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민윤노리나무

조회 수 1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Pourthiaea villosa var. laevis (Thunb.) Stapf
과명 장미과(Rosaceae)
속명 윤노리나무속(Pourthiaea)
이명 민윤노리 민윤여리나무 윤노리나무 윤여리나무 잔털윤노리 잔털윤노리나무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또는 긴 도란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8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거의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잘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mm이며 털이 있다.
양성화로 5월경에 피고 산방화서는 지름 3~5cm로 백색꽃이 달리며 백색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꽃은 지름 7-10㎜이고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며 수술이 20개이고 암술대는 2-4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 열매는 도란형으로 길이 8㎜이며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커짐에 따라 갈색 피목이 과경과 소과경에 생긴다.
줄기 밑에서 옆으로 자라며 몇 개의 수간이 올라온다. 어린 가지에는 백색털과 타원형의 피목이 있다.
분포 중부 이남의 표고 50-1 200m에 자생하며 제주도(한라산의 수림 중간층)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떡윤노리나무(var. brunnea Nakai): 잎이 두껍고 도란형이며 엽병이 짧고 화서가 크며 열매 지름이 12mm이다. ▶털윤노리(var. zollingeri Nakai): 전라남북 경상남북 강원지역에서 자라며 화경과 어린 가지에 털이 많고 잎 뒷면에 백색털이 밀생한다. ▶꼭지윤노리(var.longipes Nakai) : 엽병과 소화경의 길이가 각각 1cm이상이다. ▶좀윤노리(var. coreana Nakai) : 잎이 얇고 화경과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Bot. Mag. 155 : t. 9275 (1932)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참고문헌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1. No Image

    좀윤노리

    학명 : Pourthiaea villosa var. coreana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윤노리나무속(Pourthiaea) target=_blank>윤노리나무속(Pourthiaea)</a>
    이명 : 좀윤노리나무









    Read More
  2. No Image

    털윤노리나무

    학명 : Pourthiaea villosa var. zollingeri (Decne.) C.K.Schneid.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윤노리나무속(Pourthiaea) target=_blank>윤노리나무속(Pourthiaea)</a>
    이명 : 민윤노리나무 털윤노리 털윤여리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또는 긴 도란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8cm로서 잎 뒷면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잘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mm이며 털이 있다.
    꽃 : 양성화로 5월경에 피고 산방화서는 지름 3~5cm로 백색꽃이 달리며 백색털이 밀생한다. 꽃은 지름 7-10㎜이고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며 수술이 20개이고 암술대는 2-4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도란형으로 길이 8㎜이며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커짐에 따라 갈색 피목이 과경과 소과경에 생긴다.
    줄기 : 밑에서 옆으로 자라며 몇 개의 수간이 올라온다. 어린 가지에는 털이 많고 타원형의 피목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표고 50-1 200m에 자생하며 제주도(한라산의 수림 중간층)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떡윤노리나무(var. brunnea Nakai): 잎이 두껍고 도란형이며 엽병이 짧고 화서가 크며 열매 지름이 12mm이다. ▶꼭지윤노리(var.longipes Nakai) : 엽병과 소화경의 길이가 각각 1cm이상이다. ▶좀윤노리(var. coreana Nakai) : 잎이 얇고 화경과 가지가 가늘다. ▶민윤노리(var.laevis Stapf.) : 잎과 화서의 털이 곧 없어진다.

    Read More
  3. No Image

    윤노리나무

    학명 :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var. villosa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윤노리나무속(Pourthiaea) target=_blank>윤노리나무속(Pourthiaea)</a>
    이명 : 긴윤노리나무 꼭지윤노리 꼭지윤노리나무 꼭지윤여리 참윤여리
    잎 :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또는 장도란형으로 길이 4~12cm 나비 2~6cm이며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거의 없어지고 엽병은 길이 2~10mm이다.
    꽃 :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고 복산방화서로 달리며 화서와 엽병에 혹 모양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에는 백색의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고 꽃잎은 도란상 난형 수술은 20개 암술대는 2~4개이다.
    열매 : 과실은 이과로 타원형이며 9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 : 어린가지와 엽병에 백색 털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Read More
  4. No Image

    민윤노리나무

    학명 : Pourthiaea villosa var. laevis (Thunb.) Stapf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윤노리나무속(Pourthiaea) target=_blank>윤노리나무속(Pourthiaea)</a>
    이명 : 민윤노리 민윤여리나무 윤노리나무 윤여리나무 잔털윤노리 잔털윤노리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또는 긴 도란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8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거의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잘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mm이며 털이 있다.
    꽃 : 양성화로 5월경에 피고 산방화서는 지름 3~5cm로 백색꽃이 달리며 백색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꽃은 지름 7-10㎜이고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며 수술이 20개이고 암술대는 2-4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도란형으로 길이 8㎜이며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커짐에 따라 갈색 피목이 과경과 소과경에 생긴다.
    줄기 : 밑에서 옆으로 자라며 몇 개의 수간이 올라온다. 어린 가지에는 백색털과 타원형의 피목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표고 50-1 200m에 자생하며 제주도(한라산의 수림 중간층)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떡윤노리나무(var. brunnea Nakai): 잎이 두껍고 도란형이며 엽병이 짧고 화서가 크며 열매 지름이 12mm이다. ▶털윤노리(var. zollingeri Nakai): 전라남북 경상남북 강원지역에서 자라며 화경과 어린 가지에 털이 많고 잎 뒷면에 백색털이 밀생한다. ▶꼭지윤노리(var.longipes Nakai) : 엽병과 소화경의 길이가 각각 1cm이상이다. ▶좀윤노리(var. coreana Nakai) : 잎이 얇고 화경과

    Read More
  5. No Image

    떡윤노리나무

    학명 : Pourthiaea villosa var. brunnea (H.Lev.) Naka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장미과(Rosaceae) target=_blank>장미과(Ros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윤노리나무속(Pourthiaea) target=_blank>윤노리나무속(Pourthiaea)</a>
    이명 : 떡윤노리떡윤여리나무 떡잎윤노리 떡잎윤노리나무 털윤여리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으로 두껍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8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거의 없어진다. 가장자리에 잘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짧다.
    꽃 : 양성화로 5월경에 피고 산방화서는 지름 3-5cm로 백색꽃이 달리며 백색털이 밀생한다. 꽃은 지름 7-10㎜이고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며 수술이 20개이고 암술대는 2-4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 : 열매는 도란형으로 지름 12㎜이며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커짐에 따라 갈색 피목이 과경과 소과경에 생긴다.
    줄기 : 밑에서 옆으로 자라며 몇 개의 수간이 올라온다. 어린 가지에는 백색털과 타원형의 피목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의 표고 50-1 200m에 자생하며 제주도(한라산의 수림 중간층)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털윤노리(var. zollingeri Nakai): 전라남북 경상남북 강원지역에서 자라며 화경과 어린 가지에 털이 많고 잎 뒷면에 백색털이 밀생한다. ▶꼭지윤노리(var.longipes Nakai) : 엽병과 소화경의 길이가 각각 1cm이상이다. ▶좀윤노리(var. coreana Nakai) : 잎이 얇고 화경과 가지가 가늘다. ▶민윤노리(var.laevis Stapf.) : 잎과 화서의 털이 곧 없어진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