벌노랑이속(Lotus) target=_blank>벌노랑이속(Lotus)</a>

    잎 : 잎은 호생하며 보통 5개의 소엽으로 구성 되지만 밑부분에 있는 2개의 소엽은 원줄기에 밀접하여 탁엽같이 보이고 윗부분에 있는 3개의 소엽은 끝에서 총생하며 탁엽은 작거나 없다. 소엽은 길이 7-15mm로서 도란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원두이고 끝이 뾰족하며 엽축은 길이 2-10mm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길이 15mm로서 황색이며 액생하는 화경 끝에 산형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6-7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통부보다 길며 기판은 도란형으로서 가장 크고 뒤로 선다.
    열매 : 열매는 협과(莢果)로 길이 3cm이며 곧고 두조각으로 갈라져서 많은 흑색 종자가 나온다.
    줄기 : 길이가 30cm 정도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눕기도 하고 비스듬히 서기도 한다.
    뿌리 : 약간 굵은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일본에 분포한다. 한라산의 해발 1 500m-1 700m 사이 전남(지리산) 전북 경남 경북(일월산) 강원 경기 황해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연리초 활량나물 등이 있다.
    특징 : "약간 축축한 땅에 유난히 노란 빛깔의 꽃을 피워 ""벌노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Read More
  3. No Image

    들벌노랑이

    학명 : Lotus uliginosus Schkuh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콩과(Leguminosae) target=_blank>콩과(Leguminos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벌노랑이속(Lotus) target=_blank>벌노랑이속(Lotus)</a>

    잎 : 잎은 3출엽이며 소엽은 길이 0.8-2㎝ 폭 0.3-1㎝로 연모(軟毛)가 있다. 탁엽은 소엽과 같은 모양 같은 크기여서 마치 잎이 우상복엽인 것처럼 보인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3-4㎝ 길이의 꽃자루 끝에 5-15개의 접형화(蝶形花)가 산형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은 길이 6㎜ 정도이고 통부와 열편은 길이가 거의 같고 열편은 꽃봉오리일 때부터 반곡되며 털이 있다. 꽃잎은 황색이며 기변(旗弁)이 길이 1.1-1.2㎝ 익변(翼弁)은 길이 1-1.1㎝ 용골변(龍骨弁)의 길이 1㎝이다.

    줄기 : 줄기는 30-60㎝로 포복지에서 나와 위쪽에서 가지를 치고 중공(中空)이다.
    뿌리 : 뿌리는 40㎝내외의(긴 것은 수 m)긴 포복지를 내며 군데 군데 지상으로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이룬다.
    분포 :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발견하였다. ▶일본에서도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5(2) ▶국내에서는 1994년 8월 2일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서양벌노랑이(L. corniculatus)와 혼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Osada(1976)에 의하면 일본에는 1974년 도근현(島根縣)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Komarov(1985)에 의하면 유럽에서는 목초로서 이용 가치가 큰 종(種)으로 보고 있다. ▶이 식물의 중요한 특징은 뿌리에 포복지가 사방으로 길게 뻗고 줄기는 중공(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