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물부추

조회 수 1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Isoetes japonica A.Braun
과명 물부추과(Isoetaceae)
속명 물부추속(Isoetes)
이명 물솔
잎은 총생하고 짙은 녹색이며 사각상 원주형이고 길이 10-30cm로서 잔잔한 물속에서는 곧추선다. 잎의 밑부분은 흰색이고 넓으며 난형으로 퍼지고 큰 잎은 길이 15mm 폭 10mm이며 가장자리가 얇은 막질이다.
열매 근경의 홈 안쪽에 포자낭이 달리고 바로 위에 피침형의 설엽(舌葉)이 있다. 큰 포자낭은 바깥쪽 잎에 작은 포자낭은 안쪽 잎에 달리며 모두 피막이 없고 큰 포자낭 밖에는 규칙적인 구멍이 있어 벌집같이 보인다.
뿌리 근경은 짧고 흑색이며 지름 1-5cm되는 덩어리이고 밑이 3개로 갈라져서 홈이 지는데 홈에서 백색 뿌리가 내린다.
분포 경기도 평택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수생식물).
특징 양치식물이지만 잎이 부추 속 식물을 닮았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Monatsber. Kigl. Preuss. Akad. Wiss. Berlin 1861 : 459 (1861)
참고문헌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1. No Image

    가는물부추

    학명 : Isoetes sinensis Palmer var. sinensis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부추과(Isoetaceae) target=_blank>물부추과(Isoe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부추속(Isoetes) target=_blank>물부추속(Isoetes)</a>










    Read More
  2. No Image

    참물부추

    학명 : Isoetes coreana Y.H.Chung & H.G.Choi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부추과(Isoetaceae) target=_blank>물부추과(Isoe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부추속(Isoetes) target=_blank>물부추속(Isoetes)</a>
    이명 : 참물솔
    잎 : 포자엽은 직립하며 총생하며 평균 35개 정도가 모여난다. 대포자엽은 바깥쪽에 있으며 약 20개이고 소포자엽은 중심부에 있고 약 15개이다. 포자엽은 길이는 9-11.5㎝이고 평균 10.3㎝이다. 양면에 많은 격막이 있다. 횡단면상에는 4개의 커다란 통기조직이 있고 표피 밑에는 4개의 인피섬유가 배열한다. 기공은 포자엽 상부에 있다.

    열매 : 부정형이며 평균길이는 63.4㎛ 폭은 33.8㎛. 포자낭은 포막이 없다. 소설(小舌)은 극형이며 평균 길이 88.5㎛ 폭 44.5㎛이고 대포자낭은 길이 4.8-6.2㎜ 폭2.8-3.5㎜ 포자낭의 길이는 약 0.2㎜이다. 대포자는 구형이고 젖은 상태에서는 회색이고 건조되면 백색(미성숙된 대포자는 젖은 상태에서 백색이다)이며 직경 354.6-483.6㎛ 높이 327.6-426.6㎛이고 표면에는 불규칙한 융기가 있으며 측면 부위에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뿌리 : 괴경은 3열이고 길이 5.3㎜이다. 뿌리는 백색이다.
    분포 : 강원도 화천군 논미리의 한강변에서 채집되었다.(1984.8)
    형태 : 다년생 정수성 수생식물.
    유사종 : ▶물부추:물부추속식물들은 대부분이 침수성 내지 정수성인 수생양치식물이며 일부 육생인 종류도 있다. 1.Isoetes japonica A. Brown(1861)과 I. asiatica Makino(1941): 일본에서 알려져 있다. 제주도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상세한 채집기록은 없다. 2.I. sinensis Palmer(1927): 중국 3.I.beringensis Komarov(1932):캬암챠카반도 4.I.philippinensis Merri
    특징 : ▶출전: Kor.J.Plant Tax. vol.16(1).1986.6
    Read More
  3. No Image

    물부추

    학명 : Isoetes japonica A.Braun
    과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2&search_keyword=물부추과(Isoetaceae) target=_blank>물부추과(Isoetaceae)</a>
    속명 : <a href=/xe/?mid=web_2023&search_target=extra_vars3&search_keyword=물부추속(Isoetes) target=_blank>물부추속(Isoetes)</a>
    이명 : 물솔
    잎 : 잎은 총생하고 짙은 녹색이며 사각상 원주형이고 길이 10-30cm로서 잔잔한 물속에서는 곧추선다. 잎의 밑부분은 흰색이고 넓으며 난형으로 퍼지고 큰 잎은 길이 15mm 폭 10mm이며 가장자리가 얇은 막질이다.

    열매 : 근경의 홈 안쪽에 포자낭이 달리고 바로 위에 피침형의 설엽(舌葉)이 있다. 큰 포자낭은 바깥쪽 잎에 작은 포자낭은 안쪽 잎에 달리며 모두 피막이 없고 큰 포자낭 밖에는 규칙적인 구멍이 있어 벌집같이 보인다.

    뿌리 : 근경은 짧고 흑색이며 지름 1-5cm되는 덩어리이고 밑이 3개로 갈라져서 홈이 지는데 홈에서 백색 뿌리가 내린다.
    분포 : 경기도 평택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수생식물).

    특징 : 양치식물이지만 잎이 부추 속 식물을 닮았다.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