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Lagerstroemia indica L. |
|---|---|
| 과명 | 부처꽃과(Lythraceae) |
| 속명 | 배롱나무속(Lagerstroemia) |
| 이명 | 백일홍 |
|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2.5-7cm 폭은 2-3cm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중륵맥(中肋脈)에 짧은 털이 있고 측맥은 4-5쌍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엽병이 거의 없다. 잎은 다소 혁질이며 늦게 나온다. |
|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9월에 피고 홍색이며 가을까지 꽃이 달려 목백일홍이란 이름을 얻고 있다. 그 해 자란 가지끝에 달리는 원추화서는 바로서고 길이 10-25cm 지름 3-4cm에 이른다. 꽃받침은 6개로 갈라지며 때로는 홍자색이 돌고 꽃잎도 6개로서 둥글며 주름살이 많고 수술은 30-40개로서 가장자리의 6개가 길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가 수술 밖으로 나온다. |
|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1-1.2cm로서 6실이지만 7-8실인 것도 있고 10월에 익는다. 각편은 단단한 목질이고 그 안에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
|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며 줄기는 굴곡이 심한 편이어서 비스듬히 눕기 쉽고 가지는 엉성하게 나서 나무 전체 모양이 고르지 못한 편이나 독립해서 자랄 때에는 수관이 둥글게 되는 일이 흔히 있다. 수피는 적갈색이고 평활하며 얇게 벗겨져서 줄기에 얼룩이 잘 지고 또 혹이 잘 생기기도 한다. 어린 가지는 모가나고 뿌리부터 움가지가 잘 돋아난다. |
| 분포 | 중부 이남에 식재하고 인도와 호주에도 분포한다. |
|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
| 유사종 | ▶흰꽃배롱나무(for. alba Rehder) : 백색 꽃이 피며 인천에서 자란다. |
| 특징 | ▶천연기념물 제168호(부산진)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양정동 ⓑ면적:2주(株) 6.612㎡ ⓒ지정사유:노거수 ⓓ나무높이:8.3m ▶붉은 꽃이 100일 이상 계속 피어서 목백일홍이라고도 하며 줄기는 모과나무처럼 얼룩이 있고 원숭이도 미끄러진다는 일본명을 가지고 있을 만큼 수피가 아름답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Syst. nat. ed. 10, 2 : 1076 (1759)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
Read MoreNo Image
배추
학명 : Brassica rapa var. glabra Rege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추속(Brassica) target=_blank>배추속(Brassica)</a>
이명 : 배차 배채
잎 : 어릴때는 털이 있으나 성숙한 포기의 잎에는 털이 거의 없다. 근생엽은 연녹색이고 좁은 도란형으로서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양면에 파상의 주름이 지며 하반부가 좁아지면서 양쪽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고 주맥은 백색으로서 넓으며 몇 줄의 얕은 홈이 있고 밑부분은 폭 2-5cm이며 윗부분은 갑자기 좁아지면서 많은 측맥이 뒷면으로 튀어나온다. 중심부의 잎은 서로 감싸면서 단단한 덩어리로 되지만 윗부분은 다소 퍼진다.
꽃 : 봄철에 화경(花莖)이 자라서 윗부분에 총상화서가 발달하고 황색 꽃이 많이 달린다. 4수성이며 수술은 4강웅예(4强雄蘂)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각과로서 긴 원주형이고 끝에 긴 부리가 있으며 익으면 벌어져서 흑갈색 종자가 나온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2년초
-
Read MoreNo Image
배초향
학명 : Agastache rugosa (Fisch. & Mey.) Kuntze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초향속(Agastache) target=_blank>배초향속(Agastache)</a>
이명 : 방아잎 방아풀 방애잎 방앳잎 중개풀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가 5-10cm 나비 3-7cm로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약간의 털과 더불어 흰빛이 도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게 둔한 톱니가 있으고 엽병은 길이 1-4cm이다.
꽃 : 꽃은 순형으로서 7-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윤산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5-15cm 나비 2cm이다.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밑부분의 것이 길고 옆의 것에 톱니가 있으며 이강웅예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 : 분과는 길이 1.8mm로서 도란상 타원형이며 편평한 삼능형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가 진다.
분포 : ▶중국 대만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일명 `방아잎` 또는 `깨나물`이라고도 하며 전체에서 강한 향기를 풍기는 방향성 식물이다.
-
Read MoreNo Image
배암차즈기
학명 : Salvia plebeia R.B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암차즈기속(Salvia) target=_blank>배암차즈기속(Salvia)</a>
이명 : 배암배추 배암차즈키 뱀배추 뱀차조기
잎 : 겨울동안에는 경생엽보다 큰 근생엽이 총생하여 지면으로 퍼지지만 꽃이 필 때는 없어진다. 경생엽은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은 대생하고 엽병의 길이는 1~3cm이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총상화서는 줄기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고 길이 8-10cm로서 짧은 털이 다소 밀생한다. 꽃받침은 길이 2.5-3mm에서 4mm정도로 자라며 양순형이고 상·하로 깊게 갈라지며 선점과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4-5mm로서 양순형이고 하순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2개이고 葯隔(약격)이 앞뒤로 비슷하게 수술대처럼 자란다.
열매 : 4개의 분과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0.8mm정도로서 능각이 없으며 짙은 갈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30-70cm로서 네모지며 곧게 서고 아래를 향한 잔털이 밀생한다.
분포 : ▶아시아 동남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까지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배암나무
학명 : Viburnum koreanum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인동과(Caprifoliaceae) target=_blank>인동과(Caprifo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분꽃나무속(Viburnum) target=_blank>산분꽃나무속(Viburnum)</a>
잎 : 잎은 대생하며 장상으로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위로 향하며 삼각상난형이다. 윗부분의 잎은 타원형이고 갈라지지 않으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5-10cm로서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에 털이 약간 잇으나 점차 없어지며 선점이 있고 뒷면은 선점이 있으며 맥 위에 성모가 있고 엽병은 길이 5-20mm로서 성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탁엽이 있다.
꽃 : 산형화서는 짧은 가지에 정생하고 선점이 있으며 꽃은 6월에 피고 꽃받침에 털이 없으며 화관은 수레바퀴모양이고 지름 6-7mm이며 화서의 가장자리에 무성화가 없다. 수술은 5개로 짧으며 자방은 털이 없이 선점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9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복면에 넓은 홈이 있다.
줄기 : 높이가 2m에 달하고 골속이 백색이며 소지는 갈색이 도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분포 : 한국 중국동북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역 관목
-
Read MoreNo Image
배롱나무
학명 : Lagerstroemia indica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부처꽃과(Lythraceae) target=_blank>부처꽃과(Lyth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롱나무속(Lagerstroemia) target=_blank>배롱나무속(Lagerstroemia)</a>
이명 : 백일홍
잎 :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2.5-7cm 폭은 2-3cm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중륵맥(中肋脈)에 짧은 털이 있고 측맥은 4-5쌍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엽병이 거의 없다. 잎은 다소 혁질이며 늦게 나온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9월에 피고 홍색이며 가을까지 꽃이 달려 목백일홍이란 이름을 얻고 있다. 그 해 자란 가지끝에 달리는 원추화서는 바로서고 길이 10-25cm 지름 3-4cm에 이른다. 꽃받침은 6개로 갈라지며 때로는 홍자색이 돌고 꽃잎도 6개로서 둥글며 주름살이 많고 수술은 30-40개로서 가장자리의 6개가 길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가 수술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1-1.2cm로서 6실이지만 7-8실인 것도 있고 10월에 익는다. 각편은 단단한 목질이고 그 안에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며 줄기는 굴곡이 심한 편이어서 비스듬히 눕기 쉽고 가지는 엉성하게 나서 나무 전체 모양이 고르지 못한 편이나 독립해서 자랄 때에는 수관이 둥글게 되는 일이 흔히 있다. 수피는 적갈색이고 평활하며 얇게 벗겨져서 줄기에 얼룩이 잘 지고 또 혹이 잘 생기기도 한다. 어린 가지는 모가나고 뿌리부터 움가지가 잘 돋아난다.
분포 : 중부 이남에 식재하고 인도와 호주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흰꽃배롱나무(for. alba Rehder) : 백색 꽃이 피며 인천에서 자란다.
특징 : ▶천연기념물 제168호(부산진)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양정동 ⓑ면적:2주(株) 6.612㎡ ⓒ지정사유:노거수 ⓓ나무높이:8.3m ▶붉은 꽃이 100일 이상 계속 피어서 목백일홍이라고도 하며 줄기는 모과나무처럼 얼룩이 있고 원숭이도 미끄러진다는 일본명을 가지고 있을 만큼 수피가 아름답다.
-
Read MoreNo Image
배나무
학명 :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나무속(Pyrus) target=_blank>배나무속(Pyrus)</a>
이명 : 일본배
잎 : 잎은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7-12cm 폭 3.5-5cm로서 뒷면은 회록색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침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7cm로서 털이 없다. 가을에 황색으로 단풍진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양성화이며 총상화서를 이룬다. 화서는 털이 없거나 면모가 있고 꽃은 지름 3cm정도이며 꽃받침잎은 긴 점첨두이고 꽃잎은 난상 원형이며 암술대는 4-5개로서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5-10cm 정도로서 9월경 다갈색으로 익으며 꽃받침이 떨어지고 과경은 길이 3-5cm이다.
줄기 : 어린 가지는 갈색이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표고 600m이하 야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콩배나무(P. calleryana var. fauriei) : 낙엽관목 잎과 열매가 작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 ▶위봉배나무(P. uipongensis) : 위봉산 낙엽소교목 작은 가지는 회갈색 꽃받침잎은 결실후 탈락.
-
Read MoreNo Image
밭하늘지기
학명 : Fimbristylis stauntonii Debeaux & Franch. ex Debeaux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하늘지기속(Fimbristylis) target=_blank>하늘지기속(Fimbristylis)</a>
이명 : 밭하늘직이
잎 : 잎은 선형이며 길이 3-5㎝ 폭 3㎜정도로서 화경(花莖)보다 짧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는 복산형화서이며 길이 2-3.5cm이고 포는 잎같으며 2-3개로서 화서보다 짧다. 소수는 1개씩 달리고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3-5mm 지름 2.5mm로서 성숙하면 갈색이 도는 황색으로 되고 암술대가 자라기 때문에 털이 싸인 것같이 보인다. 인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1.5-2mm로서 끝이 뾰족하고 흑록색이지만 뒷면은 녹색이며 1맥이 있고 얇은 막질이다. 암술머리는 2-3개로서 떨어진다.
열매 : 수과는 타원상 원주형이고 길이 0.7mm정도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7-30cm이며 다소 편평하고 연하며 녹색이고 밑부분에 잎이 약간 달린다.
분포 : 북부지역 저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밭뚝외풀
학명 : Lindernia procumbens (Krock.) Borba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밭뚝외풀속(Lindernia) target=_blank>밭뚝외풀속(Lindernia)</a>
이명 : 개고추풀 밭둑외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길이 1.5~3cm 폭 5~12mm로서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3~5맥이 평행한 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자색이고 엽액에서 1개씩 나오며 소화경은 길이 2~2.5cm이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다. 화관은 길이 6mm정도이고 통부 끝이 양순형이며 수술 4개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5mm이며 2개로 갈라지고 가을철에 흔히 폐쇄화가 달린다.
줄기 : 높이 7-15cm이고 털이 없으며 기부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 비스듬히 선다.
분포 : 제주도와 울릉도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외풀과 비슷하지만 뚝 근처의 습지에서 자라기 때문에 밭뚝외풀이라고 하며 논뚝에서도 흔히 자란다.
-
Read MoreNo Image
방풍
학명 :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Wolf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산형과(Umbelliferae) target=_blank>산형과(Umbell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풍속(Ledebouriella) target=_blank>방풍속(Ledebouriella)</a>
이명 : 가는잎방풍 개방풍신방풍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엽병의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3회우상복엽이고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굳으며 많은 근생엽이 한군데에서 총생한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복산형화서에 많이 달리고 총산경 끝에서 5개 정도의 소산경이 갈라지며 각각 많은 소화가 달린다. 5개의 꽃잎은 안쪽으로 굽고 수술은 5개로서 황색 꽃밥이 달린다.
열매 : 분과는 편평한 넓은 타원형이고 한쪽이 납작한 종자를 결실한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단일하나 밑으로부터 많은 가지를 내어 전체가 둥근 모양을 이루어 바람으로 굴러다니면서 씨를 떨어낼 수 있도록 되었으며 털이 없다.
뿌리 : 황백색으로서 방추형으로 되어 있다.
분포 : 북부지방에 다소 생산되나 중·남부지방에서는 별로 볼 수 없다.
형태 : 다년생 초본(3-4년 후 열매를 맺은 뒤에는 죽는다.)
-
Read MoreNo Image
방패꽃
학명 : Veronica tenella Al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현삼과(Scrophulariaceae) target=_blank>현삼과(Scrophular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개불알풀속(Veronica) target=_blank>개불알풀속(Veronica)</a>
이명 : 개투구꽃 누운꼬리풀 눈꼬리풀지금아재비투구꽃 투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거나 짧으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길이 1~2cm 폭 6~13cm로서 희미한 낮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 바탕에 자주색 맥이 있고 총상화서는 길이 5~10c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산생하며 10~20개의 꽃이 드문드문 달리고 포는 피침형이며 소화경보다 짧다. 꽃받침은 길이 3mm로서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삭과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화관은 지름 6~7mm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고 폭 4~5mm이며 암술대는 길이 3mm 정도이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원줄기는 옆으로 뻗으면서 가지가 갈라져서 곧추서며 잔털이 산생한다.
분포 :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방크스소나무
학명 : Pinus banksiana Lamb.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소나무과(Pinaceae) target=_blank>소나무과(Pin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소나무속(Pinus) target=_blank>소나무속(Pinus)</a>
이명 : 방구스소나무 짧은잎소나무
잎 : 2개씩 속생하는 잎은 굳고 짧으며 길이 2-4cm로서 비틀리고 퍼지며 횡단면의 수지구가 외위(外位)이다.
꽃 : 5월에 황갈색의 꽃이 피며 암수한그루이다.
열매 : 구과는 길이 3-5cm 지름 2-3cm이고 난상 원추형으로서 대개 끝이 구부러지며 회황색이고 오랫동안 벌어지지 않으며 비후부는 편평하거나 도드라지고 제(臍)는 작으며 침(針)이 없다. 종자는 흑색이고 삼각상 난형이며 길이 4mm 내외 폭 2mm이고 날개는 길이 7-10mm 폭 3.5-4.5mm이며 자엽은 4-5개이고 다음해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35m 지름 50cm이며 가지가 넓게 퍼지고 1년에 1마디 이상 자란다. 수피는 암갈색이며 좁고 두껍게 갈라지며 박편처럼 떨어진다. 소지는 자갈색 또는 황갈색이고 동아는 연한 갈색이다.
분포 : ▶대서양 연안에서 미국 중부지방과 캐나다에 걸쳐 분포한다. ▶우리나라 전지역에서 식재되고 있다.
형태 : 상록 침엽 교목으로 대개 아교목상
특징 : ▶가지가 수평으로 퍼지고 해마다 여러 층의 가지가 새로 자라나는 성질이 있다. ▶건조와 추위에 강하며 관상용으로 좋으나 목재가 빨리 썩는다. ▶생육환경이 나쁘면 관목상이 되기도 한다. ▶조림(造林) 지역(地域) 적응시험(適應試驗)을 위하여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전국 곳곳에 심어져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의 영일사방 사업지구내에서 좋은 생육을 보이고 있다.
-
Read MoreNo Image
방울양배추
학명 :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Zenker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십자화과(Cruciferae) target=_blank>십자화과(Crucifer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배추속(Brassica) target=_blank>배추속(Brassica)</a>
이명 : 방울가두배추 방울배추 애기가두배추
잎 : 잎은 30~40개 정도 달린다.
꽃 : 2년 정도 재배하면 각각의 새끼양배추에서 꽃대가 나와 꽃이 핀다.
열매 : 겨드랑눈에서 방울 모양으로 결구하여 새끼양배추가 달리는데 지름이 3~5cm이고 1개의 질량은 10~15g이다.
줄기 : 보통 양배추와는 달리 줄기가 길게 자라고 여기에 잎이 드물게 붙는다.
분포 : 영국 등 북유럽과 미국
-
Read MoreNo Image
방울새풀
학명 : Briza minor L.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벼과(Gramineae) target=_blank>벼과(Gramin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울새풀속(Briza) target=_blank>방울새풀속(Briza)</a>
이명 : 방울내풀 방울새 방울피 타래피
잎 : 잎은 드문드문 호생하고 길이 6-14cm 나비 5-8mm로서 원줄기와 더불어 털이 없으며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뵤족하며 밑부분이 비스듬히 엽초로 흐르고 엽설은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5㎜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0㎝로서 퍼지고 작은이삭이 실같은 가지 끝에 달려서 밑으로 처진다. 작은이삭은 길이 3-4mm이며 삼각상 난형으로서 연한 녹색이고 3-6개의 꽃이 들어 있다. 10개 정도의 호영이 좌우로 비늘처럼 포개지며 포영은 호영과 겉모양이 같고 심장저로서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줄기 : 전체가 녹색이고 가는 원줄기가 곧게 자라며 높이가 30-40cm에 달한다.
분포 : 남부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
Read MoreNo Image
방울새란
학명 : Pogonia minor (Makino)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울새란속(Pogonia) target=_blank>방울새란속(Pogonia)</a>
이명 : 방울새난 방울새난초
잎 : 잎은 길이 3~7cm 폭 4~12mm로서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어느 정도 육질이고 기부는 좁아지면서 줄기로 흘러 내린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가 위를 향해 달리고 백색 바탕에 연한 홍자색이 돌며 활짝 피지 않는다. 꽃받침잎은 모두 선상 도피침형이고 길이 1-1.5cm로서 끝이 가늘며 둔하고 꽃잎은 다소 짧으며 끝이 둔하다. 순판은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끝이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이 작으며 정열편은 큰방울새난과 같이 꽃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꽃술대는 길이 5mm이다. 꽃밥은 흰색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2.5㎝정도이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중앙부 약간 위쪽에 잎이 1개 달린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각처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큰방울새난
특징 : 큰방울새난과 비슷하지만 보다 소형이고 산지에서 자라며 순판이 꽃밖으로 나오지 않으며 꽃의 색이 연한것이 다르다.
-
Read MoreNo Image
방울비짜루
학명 : Asparagus oligoclonos Maxim.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백합과(Liliaceae) target=_blank>백합과(Lil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비짜루속(Asparagus) target=_blank>비짜루속(Asparagus)</a>
이명 : 방울비자루 새방울비짜루 참빗짜루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암·수꽃이 딴 그루에서 1-2개씩 아귀에 달리고 길이 6-7mm이며 통상 종형이고 황록색이며 소화경(小花경)은 길이 7-8mm로서 중부 또는 중상부에 관절이 있다. 수꽃의 화피조각은 6개로 길이 7-8mm이며 수술은 6개인데 약(葯)은 수술대보다 길다. 암꽃의 화피는 길이 3mm이다.
열매 : 장과는 둥글며 지름 10mm정도이고 3-4개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7-8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곧추서며 위로 뻗는 가지가 있다. 소지에는 3개의 능각이 있으며 능선 위에는 소돌기가 있어서 거칠다. 잎처럼 생긴 가지는 1-8개씩 달리고 선형 예두이며 곧고 길이 1-3.5cm로서 능각이 있으며 짙은 녹색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2-3mm의 수염뿌리가 길게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긴 소화경끝에 방울처럼 둥근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방울비짜루라고 한다.
-
Read MoreNo Image
방울난초
학명 : Habenaria flagellifera (Maxim.) Makino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B%82%9C%EC%B4%88%EA%B3%BC(Orchidaceae) target=_blank>난초과(Orchid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해오라비난초속(Habenaria) target=_blank>해오라비난초속(Habenaria)</a>
이명 : 흑십자란
잎 : 잎은 밑에서 3-5개가 호생하고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10㎝ 나비 1.5-2.5㎝로서 밑부분의 2개는 초상엽이며 윗부분의 것은 포 같다.
꽃 : 9-10월 개화. 꽃은 연한 녹색이며 수상화서를 이루고 화서는 길이 10-25㎝이다. 포는 피침형으로 길이 5-20㎜이며 위꽃받침잎은 길이 3mm로서 좁은 난형이고 옆꽃받침잎는 꽃이 필 때 반곡(反曲)된다. 꽃잎은 좁은 난형으로서 옆꽃받침잎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곧추서고 순판은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은 길이 6-7mm로서 실처럼 가늘고 중앙열편은 짧으며 끝이 둔하다. 거(距)는 길이 3-4mm로서 곤봉같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 20-50cm이며 건조하면 흑색으로 된다.
뿌리 : 구경은 2개이고 난형이다.
분포 : 한라산 산록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마르면 흑색으로 변한다.
-
Read MoreNo Image
방울꽃
학명 : Strobilanthes oliganthus Mi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쥐꼬리망초과(Acanthaceae) target=_blank>쥐꼬리망초과(Acanth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방울꽃속(Strobilanthes) target=_blank>방울꽃속(Strobilanthes)</a>
이명 : 광대나물아재비 자운채 자주구름꽃 )
잎 : 어린 잎에는 긴 흰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4~10cm 폭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길이 1-5cm의 엽병으로 흐른다.
꽃 : 꽃은 9월경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쓰러지며 줄기 끝이나 상부의 엽액에 몇 개의 꽃이 위를 향해 피고 화경이 없으며 소포엽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길이 약 1cm이다. 화관은 끝이길이 3cm정도로서 통형이고 밑부분이 약간 굽으면서 갑자기 좁아지며 지름 2.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약간 파지며 백색 털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끝에 긴 털이 있고 익으면 터져서 4개의 종가가 튀어 나온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원줄기는 네모지며 곧게 서고 마디사이의 밑부분이 굵으며 마디에 긴 흰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Read MoreNo Image
방울고랭이
학명 : Scirpus wichurae var. asiaticus (Beetle) T.Koyam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사초과(Cyperaceae) target=_blank>사초과(Cyper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고랭이속(Scirpus) target=_blank>고랭이속(Scirpus)</a>
이명 : 개왕골 방울골 왕굴아재비
잎 : 화경(花莖)에 달려 있는 잎은 편평하며 길이 30-40cm 폭 5-15mm이고 엽초는 길이 3-10cm로서 헐겁게 둘러싼다.
꽃 : 8~10월에 개화한다. 분화서는 1-4개로서 끝에 달린 것은 크며 수차 갈라지고 옆에 달린 것은 작다. 포는 2-3개로서 분화서보다 길거나 짧으며 가지는 백색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분지와 더불어 깔깔하다. 소수는 대가 있는 것도 있으며 2-5개씩 모여 달리지만 1개씩 달리기도 하고 길이 4-8mm 지름 3-4mm로서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적갈색으로 된다. 인편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2-2.5mm로서 1맥이 있고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삼릉형이며 길이 0.8-1mm로서 볏짚색이고 끝이 뾰족하며 도란형이다.
줄기 : 높이 1-1.5m이며 딱딱하고 세모지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이 짧고 수염뿌리가 크게 무리를 이루어 뭉쳐난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
Read MoreNo Image
방아풀
학명 : Isodon japonicus (Burm.) Har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EA%BF%80%ED%92%80%EA%B3%BC(Labiatae) target=_blank>꿀풀과(Labiat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산박하속(Isodon) target=_blank>산박하속(Isodon)</a>
이명 : 회채화
잎 : 잎은 대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로서 엽병의 윗부분으로 흘러 좁은 날개로 되고 길이 6-15cm 나비 3.5-7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색이고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취산화서는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여 화수(花穗)를 형성하며 전체가 원추화서로 된다. 꽃받침은 길이 3-4mm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화관은 통상 순형(筒狀脣形)이며 길이 5-7mm이고 연한 자주색이며 2강수술이 있다.
열매 :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윗부분에 점같은 선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분포 : 전국 각지와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오리방아풀 자주방아풀 등이 있다.
특징 : 죽어가는 환자를 살리는 기사 회생의 효과가 있다 해서 연명초(延命草)라는 이름이 붙었다.
-
Read MoreNo Image
방석나물
학명 : Suaeda australis (R.Br.) Moq.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명아주과(Chenopodiaceae) target=_blank>명아주과(Chenopodi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나문재속(Suaeda) target=_blank>나문재속(Suaeda)</a>
잎 : 잎이 길쭉하고 잎의 단면이 홀쭉하여 얄팍한 반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