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벌깨덩굴

조회 수 2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과명 꿀풀과(Labiatae)
속명 벌깨덩굴속(Meehania)
이명 벌개덩굴
화경(花莖)에 5쌍 정도의 잎이 붙어 있다.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삼각상 심장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 2-5cm 나비 2-3.5cm이지만 덩굴의 잎은 지름이 1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은 5월에 피고 화경 윗부분의 엽액에 큰 순형화가 한쪽을 향해 4개 정도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1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자줏빛이 돌고 길이 4-5cm이며 통부가 길고 갑자기 부풀며 아래쪽 꽃잎의 중앙열편은 특별히 크고 측열편과 더불어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긴 백색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분과는 좁은 도란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털이 드문드문 있고 7~8월에 결실한다.
줄기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긴털이 드문드문 잇고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화경(花莖)으로 되며 화경은 높이 15~30cm로서 5쌍 정도의 잎이 달린다.
뿌리 옆으로 뻗은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중국북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흰벌깨덩굴 (for.leucantha HARA) : 백색 꽃이 핀다. ▶붉은벌깨덩굴 (for.rubra T.LEE) : 적색 꽃이 핀다.
특징 식물체는 식용할 수 있고 꽃에는 양질의 꿀이 많아 밀원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No Image

    섬백리향

    학명 :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리향속(Thymus) target=_blank>백리향속(Thymus)</a>

    잎 : 잎은 대생하며 길이 15mm로서 난상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양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간혹 파상(波狀)의 톱니가 있고 털이 있으며 향기가 난다.
    꽃 : 연한 분홍색 꽃은 6월에 피며 엽액에 2-4개씩 달리지만 가지 끝부분에서 총생하기 때문에 짧은 수상으로 보이고 길이가 10㎜이며 소화경은 길이 3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이며 10개의 늑맥이 있고 위쪽 3개의 열편은 삼각형이며 아래쪽 2개의 열편은 선형이고 털이 있다. 화관에는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수술은 4개이며 수술대와 꽃받침은 모두 연한 자주색이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1mm정도로서 9월에 암갈색으로 익으며 전체에 향기가 있다.
    줄기 : 원줄기가 백리향보다 굵어 지름 7-10mm이고 가지는 많이 갈라지며 옆으로 퍼진다.

    분포 : 울릉도 도동 주변이나 일원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반관목.
    유사종 : ▶백리향(T. quinquecostatus Celak.): 잎은 난상타원형으로 엽병이 없고 길이 5-12㎜ 나비 3-8㎜이다. 꽃은 크기가 7-9㎜이고 분홍색인데 잎처럼 향기가 있다.
    특징 : ▶꽃과 전초에는 Thymol P-Cymene Pinene Linalool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백리향 특유의 향기를 내뿜는다. ▶천연기념물 제52호 - ⓐ소재지:경북 울릉 북면 나리동 ⓑ지정사유:특산종의 자생지(울릉국화 섬백리향 군락)
    Read More
  2. No Image

    섬광대수염

    학명 : Lamium takesimense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광대나물속(Lamium) target=_blank>광대나물속(Lamium)</a>
    이명 : 섬광대나물울릉광대수염큰광대수염
    잎 : 엽병은 길이 0.5-2.5cm로서 표면에 홈이 지고 밑부분의 가장자리와 마디에 털이 다소 있으며 대생한다. 엽신은 난형이고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다소 심장저이고 길이 7-13cm 나비 3.5-7cm로서 가장자리에는 굵은 톱니가 있고 잔털이 다소 산생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모여 달리고 포는 침형으로서 잔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겉에 털이 없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잔털이 다소 있다. 화관은 순백색이고 길이 2cm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측열편에 짧은 부속편이 있다.
    열매 : 소견과의 열매가 달린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의 지름이 1cm정도이다.

    분포 : 한국(경상북도 울릉도의 산지)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광대수염(L. album L. var.barbatum (sieb. et zucc.) Franch. et Savat.)
    특징 : 광대수염과 비슷하나 보다 크고 광택이 나며 잎의 밑이 다소 심장저이고 꽃이 순백색이고 열편에 짧은 부속편이 있는 것이 다르다.
    Read More
  3. No Image

    섬곽향

    학명 : Teucrium viscidum Blum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곽향속(Teucrium) target=_blank>곽향속(Teucrium)</a>
    이명 : 덩굴개곽향 )좀덩굴개곽향
    잎 : 잎은 약간 두껍다.







    특징 : 화서가 줄기 끝에 모이는 경향이 있으며 선모와 잔털이 밀생한다.
    Read More
  4. No Image

    석잠풀

    학명 : Stachys japonica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석잠풀속(Stachys) target=_blank>석잠풀속(Stachys)</a>
    이명 : 민석잠풀 배암배추 뱀배추
    잎 :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 부분은 절저 또는 원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길이 4~8cm 폭은 1~2.5cm이지만 점차 작아지고 엽병은 길이가 5~15mm이다.
    꽃 : 꽃은 6-9월에 피며 길이 12-15mm로서 연한 홍색이고 마디사이에서 윤생한다.꽃받침은 종형이며 길이 6-8mm로서 밑부분에 털이 약간 있고 열편은 가시처럼 뾰족하며 통부보다 짧다. 화관은 통 모양이고 끝 부분은 순형이다. 상순은 원형이고 하순은 3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흰색에 가까운 엷은 홍색이 난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 2개는 길다.
    열매 : 수과이며 2~3분과는 모과 있는 구형으로 숙존악 밑에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마디의 백색 털 이외에는 털이 없고 둔하게 네모가 진다.
    뿌리 : 백색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벋고 마디 부분에서 잔뿌리가 여러 개가 내린다.
    분포 : 한국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개석잠풀(S. riederi Chamisso var. hispidula Hara) : 원줄기의 능선과 잎 뒷면의 중륵에 밑을 향한 털이 있다. ▶털석잠풀(S. riederi Chamisso var. hispida Hara) : 전체에 털이 많다. ▶우단석잠풀(S. palustirs var. imaii Nakai)

    Read More
  5. No Image

    자주방아풀

    학명 : Isodon serra (Maxim.) Kud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박하속(Isodon) target=_blank>산박하속(Isodon)</a>
    이명 : 자주회채화자지회채화
    잎 : 잎은 대생 엽병이 길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중앙부의 잎은 길이 8-14cm 나비 3-7cm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엽병으로 흘러 좁은 날개처럼 되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 작은 선점이 있고 양면 맥 위 및 가장자리에 엽병과 더불어 짧은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선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보라색이며 취산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가지 및 원줄기 끝에 달리고 전체가 원추형으로 된다. 포와 소포는 선형이며 화경 소화경 꽃받침잎 및 화관과 더불어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하고 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mm정도이다.
    열매 : 수과는 편원형이고 윗부분에 선점과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능선이 예리하며 곧게 서고 전체에 밑을 향한 짧은 복모가 밀생하며 긴 가지가 갈라진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6. No Image

    살비아

    학명 : Salvia officinalis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암차즈기속(Salvia) target=_blank>배암차즈기속(Salvia)</a>
    이명 : 살비야 삼색약사르비아 약불꽃 약용살비아
    잎 : 잎은 대생하며 넓은 타원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원줄기와 더불어 백색 털이 있어 흰빛이 도는 녹색이고 표면에 잔주름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줄기 끝에 정생하는 윤산화서로 층층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종상 순형이고 화관은 양순형이며 길이 1.5-2cm로서 상순 끝이 다소 파지고 하순이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며 암술대가 화관의 상순보다 길게 밖으로 나온다.

    줄기 : 높이 30-90cm이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밑부분이 목질로 되고 전체적으로 향기가 있다. 전체에 유백색의 가는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 (원산지에서는 다년초)

    특징 : 향료 또는 약용식물로 재배하고 있다.
    Read More
  7. No Image

    산층층이

    학명 : Clinopodium chinense var. shibetchense (H.Lev.) Koidz.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층층이꽃속(Clinopodium) target=_blank>층층이꽃속(Clinopodium)</a>
    이명 : 개층꽃 산층층꽃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첨두 원저이며 길이 2-4cm 폭 1-2.5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20mm이다.
    꽃 : 꽃은 백색이고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에 많은 꽃이 층층으로 달리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5-8mm로서 긴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길이 6-8mm로서 짧은 선모가 있고 화관에는 겉에 잔털이 있고 길이 8-12mm로서 순형이다. 이강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6mm정도로서 약간 편평하다.
    줄기 :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녹색이고 붉은빛이 돌지 않는다.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자라다가 위로 곧추선다.

    분포 : 경기도 강원도 이남과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8. No Image

    산속단

    학명 : Phlomis koraiensis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속단속(Phlomis) target=_blank>속단속(Phlomis)</a>
    이명 : 두메속단 멧속단 묏속단
    잎 : 근생엽은 경생엽보다 소형으로 넓은 난형이며 예두 심장서이고 길이 11-16cm 나비 8.5-14.3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0-22mm이다. 경생엽은 대생하며 난형 둔두이고 이저에 가깝거나 심장저이며 길이 5.3-8cm 나비 4-6.4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붉은빛이 돌고 원줄기 끝에 층층으로 달리며 포는 선형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형으로 5개로 갈라지고 둔두이지만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백색 털이 있고 화관은 순형이며 상순은 투구모양으로 가장자리가 거의 규칙적으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안쪽에 털이 밀생한다. 하순은 3개로 갈라지며 털이 없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고 꽃밥은 타원형이며 자주색이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으로 비대해져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평안도와 함경도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9. No Image

    산박하

    학명 : Isodon inflexus (Thunb.) Kud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박하속(Isodon) target=_blank>산박하속(Isodon)</a>
    이명 : 깻잎나물 깻잎오리방풀 애잎나울
    잎 : 잎은 대생하고 삼각상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으로 흘러 날개같이 되며 길이 3-6cm 폭 2-4cm로서 양면 맥 위에 드문드문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여 큰 화서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8-10mm로서 순혀이며 상순이 위를 향하고 하순은 여자 고무신 같은 모양이며 암술은 1개이고 수술은 4개인데 2개가 길다.
    열매 : 4분과는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원반상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깨나물 (var.macrophyllus NAK.): 잎이 크다. ▶털산박하 (var.canescens KUDO) : 잎 뒷면에 털이 많다. ▶긴잎산박하 (var.transiticus KUDO ): 잎이 길고 밑부분이 긴 예저이다. ▶영도산박하 (var.microphyllus KUDO) : 가지가 많고 잎이 작으며 난형으로서 복모가 있다.

    Read More
  10. No Image

    산들깨

    학명 : Mosla japonica (Benth.)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쥐깨풀속(Mosla) target=_blank>쥐깨풀속(Mosla)</a>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난형이고 예두 예저이며 길이 1-3cm 나비 7-17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햇볕이 쬐는 부분은 자주색으로 변하며 엽병은 길이 3-10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총상화서로 달리고 포는 난형이며 길이 3-6mm로서 열매가 익을 때의 꽃받침보다 짧지만 밑부분의 몇 개는 보다 긴 것도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7-8mm로 되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길이 3mm로서 통부가 짧고 하순이 약간 크다. 4개의 수술중 2개는 길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1.3mm로서 겉에 불규칙한 그물무늬가 있다.
    줄기 : 높이 10-40cm이며 홍자색이 돌고 둔한 사각이 지며 백색 털이 있고 특히 마디부분에 많으며 향기가 있다.

    분포 : 전라도 경상도 및 경기도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푸른산들깨 (var.robusta OHWI) : 줄기가 크고 녹색이며 퍼진 털이 다소 밀생하고 성숙한 꽃받침의 길이가 6mm이다.

    Read More
  11. 산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pekinensis var. transitra (Makino)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골무꽃속(Scutellaria) target=_blank>골무꽃속(Scutellaria)</a>
    이명 : 각씨골무꽃 광릉골무꽃 그늘골무꽃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2-4cm 폭 1.5-2.5cm로서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질이 얇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다소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총상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있는 잎모양의 포 가장자리에 1개씩 달려 모두 한쪽 방향을 향하며 화서는 길이 3-6cm로서 퍼진 선모가 있거나 털이 없고 소화경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꽃이 필 때는 길이 2-2.5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5mm로서 상순에 부속편이 있다. 화관은 밑부분이 굽어 위를 향하며 길이 15~20mm로서 끝이 양순형(兩脣形)으로 갈라지고 상순은 하순 길이의 1/2정도이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모두 끝이 둔하다. 수술 4개 중 2개는 길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분과는 길이 0.7mm로서 돌기가 있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원줄기에 위로 굽은 백색 털이 다소 밀생하며 네모가 진다.
    뿌리 : 백색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호골무꽃 (var.ussuriensis HAND.-MAZZ.): 마디에 털이 많고 다은 부분에 털이 적다. ▶기본종은 선모가 없다.

    file
    Read More
  12. No Image

    붉은조개나물

    학명 : Ajuga multiflora f. rose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조개나물속(Ajuga) target=_blank>조개나물속(Ajuga)</a>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5-3cm 폭 7-20mm로서 양면에 긴 선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적색으로 5-6월에 피고 엽액에 달리며 총상으로 되고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7mm정도로서 반 이상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2cm정도로서 2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이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것이 가장 길다.
    열매 : 사분과(四分果)는 도란형이며 능각이 없고 뒷면에 그물맥이 있으며 앞쪽 밑부분에 큰 부착점이 있다.
    줄기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긴 털이 밀생한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3. No Image

    붉은벌깨덩굴

    학명 : Meehania urticifolia f. rubra T.B.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벌깨덩굴속(Meehania) target=_blank>벌깨덩굴속(Meehania)</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삼각상 심장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 2-5cm 폭 2-3.5cm이지만 덩굴의 잎은 지름 1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적색으로 5월에 피고 화경 윗부분의 엽액에 큰 순형화가 한쪽을 향해 4개 정도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1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4-5cm이며 통부가 길고 갑자기 부풀며 아래쪽 꽃잎의 중앙열편은 특별히 크고 측열편과 더불어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긴 백색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좁은 도란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털이 드문드문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화경(花莖)으로 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Read More
  14. No Image

    분홍꽃향유

    학명 : Elsholtzia splendens f. roseola Y.N.Le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향유속(Elsholtzia) target=_blank>향유속(Elsholtzia)</a>

    잎 : 잎은 마주난다. 엽병은 1.5~7cm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몸은 1~7cm 폭은 0.8~4cm이고 잎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어 강한 향기를 낸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 빽빽하게 한쪽으로 치우쳐서 이삭으로 달리며 바로 밑에 잎이 있다. 포는 콩팥 모양으로 끝이 갑자기 비늘처럼 뾰족해지고 자줏빛이 돈다. 화관은 길이가 6mm 정도이고 입술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윗입술 꽃잎은 오목하게 들어가고 아랫입술 꽃잎은 3개로 갈라진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 : 과실은 분과로 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편평하고 물에 젖으면 끈적거린다. 향유에 비해 꽃이삭이 크다.
    줄기 : 줄기는 뭉쳐나는데 가지를 많이 치고 네모지며 흰 털이 많다.





    Read More
  15. No Image

    벌깨풀

    학명 : Dracocephalum rupestre Hanc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용머리속(Dracocephalum) target=_blank>용머리속(Dracocephalum)</a>
    이명 : 바위용머리
    잎 : 근생엽은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며 질이 두껍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2.5-4.5cm 나비 1.5-4cm로서 표면에 짧은 털이 다소 있으며 뒷면 맥 위에는 엽병과 더불어 긴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둥근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6-7cm이다. 경생엽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엽병이 짧고 잎이 작아져서 포엽과 연결된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층층으로 달리고 마디사이가 짧아서 밀생한 것같으며 포는 잎 모양이고 침상의 톱니가 있다. 화관은 길이 2.8cm정도로서 양순형이고 겉에 잔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길이 1.8cm정도로서 양순형이며 열편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고 겉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20-30cm이며 줄기는 밑동에서 밀생하고 다소 붉은색을 띠며 밑을 향한 굵은 흰털이 산재한다.

    분포 : 압록강 상류지역에서부터 만주에 걸쳐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벌개덩굴과 비슷하기 때문에 벌깨풀이라고 한다.
    Read More
  16. No Image

    벌깨덩굴

    학명 :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벌깨덩굴속(Meehania) target=_blank>벌깨덩굴속(Meehania)</a>
    이명 : 벌개덩굴
    잎 : 화경(花莖)에 5쌍 정도의 잎이 붙어 있다.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삼각상 심장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 2-5cm 나비 2-3.5cm이지만 덩굴의 잎은 지름이 1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화경 윗부분의 엽액에 큰 순형화가 한쪽을 향해 4개 정도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1c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자줏빛이 돌고 길이 4-5cm이며 통부가 길고 갑자기 부풀며 아래쪽 꽃잎의 중앙열편은 특별히 크고 측열편과 더불어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긴 백색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분과는 좁은 도란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잔털이 드문드문 있고 7~8월에 결실한다.
    줄기 :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긴털이 드문드문 잇고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다음해의 화경(花莖)으로 되며 화경은 높이 15~30cm로서 5쌍 정도의 잎이 달린다.
    뿌리 : 옆으로 뻗은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중국북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흰벌깨덩굴 (for.leucantha HARA) : 백색 꽃이 핀다. ▶붉은벌깨덩굴 (for.rubra T.LEE) : 적색 꽃이 핀다.
    특징 : 식물체는 식용할 수 있고 꽃에는 양질의 꿀이 많아 밀원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Read More
  17. No Image

    백리향

    학명 :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백리향속(Thymus) target=_blank>백리향속(Thymus)</a>
    이명 : 산백리향
    잎 : 잎은 대생하며 난상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5-12mm 나비 3-8mm로서 양면에 오목 들어간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간혹 파상의 톱니가 있고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엽액에 2-4개씩 달리지만 가지 끝부분에서 총생하기 때문에 짧은 수상(穗狀)으로 보이고 소화경은 길이 3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5mm이며 10개의 늑맥(肋脈)이 있고 5조각으로 갈라지며 위쪽 3개의 열편은 삼각형이고 아래쪽 2개의 열편은 선형이며 털이 있다. 화관(花冠)은 홍자색이며 길이 7-9mm 지름 5mm로서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수술은 4개이며 수술대와 꽃받침은 모두 연한 자주색이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1mm정도로서 9월에 암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옆으로 퍼진다. 전체에 향기가 있다.

    분포 : ▶히말라야 일본 사할린 우수리 시베리아 캄차카 중국 몽고 만주에 분포한다. ▶표고 900~1 000m 제주 전남 경남 경북 강원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 활엽 반관목
    유사종 : ▶섬백리향(var. japonica Hara): 원줄기가 보다 굵고 지름 7-10㎜이며 잎의 길이가 15㎜이고 꽃의 길이가 10㎜이다.
    특징 : 꽃과 전초(全草)에는 `Thymol` `P-Cymene Pinene` `Linalool`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백리향 특유의 향기를 내뿜는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잔디처럼 포복성을 지녀 옆으로 퍼져 나간다.
    Read More
  18. No Image

    배초향

    학명 : Agastache rugosa (Fisch. & Mey.) Kuntz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초향속(Agastache) target=_blank>배초향속(Agastache)</a>
    이명 : 방아잎 방아풀 방애잎 방앳잎 중개풀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가 5-10cm 나비 3-7cm로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약간의 털과 더불어 흰빛이 도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게 둔한 톱니가 있으고 엽병은 길이 1-4cm이다.
    꽃 : 꽃은 순형으로서 7-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윤산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5-15cm 나비 2cm이다.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밑부분의 것이 길고 옆의 것에 톱니가 있으며 이강웅예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 : 분과는 길이 1.8mm로서 도란상 타원형이며 편평한 삼능형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가 진다.

    분포 : ▶중국 대만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일명 `방아잎` 또는 `깨나물`이라고도 하며 전체에서 강한 향기를 풍기는 방향성 식물이다.
    Read More
  19. No Image

    배암차즈기

    학명 : Salvia plebeia R.B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암차즈기속(Salvia) target=_blank>배암차즈기속(Salvia)</a>
    이명 : 배암배추 배암차즈키 뱀배추 뱀차조기
    잎 : 겨울동안에는 경생엽보다 큰 근생엽이 총생하여 지면으로 퍼지지만 꽃이 필 때는 없어진다. 경생엽은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은 대생하고 엽병의 길이는 1~3cm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총상화서는 줄기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고 길이 8-10cm로서 짧은 털이 다소 밀생한다. 꽃받침은 길이 2.5-3mm에서 4mm정도로 자라며 양순형이고 상·하로 깊게 갈라지며 선점과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4-5mm로서 양순형이고 하순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2개이고 葯隔(약격)이 앞뒤로 비슷하게 수술대처럼 자란다.
    열매 : 4개의 분과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0.8mm정도로서 능각이 없으며 짙은 갈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30-70cm로서 네모지며 곧게 서고 아래를 향한 잔털이 밀생한다.

    분포 : ▶아시아 동남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까지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생 초본이다.


    Read More
  20. No Image

    방아풀

    학명 : Isodon japonicus (Burm.)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박하속(Isodon) target=_blank>산박하속(Isodon)</a>
    이명 : 회채화
    잎 :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로서 엽병의 윗부분으로 흘러 좁은 날개로 되고 길이 6-15cm 나비 3.5-7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색이고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취산화서는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여 화수(花穗)를 형성하며 전체가 원추화서로 된다. 꽃받침은 길이 3-4mm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화관은 통상 순형(筒狀脣形)이며 길이 5-7mm이고 연한 자주색이며 2강수술이 있다.
    열매 :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윗부분에 점같은 선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분포 : 전국 각지와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오리방아풀 자주방아풀 등이 있다.
    특징 : 죽어가는 환자를 살리는 기사 회생의 효과가 있다 해서 연명초(延命草)라는 이름이 붙었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